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842B1 - 호환용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 Google Patents

호환용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842B1
KR100333842B1 KR1019970003527A KR19970003527A KR100333842B1 KR 100333842 B1 KR100333842 B1 KR 100333842B1 KR 1019970003527 A KR1019970003527 A KR 1019970003527A KR 19970003527 A KR19970003527 A KR 19970003527A KR 100333842 B1 KR100333842 B1 KR 100333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oard
casing
support means
plug
slid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482A (ko
Inventor
데이비드 체인 후아 첸
Original Assignee
보드-테크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드-테크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보드-테크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1997000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84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84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다양한 유형의 콘센트와 용이하게 호환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는 케이싱, 커버 그리고 플러그 보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은 복수 개의 슬롯으로 구성된 제 1 삽입 수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의 슬라이드 슬롯은 상기 케이싱의 한 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편은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미끄러지듯이 삽입되고 이것은 최소한 상부와 하부에 맞물릴 수 있는 상부에 구비된 걸림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보드는 베이스 보드와 그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플러그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보드는 상기 케이싱의 제 1 삽입 수단과 걸림턱과 슬롯을 결합 형식을 이용해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제2삽입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톱 슬롯은 상기 베이스 보드의 후면 가장자리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삽입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보드는 상기 케이싱의 제 위치에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편을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보드는 상기 케이싱의 제 위치에 맞물리게 되고 또한 다를 플러그 보드와 교체하고자 할 때 상기 케이싱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호환용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ADAPTER WITH INTERCHANGEABLE PLUG BOARD}
본 발명은 전기 아웃렛(outlets)들에 대한 어뎁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종류의 콘센트와 쉽게 호환하여 쓸 수 있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의 규격들은 나라마다 다르다. 그러므로, 해외 여행을 할 때, 개인이 휴대한 전기 용품의 전기 플러그가 그 방문한 나라의 전기 아웃렛(outlets)들의 콘센트에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어뎁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어뎁터는, 커버(1'), 케이싱(2'), 플러그 보드(3'), 그리고 도전편(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1')는 다양한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삽입공(1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2')은 슬롯(20')과 삽입용 슬릿(21')을 구비한 측면 벽과 한 쌍의 연결용 슬롯(22')을 구비한 저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보드(3')와 케이싱(2')이 결합될 때, 설편(30'), 두 개의 삽입편(31'), 그리고 두 개의 연결편(32')은 각기 상기 슬롯(20')에 맞추어 지고, 상기 삽입용 슬릿(21')과 연결용 슬롯(22')은 상기 케이싱(2')에 맞추어 진다. 복수 개의 도전성 프레임은, 상기 삽입공(10')을 통하여 어뎁터에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의 플러그 핀과 상기 플러그 보드(3')상에 세워져 있는 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싱(2')에 실장되어 있다. 이 어뎁터로 인하여 사용자는 상기 플러그 보드(3')를 상이한 유형의 플러그 핀이 실장된 다른 플러그 보드와 호환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어뎁터의 단점은, 상기 연결편(32')을 상기 연결용 슬롯(22')에서 분리하려면, 예를 들어, 보조로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플러그 보드를 분리하는 것은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다. 이것은, 드라이버가 항상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는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보드(3')를 자주 호환해서 사용하면, 상기 연결편(32')이 파손되기가 쉽고, 결국에는 상기 어뎁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어뎁터는 세 개의 탄성편(4')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플러그 보드(3')가 상기 케이싱(2')에 부착될 때, 상기 도전편(미도시)은 이 탄성편들(4')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보드(3')상의 핀(33')들의 고정단(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 탄성편들(4')은 체결수단 없이 상기 케이싱(2')에 유동적으로 실장되어 있으므로, 교체하기 위해서 상기 플러그 보드(3')를 케이싱(2')에서 분리할 때 대개 떨어지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유형의 콘센트에 대하여 각기 다른 플러그 핀이 실장된 다른 플러그 보드로 쉽게 호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플러그 핀이 실장된 호환용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유형의 콘센트와의 빈번한 호환에 대비해서 내구성있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 보드를 케이싱에서 분리시킬 때, 제 위치에서 이탈하기 쉬운 탄성 도전편을 안정되게 제조한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에 따라, 새롭고도 향상된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뎁터는, 케이싱, 복수 개의 도전성 프레임, 커버 그리고 플러그 보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은 저면과 그 저면 상에 형성된 네 개의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은 상기 저면 상부에 복수개의 슬롯이나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 1 삽입 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면 상에 연결된 개구부를 구비한 수직 슬라이드 슬롯이 상기 측면 중 한 면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미끄러지듯이 삽입된다. 