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144B1 - 플러그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 Google Patents

플러그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144B1
KR102228144B1 KR1020190111607A KR20190111607A KR102228144B1 KR 102228144 B1 KR102228144 B1 KR 102228144B1 KR 1020190111607 A KR1020190111607 A KR 1020190111607A KR 20190111607 A KR20190111607 A KR 20190111607A KR 102228144 B1 KR102228144 B1 KR 102228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hole
plug
plate
termin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다희
고승진
박대관
정정은
전지나
이석제
Original Assignee
(주)다나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나티앤씨 filed Critical (주)다나티앤씨
Priority to KR102019011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144B1/ko
Priority to PCT/KR2020/001312 priority patent/WO20210497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가 결합되는 플러그 결합구가 승강 가능하게 내장되는 외부케이싱; 상기 외부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는 저면판; 상기 플러그 결합구와 저면판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플러그 결합구가 상승되게 탄력지지하는 탄발스프링; 및 상기 플러그 결합구의 하부에 결합되어 플러그 결합구를 눌러서 하강시키면 저면판의 걸림부에 걸려서 하강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하강된 상태에서 더 누르면 걸림부에서 이탈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 결합구는, 상판과 하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한 쌍의 전원단자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한 쌍의 접지홀이 마련된 결합구 하우징;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된 채, 상기 플러그를 결합하기 전에는 탄발스프링에 의해 상기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을 동시에 차단하고 있으며, 플러그를 결합할 때는 전원단자홀로 진입되는 전원단자봉에 의해 조작되면서 상기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을 동시에 개방하는 차단셔터로 구성됨을 포함하고,상기 차단셔터는, 상기 전원단자홀로 전원단자봉이 진입되기 전에는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전원단자홀을 차단하고 있다가, 상기 전원단자홀을 통해 진입되는 전원단자봉의 선단에 의해 푸싱되면서 상기 결합구 하우징의 지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전원단자홀을 개방하는 전원단자홀 차단판;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의 양 단에 핀 결합되어,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결합구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접지홀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한 쌍의 접지홀 차단판;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판에는 상기 접지홀 차단판의 정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원호형의 가이드 월이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의 상기 전원단자봉 말단과 접하는 접면은 상기 탄발스프링의 인장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판의 바닥면 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러그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Plug coupling and outlet containing it}
본 발명은 콘센트 분야에 관련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는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이 차단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반대로 플러그가 삽입되면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이 개방되도록 하는 플러그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 끼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끼워지게 되면 배선과 통전되면서 전기제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기접속기구이다.
콘센트의 종류는 누전 낙뢰 방지 및 기구 보호의 목적으로 전력단자 외에 접지단자가 더 구비된 접지형 콘센트, 전력단자만 구비된 무접지형 콘센트, 벽이나 기둥 밖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노출형 콘센트, 벽이나 기둥 안으로 넣어 설치하는 매입형 콘센트 등이 있다.
통상의 콘센트는 플러그의 전원단자봉이 삽입되는 전원단자홀이 개방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이물질의 누적이나 혼입 또는 전기에 대한 상식이 없는 자나 어린이들에 의한 철사나 젓가락 등과 같은 기타 도전성 도체의 삽입으로 인한 감전사고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전원단자홀에 차단셔터가 구비되어, 전원단자홀에 플러그의 전원단자봉을 삽입할 때는 삽입력에 의해 전원단자홀을 개방하고, 탈거하였을 때는 복원력에 의해 전원단자홀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전원단자홀이 항시 개방되었던 기존 콘센트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접지형 콘센트에는 접지단자의 출몰을 위해 접지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접지홀을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가 있어서 이에 대한 차단구조도 적용될 필요가 있다.
