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250B1 -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250B1
KR100754250B1 KR1020070006769A KR20070006769A KR100754250B1 KR 100754250 B1 KR100754250 B1 KR 100754250B1 KR 1020070006769 A KR1020070006769 A KR 1020070006769A KR 20070006769 A KR20070006769 A KR 20070006769A KR 100754250 B1 KR100754250 B1 KR 100754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connection
power supp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0010A (ko
Inventor
강대윤
Original Assignee
강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윤 filed Critical 강대윤
Priority to KR1020070006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250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소정간격 이격되는 한쌍의 접속리드핀과 접지전극이 설치된 플러그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 저부의 본체에 상기 플러그의 회전시 접속 리드핀의 회전궤적을 따라 설치되는 제 1,2접속단자와, 상기 각 제 1,2접속단자에 설치되어 플러그의 회전으로 이송되는 접속리드핀과 결합시 전원이 공급되고, 분리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인가부들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어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접속리드 핀들과 대응되는 측에 결합공들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플러그 삽입구로부터 회전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가지는 콘센트;를 구비한다.
콘센트, 플러그, 회전부재, 회전

Description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assembly of plug and cons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제 1,2접속단자와 접속리드핀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러그 콘센트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으로 전원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플러그와 콘센트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러그 콘센트 조립체는 각종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장치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는 벽 등 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매립형과, 별도로 유니트화되어 전원과 연결된 상태로 독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 탭 타입이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플러그를 꽂지 않은 경우 유아들이 플러그 단자의 삽입구에 도전체를 삽입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있으며, 사용하지 않은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놓은 경우 암전류가 발생되어 소모 전류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한 콘센트가 한국 특허등록 제10-0327529호, 10-0367420호와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20-214737호, 20-0214738호, 20-0258989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실용신안 등록 제 2002-0032939호에는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다. 개시된 콘센트는 한 쌍의 플러그 단자 삽입공과 스위치 노출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하나의 플러그 단자가 접속되는 접속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한 극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선 연결부가 구비되는 제1 콘센트 단자와, 다른 하나의 플러그 단자가 접속되는 접속부가 구비되고 접속부에 접속돌기가 형성된 제2 콘센트 단자와, 다른 극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전원선 연결부가 구비되는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콘센트 단자와 전원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차단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5-0026182호에는 멀티 콘센트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멀티 콘센트는 다수개의 개별콘센트가 배치된 본체와, 상기 각각의 개별 콘센트의 전원을 컨트롤하는 다수개의 컨트롤 스위치를 갖는 컨트롤 스위치 박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위치가 부착된 콘센트 또는 멀티 콘센트는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플러그와 콘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에 가하여지는 외력에 의해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분리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센트에 대해 플러그를 상대 회전시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플러그와 콘센트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로부터 플로그로의 전원 공급시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 공급의 스위칭을 위한 어뎁터(adapter)를 설치하여 전원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소정간격 이격되는 한쌍의 접속리드핀과 접지전극이 설치된 플러그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 저부의 본체에 상기 플러그의 회전시 접속리드핀의 회전궤적을 따라 설치되는 제 1,2접속단자와, 상기 각 제 1,2접속단자에 설치되어 플러그의 회전으로 이송되는 접속리드핀과 결합시 전원이 공급되고 분리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제1,2전원 인가부 들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어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접속리드핀들과 대응되는 측에 결합공들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플러그 삽입구로부터 회전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가지는 콘센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접속단자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전원인가부는 플러그의 회전시 한쌍의 접속리드와 각각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2접속단자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전원인가부는 각각 상기 각 제 1,2접속단자부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속리드 핀의 양측을 감싸는 돌출단자로 이루어진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삭제
