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892B1 -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892B1
KR101772892B1 KR1020150123033A KR20150123033A KR101772892B1 KR 101772892 B1 KR101772892 B1 KR 101772892B1 KR 1020150123033 A KR1020150123033 A KR 1020150123033A KR 20150123033 A KR20150123033 A KR 20150123033A KR 101772892 B1 KR101772892 B1 KR 101772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late
rotation
presen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915A (ko
Inventor
정윤섭
안용진
김민주
Original Assignee
정윤섭
안용진
김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섭, 안용진, 김민주 filed Critical 정윤섭
Priority to KR1020150123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8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 플러그 회전부 및 금속 도선판을 포함한다. 플러그 회전부는 플러그가 탈착가능하며, 플러그 삽입부를 구비하여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금속 도선판은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며, 전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 콘센트를 회전시켜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절전 콘센트의 대기전력이 손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를 꽂은 상태로 전원을 제어하기 때문에, 플러그를 뽑지 않아도 되어 빈번한 플러그의 탈착에 의한 기구의 손상을 방지하며, 종래의 콘센트에 비해 대기전력의 손실을 차단한다. 또한, 플러그 제거횟수가 적어 콘센트 노출로 인한 각종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Outlet with a Rotating Standby Power Block System}
본 발명은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를 회전하여 전원을 차단 시켜 대기전력의 손실을 막는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각종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는 연결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대기전력의 손실이 발생한다. 통계상 각종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기는 평균 11%에 달하는 대기전력손실을 발생하며, 이를 방기 위해서는 전기 콘센트에 꽂혀 있는 플러그를 뽑아야 하지만 사용자는 전기 콘센트에 꽂혀 있는 플러그가 꽂혀 있는 것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콘센트를 뽑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제20-0391510호에서는 온/오프 스위치와 표시램프를 병설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전기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온/오프 스위치와 표시램프는 대기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전력 낭비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한 전원차단에 의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는 몸체, 플러그 회전부 및 금속 도선판을 포함한다. 플러그 회전부는 플러그가 탈착가능하며, 플러그 삽입부를 구비하여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금속 도선판은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며 전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의 금속 도선판은 플러그의 금속부분이 접하게 되는 플러그 접선부, 플러그 접선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전원을 흘려보내는 전원 도선판 및 접지 도선판을 구비할 수 있다. 플러그 삽입부에 플러그를 삽입 후 회전하면 플러그의 금속부분이 전원 도선판에서 접촉을 이탈하여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의 몸체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구비한다. 상부몸체는 회전부 유닛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하부몸체와 연결된다. 플러그 회전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부 유닛 삽입구멍에 삽입되며, 플러그 삽입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접지 삽입 홈 및 플러그 삽입부의 바닥면에서 플러그의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스탭기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의 스탭기어는 종단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탭기어 종단의 육면체 형상을 지지하는 그리퍼를 포함한다. 그리퍼는 하부몸체에 연결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양단에 일방향으로 대칭되게 연장되는 탄성판을 구비한다. 탄성체는 탄성판 사이에 배치된 스탭기어의 회전에 따라 벌어지거나 초기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는 절전형 콘센트를 사용함으로써, 빈번한 플러그의 탈착에 의한 기구의 손상을 방지하고, 별도의 스위칭부품 없이 플러그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원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어 대기전력의 손실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는 플러그 제거횟수가 적어 콘센트 노출로 인한 각종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는 종래의 콘센트와는 다르게 꽂혀있는 상태의 플러그를 회전하여 전력을 차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에 플러그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회전부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회전부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 유닛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퍼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도선판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유닛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에 플러그가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분해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의 몸체(10)는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로 구비한다. 몸체(10)는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방향을 따라 개방된다.
