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879A - 절전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절전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879A
KR20020062879A KR1020020035597A KR20020035597A KR20020062879A KR 20020062879 A KR20020062879 A KR 20020062879A KR 1020020035597 A KR1020020035597 A KR 1020020035597A KR 20020035597 A KR20020035597 A KR 20020035597A KR 20020062879 A KR20020062879 A KR 20020062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connection
power
plu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주
Original Assignee
최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주 filed Critical 최선주
Priority to KR1020020035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2879A/ko
Publication of KR20020062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8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각 접속구의 하부에서 상기 접속단자는 플러그단자의 회전을 안내하는 곡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곡선부의 일 끝단에는 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러그단자가 끼워지도록 측면 일측이 개방된 끼움부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부는 플러그단자가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측이 오목부로 이루어진 무접지식 콘센트의 구조와, 케이스의 상면에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들 각 관통공에 접속구가 삽착되고, 상기 접속구는 상하방향으로 대경부와 소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이 단턱이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턱에 회전가능하게 걸쳐지며, 상기 접속단자는 각 접속구의 하부에서 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플러그단자가 끼워지도록 측면 일측이 개방된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플러그단자가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측이 오목부로 이루어진 접지식 콘센트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콘센트는 전기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시 플러그를 뽑지 않고 회전시켜 전기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메인 접속단자에 흐를 수도 있는 전기를 완전히 차단하여 자연방전으로 인한 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절전형 콘센트{POWER SAVING PLUG SOCKET}
본 발명은 절전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전원의 접속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력낭비를 최소화하고 사용이 편리한 절전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plug socket)는 각종 전기기구를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의 일종으로서, 실내외 벽면에 삽입하여 설치되는 벽체형 콘센트와, 소위 '멀티탭'이라고 부르는 외장형 콘센트로 구분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외장형 콘센트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 콘센트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3개의 접속구(110)가 형성된 무접지식 콘센트(10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무접지식 콘센트(100)는 통상 상부케이스부재(101)와 하부케이스부재(102)로 분할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부재(101)에 구비된 각 접속구(110)의 상부에는 소정의 개폐부재(11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재(111)는 주지된 기술의 것으로서, 표면에 플러그단자(미도시)가 통과하도록 삽입공(112a)이 형성된 회전자(112)와, 이 회전자(112)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자(11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구(110)의 내주연에 고정되는 고정자(113)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113)에는 회전자(112)의 삽입공(112a)과 연통하는 관통공(11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11)는 회전자(112)를 회전시켜 상기 삽입공(112a)과 관통공(113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플러그(미도시)를 꽂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삽입공(112a)과 관통공(113a)이 서로 엇갈린 상태로 상기 회전자(112)가 스프링(114)을 매개로 고정자(113)에 회전가능하게 탄지되어 있다.
하부케이스부재(102)에는 플러그단자(미도시)가 접속되는 복수의접속단자(120)가 장착되고, 이들 접속단자(120)가 스위치부(103)에 연결되어 상부케이스부재(101)의 상면으로 돌출된 전원스위치(104)의 온(on)/오프(off)에 의해 각 접속구(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접속단자(120)는 각 접속구(110)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플러그단자가 끼워지는 상하 끼움형태의 접속공(121)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종래의 무접지식 콘센트(100)는 각 접속구(110)의 삽입공(112a)에 플러그를 꽂은 상태로 회전자(11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삽입공(112a)과 고정자(113)의 관통공(113a)이 일치된 상태에서 플러그를 완전히 밀어넣을 수 있게 되는데, 이때 플러그단자가 접속단자(120)의 접속공(121)에 끼워져서 접속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종래의 콘센트의 다른 일 례로서, 종래 접지식 콘센트의 외형을 도시한 평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종래 접지식 콘센트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접지식 콘센트(200)는 케이스(201)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속구(210)에 각종 전기기구의 플러그단자(미도시)가 끼워지는 삽입공(211)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211)의 하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삽입공 차폐용 회전체(212)가 스프링(21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탄설되어 있다.
