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329B1 -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329B1
KR100927329B1 KR1020090050693A KR20090050693A KR100927329B1 KR 100927329 B1 KR100927329 B1 KR 100927329B1 KR 1020090050693 A KR1020090050693 A KR 1020090050693A KR 20090050693 A KR20090050693 A KR 20090050693A KR 100927329 B1 KR100927329 B1 KR 100927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base plate
plug
insertion hole
electric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길숙
Original Assignee
(주)참소리전자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소리전자통신 filed Critical (주)참소리전자통신
Priority to KR1020090050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양극(+)전원과 음극(-)전원을 공급받는 베이스플레이트, 이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하 연통된 내측면으로 플러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접속전극의 회전을 안내하는 절연성의 제 1가이드부재, 이 접속전극의 회전시 외측면으로 안내하도록 제 1가이드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절연성의 제 2가이드부재, 및 원 궤적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끼리 이웃하게 배열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접속전극과의 탄성적 접촉여부에 따라 온,오프 설정되는 전도성의 통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서 전원의 온,오프를 설정함으로써 전원 차단을 위해 플러그를 수시로 뽑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회전형, 콘센트

Description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ELECTRIC CURRENT DEVICE AND ROTARY TYPE CONSENT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서 전원의 온,오프를 설정함으로써 전원 차단을 위해 플러그를 수시로 뽑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도록 한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각종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장치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는 벽등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매립형과, 별도로 유니트화하여 전원과 연결된 상태로 독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 탭 타입이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플러그를 꽂지 않은 경우 유아들이 플러그 단자의 삽입구에 도전체를 삽입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있으며, 사용하지 않은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놓은 경우 암전류가 발생되어 소모 전류가 발생된다.
그래서, 콘센트에 꽂아진 플러그에 전원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가 콘센트에 구비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기존의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는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플러그와 콘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에 가하여지는 외력에 의해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분리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 후 회전시킴에 따라 플러그의 접속전극이 콘센트의 내부에서 원 궤적을 따라 배열된 통전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전원의 온,오프를 위해 플러그를 뽑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한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통전부재를 콘센트 내부의 하측에 호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하여 접속전극과의 접촉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센트 내부에 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회전하는 플러그를 안내함에 따라 플러그의 회전 궤적을 유지할 수 있어 접속전극과 통전부재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를 제공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탈방지부를 두어 콘센트 내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러그의 외측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작동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하 연통된 내측면으로 플러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접속전극의 회전을 안내하는 절연성의 제 1가이드부재, 상기 접속전극의 회전시 외측면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 1가이드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절연성의 제 2가이드부재, 및 원 궤적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끼리 이웃하게 배열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상기 접속전극과의 탄성적 접촉여부에 따라 외부전원과의 통전 설정되는 전도성의 통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제 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 2가이드부재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원 궤적을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전부재는, 한 쌍의 상기 접속전극 각각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접속전극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 지지되고 어느 일측에 양극전원 또는 음극전원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는 대응되는 상기 접속전극을 수용하는 수용홈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 각각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끼움하도록 끼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부는 설정된 극성의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통전단자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 2가이드부재는 리브로 연결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접속전극의 회전 원궤적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끼리 이웃하게 배열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통전부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가이드부재 또는 상기 제 2가이드부재는 하측에 결합후크를 돌출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결합후크를 삽입하기 위해 후크홀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절전 콘센트는: 일측을 개방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막고 삽입홀을 통공한 커버, 상기 커버의 삽입홀에 삽입된 플러그의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접속전극 회전시 탄성적 접촉여부에 따라 온,오프 설정되는 전기접속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부재를 안착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한 쌍의 상기 접속전극 각각을 삽입하도록 상하 연통된 끼움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회전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플러그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속전극을 삽입하기 위해 설치홀을 통공하며, 상기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은 덧판, 상기 덧판이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커버에 걸리도록 상기 덧판 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 및 상기 삽입홀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덧판을 상기 커버의 하측에 배치하기 위해 상기 이탈방지돌기를 삽입하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는 종래 기술과 달리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 후 회전시킴에 따라 플러그의 접속전극이 콘센트의 내부에서 원 궤적을 따라 배열된 통전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전원의 온,오프를 위해 플러그를 뽑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통전부재를 콘센트 내부의 하측에 호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하여 접속전극과의 접촉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콘센트 내부에 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회전하는 플러그를 안내함에 따라 플러그의 회전 궤적을 유지할 수 있어 접속전극과 통전부재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탈방지부를 두어 콘센트 내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러그의 외측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통전부재 설치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통전부재 설치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통전부재 설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절전 콘센트(10)는 케이스(20), 커버(30), 지지부재(40), 회전부재(50), 전기접속장치(100) 및 이탈방지부(60)를 포함한다.