상부몸체(11)는 판면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벽체를 구비하고, 판면에 회전부 유닛 삽입구멍(15)이 형성된다. 회전부 유닛 삽입구멍(15)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회전부 유닛 삽입구멍(15)은 플러그의 삽입방향을 따라 원통형상으로 연장되어 플러그 회전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몸체(12)는 판면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벽체를 구비한다. 하부몸체(12)는 벽체에서 이격되고, 판면에서 상부몸체(11)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접지 도선 설치부(14)를 구비한다. 접지 도선 설치부(14)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고 배치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몸체(12)는 접지 도선 설치부(14)와 벽체 사이에 전원도선 설치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전원도선 설치부(13)의 바닥면은 하부몸체(120)의 바닥면보다 높게 설정된다.
도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회전부의 상측 사시도이며,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회전부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4a 및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의 플러그 회전부(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플러그삽입부(23)가 형성된다. 플러그삽입부(23)의 바닥면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한 쌍의 플러그 삽입 홀(25) 및 한 쌍의 직사각형 형상의 접지 삽입 홈(24)이 형성된다. 접지 삽입 홈(24)은 플러그 삽입부(23) 바닥면의 외주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지 삽입 홈(24)은 접지 플러그 접속선(51)을 고정시켜 지지할 수 있다.
플러그 회전부(10)의 일단 외주 직경은 상부몸체(11)에 형성된 회전부 유닛 삽입구멍(15)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삽입이 용이하고, 타단은 상부몸체(11)에 플러그 회전부(10)를 고정하도록 회전부 유닛 삽입구멍(15)보다 크게 형성된다. 플러그 고정지지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접지 플러그 고정지지부(26)는 내주면에서 홈이 형성되어 플러그를 고정할 수 있다.
플러그 회전부(10)는 전력을 회전식으로 차단하기 위해 단계적 회전이 가능하게 플러그 회전부(10)의 바닥면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단에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는 스탭기어(21)와 전력의 온/오프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문자가 입력된 상태표시판(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태표시판(22)은 외주면에 90도 간격으로 "ON"과 "OFF"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의 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의 접지선(50)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지 도선판 접촉점(52)과 접지 도선판 접촉점(52)의 외주면에서 대칭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접지 플러그 접촉선(51)을 구비한다.
접지 플러그 접촉선(51)은 플러그 회전부(20)에 형성된 홈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접지 플러그 접촉선(51)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방향을 따라 파형 형상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접지 플러그 접촉선(51)은 플러그를 꽂거나 뽑을 때 탄성에 의해서 플러그를 고정시키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 유닛 사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60)는 플러그 회전부(20)에 형성된 접지 삽입홈(24)에 접지 플러그 접촉선(51)이 삽입되어 접지 플러그 고정지지부에 고정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퍼 사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의 그리퍼(3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스탭기어(21)를 잡아준다. 그리퍼(30)는 하부몸체(12)의 바닥에 연결되는 고정판(31)과 고정판(31)의 양단에 일방향으로 대칭되게 연장되는 탄성판(32)을 구비한다. 탄성판(32)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며, 내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곡면홈(33)이 형성되며, 형성된 곡면홈(33) 사이에 전술한 육면체 형상의 스탭기어(212)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스탭기어(21)의 양측면이 탄성판(32)의 곡면홈(33)에 밀착되게 되며, 이 상태를 초기 형상이라 정의할 수 있다. 그리퍼(30)의 구동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가 회전할 때, 플러그 회전부(10) 하측에 위치한 스탭기어(21)는 그리퍼(30)의 내부에서 회전한다. 이때,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스탭기어(21)의 모서리가 그리퍼(30) 내부 곡면홈(33)에서 회전하게 되며, 탄성력을 가진 탄성판(32)은 벌어지게 된다.
이때, 탄성판(32)이 벌어지고 스탭기어(21)의 위상이 그리퍼(30) 내부에서 일정 각도 이상, 예를 들어 45도 이상 회전하면서 탄성판(32)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판(32)이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면서, 스탭기어(21)가 90도 회전하게 된다.
