KR20180030002A - 음식물 가공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002A
KR20180030002A KR1020180028429A KR20180028429A KR20180030002A KR 20180030002 A KR20180030002 A KR 20180030002A KR 1020180028429 A KR1020180028429 A KR 1020180028429A KR 20180028429 A KR20180028429 A KR 20180028429A KR 20180030002 A KR20180030002 A KR 20180030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iner
power
container uni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102018002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0002A/ko
Publication of KR2018003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해소하기 위하여 용기부가 안착되는 하부 및 외부면에 용기부의 접촉을 긴밀하게 유지하는 안착홈이 배설되는 음식물 가공기가 개시되며, 그 구성은, 가공할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하부에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접속 단자(140)가 형성된 용기부(100)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부(100)의 하면의 일정 부분이 삽입 가능하도록 하부 안착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210)의 하면에 상기 접속 단자(1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220)가 형성된 스테이지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접속부(220)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스테이지부(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단자(140)는 상기 용기부(100)의 하부 외측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하부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220)는 상기 접속 단자(140)의 동일한 배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100)의 안착시, 상기 용기부(100)의 접속 단자(140)와 암수 결합하는 접속홀(221)과 상기 접속홀(221)을 커버하는 절연물질(223)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식물 가공기{food processing machine}
본 발명은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여 조리 성능을 향상시키고, 음식물 조리시 용기의 탈착에 따라 전기의 접속이 ON/OFF 되는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두부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포만감이 커서 다이어트에 좋을 뿐만 아니라 두부에 함유된 레시틴 성분의 경우 위벽을 보호하여 위를 편안하게 해주며, 장을 편하고 하고 식이섬유 성분과 함께 올리고당 성분이 장운동 촉진 효능으로 변비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종래에 재래식으로 두유, 두부, 비지 등을 조리하는 경우에 여러 단계의 수작업으로 요리가 행해짐에 따라 불편함과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하나의 장치에서 쉽게 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두유 두부 제조기와 같은 기기들은 두유, 두부, 비지 등을 조리하는 경우 여러 단계의 수작업으로 요리를 하던 것을 가정에서 하나의 장치에서 쉽게 요리가 가능하도록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두부 등을 요리하기 위한 조리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8580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 장치에 의하면 조리용기에 음식 재료를 넣고 용기 하부 또는 내부에서 열을 가하고 용기 내부의 재료를 회전날에 의하여 갈면서 분쇄 및 조리가 행해진다.
그러나 음식이 가공기 내에서 전장부 및 동력장치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조리된 음식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불편함이 발생되고 음식을 조리시 진동이 심하여 내부 요리의 분쇄 등의 힘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858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해소하기 위하여 용기부가 안착되는 하부 및 외부면에 용기부의 접촉을 긴밀하게 유지하는 안착홈을 배설하기 위함이다.