케이스(20)는 콘센트(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커버(30), 지지부재(40), 회전부재(50), 전기접속장치(100) 및 이탈방지부(6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케이스(20)는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데, 상측으로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케이스(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는 케이스(20)의 개방된 일측 특히, 개방된 상측을 막아 지지부재(40), 회전부재(50) 및 전기접속장치(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커버(30)는 케이스(2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커버(30)는 케이스(20)의 상측에 억지 끼워져 결합되거나 또는 기계체결요소에 의해 체결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케이스(20)에 결속된다.
그리고, 커버(30)는 삽입홀(32)을 상??하 연통되게 형성한다. 이 삽입홀(32)은 전자기기에 연결된 플러그(5)나, 이 플러그(5)의 하측으로 돌출된 접속전극(6)을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접속전극(6)은 양극(+)전원과 음극(-)전원 각각을 공급받기 위해 한 쌍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콘센트(1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양극(+)전원과 음극(-)전원 각각을 공급받아 플러그(5)의 접속전극(6)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지지부재(40)는 케이스(20)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안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40)는 상측에 회전부재(50)를 구비한다. 그래서, 회전부재(50)는 지지부재(4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특히, 지지부재(40)는 회전부재(50)의 하측에 직접적으로 접하여 회전부재(50)를 지지하는 메인지지부재(42) 및 이 메인지지부재(42)의 하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케이스(20)의 내측 바닥면이나, 후술할, 전기접속장치(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지지부재(44)를 포함한다. 편의상, 탄성지지부재(44)는 케이스(20) 내측에 탄성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메인지지부재(42)는 회전부재(50)를 가능한 넓은 면적으로 회전부재(50)를 지지하기 위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설치 공간을 줄이기 위해 내측에 전기접속장치(100)를 장착함에 따라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 메인지지부재(4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메인지지부재(42)는 케이스(20)의 내측 가장자리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탄성지지부재(44)는 메인지지부재(4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메인지지부재(42)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얇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탄성지지부재(44)는 케이스(20)의 내측 바닥면이나 전기접속장치(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대해 충분히 탄성적으로 메인지지부재(42)를 지지하기 위해 각각의 하측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탄성지지부재(4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개수로 적용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부재(40)가 케이스(20)의 내측 바닥면이나 전기접속장치(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견고하게 장착되기 위해 케이스(20)의 내측 바닥면이나 전기접속장치(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장착홈을 형성하고, 탄성지지부재(44)의 하측은 이 장착홈에 장착되어 위치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부재(50)는 지지부재(4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플러그(5)의 접속전극(6)을 삽입한다. 그래서, 회전부재(50)는 서로 다른 전기 극성을 갖는 각각의 접속전극(6)에 대응되게 끼움홀(52)을 형성한다. 이 끼움홀(52)은 회전부재(50)에 상??하 연통되게 형성된다. 특히, 접속전극(6)은 케이스(20)의 하측에 구비된 통전부재(130)와 주기적으로 접촉하며 통전된다.