스탭기어(21)가 90도 회전하면 플러그 회전부(10)도 90도 회전하여 플러그 금속부분과 플러그 접선부(43)가 연결되거나 끊어진다. 이러한 과정으로 전원이 온(ON)/오프(OFF) 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도선판 사시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의 금속 도선판(40)은 하부몸체(12)의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접지도선 설치부(14)에 배치된다. 금속 도선판(40)은 플러그의 금속부분이 접하게 되는 플러그 접선부(43)와 전원을 계속 흘려보내주는 전원 도선판(41) 및 접지에 항상 닿아 있는 접지 도선판(42)을 구비한다.
플러그 접선부(43)와 전원 도선판(41)은 서로 연결되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지도선 설치부(14)에 배치되고, 전원 도선판(41)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러그 접선부(43)는 접지도선 설치부(14) 사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배치된다. 접지 도선판(42)은 하부몸체(12)의 바닥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접지 도선판(42) 접지도선 설치부(14)의 상측면에 배치되며, "l"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의 덮개(60)는 상부몸체(11)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덮개(60)는 플러그 회전부가 회전하면서 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60)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몸체(11) 위에 형성된 회전부 유닛 삽입구멍(15)과 동일한 크기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때, 구멍의 외주면에는 상태 표시홈(61)이 형성된다. 상태 표시홈(61)은 상부몸체(11)에 표시된 온(ON)/오프(OFF) 문자가 보일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크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유닛 사시도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유닛(200)은 몸체(10)의 전원도선 설치부(13)에 전원도선판(41)이 배치되며, 접지도선 설치부(14)에 접지 도선판(42)이 결합된다.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는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개방되고 양측의 벽체가 결합되어 몸체를 형성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분해 사시도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상부몸체(11) 일측에 위치하는 회전부 유닛 삽입구멍(15)에 플러그 회전부(1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접지 삽입홈(24)에 삽입되어 있는 접지선(50) 일측에 위치하는 접지 도선판 접속점(52)은 접지 도선판(42)과 접촉하게 된다. 플러그 회전부(10)가 회전부 유닛 삽입구멍(15)에 삽입됨과 동시에 스탭기어(21)가 그리퍼(30) 내부에 결합하게 되며, 결합된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가 결합된 몸체부 유닛(200)의 상측면에 플러그 회전부(10)가 삽입되고 덮개(60)가 결합한다.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부(23)에 삽입 시 플러그의 금속 부분은 전원 도선판(41)에 접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 플러그의 금속부분과 금속 도선판(41)이 접촉되어 있어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꽂혀있는 플러그를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플러그의 금속부분이 금속 도선판(41) 일측의 위치하는 플러그 접선부(41)와 접촉이 떨어지게 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위 내용과 동시에 플러그가 회전하게 되면 플러그 회전부(10)의 위치하는 덮개(60) 일측의 상태 표시홈(61)이 회전하게 되어 전원 공급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위 내용과 동시에 플러그가 회전하게 되면 플러그 회전부(10) 일측의 위치하는 스탭기어(21)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탭기어(21)를 지지하는 그리퍼(30) 일측의 위치하는 탄성력을 구비한 탄성판(32)에 변형이 발생한다.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을 하면 탄성판(32)의 탄성력으로 인해 스탭기어(21)를 지지하면 스탭기어(21)의 초기 위상에서 90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몸체 11 : 상부몸체
12 : 하부몸체 13 : 전원도선 설치부
14 : 접지도선 설치부 15 : 회전부 유닛 삽입구멍
20 : 플러그 회전부 21 : 스탭기어
22 : 상태 표시판 23 : 플러그 삽입부
24 : 접지 삽입홈 30 : 그리퍼
31 : 고정판 32 : 탄성판
40 : 금속 도선판 41 : 전원 도선판
42 : 접지 도선판 43 : 플러그 접선부
50 : 접지선 51 : 접지 플러그 접속선
52 : 접지 도선판 접속점 60 : 덮개
61 : 상태 표시홈 100 : 회전부 유닛
200 : 몸체부 유닛

Claims (4)

  1.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벽체를 구비하고, 판면에 플러그 삽입 구멍을 형성하여 플러그 회전부를 지지하는 상부 몸체;
    판면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벽체를 구비하며, 벽체에서 이격되고 판면에서 상부 몸체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접지 도선 설치부를 구비하며, 접지 도선 설치부와 벽체 사이에 전원도선 설치부를 구비하는 하부 몸체;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플러그 삽입부 및 상태 표시판을 포함하며, 플러그 삽입부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한 쌍의 플러그 삽입 홀 및 한쌍의 접지 삽입홈이 형성되고, 접지 삽입홈은 접지 플러그 접속선을 고정시켜 지지하며, 상기 상태 표시판은 외주면에 온 및 오프 문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회전부;