소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접속리드핀와 접지전극이 설치된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 결합부를 가지는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의 플러그 결합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 삽입구가 형성된 어댑터본체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 저부의 본체에 상기 플러그의 회전시 접속리드핀의 회전궤적을 따라 설치되는 제 1,2접속단자와, 상기 각 제 1,2접속단자에 설치되어 플러그의 회전으로 이송되는 접속리드 핀과 결합시 전원이 공급되고 분리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제1,2전원 인가부들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어 어댑터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접속리드 핀들과 대응되는 측에 결합공들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플러그 삽입구로부터 회전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가지는 어댑터를 구비하여된 된 것 을 그 특징으로 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플러그 삽입부를 가지는 콘센트와;
상기 콘센드의 플러그 삽입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플러그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는 리드단자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접속단자부를 가지는 한쌍의 접속리드 핀이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플러그 본체의 회전시 접속리드핀의 접속단자부 회전궤적을 따라 설치되는 제 1,2접속단자와, 상기 각 제 1,2접속단자에 설치되어 플러그의 회전으로 이송되는 접속리드핀과 결합시 전원이 공급되고 분리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제1,2전원인가부들이 설치된 플러그;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콘센트에 대해 플러그의 회전으로 전원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10)는 각종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전선과 연결되는 플러그(20)와, 상기 플러그(20)와 결합되는 플러그 삽입구(31)가 마련되며 플러그 삽입구(31)에 결합된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작동되는 스위칭 수단을 가지는 콘센트(30)를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20)는 플러그 본체(21)로부터 전방으로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 며 전선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접속리드 핀(22)과, 상기 플러그 본체(2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접지전극(23)을 구비한다. 상기 접지전극(23)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플러그(20)의 회전에 따라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콘센트(30)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31)가 형성된 본체(32)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32)의 하면에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31)의 저부를 밀폐하는 바텀 플레이트(33)가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 삽입구(31)의 저부를 이루는 바텀플레이트(33)에는 플러그(20)의 회전시 회전궤적을 따라 제 1,2접속단자(34)(35)가 설치되는데, 이 제 1,2접속단자(34)(35)에는 플러그(20)의 회전으로 이송되는 접속리드 핀(22)과 결합됨으로써 전원이 공급되고, 분리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제1,2전원 인가부(36)(37)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 1,2접속단자(34)(35)에는 이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부(34a)(35a)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34a)(35a)는 바텀 플레이트(33)와 세트 스크류(34b)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2접속단자(34)(35)에 각각 설치되는 제 1,2전원 인가부(36)(37)는 각 1,2접속단자(34)(35)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속리드 핀(22)의 양측을 감싸는 돌출단자(36a)(37a)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돌출단자(36a)(37a)와 결합되는 플러그(20)의 접속리드 핀(22)의 단부는 콘센트와의 결합시 제1,2접속단자(34)(35)의 몸체와 접촉되지 않는다. 이는 플러그(20)의 회전으로 돌출단자(36a)(37a)로부터 접속리드 핀(22)의 분리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데, 상기 돌출단자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 1,2접속단자(34)(35)에 소정의 간 격으로 절연층이 형성되어 플러그(20)의 회전시 접속리드 핀(22)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제 1,2접속단자에 접속됨으로써 전원이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2접속단자(34)(35)는 바텀 플레이트(33)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선(미도시)과 연결되는 리드플레이트(38)들과 접속되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러그 삽입구(31)의 내주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이 단차에 가하면의 가장자리가 지지된 회전부재(3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회전부재(39)에는 상기 플러그(20)의 접속리드 핀(22)이 삽입되는 결합공(39a)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2)에는 상기 회전부재(39)가 플러그 삽입구(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40)가 설치되는데, 상기 커버부재(40)에는 플러그(20)가 삽입되는 삽입공(41)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41)의 직경은 회전부재(39)에 형성된 인입부(39b)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센트(30)에는 상기 플러그(20)의 접지전극(23)와 접지되는 접지수단(50)이 더 구비된다. 이 접지수단(50)은 상기 회전부재(39)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플러그(20)의 결합시 접지전극(23)과 결합되는 접지부(51a)와 이 접지부(51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1b)를 가지는 제1접지단자부재(51)와, 상기 회전부재(39)의 하면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본체(32)의 단차부(32a)에 설치되어 상기 접지단자(51)의 연장부(51b)와 접촉되는 링형상의 제2접지단자부재(52)를 구비한다. 상기 제 2접지단자부재(52)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외부의 단자와 접지되며, 상기 연장부(51b)는 상기 회전부재(39)의 회전시 제 2접지단자부재(52)와 접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 삽입구(31)에 삽입된 플레그(20)에 전원의 인가시 콘센트(30)로부터 플러그(20)의 분리를 방지하는 플러그 분리방지수단(60)이 더 구비된다. 