상기 지지 수단은 걸림턱이나 스톱 슬롯으로 형성되어 있고, 최소한 상측과 하측에 돌출부를 통하여 맞물릴 수 있는 상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드 슬롯의 최소한 한 측면에 형성된 최소한 두개의 홈과 맞물리도록 상기 슬라이딩편의 한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혹은상기 슬라이드 슬롯의 최소한 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최소한 두 개의 돌출부를 구비한 상기 슬라이딩 편의 최소한 한 측면에 형성된 최소 하나의 홈에 교번적으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보드는 베이스 보드와 상기 베이스 보드 상부에 직립 형성된 복수 개의 플러그 핀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보드는, 상기 케이싱 상부의 제 1 삽입 수단과 걸림턱과 슬롯을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걸림턱이나 슬롯을 포함한 제 2 삽입 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편의 상기 걸림턱이나 슬라이드 슬롯을 수납하기 위한 스톱 슬롯이나 걸림턱이 상기 베이스 보드의 후면 가장자리 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는 플러그 보드 상부의 복수개의 플러그 핀을, 커버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 슬롯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복수 개의 플러그 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성 프레임이 케이싱에 실장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보드는 그 상부에 제 2 삽입 수단을 상기 케이싱 상부의 제 1 삽입 수단과 맞물려서, 상기 플러그 보드의 스톱 슬롯에 그 걸림턱이 삽입되는 상부 위치로 상기 슬라이딩 편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의 제 위치에 실장된다.
사용자가 상기 플러그 보드를 상이한 유형의 플러그 핀을 구비한 플러그 보드로 교체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딩 편 상부의 돌출부를 상부 홈과 맞물려 있는 데서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홈과 맞물리도록 이동시키거나, 상기 슬라이딩 편에 형성된 상기 홈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슬라이딩 편을 하향으로 밀기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플러그 보드의 후면 상부의 스톱 슬롯에서부터 상기 걸림턱을 밀려 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플러그 보드는 자유롭게 교환하기 위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어뎁터는 플러그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상기 케이싱은 상면, 저면 그리고 네 개의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도전편이 상기 케이싱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전기 코드가 상기 어뎁터의 케이싱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하여 상기 어뎁터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아래에 나오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콘센트의 어뎁터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대한 어뎁터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어뎁터의 플러그 보드의 상면도.
도 4 는 도 2의 어뎁터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5 는 도 4의 어뎁터에 있어서 A-A 선의 단면도.
도 6 은 도 4의 어뎁터에 있어서 B-B 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케이싱 2 : 커버
3 : 플러그 보드
10a∼10d : 측면 11 : 저면
12a∼12c : 분기면 13 : 삽입공
14 : 삽입슬롯 15 : 접촉부
16 : 스라이드 슬롯 17 : 슬라이딩 편
20 : 삽입공 30 : 베이스보드
31 : 플러그핀 32 : 후단부
33 : 제1걸림턱 34 : 제2걸림턱
35 : 슬롯
110∼112 : 연결용 슬롯 160∼161 : 제1,제2 홈
170 : 걸림턱 171 : 돌출부
본 발명에 의한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는,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을 덮는 커버(2)와, 상기 케이싱(1)과 조립할 때 그 케이싱(1) 내부의 복수 개의 도전편(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 보드(3)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은 도2 에 도시된바와 같이, 저면(11)과 네 개의 직립 측면(10a,10b,10c,10d)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분기면(branch wall)(12a,12b,12c)이 상기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상기 측면(10a,10b,10c,10d)의 연장선 상에 있다. 또한, 한 쌍의 삽입공(13)이 상기 분기면(12a)에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삽입 슬롯(14b,14c)은 상기 분기면(12b,12c)에 각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면(11)은 중앙부에 연결용 슬롯(110)이 구비되어 있고 두 가장자리 주변에는 사각 슬롯(111,112)이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롯(110,111,112)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내부의 도전편들의 접촉부(15)가 노출이 되어 있다. 슬라이드 슬롯(16)은 상기 측면(10d)의 중간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편(17)은 상기 슬라이드 슬롯(16)에 미끄러지듯이 삽입된다. 걸림턱(170)(stop tongue)은 상기 슬라이딩 편(17)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편(17) 상부 주변의 두 측면상에 한 쌍의 돌출부(17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슬롯(16)의 각 측벽은 제 1 홈(160), 제 2 홈(16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홈(160,161)으로 인하여 상기 슬라이딩 편(17)은 상기 슬라이드 슬롯(16)에 미끄러지듯이 삽입할 때 그 측면에 구비된 두 홈(160,161)에서 멈출 수가 있다.
