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181A -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181A
KR20160026181A KR1020140114223A KR20140114223A KR20160026181A KR 20160026181 A KR20160026181 A KR 20160026181A KR 1020140114223 A KR1020140114223 A KR 1020140114223A KR 20140114223 A KR20140114223 A KR 20140114223A KR 20160026181 A KR20160026181 A KR 20160026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electrical plug
electric plug
connection terminal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윤
Original Assignee
한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윤 filed Critical 한기윤
Priority to KR102014011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6181A/ko
Publication of KR20160026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는 전기플러그 삽입 홈과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를 구비하는 콘센트 몸체부 및 상기 전기플러그 삽입 홈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가장 높은 위치를 마련하고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 양쪽 방향으로 하강 경사를 가지고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와 동일한 위치에 구멍이 나 있는 전기플러그 유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Socket enable to guide plug}
본 발명은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플러그를 삽입구에 유도할 수 있는 전기플러그 유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 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로써 그 내부는 중선선을 접지극과 연결하기 위하여 접지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콘센트의 접지방법은 콘센트 상부 몸체에 장착된 플러그접지단자에 접지연결편을 연결하고 접지연결편을 콘센트 하부 몸체에 장착된 접지선 연결단자와 연결하여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전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콘센트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7858호(2012년07월23일)의 전기 콘센트는 삽입되는 플러그의 외측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 플러그안착부와 플러그의 전극에 대응토록 구성된 쌍을 이루는 매개단자가 결합된 1개 이상의 유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동모듈은 플러그의 삽입 및 유동모듈의 작동공이 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단자를 수용한 하부하우징과 결합된 케이싱에 수용되어 구성되되 케이싱의 내측에 수용된 유동모듈의 유동에 대응하여 작동상태가 표시되고 케이싱과 상기 유동모듈의 유동에 상호 대응하여 색채, 문자, 요철 등의 비전기적 표식이 구비된 작동상태표시부와 유동모듈의 유동궤적을 안내하고 구속하는 모듈궤적가이드와 유동모듈의 유동시 소정위치로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위치결정편 및 유동모듈의 유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플러그 삽입방향에 대해 상하로 수직 유동 운동, 회전 유동 운동, 직각으로 수평 유동 운동, 소정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시소형으로 회전 유동 운동하는 유동 운동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유동 운동이 되는 구성이다.
상기 전기 콘센트는 별도의 전원스위치 없이 삽입된 플러그를 회전등의 유동 조작으로 전원이 온/오프(ON/OFF)되면서 유동모듈의 유동에 대응하여 케이싱의 내측에 수용된 작동상태표시부에서 색채, 문자,요철 등의 비전기적 상태표식에 의해 삽입 플러그와 콘센트가 전기적 결합 여부가 표현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전기 콘센트는 사용자가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할 때 플러그의 삽입 위치를 알려주는 유도기가 불비되어 콘센트에 플러그의 삽입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플러그 유도기의 불비로 인하여 사용자가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 시에 한번에 플러그의 삽입 위치를 인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플러그의 접속 단자가 콘센트에 삽입될 때 전기플러그 유도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전기 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홈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전기플러그 삽입이 쉬운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는 전기플러그 삽입 홈과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를 구비하는 콘센트 몸체부 및 상기 전기플러그 삽입 홈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가장 높은 위치를 마련하고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 양쪽 방향으로 하강 경사를 가지고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와 동일한 위치에 구멍이 나 있는 전기플러그 유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플러그 유도부재는 전기플러그가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에 삽입됨에 따라 콘센트 몸체부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전기플러그 유도부재는 환형이나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콘센트 몸체부는 전기플러그 탈거 버튼을 더 포함하고, 전기플러그가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에 접속되면 상기 전기플러그 탈거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전기플러그가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상기 전기플러그 탈거 버튼은 상기 전기플러그 유도 장치가 상기 콘센트 몸체부 내부로 하강함에 따라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에 의하면 전기플러그의 접속 단자가 콘센트에 삽입될 때 전기플러그 유도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전기 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홈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전기플러그 삽입이 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3은 전기플러그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에 접속되는 모습.
도 4는 전기플러그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로부터 탈거되는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플러그 유도형 멀티탭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는 콘센트 몸체부(3) 및 전기플러그 유도부재(2)를 포함한다.
콘센트 몸체부(3)는 통상적으로 전기플러그 삽입 홈과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삽입구(1)를 구비한다. 콘센트 몸체부(3)는 대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합성수지 등의 절연물질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콘센트 몸체부(3) 내부에는 출력단자(미도시), 접지선연결단자(미도시), 접지연결편(미도시), 접지단자(미도시) 및 압축스프링(미도시), 플러그 보호편(미도시) 등이 내장된다.
전기플러그 유도부재(2)는 콘센트 몸체부(3)의 전기플러그 삽입 홈의 내부에 마련된다. 전기플러그 유도부재(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이거나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전기플러그 유도부재(2)는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삽입구(1)에 대해 대략 직각 방향으로 가장 높은 위치(6)가 마련된다. 그로부터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삽입구(1) 양쪽 방향으로 하강 경사를 가지고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삽입구(1) 쪽이 대략 가장 낮은 위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플러그 유도부재(2)에는 콘센트 몸체부(3)의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삽입구(1)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구멍이 나 있다.
전기플러그 탈거 버튼(4)은 콘센트 몸체부(3)에 마련될 수 있는 데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3은 전기플러그(7)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에 접속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4는 전기플러그(7)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로부터 탈거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플러그(7)가 전기플러그 삽입홈(5)으로 들어와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가 전기플러그 유도부재(2)에 닿게 되면 전기플러그 유도부재(2)의 하강경사를 따라 전기플러그 접속단자(9)가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삽입구(1) 쪽으로 유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플러그(7)가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삽입구(1)에 완전히 삽입되면 전기플러그 유도부재(2)는 콘센트 몸체부(3)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콘센트 몸체부(3)에 구비된 전기플러그 탈거 버튼(4)이 바깥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전기플러그 탈거 버튼(4)은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삽입구(1)에 삽입된 전기플러그(7)를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삽입구(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도 4처럼 전기플러그 탈거 버튼(4)을 누르면 전기플러그(7)가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삽입구(1)로부터 이탈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플러그 유도형 멀티탭의 사시도이다. 위에서 상술한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와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삽입구
2: 전기플러그 유도부재
3: 콘센트 몸체부
4: 전기플러그 탈거 버튼
5: 전기플러그 삽입홈
7: 전기플러그
9: 전기플러그 접속단자