이 플러그 분리 방지수단(60)은 플러그(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지지돌기(61)와, 플러그(20)와 콘센트(30)의 결합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40)의 삽입공(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62)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삽입공의 위치는 접속리드핀과 제 1,2접속단자의 분리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돌기(61)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31)에는 제 1,2접속단자(34)(35)와 플러그(20)의 접속리드핀(22)과 접속되어 전원이 인가되거나 분리되어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발광 또는 점멸되는 발광램프(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램프(7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측단자는 제 1접속단자(34)에 접속되고 타측단자는 상기 제 2접속단자(35)와 결합되는 접속리드핀과 접속되고 제 2접속단자와 접속리드핀의 분리시 단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10)를 이용하여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플러그(20)와 콘센트(30)를 결합한다. 즉 플러그(20)의 접속리드핀(22)이 콘센트(30)의 플러그 삽입구(31) 즉, 커버(40)의 삽입공(41)을 통하여 회전부재(39)의 인입부(39b)형성된 결합공(39a)에 삽입되도록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돌기(61)는 커버부재(40)에 형성된 결합홈(62)을 통하여 삽입되고, 접지전극(23)은 제1접지단자부재(51)의 접지부(51a)에 접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플러그(20)와 회전부재(39)가 회전하게 되고, 이의 단부에 상기 회전부재(39)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속리드핀(22)은 상기 제 1,2접속단자(34)(35)의 제 1,2전원인가부(36)(37)와 결합됨으로써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에 본체(32)에 형성된 발광램프는 발광하게 되며, 상기 제 1접지단자부재(51)의 연장부(51b)는 제 2접지단자부재(52)와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상기 플러그(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돌기(61)는 커버부재(40)의 삽입공(41)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플러그(20)가 콘센트(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30)로부터 플러그(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센트(30)에 대해 플러그(4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하면, 상기 플러그(20)의 접속리드핀(22)들이 상기 제 1,2접속단자(34)(35)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플러제 1,2접속단자(34)(35)로부터 플러그(20)의 접속리드 핀(22)으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때에 상기 제1,2접속단자(34)(35)로부터 분리된 접속리드핀(22)는 제1,2전원인가부(36)(37)들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발광램프(70)가 소등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소정간격 이격되는 한쌍의 접속리드 핀(22)과 접지전극(23)이 설치된 플러그(20)와; 상기 플러그 결합부(81)를 가지는 콘센트(80)와; 상기 플러그 결합부(81)에 결합되는 것으로 플러그 삽입구(31)가 형성된 어댑터(90)를 구비한다.
상기 콘센트(80)는 벽에 고정되는 매립형이나 별도로 유니트화되어 전원과 연결된 상태로 독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 탭 타입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80)의 플러그 결합부(81)에 결합되는 어댑터(90)는 플러그 삽입구(91)가 형성된 어댑터본체(92)와, 상기 어댑터 본체(92)와 결합된 바텀캡(94)을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 삽입구(91) 저부 즉, 바텀캡(94)에는 플러그(20)의 회전시 접속리드 핀(22)의 회전궤적을 따라 설치되는 제 1,2접속단자(34)(35)와, 상기 각 제 1,2접속단자(34)(35)에 설치되어 플러그(20)의 회전으로 이송되는 접속리드핀(22)과 결합시 전원이 공급되고 분리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전원 인가부(36)(37)들을 구비한다. 상기 바텀캡(94)에는 상기 제1,2접속단자(34)(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콘센트에 결합되는 한쌍의 리드핀(95)들을 구한다. 상기 리드핀의 내측단부는 제1,2접지단자(34)(35)와 직접 접촉됨으로써 통전 될 수 있으며, 별도의 리드단자(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91)에 삽입되어 어댑터본체(9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접속리드핀(22)들과 대응되는 측에 결합공(39a)들이 형성된 회전부재(39)와, 상기 어댑터본체(92)와 결합되어 플러그 삽입구(91)로부터 회전부재(39)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9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 본체(92)에는 제 1,2접속단자(34)(35)와 접속리드핀(22)과의 결합 및 분리시 점멸되는 발광램프(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 본 체에는 상기 플러그(20)의 접지단자(23)와 접지되는 접지수단(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20)와 어댑터 본체(92)의 커버부재(93)에는 전원의 인가시 어댑터 본체(92)로부터 플러그(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 분리 방지수단(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 1,2접지단자(34)(35)와 접지수단(50) 및 플러그 분리 방지수단(60)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콘센트(80)에 어댑터(90)의 리드핀(95)을 결합하여 제1,2접지단자(34)(35)에 통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어댑터(90)의 커버부재(93)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하여 플러그(20)를 결합하고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플러그의 접속 리드단자(22)에 전원의 공급을 단속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플러그 삽입부(81)를 가지는 콘센트(80)와, 상기 플러그 삽입부(81)에 결합되는 것으로 콘센트(8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전원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플러그(110)를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110)는 플러그 본체(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12)에 상기 콘센트(80)에 삽입되는 리드단자부(113a)와 상기 플러그 본체(11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접속단자부(113b)를 가지는 한쌍의 접속리드 핀(11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리드 핀(113)과 대응되는 플러그 본체(111)의 내부에는 고정부재(114)가 설치되고 이 고정부재(114)에는 상기 접속단자부(113b)의 회전궤적을 따라 제 1,2접속단자(34)(35)가 설치된다. 이 제 1,2접속단자(34)(35)에는 회전체(112)가 회전됨에 따라 결합 및 분리되는 제 1,2전원인가부(36)(37)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설치된다. 