상기 접속구(210)의 저면에는 접지핀(214)이 고정되어 이 접지핀(214)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접속구(210)의 상부로 인출되어 있고, 상기 접지핀(214)의 저면에는 접지단자(220)가 면밀착 상태로 중첩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220)의 일 끝단은 외부의 어스(earth)선(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지단자(220)의 하부에는 소정의 지지판(230)이 고정되어 이 지지판(230)이 상기 접지핀(214)과 접지단자(220)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판(230)의 저면에는 복수의 접속단자(240)가 고정되어 이들 접속단자(240)가 케이스(201)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부(202)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201) 표면상으로 돌출된 전원스위치(203)의 온/오프에 의해 각 접속구(2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게 된다.
도 3에서 미설명된 부호 "215"는 중심돌기, 부호 "216"은 주변돌기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종래의 접지식 및 무접지식 콘센트(100)(200)는 전기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스위치(203)를 오프시켜서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 경우에도 메인 접속단자에는 여전히 전기가 흐르고 있으므로 자연방전으로 인한 전력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전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평상시 플러그를 뽑아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원스위치 대신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플러그를 뽑지 않고도 전원의 연결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방전에 의한 전력손실을 최소화한 절전형 콘센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콘센트의 일 례로서, 무접지식 콘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콘센트의 다른 일 례로서, 종래 접지식 콘센트의 외형을 도시한 평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종래 접지식 콘센트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콘센트의 일 실시예인 무접지식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무접지식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다른 일 실시예인 접지식 콘센트의 외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접지식 콘센트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접지식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400 : 콘센트301 : 상부케이스부재
302 : 하부케이스부재303 : 걸림돌기
304,404 : LED310,410 : 접속구
311 : 개폐부재312 ; 회전자
313 : 고정자314 : 걸림공
315 : 벤츄리부320,440 : 접속단자
321 : 곡선부322,441 : 끼움부
323,442 : 오목부313a,402 : 관통공
401 : 케이스403 : 걸림턱
411 : 대경부412 : 소경부
413 : 단턱414 : 삽입공
415 : 접지핀420 : 접지단자
416 : 원호부416a : 가이드홀
417 : 이음부418 : 중심돌기
419 : 주변돌기430 : 지지판
431 : 끼움돌기432 : 가이드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부재와 하부케이스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케이스부재에 구비되어 플러그가 결합되는 복수의 접속구와, 회전자와 고정자가 스프링을 매개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탄지 결합되어서 상기 각 접속구를 통한 플러그단자의 삽입을 제어하게 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인입된 플러그단자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있어서, 각 접속구의 하부에서 상기 접속단자는 플러그단자의 회전을 안내하는 곡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곡선부의 일 끝단에는 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러그단자가 끼워지도록 측면 일측이 개방된 끼움부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부는 플러그단자가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측이 오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각 접속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통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개폐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공을 소정길이 만큼 연장하고, 상기 연장된 걸림공의 일측에는 벤츄리부를 형성하여 플러그에 의한 회전자의 회전시에는 상기 하부케이스부재에서 돌출된 걸림돌기가 상기 벤츄리부에 걸림상태로 유지되고, 회전자의 회전 후 플러그단자가 상기 개폐부재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벤츄리부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곡선부의 일측에는 LED를 설치하고 이 LED의 단부를 상기 상부케이스부재의 표면상으로 인출시켜 상기 플러그단자가 접속단자의 각 끼움부에 끼워져서 접속될 때 점등됨으로써 통전 및 비통전 상태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상면에 플러그가 결합되는 복수의 접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의 상면에는 플러그단자가 끼워지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이 삽입공이 상기 접속구의 저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구의 저면에는 접지핀이 고정되어 이 접지핀의 양단부가 상기 접속구의 상부로 인출되고, 상기 접지핀의 하부에는 외부의 어스선과 연결된 접지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접지단자의 하부에는 지지판이 고정되어 이 지지판이 상기 접지핀과 접지단자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이들 끼움돌기를 따라 상기 플러그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단자가 끼워져서 고정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들 각 관통공에 상기 접속구가 삽착되되, 상기 접속구는 상하방향으로 대경부와 소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이 단턱이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턱에 회전가능하게 걸쳐지며, 상기 접속단자는 각 접속구의 하부에서 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플러그단자가 끼워지도록 측면 일측이 개방된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플러그단자가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측이 