또한, 음식물 조리시 용기부에 전달되는 전기의 접속을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용기부가 구동부와 연결된 스테이지부에 안착되는 상태에서만 전기가 공급되는 접속단자를 설계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가공할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하부에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접속 단자(140)가 형성된 용기부(100)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부(100)의 하면의 일정 부분이 삽입 가능하도록 하부 안착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210)의 하면에 상기 접속 단자(1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220)가 형성된 스테이지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접속부(220)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스테이지부(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단자(140)는 상기 용기부(100)의 하부 외측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하부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220)는 상기 접속 단자(140)의 동일한 배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100)의 안착시, 상기 용기부(100)의 접속 단자(140)와 암수 결합하는 접속홀(221)을 구비하여, 상기 용기부(100)가 상기 하부 안착홈(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음식물의 가공 동작시 상기 동력부(300)에서 생성된 전력을 제공받으면서, 상기 용기부(100)의 흔들림을 억제하면서도 상기 용기부(100)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용기부가 안착시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안착부 또는 걸쇠부 등을 배치하여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여 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용기부 안착시에만 구동부와 연결된 접속이 가능하면서 용기부를 고정할 수 있는 접속단자 및 접속부를 구비하여 안전하게 조리 구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부 외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및 버튼부를 통하여 기설정된 방식 또는 실시간으로 조리의 모터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적절한 요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결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탈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된 용기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된 용기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사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와 분리된 스테이지부의 하면을 나타낸 음식물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와 분리된 스테이지부의 하면을 나타낸 음식물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용기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간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부의 표시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하에서 개시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결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탈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용기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간략도이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10)는 용기부(100), 스테이지부(200), 동력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음식물이 수용되며, 용기부(100) 내부 또는 스테이지부(200) 내부에는 음식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18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 히터(180)가 용기부(100) 내 하부(도 2) 또는 스테이지부(200) 내측에 용기부(100) 하부면과 유사하게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그 외 음식물에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 등 다양한 형태로, 용기부(100) 또는 스테이지부(20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0) 하부에 구성된 히터(180)는 물 또는 조리 재료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용기부(100) 바닥면 내부에 배치되거나 용기부(100) 외부 바닥면에 코팅 처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조리시 열기에 의해 데워진 음식물이 쉽게 식지 않고 위생상의 안전을 갖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등의 부식내구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즉, 용기부(100)는 내부에서 음식물을 조리시, 내부의 열이 밖으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하여 빠른 조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조리가 완성된 후에도 오랜 기간 동안 보온을 유지하여 따뜻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2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0) 또는 스테이지부(200)의 히터(180) 측면에는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감지부는 온도센싱에 따라 조리시 전달되는 열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장부과 연동되어, 적절한 온도가 용기부(100) 내부로 전달 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용기부(100) 내부 상측 또는 덮개부(120) 하단으로 조리시 발생하는 거품을 감지할 수 있는 거품 감지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거품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조리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용기부(100) 내부 안쪽 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160)를 구성하여 조리시 회전날(110)에 따른 음식물의 분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참조) 분쇄돌기(160)의 위치 및 수는 다양하게 배치가 가능하며, 분쇄력이 상승하여 기존의 조리기의 경우보다 빠른 음식물의 완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분쇄돌기(160)는 음식물의 회전 경로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돌출된 분쇄돌기(160)는 음식물과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거나 회전날(110)에 의하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다시 분쇄되도록 하여 전체 음식물의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분쇄돌기(160)는 용기부(100) 내부 안쪽 벽면에 형성되어, 음식물과 회전날(110) 사이의 거리를 좁힘에 따라 음식물과 회전날(110)의 접촉 가능성을 높여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분쇄돌기(160)는 음식물을 회전날(110) 쪽으로 유도하여, 회전날(110)에 의하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부(100) 내부 안쪽 벽면의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160)는 다른 요리를 하기 위한 기구 설치시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용기부(100) 내에는 거름망(미도시)이 삽입되어 조리시 공간별로 음식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거름망은 지지대와 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망의 경우 음식물의 조리에 따라 분리가 가능하도록 직조한 철망 혹은 직조한 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상부가 일정부분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개구면을 막을 수 있는 덮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부(120)는 용기부(10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게 구성되며 용기부(100)의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상기 덮개부(120)가 용기부와 결합시 분리되지 않고 고정 결합할 수 있는 덮개 걸쇠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 걸쇠부(130)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 슬라이드 형식으로 스위칭되는 락/언락 모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덮개부(120)를 용기부(100)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0)는 상측에 배치되며, 조리 재료를 용기부(100) 안으로 넣을 수 있은 상측 주입구(19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주입구(190)의 개구면을 막을 수 있는 마개(191)를 구비할 수 있다. 