이때에 상기 제 1,2전원인가부(36)(37)는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리드핀(113)의 단부와 결합되고 분리시 제 1,2접속단지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에는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로의 전원 공급시 발광하는 발광램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접속단자와 발광램프의 기술적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콘센트(80)에 플러그를 결합하여 리드단자부(113)가 통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플러그 본체(111)를 콘센트(80)에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플러그 본체가 회전되면서 고정부재(114)에 고정된 제 1,2접속단자(34)(35)의 제1,2전원인가부(36)(37)에 상기 접속리드핀(113)의 접속단자부(113b)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통전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러그 본체(111)를 더욱 회전시켜 상기 접속단자부(113b)가 상기 제 1,2 전원 인가부(36)(37)로부터 분리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전원인가부 또는 제 2전원인가부들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지 않고도 전원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는 콘센트에 대해 플러그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원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으므로 전원의 공급의 단속을 위하여 콘센트와 플러그를 결합 및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콘센트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 시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플러그 삽입부를 가지는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플러그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는 리드단자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접속단자부를 가지는 한쌍의 접속리드핀이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플러그 본체의 회전시 접속리드핀의 접속단자부 회전궤적을 따라 설치되는 제 1,2접속단자와, 상기 제 1,2접속단자에 각각 설치되어 플러그의 회전으로 이송되는 접속리드핀과 결합시 전원이 공급되고 분리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제1,2전원인가부들이 설치된 플러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접속단자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전원 인가부는 플러그의 회전시 한쌍의 접속단자부들과 각각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제 1,2접속단자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전원인가부는 각각 제 1,2접속단자부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속단자부의 양측을 감싸는 돌출단자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20070006769A 2007-01-22 2007-01-22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754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769A KR100754250B1 (ko) 2007-01-22 2007-01-22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769A KR100754250B1 (ko) 2007-01-22 2007-01-22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993A Division KR100754251B1 (ko) 2005-11-09 2005-11-09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010A KR20070050010A (ko) 2007-05-14
KR100754250B1 true KR100754250B1 (ko) 2007-09-05

Family

ID=3827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769A KR100754250B1 (ko) 2007-01-22 2007-01-22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840B1 (ko) * 2007-10-31 2010-03-18 김태연 상태식별이 용이한 회전형 절전콘센트
KR100977381B1 (ko) * 2007-11-26 2010-08-20 하동원 잠금장치가 구비된 전원어댑터
KR100977670B1 (ko) * 2008-09-23 2010-08-24 심병섭 원터치형 콘센트
KR200470078Y1 (ko) * 2012-04-03 2013-11-26 문태호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
KR101619644B1 (ko) 2014-11-19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아웃렛장치
CN111313169B (zh) * 2018-11-23 2022-03-01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连接结构及具有连接结构的显示面板装置
KR102090618B1 (ko) * 2019-08-23 2020-03-18 이진국 기능성 안전 멀티탭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2022A (ja) * 1999-03-01 2000-09-14 Noriyoshi Sugamura スイッチコンセント
KR20010000837A (ko) * 2000-10-23 2001-01-05 박장희 회전접속콘센트
KR20020062879A (ko) * 2002-06-25 2002-07-31 최선주 절전형 콘센트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2022A (ja) * 1999-03-01 2000-09-14 Noriyoshi Sugamura スイッチコンセント
KR20010000837A (ko) * 2000-10-23 2001-01-05 박장희 회전접속콘센트
KR20020062879A (ko) * 2002-06-25 2002-07-31 최선주 절전형 콘센트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010A (ko) 200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250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754251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20170035435A (ko)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US20120282814A1 (en) In-line multiport plug and system
KR101123986B1 (ko) 회전식 멀티탭
KR200265831Y1 (ko) 멀티 콘센트
KR20100101324A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927329B1 (ko)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KR101725859B1 (ko)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0989404B1 (ko) 회전형 안전 콘센트
KR100477530B1 (ko) 면광원이 구비된 안전형 전원 콘센트 장치
KR20130108808A (ko) 회전형 접속장치를 갖춘 전기 콘센트
KR20180092343A (ko) 더미 플러그를 갖는 콘센트 직접 고정형 멀티탭
KR200183099Y1 (ko) 전기 플러그
KR101501990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KR100759226B1 (ko) 전자제품용 전원선 차단장치
WO2020220276A1 (en) Electrical outlet
KR200450181Y1 (ko) 전원스위치 안전커버가 구비된 멀티콘센트
KR101772892B1 (ko) 회전식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콘센트
KR200414154Y1 (ko) 플러그
KR200166530Y1 (ko) 플러그
KR200271212Y1 (ko) 전원 차단이 가능한 플러그
KR19980016791U (ko) 플러그 소켓
KR20160026181A (ko)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