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837A - 회전접속콘센트 - Google Patents

회전접속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837A
KR20010000837A KR1020000062223A KR20000062223A KR20010000837A KR 20010000837 A KR20010000837 A KR 20010000837A KR 1020000062223 A KR1020000062223 A KR 1020000062223A KR 20000062223 A KR20000062223 A KR 20000062223A KR 20010000837 A KR20010000837 A KR 2001000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guide member
guide
terminal rod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희
Original Assignee
박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희 filed Critical 박장희
Priority to KR1020000062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837A/ko
Publication of KR2001000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8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접속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를 회전시킴으로서 플러그 단자봉이 콘센트에 설치된 전원접속부재와 결합되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플러그 단자봉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회전접속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플러그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에 결합되어 플러그 접속부재(40)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재(30)와, 상기 안내부재(30)에 의해 구속되고, 플러그 단자봉(2)이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1)와 연동하여 소정의 범위까지 회전되는 플러그 접속부재(4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봉(2)이 삽입된 플러그 접속부재(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단자봉(2)과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 단자봉(2)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전원접속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회전접속콘센트이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기존의 일반적인 콘센트를 쉽게 개조해서 사용가능하며, 상기 안내부재, 플러그 접속부재가 상부 케이스에 체결 고정됨으로서 하부 케이스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고, 선택적으로 전기를 통전시킴으로서 감전사고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된다.