마개(191)는 용기부(100)에 담긴 음식물이 분쇄되는 도중에 나오지 못하도록 하거나 계량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20) 및 마개(191)는 회전에 의하여 용기부(100)의 개구면에 대한 잠금/풀림을 조절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제시되어있지 않지만, 용기부(100) 일측면에는 조리된 음식물을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는 외측 주입구(미도시)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외측 주입구는 깔대기의 일부 형태 및 굴곡진 형태로 구성되어 용기부(100) 내의 조리된 음식물이 곡면을 따라 외부로 잘 배출되어 흐르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 및 동력부(300)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구조 및 전기적 접속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된 용기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된 용기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사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와 분리된 스테이지부의 하면을 나타낸 음식물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와 분리된 스테이지부의 하면을 나타낸 음식물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용기부(100)는 용기부(100) 내 하측에 배치되고, 동력부(300)를 통하여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용기부(10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회전날(11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날(110)은 동력부(300)로부터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야 하기 때문에 용기부(100)의 내주면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날(100)의 날의 개수는 복수개로 구성하거나 날의 각도를 바깥쪽이 안쪽에 비하여 높도록 기울기를 형성하여 회전에 의한 분쇄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용기부(100) 외면 하부에는 동력부(300)에서 제공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150)는 회전날(110)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력부(300)의 동력이 스테이지부(200)를 거쳐 용기부(100) 내의 회전날(100)에 전달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에 안착시, 스테이지부(200)의 커플러(230)와 용기부(100)의 회전부재(150)는 서로 회전이 가능한 암수 결합이 이루어지고 스테이지부(200)의 커플러(230)에 전달된 동력이 용기부(100)의 회전부재(150)에 전달될 수 있다.
회전부재(150)는 암수 결합에 따른 커플러(230)와 결합이 이루어질때, 흔들림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모서리가 포함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돌출 모서리를 포함된 형상은 별모양으로 이루어지도록 나타나 있으나, 단단한 결속을 이룰 수 있는 모서리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삼각 및 사각의 형상 등의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용기부(100) 하부에 배치된 회전부재(150)는 슬라이드 회전에 의하여 락/언락 모드로 스위치가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회전부재(150)가 상기 슬라이드 회전에 의하여 언락 모드로 배치될 경우, 용기부(100) 내부에 배치된 회전날(110)의 분리가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음식물 조리 전이나 후, 청결한 회전날(110)을 유지하고 요리시 회전날(110)의 구동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커플러(230)의 구조를 회전부재(150)가 락 모드에서만 결합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조리시 회전날(110)이 빠지지 않고 안전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용기부(100) 하부에는 회전부재(150)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를 간격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접속 단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단자(140)는 소정이 길이 이상으로 구비되며, 동력부(300)에서 생성된 전력을 제공받는 동시에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의 접속홀(221)에 삽입되어 진동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단자(140)는 회전부재(150) 외측에 나란하게 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회전부재(150)를 중심으로 양 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에 안착시, 양 측에 균형을 이루면서 접속 단자(140)가 접속홀(2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용기부(100) 하면을 양 방향에서 지지하는 힘으로 진동 및 소음을 더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스테이지부(200)는 용기부(100)와 결합시 움직임을 방지하고 소음을 감소할 수 있도록 용기부(100)의 하면의 일정 부분이 삽입 가능한 하부 안착홈(21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하부 안착홈(210)은 용기부(10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용기부(100) 안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진동으로 발생하는 용기부(100)의 움직임이 최소화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안착홈(210)은 용기부(100)의 하단부를 커버할 수 있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하부 안착홈(210) 내측으로 안착된 용기부(100)를 보다 흔들림없이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부(100)와 접촉하는 하부 안착홈(210)의 하면에는 용기부(100)의 각종 부재들과 암수 결합할 수 있는 홀 또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부(100) 하부와 접촉하는 하부 안착홈(2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접속홀(221)이 구비된 접속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안착홈(210) 측면에는 소정의 단턱이 형성된 단턱홈(24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안착홈(210) 중심부에는 용기부(100)의 회전부재(150)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커플러(230)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안착홈(210)의 하면의 접속부(220)는 접속홀(221) 및 절연물질(223)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속홀(221)은 용기부(100)가 안착시, 용기부(100) 하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접속 단자(140)와 암수 결합한다. 상기 설명한 대로, 접속 단자(14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접속홀(221)은 상기 소정의 길이에 대응되는 깊이의 홀을 형성하고, 접속 단자(140)의 배치에 따라 대응되도록 배치 설계될 수 있다. 즉, 접속 단자(140)의 배열이 회전부재(150)를 중심으로 원호 모양으로 회전부재(150)의 외측면에 배치되면 접속홀(221) 또한 대응되도록 하부 안착홈(210)의 커플러(230) 중심으로 원호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140)의 배열이 회전부재(15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면, 상기 접속 단자(140)가 모두 삽입되어 전력을 제공받고 지지될 수 있도록 대응 배치될 수 있다.