오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상기 접지단자는 접지핀의 저면에 면밀착되는 부채꼴 형상의 원호부와, 각각의 원호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호부의 일단은 접속구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접지핀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중심돌기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원호부의 타단에는 플러그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상기 접속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심돌기의 둘레에 형성된 주변돌기가 끼워져서 안내되는 소정길이의 가이드홀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플러그에 의한 접속구 회전시 상기 접속구를 통과한 플러그단자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기 끼움돌기의 외측에 소정길이의 가이드공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의 일측에는 LED를 설치하고 이 LED의 단부를 상기 케이스의 표면상으로 인출시켜 상기 플러그단자가 접속단자의 각 끼움부에 끼워져서 접속될 때 점등됨으로써 통전 및 비통전 상태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콘센트는 전기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시 플러그를 뽑지 않고 회전시켜 전기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메인 접속단자에 흐를 수도 있는 전기를 완전히 차단하여 자연방전으로 인한 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콘센트의 일 실시예로서, 무접지식 절전형 콘센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무접지식 절전형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서 종래 콘센트(100)의 접속단자(120)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져서 각 접속구(110)에 형성된 삽입공(112a)의 하부에서 상부의 삽입공(112a)을 통해 인입된 플러그단자가 끼워지도록 상하 끼움형태의 접속공(121)이 구비된 구조인데 반해,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무접지식 절전형 콘센트(300)는 플러그(미도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각 접속구(310)의 하부에서 라운딩 형태로 굴곡진 곡선부(321)를 갖는 접속단자(320)를 제공한다. 상기 각 곡선부(321)의 일 끝단에는 플러그(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러그단자(1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측면 일측이 개방된 끼움부(322)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부(322)는 플러그단자(11)가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측이 오목부(32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무접지식 절전형 콘센트(300)에서 상부케이스부재(301)에 위치된 접속구(310)에는 도 1과 동일한 형태의 개폐부재(311)가 구비되되, 상기 개폐부재(311)는 각 접속구(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 개폐부재(311)는 플러그단자(11)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미도시)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자(313)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공(314)을 소정길이만큼 연장시킨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걸림공(314)은 일측에 좁아졌다 다시 넓어지는 형태의 벤츄리(venturi)부(315)가 형성되어 이 벤츄리부(315)에 하부케이스부재(30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303)가 일차 걸림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상기 걸림돌기가 벤츄리부(315)를 통과하는 것이 상기 개폐부재(311)의 회전자(312)를 회전시키는 것보다 더 큰 힘이 소요되도록 함으로써 최초 플러그 삽입 단계에서 회전자(312)의 회전시에는 개폐부재(311) 자체가 회전하지 않고 플러그단자(11)가 개폐부재(311)에 완전히 삽입되어 고정자(313)의 관통공(313a)을 통과한 상태에서만 상기 걸림돌기(303)가 벤츄리부(315)를 통과하면서 플러그의 회전에 의한 상기 개폐부재(311)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무접지식 절전형 콘센트(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320)의 각 곡선부(321)의 일측에 LED(304)를 설치하여 이 LED(304)가 플러그단자(11)의 접속 또는 차단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LED(304)는 상기 각 곡선부(321)의 끼움부(322)에 연결되어 그 단부가 상부케이스부재(301)의 표면상으로 인출되는데, 플러그단자(11)가 접속단자(320)의 각 끼움부(322)에 끼워져서 접속될 때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통전상태임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무접지식 절전형 콘센트는 전기기구를 가동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재(311)를 통해 각 접속구(310)에 플러그를 접속하게 되는데, 이 경우 회전자(312)의 삽입공(미도시)에 플러그단자를 꽂은 상태에서 플러그를 일정각도 회전시켜서 상기 회전자(312)의 삽입공과 고정자(313)의 관통공(313a)을 상호 연통하도록 상하 일치시킨 다음, 플러그를 밀어넣으면 상기 플러그단자(11)는 고정자(313)의 관통공(313a)을 통과하게 된다. 이후, 플러그를 일정방향, 바람직하게는 접속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플러그단자(11)를 각 접속단자(320)의 끼움부(322)에 끼워넣으면 전원이 자동으로 스위치 온(switch on) 되면서 LED(304)가 점등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전원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러그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끼움부(322)에 끼워진 상태로부터 플러그단자(11)를 이탈시키게 되는데, 이때 각 접속구(310)는 스위치 오프(switch off) 상태로 되고, 아울러 LED(11)가 점멸되면서 육안으로 비통전 상태임을 식별할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콘센트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접지식 절전형 콘센트의 외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본 발명 접지식 절전형 콘센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접지식 절전형 콘센트(400)는 케이스(401)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402)에 착탈가능하게 분리되는 접속구(410)가 삽입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접속구(410)는 상하방향으로 대경부(411)와 소경부(4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경부(411)는 요홈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대경부(411)와 소경부(412) 사이에는 단턱(41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02)의 내주연에는 상기 단턱(413)이 걸쳐지는 걸림턱(403)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410)의 상면에는 플러그단자(11)가 끼워지는 삽입공(414)이 형성되어 이 삽입공(414)이 접속구(410)의 저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구(410)의 저면에는 접지핀이 고정되어 이 접지핀의 양단부가 접속구(410)의 대경부(411)를 따라 상방으로 인출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각 접지핀(415)의 하부에는 외부의 어스선(미도시)과 연결된 접지단자(420)가 구비되되, 이 접지단자(420)는 도 3의 종래 구조와는 달리 상기 접지핀(415)의 저면에 면밀착되는 부채꼴 형상의 원호부(416)와, 각각의 원호부(416)를 연결하는 이음부(417)로 구성된다. 