따라서, 접속전극(6)은 끼움홀(52)에 삽입되어 통전부재(130)와 접촉됨에 따라, 회전부재(50)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접속전극(6)을 보호하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회전부재(50)는 커버(30)의 삽입홀(32)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콘센트(10) 높이를 줄임과 아울러 보호되기 위해 커버(30)의 삽입홀(32) 하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부재(50)는 삽입홀(32)을 통해 자연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회전부재(50)의 직경은 삽입홀(3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회전부재(50)는 지지부재(4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탄성지지부재(44)의 상부 방향 미는 힘에 의해 커버(30)의 하측에 밀착된다. 따라서, 회전부재(50)와 지지부재(40)는 서로 구속되지 않으면서 흔들리지 않게 된다.
특히, 회전부재(50)는 지지부재(40)에 단독으로 지지될 수도 있으나, 지지부재(40)와 케이스(20)의 내측 테두리에 함께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플러그(5)의 접속전극(6)을 회전부재(50)의 끼움홀(52)에 억지 끼움시 지지부재(40)에 무리 한 누르는 힘이 가해질 경우 지지부재(40)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회전부재(5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케이스(20)는 내측에 전기접속장치(100)를 장착한다. 이 전기접속장치(100)는 플러그(5)에 형성된 한 쌍의 접속전극(6) 회전시 접속전극(6)의 탄성적 접촉여부에 따라 플러그(5)와 연결된 전기기기의 온(ON),오프(OFF)를 자동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써, 전기접속장치(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제 1가이드부재(122), 제 2가이드부재(124) 및 통전부재(130)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양극(+)전원과 음극(-)전원을 직접적으로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통전부재(130)와 회로패턴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PCB)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술할, 통전단자(14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통전단자(144)는 전선이나 회로패턴에 의해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특히,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케이스(20) 내측에 삽입되어 매립될 수도 있으나, 조립상 편의를 위해 케이스(20)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케이스(20)와 기계체결요소로 체결된다. 아울러, 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회로패턴 또는 통전단자(144)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일측에 전선을 연결한다.
물론,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통전부재(130)를 상측에 형성하고, 전선으로 통전부재(130)와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제 1가이드부재(122)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형성되고, 상??하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제 1가이드부재(122)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지지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제 1가이드부재(122)의 내측면은 플러그(5)에 형성된 한 쌍의 접속전극(6)과 접촉하게 된다. 즉, 제 1가이드부재(122)는 회전하는 접속전극(6)을 내측면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가이드부재(122)는 외부 전원 공급시 접속전극(6)의 전류흐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 2가이드부재(124)는 제 1가이드부재(122)의 내측에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지지된다. 이때, 제 2가이드부재(124)의 외측면은 플러그(5)에 형성된 한 쌍의 접속전극(6)과 접촉하게 된다. 즉, 제 2가이드부재(124)는 회전하는 접속전극(6)을 외측면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제 2가이드부재(12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서처럼, 제 1가이드부재(122)와 제 2가이드부재(12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가이드부재(122)의 직경이 제 2가이드부재(12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가이드부재(122)의 중심축과 제 2가이드부재(124)의 중심축은 일치되게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가이드부재(122)와 제 2가이드부재(124)의 틈새 거리는 회전시 안내되는 플러그(5)의 접속단자 직경보다 소 정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2가이드부재(124)는 외부 전원 공급시 접속전극(6)의 전류흐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2가이드부재(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즉, 제 2가이드부재(12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중실(中實)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제 1가이드부재(122)와 제 2가이드부재(124)가 원통인 이유는 원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접속전극(6)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통전부재(130)는 원 궤적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끼리 이웃하게 배열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접속전극(6)과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여부에 따라 전자기기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제 1가이드부재(122)와 제 2가이드부재(124) 사이에 대응되는 상측에 원 궤적을 따라 양극(+)전원을 공급받는 통전부재(130)와 음극(-)전원을 공급받는 통전부재(130)를 번갈아 형성한다.