접속홀(221)은 접속 단자(140)의 전력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실리콘 및 고무 등의 절연물질(223)로 커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접속홀(221) 사이마다 절연물질(223)로 커버하여 인체 또는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커플러(230)의 상기 설명한대로, 회전부재(150)와 암수 결합을 하여 용기부(10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회전날(110)이 구동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플러(230)는 회전부재(150)의 락 모드에서만 결합이 가능하고 언락 모드에서는 결합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세척이 완료된 회전날(110)이 용기부(100)와 확실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만 회전부재(150)가 삽입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되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커플러(230)는 회전부재(150)의 형상에 맞도록 대응 설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복수개의 돌출 모서리가 포함된 형상의 회전부재(150)의 경우, 이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설계되어 암수 결합할 수 있다. 커플러(230)의 외면은 실리콘 및 고무 등의 절연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단턱홈(240)은 용기부(100)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턱면(170)이 삽입되어 고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 안착홈(210)의 가장자리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턱홈(240)은 용기부(100)가 조리시 진동 및 소음을 일으키지 않도록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에 안착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턱홈(240)은 단턱면(170)의 수와 배치에 따라 대응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단턱홈(240) 및 단턱면(170)은 안정적인 가공기의 조리를 위하여 복수개로 형성하고 용기부(100)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이지부(200) 내부 안쪽 면에는 용기부(100)에서 흘러넘친 액상의 음식물, 조리시 생성되는 물이나 누수된 물이 스테이지부(200) 안쪽의 히터(180) 및 내부 기기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260)은 스테이지부(200) 바닥면에서 외부로 통하는 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관로는 배수구(260)로 들어온 물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200)는 용기부(100)가 안착되는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스테이지부(200)는 회전부재(150)가 배치된 중심부에서 배수구(260)이 배치된 가장자리쪽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울기를 통해, 회전부재(150)와 연결된 전자부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액상의 음식물이나 물이 배수구(260)를 통해 외부로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동력부(300)는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조리에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고 용기부(100)가 안착시 용기부(100)의 외면을 안착할 수 있는 외면 안착홈(310)을 구비할 수 있다.
동력부(300)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50), 각 동력에 따른 조리 조절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장부(340) 및 상기 구동모터(350)로 생성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350)는 동력부(300) 내 하측에 설치되며, 각종 전장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350)는 상기 전장부(34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350)와 연결된 회전날(110)를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함으로서, 용기부(100) 내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장부(340)는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 히터(180)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모터(350)의 외측에 배치된 모터속도 감지센서(미도시)는 구동모터(350)가 회전하는 속도 등을 센싱할 수 있으며, 센싱 여부를 전장부(340)에 전달할 수 있다. 센싱된 속도 등을 전달받은 전장부(340)는 과속 또는 감속여부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날(110)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 수준의 조리가 완성될 수 있다.
동력부(300)의 외면 안착홈(310)은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에 안착시, 용기부(10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스테이지부(200)의 하부 안착홈과 더불어 용기부(100)의 흔들림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부(100)의 하단과 외면이 동시에 지지되어 종래 기술과 다르게 용기부(100)의 흔들림을 이중으로 억제하여 진동 및 소음발생 방지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력부(300)의 외면 안착홈(310)은 용기부(100)의 외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용기부(100)와 맞닿는 면으로 구성되며, 동력부(300)의 높이는 용기부(100)의 높이의 절반 이상이 되도록 한다.