상기 원호부(416)의 일 끝단은 접속구(41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접지핀(415)을 관통하여 돌출된 중심돌기(418)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원호부(416)의 타단에는 플러그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상기 접속구(4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심돌기(418)의 둘레에 형성된 주변돌기(419)에 끼워져서 안내되는 소정길이의 곡선구조로 된 가이드홀(416a)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홀(416a)은 플러그단자(11)가 접속구(4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미도시)의 회전과 연동하여 접속구(4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곡선형태로 소정길이 만큼 연장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접지단자(420)의 하부에는 지지판(430)이 결합되어 이 지지판(430)의 일면에 형성된 끼움돌기(431) 사이에 각각의 접속단자(440)가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끼움돌기(431)의 외측에는 접속구(410) 회전시 상기 접속구(410)를 통과한 플러그단자(11)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소정길이의 곡선구조로 된 가이드공(4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440)는 각 접속구(410)의 하부에서 상기 플러그단자(11)가 회전하여 끼워지는 끼움부(44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441)는 끼움상태에 있는 플러그단자(11)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측에 오목부(442)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접지식 절전형 콘센트는 접속구(410)의 삽입공에 플러그를 꽂은 다음 플러그를 회전시켜서 스위치 온(switch on)시키게 되는데, 이때 플러그의 회전과 동시에 접속구(41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플러그단자가 접속단자의 끼움부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플러그를 접속의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켜 최초 삽입시의 위치로 되돌리면 상기 플러그단자가 접속단자의 끼움부로부터 이탈하면서 전원은 스위치 오프(switch off) 상태로 되고, 전기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접지식 절전형 콘센트(400)는 접속단자(440)의 각 끼움부(441) 일측에 LED(404)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LED(404)의 단부를 케이스(410) 표면상으로 인출시켜 플러그단자(11)가 상기 끼움부(441)에 끼워져서 접속될 때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통전 및 비통전 상태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접지식 절전형 콘센트는 접속구(410)의 대경부에 도 4의 개폐부재(311)를 내장시킨 구조로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도 4와 같이 개폐부재(311)의 회전자(312)에 형성된 삽입공(미도시)에 플러그를 꽂고 회전시키면서 상기 삽입공과 고정자(313)의 관통공(313a)이 일치된 상태에서 플러그를 밀어넣어 플러그단자(11)가 소경부(412)를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외장형 콘센트인 '멀티탭'을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벽체형 콘센트'에 적용이 가능하며, 아울러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센트는 전기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시 플러그를 뽑지 않고 회전시켜 전기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메인 접속단자에 흐를 수도 있는 전기를 완전히 차단하여 자연방전으로 인한 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상부케이스부재와 하부케이스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케이스부재에 구비되어 플러그가 결합되는 복수의 접속구와, 회전자와 고정자가 스프링을 매개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탄지 결합되어서 상기 각 접속구를 통한 플러그단자의 삽입을 제어하게 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인입된 플러그단자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있어서,
    각 접속구의 하부에서 상기 접속단자는 플러그단자의 회전을 안내하는 곡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곡선부의 일 끝단에는 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러그단자가 끼워지도록 측면 일측이 개방된 끼움부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부는 플러그단자가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측이 오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각 접속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통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콘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공을 소정길이 만큼 연장하고, 상기 연장된 걸림공의 일측에는 벤츄리부를 형성하여 플러그에 의한 회전자의 회전시에는 상기 하부케이스부재에서 돌출된 걸림돌기가 상기 벤츄리부에 걸림상태로 유지되고, 회전자의 회전 후 플러그단자가 상기 개폐부재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벤츄리부를 통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콘센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의 일측에는 LED를 설치하고 이 LED의 단부를 상기 상부케이스부재의 표면상으로 인출시켜 상기 플러그단자가 접속단자의 각 끼움부에 끼워져서 접속될 때 점등됨으로써 통전 및 비통전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콘센트.