상기 커버(2)는 복수개의 삽입공(20)이 구비되어, 고주파 용접, 아교, 혹은 다른 체결 수단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1)에 실장된다.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보드(3)는 플러그 핀(31)을 세워 실장하는 베이스 보드(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러그 핀(31)은 상기 베이스 보드(30)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보드의 후부에 노출되어 있는 후단부(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 보드(3)를 상기 케이싱(1)에 실장할 때, 각 플러그 핀(31)의 후단부(32)의 노출 부분은 상기 케이싱(1)의 저면상의 접촉부(15)중의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보드(30)는 그 정면 가장자리에 한 쌍의 제 1 걸림턱(33)(tongue)과 각 측면에 한 쌍의 제 1 걸림턱(33)보다는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제 2 걸림턱(3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슬롯(35)은 상기 베이스 보드(30) 의 후면 가장자리 주변에 형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편(17)상부의 걸림턱(170)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조립시에, 상기 커버(2)는 상기 케이싱(1)의 저면(11)에 부착된다. 상기 플러그 보드(3)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걸림턱(33)은 상기 케이싱(1)의 삽입공(13)에,그리고 제 2 걸림턱(34)은 상기 삽입공(14b,14c)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케이싱(1) 상부에 실장된다. 이후, 상기 슬라이딩 편(17)을 상부로 밀어서 그 돌출부(171)를 제 1 홈(160)에서 제 2 홈(161)으로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편(17)상부의 걸림턱(170)이 상기 플러그 보드(3)의 후면에 구비된 상기 슬롯 (35)에 삽입시킨다. 상기 플러그 보드(3)는 그럼으로써 안전하게 실장된다. 그리하여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뎁터가 완성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플러그 보드(3)를 상이한 유형의 플러그를 구비한 다른 플러그 보드로 교체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딩 편(17)을 하부로 밀어서, 상기 슬라이딩 편(17) 상부의 돌출부(170)를 제 2 홈(161)에서 제 1 홈(160)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그리하여, 상기 걸림턱(170)은 상기 상기 플러그 보드(3) 후면의 슬롯(35)에서 밀려 나게 된다. 상기 플러그 보드(3)는 그리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새로운 플러그 보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방식과 동일하게 실장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보드(3)를 케이싱(1)의 제 위치에 삽입시킬 때, 복수 개의 각 블레이드(31)의 저단부(32)는 상기 케이싱(1)의 도전편(미도시)의 접촉부(15)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기술 하였지만, 상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변형과 비슷한 배치를 다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그러므로 청구 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형 사항과 비슷한 배치를 다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유형의 콘센트와의 빈번한 호환에 대비해서 내구성있는 플러그 보드를 구비하게 하고, 플러그 보드를 케이싱에서 분리시킬 때 제 위치에서 이탈하기 쉬운 탄성 도전편을 안정되게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콘센트에 대하여 각기 다른 플러그 핀이 실장된 다른 플러그 보드로 쉽게 호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한 개의 저면과 네 개의 측면, 그리고 상기 저면의 상부에 제1삽입수단과 상기 측면의 하나에 세로 방향의 슬라이드 슬롯을 구비한 케이싱과; 베이스 보드와 그 상부에 세로로 실장된 복수 개의 플러그 핀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삽입 수단과 맞물릴 수 있는 제 2 삽입 수단으로 구성된 플러그 보드와; 상기 케이싱에 실장된 복수 개의 도전성 프레임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그리고 상기 플러그 보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미끄러지듯이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드 슬롯을 구비한 상기 측면에 대하여 최소한 상부와 하부에 맞물릴 수 있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보드는 그 상부에 형성된 제2삽입수단을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삽입수단과 맞물려서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플러그 보드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싱에 실장되며, 상기 플러그 보드는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플러그 보드가 상기 지지수단에서 분리되도록 하부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플러그 보드를 수동으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위치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저면은 그 상부의 도전성 프레임을 노출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프레임은 상기 플러그 보드가 상기 케이싱에 실장될 때 상기 플러그 보드상의 플러그 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최소한 두 개의 홈, 즉, 제 1, 제 2 홈을 구비한 최소한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은 상부에 제 2 홈은 하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최소한 하나의 측면에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 1 홈에 수납될 때는 상기 지지수단이 그 상부에 맞물리게 되고 상기 제 2 홈에 수납될 때는 상기 하부에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최소한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수단은 최소한 두 개의 홈, 즉 제 1, 제 2 홈이 구비된 최소한 하나의 측면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 1 홈에 수납될 때는 상기 지지수단이 그 상부에 맞물리게 되고 상기 제 2 홈에 수납될 때는 상기 하부에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플러그 보드의 저면에 형성된 스톱슬롯과 맞물리게 하기 위한 걸림턱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 편의 상단에 형성된 슬라이딩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플러그 보드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맞물리게 하기 위한 스톱슬롯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 편의 상단에 형성된 슬라이딩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8. 