동력부(300) 상측에는 덮개부(120)를 고정할 수 있는 상측 걸쇠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측 걸쇠부(320)는 락/언락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는 구조이며, 용기부(100)를 커버하는 덮개부(120)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진동을 추가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보조 역할을 한다.
또한, 상측 걸쇠부(320)는 용기부(100)와 덮개부(120)가 조리 중에 어긋나서 벌어지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상측 걸쇠부(320)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포함되어 있어, 동력부에서 생성된 전력을 용기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 걸쇠부(320)는 덮개부(120)와 락 모드로 결합시 용기부(100)로 전력을 전달하고, 덮개부(120)와 언락 모드시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락/언락 모드에 따라 용기부(100)로 전달되는 전력을 온/오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측 걸쇠부(320)는 하나의 스위치로 덮개부(120)의 고정 및 전력전달기능을 할 수 있다.
동력부(300) 하부에는 지면에 부착되어 음식물 가공기(10) 전체의 떨림을 억제할 수 있는 접합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도 8참조) 접합부(360)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조리시 발생하는 용기부(100)의 진동 및 소음 이외에도 동력부(3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부의 표시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력부(300)는 동력부(300) 전면 또는 내부에 배치되고, 음식물 조리에 따른 조리 상태 및 조리여부 등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는 버튼부(333) 및 디스플레이(331)로 구성된 표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330)는 용기부(100) 내부에 조리되는 음식물의 가열시간의 조절, 불림시간의 조절, 분쇄시간의 조절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333)가 배치되며, 상기 버튼부(333)는 각 음식물을 동력 및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장부(340)와 연동되어 설계될 수 있다.
버튼부(333) 상에 예약버튼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음식물의 각각의 시간의 조절 등을 예약 방식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다. 또한, 해독쥬스, 건강죽, 이유식, 두유 등의 기설정된 레시피가 등록되어 있으며 새로운 레시피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30)는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거나 간단한 이미지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각각 음식물 조리를 편리하게 진행하도록 도움을 주는 구성으로, 상기 도 8에 나타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음식물 가공기(10)는 기 설정된 방식으로 조리 내용이 정해지면 조리 방식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가 정해져 있었다. 이에 따라 조리자가 취향에 따라 음식물을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버튼부(333)가 실시간으로 모터 속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실시간 원하는 음식물의 레시피를 새롭게 창작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333)에 따른 설정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331) 및 전장부(340)와 연동되어, 요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실시간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10)는 탈착 가능한 용기부(100)를 구성하고,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 및 동력부(300)에 고정 안착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에 따른 불편을 거의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조리자가 원하는 레시피를 제작할 수 있는 표시부(330)를 배치하여 기존의 조리외에도 새로운 요리를 창작할 수 있는 뛰어난 가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음식물 가공기 : 10 용기부 : 100
스테이지부 : 200 동력부 : 300
회전날 : 110 덮개부 : 120
덮개 걸쇠부: 130 접속 단자 : 140
회전부재 : 150 분쇄돌기 : 160
단턱면 : 170 히터 : 180
상측 주입구 : 190 마개 : 191
하부 안착홈 : 210 접속부 : 220
접속홀 : 221 절연물질 :223
커플러 : 230 단턱홈 : 240
배수구 : 260 외면 안착홈 : 310
상측 걸쇠부 : 320 표시부 : 330
전장부 : 340 디스플레이 : 331
버튼부 : 333 구동모터 : 350
접합부 : 360

Claims (8)

  1. 가공할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0)의 하부에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접속 단자(140)가 형성된 용기부(100)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부(100)의 하면의 일정 부분이 삽입 가능하도록 하부 안착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210)의 하면에 상기 접속 단자(1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220)가 형성된 스테이지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접속부(220)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스테이지부(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단자(140)는 상기 용기부(100)의 하부 외측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하부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220)는 상기 접속 단자(140)의 동일한 배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100)의 안착시, 상기 용기부(100)의 접속 단자(140)와 암수 결합하는 접속홀(221)을 구비하여, 상기 용기부(100)가 상기 하부 안착홈(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음식물의 가공 동작시 상기 동력부(300)에서 생성된 전력을 제공받으면서, 상기 용기부(100)의 흔들림을 억제하면서도 상기 용기부(100)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00)는,