  5. 케이스 상면에 플러그가 결합되는 복수의 접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의 상면에는 플러그단자가 끼워지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이 삽입공이 상기 접속구의 저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구의 저면에는 접지핀이 고정되어 이 접지핀의 양단부가 상기 접속구의 상부로 인출되고, 상기 접지핀의 하부에는 외부의 어스선과 연결된 접지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접지단자의 하부에는 지지판이 고정되어 이 지지판이 상기 접지핀과 접지단자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이들 끼움돌기를 따라 상기 플러그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단자가 끼워져서 고정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들 각 관통공에 상기 접속구가 삽착되되, 상기 접속구는 상하방향으로 대경부와 소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이 단턱이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턱에 회전가능하게 걸쳐지며, 상기 접속단자는 각 접속구의 하부에서 플러그의 회전에 의해 플러그단자가 끼워지도록 측면 일측이 개방된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플러그단자가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측이 오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콘센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는 접지핀의 저면에 면밀착되는 부채꼴 형상의 원호부와, 각각의 원호부를 연결하는 이음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호부의 일단은 접속구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접지핀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중심돌기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원호부의 타단에는 플러그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상기 접속구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심돌기의 둘레에 형성된 주변돌기가 끼워져서 안내되는 소정길이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콘센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플러그에 의한 접속구 회전시 상기 접속구를 통과한 플러그단자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기 끼움돌기의 외측에 소정길이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콘센트.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일측에는 LED를 설치하고 이 LED의 단부를 상기 케이스의 표면상으로 인출시켜 상기 플러그단자가 접속단자의 각 끼움부에 끼워져서 접속될 때 점등됨으로써 통전 및 비통전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콘센트.
KR1020020035597A 2002-06-25 2002-06-25 절전형 콘센트 KR20020062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597A KR20020062879A (ko) 2002-06-25 2002-06-25 절전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597A KR20020062879A (ko) 2002-06-25 2002-06-25 절전형 콘센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162U Division KR200288418Y1 (ko) 2002-06-25 2002-06-25 절전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879A true KR20020062879A (ko) 2002-07-31

Family

ID=2772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597A KR20020062879A (ko) 2002-06-25 2002-06-25 절전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2879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05B1 (ko) * 2005-10-06 2007-04-20 이광선 회전 스위치형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원 차단시스템
KR100754250B1 (ko) * 2007-01-22 2007-09-05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754251B1 (ko) * 2005-11-09 2007-09-05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857569B1 (ko) * 2008-03-05 2008-09-09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의 전기구 전원공급라인 수용대
KR100858974B1 (ko) * 2008-03-05 2008-09-17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전기구의 플러그접속을 위한 실내 콘센트박스
KR100859166B1 (ko) * 2008-03-05 2008-09-1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플러그단자 보호용 콘센트박스
KR100859168B1 (ko) * 2008-03-05 2008-09-1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실내전기공급용 소켓
KR100859859B1 (ko) * 2008-03-05 2008-09-24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설치용 멀티타입 콘센트
KR100860074B1 (ko) * 2008-03-05 2008-09-24 (주)우인기술단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KR100860873B1 (ko) * 2008-03-05 2008-09-29 (주)주원이엔지 안전사고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매설콘센트