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1849697호 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10-11528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의 결합 여부에 따라 콘센트의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을 동시에 차단 또는 개방시킬 수 있는 플러그 결합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플러그 결합구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러그가 결합되는 플러그 결합구가 승강 가능하게 내장되는 외부케이싱; 상기 외부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는 저면판; 상기 플러그 결합구와 저면판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플러그 결합구가 상승되게 탄력지지하는 탄발스프링; 및 상기 플러그 결합구의 하부에 결합되어 플러그 결합구를 눌러서 하강시키면 저면판의 걸림부에 걸려서 하강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하강된 상태에서 더 누르면 걸림부에서 이탈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 결합구는, 상판과 하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한 쌍의 전원단자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한 쌍의 접지홀이 마련된 결합구 하우징;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된 채, 상기 플러그를 결합하기 전에는 탄발스프링에 의해 상기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을 동시에 차단하고 있으며, 플러그를 결합할 때는 전원단자홀로 진입되는 전원단자봉에 의해 조작되면서 상기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을 동시에 개방하는 차단셔터로 구성됨을 포함하고,상기 차단셔터는, 상기 전원단자홀로 전원단자봉이 진입되기 전에는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전원단자홀을 차단하고 있다가, 상기 전원단자홀을 통해 진입되는 전원단자봉의 선단에 의해 푸싱되면서 상기 결합구 하우징의 지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전원단자홀을 개방하는 전원단자홀 차단판;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의 양 단에 핀 결합되어,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결합구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접지홀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한 쌍의 접지홀 차단판;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판에는 상기 접지홀 차단판의 정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원호형의 가이드 월이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의 상기 전원단자봉 말단과 접하는 접면은 상기 탄발스프링의 인장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판의 바닥면 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것을 더 포함하는 콘센트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접지홀 차단판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에는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이 차단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콘센트 내부로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사고 및 화재 위험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구가 적용된 멀티 콘센트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구 및 그 케이싱을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구의 작동상태도로서, 4a는 차단셔터에 의해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이 차단된 상태도이고, 도 4b는 차단셔터에 의해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이 개방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구의 승강수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a~6d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구의 승강순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전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구가 적용된 멀티 콘센트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구 및 그 케이싱을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구의 작동상태도로서, 4a는 차단셔터에 의해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이 차단된 상태도이고, 도 4b는 차단셔터에 의해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이 개방된 상태도이다
위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매립형 또는 노출형 콘센트에 적용되는 플러그 결합구에 관련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콘센트가 여러개 구비된 경우, 각 콘센트 마다 본 플러그 결합구(100)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결합구는 승강구조 또는 비승강구조에서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승강구조에 대한 보충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결합구(100)는 도 2 내지 4에서와 같이, 결합구 하우징(200) 및 차단셔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구 하우징(200)은 상판(210)과 하판(2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한 쌍의 전원단자홀(201)이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한 쌍의 접지홀(202)이 서로 마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홀(201)은 플러그(20, 도 1에 표기됨)의 전원단자봉(21)이 관통하는 구멍이고, 상기 접지홀(202)은 접지단자(1)가 설치되는 구멍이다.