    상기 용기부(10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부(300)를 통하여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상기 용기부(10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회전날(110)과, 상기 용기부(100)의 상부 개구면을 막을 수 있는 덮개부(120)와, 상기 용기부(100) 외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부(300)에서 제공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날(11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재(150)와, 상기 용기부(100)의 내부 또는 상기 스테이지부(200) 내부에 음식물에 열을 가하기 위해 설치되는 히터(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테이지부(200)는, 상기 하부 안착홈(210)의 중심부에 상기 용기부(100)의 상기 회전부재(150)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커플러(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력부(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커플러(230) 및 상기 회전부재(150)로 전달하는 구동모터(350)와, 상기 접속부(220) 및 상기 접속 단자(140)를 통하여 전력을 제공하는 전장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00) 하측 외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턱면(17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안착홈(210) 측면에는 상기 단턱면(170)이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단턱홈(240)이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의 가공 동작시 상기 용기부(100)의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100)를 상기 스테이지부(200)에 안착 및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300)는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100)가 상기 스테이지부(200)에 안착시 상기 용기부(100)의 일측 외면이 안착될 수 있는 외면 안착홈(31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 안착홈(310)은 상기 용기부(100)가 상기 스테이지부(200)에 안착시, 상기 용기부(10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하부 안착홈(210)과 더불어 상기 용기부(100)의 진동 및 소음을 추가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 안착홈(310)은 상기 용기부(100)의 외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100)와 맞닿는 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동력부(300)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용기부(100)의 높이의 절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300)의 상측에는 덮개부(120)를 고정할 수 있는 상측 걸쇠부(320)가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100)를 커버하는 덮개부(120)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여 상기 음식물의 가공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을 추가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걸쇠부(320)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포함되어, 상기 상측 걸쇠부(320)가 상기 덮개부(120)와 락 모드로 결합시 상기 용기부(100)로 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덮개부(120)와 언락 모드시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KR1020180028429A 2018-03-12 2018-03-12 음식물 가공기 KR20180030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29A KR20180030002A (ko) 2018-03-12 2018-03-12 음식물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29A KR20180030002A (ko) 2018-03-12 2018-03-12 음식물 가공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713A Division KR102276757B1 (ko) 2015-07-07 2017-06-16 음식물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002A true KR20180030002A (ko) 2018-03-21

Family

ID=6190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429A KR20180030002A (ko) 2018-03-12 2018-03-12 음식물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00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7412B1 (en)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EP2408341B1 (en) Milk frothing device
US7011013B2 (en) Electric wok having food processor with automatic feed
JP2024042001A (ja) 食品プロセッサの取り扱い
KR101269913B1 (ko) 액상 식품으로부터 거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EP1642518B1 (en) A domestic making appliance for preparing porridges
US6089143A (en) Mashed potato machine
US20220273142A1 (en) Variable Temperature Blender
JP2024038454A (ja) 食品プロセッサの熱管理
KR20100017155A (ko) 우유 기반의 액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KR20180009804A (ko)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
JP7369704B2 (ja) 食品プロセッサ内での制御された位置決め
CN110022737A (zh) 用于从液体、特别是诸如牛奶或含奶液体的液体食品制备泡沫的设备
WO200708832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and mixer arrangements
KR20200103227A (ko) 증기 가열식 조리기기
GB2504493A (en) Milk frother with magnetic drive
US7026591B2 (en) Device and procedure for cooking a food product with microwaves
KR101874157B1 (ko) 음식물 가공기
KR101613206B1 (ko) 음식물 가공기
KR20180030002A (ko) 음식물 가공기
KR20170073568A (ko) 음식물 가공기
KR101583799B1 (ko) 음식물 가공기
KR101436451B1 (ko) 다기능 음식물 가공기
KR101794408B1 (ko) 음식물 가공기
JP7486428B2 (ja) 食品プロセッサの熱管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