그래서, 한 쌍의 접속전극(6)이 외력에 의해 원 궤적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통전부재(130)는 각각 대응되는 접속전극(6)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거나 접촉 해지된다. 따라서, 통전부재(130)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통전부재(130)는 접촉부(132) 및 연결부(134)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서처럼, 접촉부(132)는 접속전극(6)을 향하는 상부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응되는 접속전극(6)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형성된다. 접촉부(132)가 볼록한 호 형상인 이유는 접속전극(6)과의 접촉불량을 방지하기 위함 이다.
아울러, 연결부(134)는 접촉부(13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연결, 지지된다.
특히, 접속전극(6)이 접촉부(132)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접촉부(132)가 소정 눌려짐과 동시에 접촉부(132)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부(134)는 사이 거리가 벌어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속전극(6)이 접촉부(132)를 누르는 힘을 제거시, 통전부재(130)는 탄성 복원된다.
실시예로써,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연결부(134) 각각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끼움하도록 끼움홈부(142)를 형성하고, 이 끼움홈부(142)는 설정된 극성의 전원과 연결되며 연결부(134)와 접촉되는 통전단자(144)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접속전극(6)이 접촉부(132)를 누르면, 연결부(134)는 끼움홈부(142) 내부로 더 깊이 삽입된다. 반대로, 접속전극(6)이 회전되어 접촉부(132)를 누르지 않으면, 연결부(134)는 초기상태인 끼움홈부(142)의 입구측(入口側)으로 복귀하게 된다. 물론, 연결부(134) 각각이 대응되는 끼움홈부(142)의 통전단자(144)에 항상 접촉되도록 통전단자(144)의 크기가 정해져야 한다. 아울러, 연결부(134)는 끼움홈부(142)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통전부재(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전부재(130)는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서 폐곡선을 이루는 띠 형상이거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속전극(6)과 전기적으로 접촉해야 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절연코팅 되거나,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인서트 사출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가이드부재(122) 또는 제 2가이드부재(124)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분리 가능하게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1가이드부재(122) 또는 제 2가이드부재(124)는 하측에 결합후 크(152)를 돌출하고, 베이스플레이트(110)는 결합후크(152)를 삽입하기 위해 후크홀(154)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가이드부재(122)와 제 2가이드부재(124)는 어느 하나만 하측으로 결합후크(152)를 돌출 형성할 수 있으나, 모두 결합후크(152)를 돌출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크홀(154)은 후크돌기 개수만큼 형성되어 대응되는 결합후크(152)를 억지 끼움하게 된다.
물론, 제 1가이드부재(122) 또는 제 2가이드부재(124)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볼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결합후크(152)와 후크홀(154)의 형성위치를 바뀌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서처럼, 다른 실시예로써, 전기접속장치(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제 1가이드부재(122), 제 2가이드부재(124), 리브(160) 및 통전부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10), 제 1가이드부재(122), 제 2가이드부재(124) 및 통전부재(130)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 및 형상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리브(160)는 제 1가이드부재(122)와 제 2가이드부재(124)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 1가이드부재(122)와 제 2가이드부재(124)는 리브(16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리브(160)는 상측에 통전부재(130)를 형성한다.
이때, 통전부재(130)는 회전부재(5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접속전극(6)의 길이만큼 유격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리브(160)는 제 1가이드부재(122)의 하측 둘 레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브(16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통전부재(130)는 접촉부(132) 및 연결부(134)를 포함하는데, 연결부(134)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리브(160)에 끼워지게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즉, 리브(160)는 연결부(134)를 삽입하기 위해 수용홈부(133)를 형성한다.
여기서, 수용홈부(133)에는 통전단자(144)가 형성되고, 이 통전단자(144)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회로패턴과 전선으로 연결되고, 이 전선은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물론, 리브(160)의 수용홈부(133)에 형성된 통전단자(144)와 연결되는 전선은 직접적으로 외부 전원과 연결 가능하고, 이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필요 없을 수 있다.
또한, 통전부재(130)의 접촉부(132)는 대응되는 접속전극(6)을 수용하는 수용홈부(133)를 형성한다.