차단셔터(300)는 상기 상판(210)과 하판(230)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단자홀(201) 및 접지홀(202)을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원단자홀 차단판(310) 및 접지홀 차단판(3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310)은 도 4a에서 보듯이, 상기 전원단자홀(201)로 전원단자봉(21)이 진입하기 전에는 탄발스프링(350)의 탄발력에 의해 전원단자홀(201)을 차단하고 있다가, 상기 전원단자홀(201)을 통해 진입되는 전원단자봉(21)의 선단에 의해 푸싱되면서 상기 결합구 하우징(200)의 지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전원단자홀(201)을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310)의 상기 전원단자봉(21) 말단과 접하는 접면(311)은 상기 탄발스프링(350)의 인장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판(230)의 바닥면 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면(311)이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하는 이유는 도 4a 및 4b에서 보듯이, 상기 전원단자봉(21)의 누름력에 의해 전원단자 차단판(310)이 도면상 상승하기 위해서는 전원단자봉의 누름력이 작용하는 접면이 경사져야만 미끄럼 운동에 의해 직선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상기 상판(210)에서 상기 접면(311)과 대응하는 부분(구체적으로는 상판의 전원단자홀의 테두리)도 상기 접면(311)의 미끄럼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대접면(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홀 차단판(33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310)의 양 단에 각각 핀(P) 결합되어,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핀(P)을 중심으로 상기 하판(2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접지홀(202)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하판(230)에는 상기 접지홀 차단판(330)의 정확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원호형의 가이드 월(23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월(231)은 각 접지홀 차단판(33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각 접지홀 차단판(330)의 내주면 만을 가이드 하는 하나의 가이드 월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각 접지홀 차단판(330)의 외주면은 도 1에 도시된 콘센트의 외부케이싱(4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접지홀 차단판(330)은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310)을 사이에 두고 대칭형으로 설치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접지홀 차단판(330)에는 상기 접지홀(202)과 일치되는 연통공(331)이 마련되어 있어서 각 접지홀 차단판의 회전동작으로 연통공(331)이 접지홀(202)에 일치되면 개방되는 것이고, 불일치하면 밀폐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플러그(20)를 콘센트(10)에 결합할 때 전원단자봉(21)의 진입력에 의해 차단셔터(300)를 동작시켜서 플러그 결합구(100)의 전원단자홀(201) 및 접지홀(202)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고, 특히 플러그를 결합하지 않았을 때, 즉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각 홀이 밀폐된 상태이므로 외부로부터 이물질 및 먼지 등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감전사고, 화재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기존대비 더 강화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에서 잠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결합구(100)는 도 5 및 도 6a ~ 6d에서와 같이, 외부케이싱(410) 및 저면판(420)에 의해 마련되는 내부 공간 내에서 승강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결합구(100)는 플러그(20)의 결합시 누름력에 의해 상기 외부케이싱(410)의 내부에서 하강되어, 플러그 결합구(100)의 하부에 마련된 걸림후크(510)가 상기 저면판(420)에 마련된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에 걸리게 되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결합구(100)로부터 플러그(20)를 분리할 때는 걸림후크(510)가 걸림부(521)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 결합구(100)를 한 번더 누르게 되면, 도 6c에서와 같이, 걸림부재(520)의 걸림부(521)로부터 이탈되고 플러그 결합구(100)와 저면판(420) 사이에 개입된 탄발스프링(600)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 : 접지단자 20 : 플러그
21 : 전원단자봉 100 : 플러그 결합구
200 : 결합구 하우징 201 : 전원단자홀
202 : 접지홀 210 : 상판
230 : 하판 231 : 가이드 월
300 : 차단셔터 310 : 전원단자홀 차단판
311 : 접면 330 : 접지홀 차단판
350 : 탄발스프링 410 : 외부케이싱
420 : 저면판

Claims (6)

  1. 플러그가 결합되는 플러그 결합구가 승강 가능하게 내장되는 외부케이싱;
    상기 외부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는 저면판;
    상기 플러그 결합구와 저면판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플러그 결합구가 상승되게 탄력지지하는 탄발스프링; 및
    상기 플러그 결합구의 하부에 결합되어 플러그 결합구를 눌러서 하강시키면 저면판의 걸림부에 걸려서 하강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하강된 상태에서 더 누르면 걸림부에서 이탈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 결합구는, 상판과 하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한 쌍의 전원단자홀이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한 쌍의 접지홀이 마련된 결합구 하우징;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된 채, 상기 플러그를 결합하기 전에는 탄발스프링에 의해 상기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을 동시에 차단하고 있으며, 플러그를 결합할 때는 전원단자홀로 진입되는 전원단자봉에 의해 조작되면서 상기 전원단자홀 및 접지홀을 동시에 개방하는 차단셔터로 구성됨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셔터는, 상기 전원단자홀로 전원단자봉이 진입되기 전에는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전원단자홀을 차단하고 있다가, 상기 전원단자홀을 통해 진입되는 전원단자봉의 선단에 의해 푸싱되면서 상기 결합구 하우징의 