KR100860855B1 (ko) * 2008-03-05 2008-09-29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플러그 접속위치 확인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콘센트
KR100927329B1 (ko) * 2009-06-08 2009-11-18 (주)참소리전자통신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KR101230252B1 (ko) * 2011-08-25 2013-02-06 정기호 전원 콘센트와 플러그의 체결구조
KR101238832B1 (ko) * 2011-06-07 2013-03-04 이명우 집게형 전원접속부 셋트가 내장된 전기 콘센트
KR101952781B1 (ko) * 2017-12-22 2019-02-28 곽창용 자성체가 구비된 멀티탭 접지단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588A (ko) * 1997-05-29 1997-08-12 김종희 전원코드 접속장치
KR19980065331U (ko) * 1998-08-19 1998-11-25 서통범 멀티 콘센트
KR19990039614U (ko) * 1998-04-15 1999-11-15 시태영 온·오프 기능을 보유한 콘센트
KR20000030800A (ko) * 2000-03-17 2000-06-05 이석현 전기 안전 콘센트
KR200197417Y1 (ko) * 1999-11-16 2000-09-15 천호정 회전식 콘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588A (ko) * 1997-05-29 1997-08-12 김종희 전원코드 접속장치
KR19990039614U (ko) * 1998-04-15 1999-11-15 시태영 온·오프 기능을 보유한 콘센트
KR19980065331U (ko) * 1998-08-19 1998-11-25 서통범 멀티 콘센트
KR200197417Y1 (ko) * 1999-11-16 2000-09-15 천호정 회전식 콘센트
KR20000030800A (ko) * 2000-03-17 2000-06-05 이석현 전기 안전 콘센트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05B1 (ko) * 2005-10-06 2007-04-20 이광선 회전 스위치형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원 차단시스템
KR100754251B1 (ko) * 2005-11-09 2007-09-05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754250B1 (ko) * 2007-01-22 2007-09-05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859168B1 (ko) * 2008-03-05 2008-09-1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실내전기공급용 소켓
KR100858974B1 (ko) * 2008-03-05 2008-09-17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전기구의 플러그접속을 위한 실내 콘센트박스
KR100859166B1 (ko) * 2008-03-05 2008-09-1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플러그단자 보호용 콘센트박스
KR100857569B1 (ko) * 2008-03-05 2008-09-09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의 전기구 전원공급라인 수용대
KR100859859B1 (ko) * 2008-03-05 2008-09-24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설치용 멀티타입 콘센트
KR100860074B1 (ko) * 2008-03-05 2008-09-24 (주)우인기술단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KR100860873B1 (ko) * 2008-03-05 2008-09-29 (주)주원이엔지 안전사고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매설콘센트
KR100860855B1 (ko) * 2008-03-05 2008-09-29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플러그 접속위치 확인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콘센트
KR100927329B1 (ko) * 2009-06-08 2009-11-18 (주)참소리전자통신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KR101238832B1 (ko) * 2011-06-07 2013-03-04 이명우 집게형 전원접속부 셋트가 내장된 전기 콘센트
KR101230252B1 (ko) * 2011-08-25 2013-02-06 정기호 전원 콘센트와 플러그의 체결구조
KR101952781B1 (ko) * 2017-12-22 2019-02-28 곽창용 자성체가 구비된 멀티탭 접지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2879A (ko) 절전형 콘센트
US6685491B2 (en) Combined connector for fluid and electrical connection
KR20020065232A (ko) 회전식 플러그를 갖는 어댑터
KR200198508Y1 (ko) 절전용 콘센트장치
KR200288418Y1 (ko) 절전형 콘센트
KR101217322B1 (ko) 전원 접속기구
KR200302411Y1 (ko) 절전형 콘센트
KR20090054238A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전원어댑터
FR2664102A1 (fr) Connecteur electrique amovible destine a etre installe entre un appareil de consommation electrique et une prise de courant murale.
KR20040050395A (ko) 전원코드 내장형 콘센트 유닛
KR102075242B1 (ko) 돌려서 켜는 전기 콘센트
KR19980065331U (ko) 멀티 콘센트
KR200238816Y1 (ko) 회전형 스위치 플러그
KR200169322Y1 (ko) 회전 기능을 갖는 플러그
KR100608145B1 (ko) 절전형 콘센트와 절전형 멀티 콘센트
KR100669914B1 (ko) 건축물용 안전콘센트
KR200209894Y1 (ko) 멀티탭
KR100375272B1 (ko) 안전콘센트 및 플러그장치
KR100477530B1 (ko) 면광원이 구비된 안전형 전원 콘센트 장치
KR19990039614U (ko) 온·오프 기능을 보유한 콘센트
KR200197417Y1 (ko) 회전식 콘센트
KR200351397Y1 (ko) 절전형 콘센트와 절전형 멀티 콘센트
CN219801312U (zh) 一种10a与16a共用的插座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101210584B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