이는, 눌려진 접촉부(132)가 탄성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접속전극(6)이 접촉부(132)의 상측에서 미끄러지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접속전극(6)은 수용홈부(133)에 수용되기 때문에 외력 제거시 통전부재(13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눌려진 접촉부(132)는 탄성 복원되려는 힘 때문에 접속전극(6)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접속전극(6)은 회전부재(50)의 상측으로 이탈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플러그(5)는 이탈방지부(60)에 의해 회전부재(50)와 커버(30)의 외측으로 자연적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일례로써, 이탈방지부(60)는 덧판(62), 이탈방지돌기(66) 및 이탈방지홈(68)을 포함한다.
덧판(62)은 플러그(5)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접속전극(6)을 삽입하기 위해 설치홀(63)을 통공하며, 커버(30)의 삽입홀(3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덧판(62)이 플러그(5)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유는 덧판(62)의 기능을 하는 플랜지를 플러그(5)에 일체로 형성할 경우 기성품인 플러그(5)의 설계변경으로 인한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덧판(62)은 체결부재(64)에 의해 플러그(5)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이 체결부재(64)는 볼트와 같은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탈방지돌기(66)는 덧판(62)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이탈방지돌기(66)는 덧판(62)이 삽입홀(3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커버(30)에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탈방지홈(68)은 삽입홀(32)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덧판(62)을 커버(30)의 하측에 배치하기 위해 이탈방지돌기(66)를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이탈방지돌기(66)를 이탈방지홈(68)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덧판(62)은 커버(30)의 삽입홀(32)에 삽입되어 회전부재(50)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플러그(5)를 회전시키면, 이탈방지돌기(66)는 커버(30)의 하측에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덧판(62)은 커버(3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접속전극(6)이 통전부재(130)에 접촉시, 이탈방지돌기(66)가 이탈방지홈(68)에 일치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플러그(5)가 회전시, 접속전극(6)이 통전부재(130)에 접촉되는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회전부재(50)는 걸림돌기(72)를 돌출 형성함과 동시에 커버(30)는 걸림홈(74)을 형성한다.
따라서, 플러그(5)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재(50)의 걸림돌기(72)가 커버(30)의 걸림홈(74)에 수용되면, 접속전극(6)은 통전부재(130)와 접촉한 상태가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속전극(6)이 통전부재(130)와 접촉한 상태는 램프 등과 같은 접촉확인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통전부재 설치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통전부재 설치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의 통전부재 설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 플러그 6: 접속전극
10: 콘센트 20: 케이스
30: 커버 40: 지지부재
50: 회전부재 60: 이탈방지부
100: 전기접속장치 110: 베이스플레이트
122,124: 제 1,2가이드부재 130: 통전부재
132: 접촉부 133: 수용홈부
134: 연결부 142: 끼움홈부
144: 통전단자

Claims (11)

  1.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하 연통된 내측면으로 플러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접속전극의 회전을 안내하는 절연성의 제 1가이드부재;
    상기 접속전극의 회전시 외측면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 1가이드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절연성의 제 2가이드부재; 및
    원 궤적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끼리 이웃하게 배열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상기 접속전극과의 탄성적 접촉여부에 따라 외부 전원과의 통전상태를 설정되는 전도성의 통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재는 상기 제 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 2가이드부재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원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재는,
    한 쌍의 상기 접속전극 각각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접속전극 방향으 로 볼록하게 형성된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 지지되고, 어느 일측에 양극전원 또는 음극전원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대응되는 상기 접속전극을 수용하는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 각각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끼움하도록 끼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부는 설정된 극성의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통전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 2가이드부재는 리브로 연결되고;
    상기 리브에는 상기 접속전극의 회전 원궤적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끼리 이웃하게 배열되는 상기 통전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부재 또는 상기 제 2가이드부재는 하측에 결합후크를 돌출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결합후크를 삽입하기 위해 후크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8. 일측을 개방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막고, 삽입홀을 통공한 커버;
    상기 커버의 삽입홀에 삽입된 플러그의 자연적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접속전극 회전시 탄성적으로 접촉여부에 따라 온,오프 설정되는 전기접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절전 콘센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부재를 안착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한 쌍의 상기 접속전극 각각을 삽입하도록 상하 연통된 끼움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회전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절전 콘센트.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플러그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속전극을 삽입하기 위해 설치홀을 통공하며, 상기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은 덧판;
    상기 덧판이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커버에 걸리도록 상기 덧판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 및
    상기 삽입홀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덧판을 상기 커버의 하측에 배치하기 위해 상기 이탈방지돌기를 삽입하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절전 콘센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하 연통된 내측면으로 플러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접속전극의 회전을 안내하는 절연성의 제 1가이드부재;
    상기 접속전극의 회전시 외측면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 1가이드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절연성의 제 2가이드부재; 및
    원 궤적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끼리 이웃하게 배열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상기 접속전극과의 탄성적 접촉여부에 따라 외부 전원과의 통전상태를 설정되는 전도성의 통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절전 콘센트.