지름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전원단자홀을 개방하는 전원단자홀 차단판;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의 양 단에 핀 결합되어,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결합구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접지홀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한 쌍의 접지홀 차단판;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판에는 상기 접지홀 차단판의 정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원호형의 가이드 월이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홀 차단판의 상기 전원단자봉 말단과 접하는 접면은 상기 탄발스프링의 인장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판의 바닥면 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것을 더 포함하는 콘센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지홀 차단판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5. 삭제
  6. 삭제
KR1020190111607A 2019-09-09 2019-09-09 플러그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KR102228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607A KR102228144B1 (ko) 2019-09-09 2019-09-09 플러그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PCT/KR2020/001312 WO2021049724A1 (ko) 2019-09-09 2020-01-29 플러그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607A KR102228144B1 (ko) 2019-09-09 2019-09-09 플러그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144B1 true KR102228144B1 (ko) 2021-03-17

Family

ID=7486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607A KR102228144B1 (ko) 2019-09-09 2019-09-09 플러그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28144B1 (ko)
WO (1) WO2021049724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76772A1 (fr) * 2002-06-28 2004-01-02 Legrand Socle de prise de courant à obturateur d'alvéoles et gamme comprenant un tel socle
US20100093198A1 (en) * 2008-10-10 2010-04-15 Hing Wai Michael Ma Safety protection structure for universal sockets
KR101152865B1 (ko) 2007-10-12 2012-06-12 (주)엘지하우시스 안전콘센트
KR101420123B1 (ko) * 2014-03-27 2014-07-17 노성태 안전 콘센트
KR20150015032A (ko) * 2015-01-06 2015-02-09 김종일 전기 콘센트
KR20170029216A (ko) * 2015-09-07 2017-03-15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KR101849697B1 (ko) 2016-10-07 2018-04-17 신헌수 안전 콘센트
KR20180103413A (ko) * 2017-03-10 2018-09-19 김용범 안전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0538B (zh) * 2013-10-12 2017-09-12 深圳市中科电工科技有限公司 安全插座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76772A1 (fr) * 2002-06-28 2004-01-02 Legrand Socle de prise de courant à obturateur d'alvéoles et gamme comprenant un tel socle
KR101152865B1 (ko) 2007-10-12 2012-06-12 (주)엘지하우시스 안전콘센트
US20100093198A1 (en) * 2008-10-10 2010-04-15 Hing Wai Michael Ma Safety protection structure for universal sockets
KR101420123B1 (ko) * 2014-03-27 2014-07-17 노성태 안전 콘센트
KR20150015032A (ko) * 2015-01-06 2015-02-09 김종일 전기 콘센트
KR20170029216A (ko) * 2015-09-07 2017-03-15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KR101849697B1 (ko) 2016-10-07 2018-04-17 신헌수 안전 콘센트
KR20180103413A (ko) * 2017-03-10 2018-09-19 김용범 안전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9724A1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7089B1 (en) Gated electrical safety outlet
US7481664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0468807B2 (en) Tamper resistant mechanism for electrical wiring devices
US20050153587A1 (en) Link assembly for connectors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US20020182907A1 (en) Internal safety cover and method to prevent electrical shock
CN106129741B (zh) 电源插座
KR101152865B1 (ko) 안전콘센트
KR890001226A (ko) 전기 안전 소켓
KR101573487B1 (ko) 플러그 단자의 이물질 제거 및 보호캡의 자동 복귀가 가능한 콘센트
KR102228144B1 (ko) 플러그 결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US10958009B2 (en) Tamper resistant mechanism for electrical wiring devices
KR102151760B1 (ko) 플러그 삽입 장치
KR101573492B1 (ko) 콘센트의 이물질 유입 및 감전 방지를 위한 보호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CN107611670B (zh) 一种基于零火线插片驱动的保护门组件
CN220291161U (zh) 一种安全插座
KR102291956B1 (ko) 콘센트의 안전 소켓 모듈
CN218975854U (zh) 一种保护门组件及插座
CN219017964U (zh) 一种两三插保护门
CN210576714U (zh) 一种插座装置
CN220155463U (zh) 一种gfci插座
CN220492303U (zh) 一种网络安全控制器
CN210806271U (zh) 安全保护门结构及电力轨道
KR101977190B1 (ko) 콘센트안전장치
CN210468209U (zh) 一种电源插座的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