한 개의 상면, 한 개의 저면과 네 개의 측면, 상기 저면에 구비된 제1 삽입 수단과 상기 측면중의 하나에 세로 방향의 슬라이드 슬롯, 그리고 상기 상면에 형성된 최소한 한 개의 삽입공 을 구비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실장된 복수개의 도전성 편; 베이스 보드와 그 상부에 세로로 실장된 복수 개의 플러그 핀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삽입수단과 맞물리기 위한 상기 케이싱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삽입수단으로 구성된 플러그 보드; 그리고 상기 플러그 보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미끄러지듯이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드 슬롯을 구비한 상기 측면에 대하여 최소한 상부와 하부에 맞물릴 수 있는 지지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보드는 그 상부에 형성된 삽입 수단을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 1 삽입 수단과 맞물려서 상기 지지 수단을 상기 플러그 보드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싱에 실장되며, 상기 플러그 보드는 상기 지지 수단을 상기 플러그 보드가 상기 지지 수단에서 분리되도록 하부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플러그 보드를 수동으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위치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최소한 두 개의 홈, 즉 제 1, 제 2 홈을 구비한 최소한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은 상부에 제 2 홈은 하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슬라이드 슬롯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최소한 하나의 측면에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 1 홈에 수납될 때는 상기 지지수단이 그 상부에 맞물리게 되고 상기 제 2 홈에 수납될 때는 상기 하부에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슬롯은 최소한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 수단은 최소한 두 개의 홈, 즉 제1, 제2홈이 구비된 최소한 하나의 측면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 1 홈에 수납될 때는 상기 지지수단이 그 상부에 맞물리게 되고 상기 제 2 홈에 수납될 때는 상기 하부에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플러그 보드의 저면에 형성된 스톱슬롯과 맞물리게 하기 위한 걸림턱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 편의 상단에 형성된 슬라이딩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플러그 보드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맞물리게 하기 위한 스톱 슬롯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 편의 상단에 형성된 슬라이딩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KR1019970003527A 1997-02-05 1997-02-05 호환용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KR100333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527A KR100333842B1 (ko) 1997-02-05 1997-02-05 호환용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527A KR100333842B1 (ko) 1997-02-05 1997-02-05 호환용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482A KR19980067482A (ko) 1998-10-15
KR100333842B1 true KR100333842B1 (ko) 2002-12-02

Family

ID=6598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527A KR100333842B1 (ko) 1997-02-05 1997-02-05 호환용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79A1 (ko) * 2019-11-14 2021-05-20 김호영 플러그 삽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59Y1 (ko) * 2013-01-17 2014-02-26 리엔 창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전류 변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79A1 (ko) * 2019-11-14 2021-05-20 김호영 플러그 삽입 장치
US11342700B2 (en) 2019-11-14 2022-05-24 Hoyoung Kim Plug recei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482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8907A (en) Adapter with interchangeable plug board
US5540596A (en) Electric plug for supplying current to electric appliances
US7621765B1 (en) Power adapter with replaceable plug
US6171153B1 (en) Modular jack assembly and universal housing for use therein
US6361363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device with improved latching means
US6457993B1 (en) Modular jack with LED
US5651690A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r
US5518132A (en) Receptacle having protective flaps
KR100327895B1 (ko) 하니스커넥터
GB2231452A (en) Electrical connectors
US9647375B2 (en) Power connector products with improved safety shutters
JPH07296912A (ja) フレキシブルなフラットケーブル用の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6146207A (en) Coupling element for two plugs, adapted male and female elements and coupling device obtained
JPH04233022A (ja) シールド付き雌型電気コネクタ
JP2009059720A (ja) バッテリ
US5320558A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electrical terminal
EP1970998A2 (en) Electric connector
JPH0732045B2 (ja) 電話ジャック
US6340309B1 (en) Zero insertion force socket with an improved cover
US11575226B2 (en) Pass-through plug
US20090197474A1 (en) Electronic assembly with foldable connector
KR100333842B1 (ko) 호환용 플러그 보드를 구비한 어뎁터
US5984730A (en) Waterproof electric plug with fuse holder
US6305956B1 (en) Replaceable panel for receptacles
EP2705580A2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with key to avoid contact da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