KR1020090050693A 2009-06-08 2009-06-08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KR100927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93A KR100927329B1 (ko) 2009-06-08 2009-06-08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693A KR100927329B1 (ko) 2009-06-08 2009-06-08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329B1 true KR100927329B1 (ko) 2009-11-18

Family

ID=4160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693A KR100927329B1 (ko) 2009-06-08 2009-06-08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3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75B1 (ko) * 2011-10-26 2012-02-24 구병회 절전형 콘센트
WO2013073877A1 (ko) * 2011-11-16 2013-05-23 Ku Byeong Hoe 절전형 콘센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98Y1 (ko) 1997-07-09 2000-05-15 한영희 콘센트
KR20010000837A (ko) * 2000-10-23 2001-01-05 박장희 회전접속콘센트
KR20020062879A (ko) * 2002-06-25 2002-07-31 최선주 절전형 콘센트
KR20070049813A (ko) * 2005-11-09 2007-05-14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98Y1 (ko) 1997-07-09 2000-05-15 한영희 콘센트
KR20010000837A (ko) * 2000-10-23 2001-01-05 박장희 회전접속콘센트
KR20020062879A (ko) * 2002-06-25 2002-07-31 최선주 절전형 콘센트
KR20070049813A (ko) * 2005-11-09 2007-05-14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75B1 (ko) * 2011-10-26 2012-02-24 구병회 절전형 콘센트
WO2013062265A1 (ko) * 2011-10-26 2013-05-02 Ku Byeong Hoe 절전형 콘센트
WO2013073877A1 (ko) * 2011-11-16 2013-05-23 Ku Byeong Hoe 절전형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4274B2 (ja) コンセント
KR101046173B1 (ko)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CN107994417A (zh) 一种防老化插座
KR100754250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927329B1 (ko)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KR200488465Y1 (ko) 전자 담배용 모듈형 부품
KR100754251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1723048B1 (ko) 차량용 콘센트 어셈블리
CN103199370A (zh) 连接件、具有该连接件的电子装置和照明装置
KR20130108808A (ko) 회전형 접속장치를 갖춘 전기 콘센트
US9078356B2 (en) Electrical component device
KR20100101324A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CN114204312A (zh) 一种安全插座
US8210707B2 (en) Flashlight structure
CN215008830U (zh) 一种导电能力强的轨道插座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102075242B1 (ko) 돌려서 켜는 전기 콘센트
KR20130108811A (ko) 이동형 접속장치를 갖춘 전기 콘센트
CN220066265U (zh) 一种连接器
CN210535981U (zh) 一种便于临时使用的安全灯座
KR20160109123A (ko) 고정밴드가 구비되는 전기콘센트
KR100340447B1 (ko) 안전 콘센트
KR100454661B1 (ko)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CN216563869U (zh) 一种具有按键开关和保险丝的电源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