    하부몸체의 바닥에 연결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양단에 일방향으로 대칭되게 연장되는 탄성판을 구비하는 그리퍼; 및
    플러그 회전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그리퍼 내부에서 회전되는 스텝기어를 포함하며,
    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러그 회전부가 회전될 때 상기 스텝기어가 그리퍼 내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그리퍼의 탄성판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에 전원 연결 또는 차단하며, 상기 플러그 회전부의 상태 표시판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콘센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의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인접 배치되는 접지도선 설치부에 배치되는 금속 도선판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도선판은 플러그의 금속부분이 접하게 되는 플러그 접선부와 저원이 공급되는 전원 도선판 및 접지에 연결되는 접지 도선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스텝 기어가 회전되어 상기 플러그가 상기 금속 도선판에서 접촉 또는 이탈하여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회전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일단의 외주 직경은 상기 상부 몸체에 형성된 플러그 삽입 구멍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부 몸체에 플러그 회전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플러그 삽입 구멍보다 크게 형성되는 콘센트 장치.
  4. 삭제
KR1020150123033A 2015-08-31 2015-08-31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KR101772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033A KR101772892B1 (ko) 2015-08-31 2015-08-31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033A KR101772892B1 (ko) 2015-08-31 2015-08-31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15A KR20170025915A (ko) 2017-03-08
KR101772892B1 true KR101772892B1 (ko) 2017-09-12

Family

ID=5840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033A KR101772892B1 (ko) 2015-08-31 2015-08-31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8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795A (ja) * 1999-06-24 2001-01-12 Masatoshi Miyamoto プラグとプラグの差し込み口を360度回転させる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795A (ja) * 1999-06-24 2001-01-12 Masatoshi Miyamoto プラグとプラグの差し込み口を360度回転させる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15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7276B1 (en) Power adapter with replaceable plug structure
KR101645466B1 (ko) 회전식 멀티탭
KR20190127129A (ko) 콘센트와 플러그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
KR20070050010A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1772892B1 (ko)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KR101407104B1 (ko)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KR20070049813A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1725859B1 (ko) 회전 접속형 콘센트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KR200419477Y1 (ko) 플러그 분리수단을 구비한 멀티탭
KR20120130565A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20110137226A (ko) 플러그 연결수단과 자석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멀티탭
CN205385144U (zh) 一种墙体插座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102075242B1 (ko) 돌려서 켜는 전기 콘센트
KR100927329B1 (ko)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KR101435154B1 (ko) 전원연결장치
KR101658781B1 (ko) 조립식 멀티 탭
KR20180092343A (ko) 더미 플러그를 갖는 콘센트 직접 고정형 멀티탭
KR20120040369A (ko) 전원 연결 기구
KR101473379B1 (ko) 전기콘센트
EP4325669A1 (en) Connecting assembly, cable plug and cable assembly
CN220822118U (zh) 一种适配器及轨道插座
KR20170054655A (ko) 트위스트 멀티탭
CN217788854U (zh) 一种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