Claims (5)

  1. 전기플러그 삽입 홈과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를 구비하는 콘센트 몸체부; 및
    상기 전기플러그 삽입 홈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가장 높은 위치를 마련하고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 양쪽 방향으로 하강 경사를 가지고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와 동일한 위치에 구멍이 나 있는 전기플러그 유도부재;
    를 포함하는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플러그 유도부재는 전기플러그가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에 삽입됨에 따라 콘센트 몸체부 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플러그 유도부재는 환형이나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몸체부는 전기플러그 탈거 버튼을 더 포함하고, 전기플러그가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에 접속되면 상기 전기플러그 탈거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전기플러그가 상기 전기플러그 접속 단자 삽입구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플러그 탈거 버튼은 상기 전기플러그 유도 장치가 상기 콘센트 몸체부 내부로 하강함에 따라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KR1020140114223A 2014-08-29 2014-08-29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KR20160026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23A KR20160026181A (ko) 2014-08-29 2014-08-29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223A KR20160026181A (ko) 2014-08-29 2014-08-29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181A true KR20160026181A (ko) 2016-03-09

Family

ID=5553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223A KR20160026181A (ko) 2014-08-29 2014-08-29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61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790A (ko) * 2021-01-07 2022-07-14 김영숙 플러그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790A (ko) * 2021-01-07 2022-07-14 김영숙 플러그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5091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gnetically coupling standard electrical plugs
CN103762472B (zh) 一种多功能插座
CN105258082B (zh) 一种灯具固定装置、固定座及连接座
KR20140065890A (ko) 전원어댑터플러그
JP2013125643A (ja) 直流コンセント
US20180090870A1 (en) Tamper Resistant plug-able socket adapter
CN103401107A (zh) 电连接器
KR101690219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160026181A (ko) 전기플러그 유도형 콘센트
CN205406852U (zh) 具有锁死插头功能的插座
KR101233437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1483011B1 (ko) 플러그 단자 고정구조를 갖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JP2013125642A (ja) 直流コンセント
KR20110137226A (ko) 플러그 연결수단과 자석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멀티탭
CN105226430A (zh) 防触电防水型取电装置和防触电防水的电连接方法
CN213584492U (zh) 一种轨道式插排及轨道式插座系统
US10790607B2 (en) Tamper resistant plug-able socket adapter
KR20170043333A (ko) 콘센트
CN205790546U (zh) 一种电源耦合器
CN218101799U (zh) 一种便于布线的开关插座
KR101533310B1 (ko) 전기 콘센트
KR101435154B1 (ko) 전원연결장치
JP3222881U (ja) 取り外し容易な電源アダプタ
CN218850021U (zh) 一种电压指示连接器及电器设备
KR101437036B1 (ko) 전원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