Description

회전접속콘센트{Rotating contact plug socket}
본 발명은 회전접속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가 회전됨으로써, 플러그 단자봉이 전원접속부재와 결합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회전접속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콘센트는, 고정된 삽입구에 플러그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단자봉이 전원 입력 단자에 결합되는 방식과,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접속 콘센트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번호 185381호가 있었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상기의 종래 기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전원 입력단자의 범위가 넓어 회전가능 구간을 넓게하여 여러 방향에서 자유롭게 플러그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많은 전기제품을 사용시 손쉽게 플러그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회전접속 콘센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접속 콘센트는, 콘센트 본체(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11)에 플러그(30)의 접속 단자봉(31)을 접속시켜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전원 입력단자(50,51)가 삽입된다.
콘센트 커버(20)에는 저면이 개구된 복수개의 원통형 삽입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각 원통형 삽입부(21)의 저부에는 상기 플러그(30)의 접속 단자봉(31)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진 회전원판 (40)이 회전 지지요소에 의해 상기 콘센트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원판(40)에는 상기 플러그(30)의 접지부(32)에 접촉되는 접지간 (61)을 갖는 가동 접지구(60)가 고정되고, 상기 콘센트 커버(20)에는 상기 접지간 (61)이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접촉되는 원호형 접속편(71)을 갖는 고정 접지구(70)가 고정되어 , 상기 플러그(30)가 상기 콘센트 본체(10)에 접속을 유지하면서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이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해 실용성에 문제가 많으며, 특히 상기의 고안에 있어 플러그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원판이 콘센트 커버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손상의 가능성 높을뿐아니라, 회전의 중심부인 축지부재는 볼트에 의해 콘센트 본체와 체결되어 있어 충격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기존의 플러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콘센트만의 교체로 실용화할 수 있는 회전접속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는 회전접속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 기술의 종단면도.
도2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3 -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전후의 가상 평면도.
도4 - 도 3의 B-B선 단면도.
도5 -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분 조립도.
도6 -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전후의 가상 평면도.
도7 - 도 6의 C-C선 단면도.
도8 -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접속전 플러그접속부재의 형상도.
도9 - 도 8의 플러그 접속시 플러그 접속부재의 변화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플러그 2 : 플러그 단자봉
10 : 상부 케이스 20 : 하부 케이스
21 : 멈치멈춤부 22 : 타원형 가이드
30 : 안내부재 31 : 제 1안내부재
32 : 안내홈 33 : 제 2안내부재
34 : 수용홈부 34' : 원형수용홈부
40 : 플러그 접속부재 41 : 회전판
42 : 삽입공 43 : 반원형 테두리
43' : 원형 돌출부 44 : 회전축
46 : 개폐형 보호막 47 : 회전판 덮개
48 : 멈치돌기 49 : 스프링
50 : 가이드 핀 51 : 스토퍼
60 : 전원접속부재 61 : U 자형 전원입력단자
62 : 일자형 전원입력단자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플러그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어 플러그 접속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구속되고,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와 연동하여 소정의 범위까지 회전되는 플러그 접속부재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된 플러그 접속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단자봉과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 단자봉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전원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기술적 요지로 하는 회전접속콘센트이다.
상기 회전접속콘센트는, 회전접속부재의 원활한 회전을 안내하는 상기 안내부재의 견고한 결합이 요구되며, 동시에 상기 회전접속부재와 직접적인 면접촉이 생기는 상기 안내부재의 조도가 정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플러그 단자봉의 단면모양이 원형이거나 사각형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전후의 가상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분 조립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전후의 가상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접속전 플러그접속부재의 형상도이며, 도 9는 도 8의 플러그 접속시 플러그 접속부재의 변화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상부 케이스(10), 하부 케이스(20), 안내부재(30), 플러그 접속부재(40), 전원접속부재(60)로 구성되는 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기술의 상부 케이스와 달리,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10)는, 플러그 결합공이 완전 개구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3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안내부재(30)는,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개구부 저면에 결합되는 제 1안내부재(31)와 상기 제 1안내부재(31)와 소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되는 제 2안내부재(33)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안내부재(31)는, 얇은 판상으로서 플러그 단자봉(2)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토록 소정의 구간에 좌우대칭의 안내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10)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안내부재(31)의 하면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시키며 결합되는 제 2안내부재(33)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2안내부재(33)는, 상기 제 1안내부재(31)와 같은 외곽사이즈를 가지는 판상으로, 플러그접속부재(40)에 형성된 반원형 테두리(4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안내부재(33)의 상면 외곽에는 상기 플러그접속부재(40)의 상판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연속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부(34)는 상기 플러그접속부재(4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수용홈부(34)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상이며 양 절곡부는 각각 최대 회전가능부와 최소 회전가능부로서, 상기 플러그접속부재의 회전구간이 결정된다.
상기 제 1안내부재(31)와 제 2안내부재(33)는 플러그(1)가 삽입된 상기 플러그접속부재(40)가 회전 시, 회전 가이드역할을 하며 또한 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접속부재(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플러그접속부재(40)는, 플러그 단자봉(2)이 삽입되는 삽입공(42)이 형성된 원형인 회전판(41)과 그 하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진 반원형 테두리(43)가 형성되고 스프링에 의해 동작되는 개폐형 보호막(46)과 상기 개폐형 보호막(46)을 보호하는 회전판 덮개(4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41)의 중앙부에는 상기 개폐형 보호막(46)의 회전을 위한 돌출된 회전축(44)과, 상기 스프링(49)의 지지를 위한 격막(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41)은, 상기 안내부재(30)의 사이에 설치되며 플러그 단자봉(2)이 삽입되어 회전될 경우 상기 플러그(1)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상기의 회전판 덮개(47)에 있어서, 그 하면에 형성된 멈치돌기(48)는 후술하는 하부케이스(20)에 설치되는 멈치멈춤부(21)와 상기 회전판(41)의 회전에 따라 결합되어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며, 플러그 단자봉(2)이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판(41)의 삽입공(42)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안내부재도 제 1안내부재(31')와 제 2안내부재(33')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안내부재(31')에는 플러그 단자봉(2')의 회전을 위한 안내홈(32')이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0')에 결합된다.
상기 제 2안내부재(33')는 상기 제 1안내부재(31')와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2안내부재(33')의 상면 외곽에 연속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안내부재(33')는 후술하는 플러그접속부재(40')의 하면에 돌출성형되는 원형돌출부(43')를 수용하도록 원형수용홈부(34')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안내부재(33')의 하면에는 상기 플러그접속부재(4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51)가 설치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접속부재(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플러그접속부재(40')는, 플러그 삽입공(42')이 형성된 원형의 판으로서, 그 하면에 소정높이의 원형 돌출부(43')가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원형 돌출부(43')로부터 연장된 가이드핀(5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핀(50)은 플러그(1')가 결합된 상기 플러그접속부재(40')가 회전 시, 상기 제 2안내부재(33')에 설치된 스토퍼(51)에 의해 과도한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0,10')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20,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20,20')에는 전원접속부재(60)가 설치되며 다양한 형상의 전원입력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부 케이스(20)는 플러그 단자봉(2)이 삽입될 수 있는 U 자형 전원입력단자(61)가 설치되고 플러그(1)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플러그 단자봉(2)이 상기 U 자형 전원입력단자(61)와 결합 혹은 분리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과도한 회전력에 의한 상기의 회전접속콘센트의 파손을 방지시키는 안전수단으로서 멈치멈춤부(21)가 상기 하부 케이스(20)에 설치된다.
상기 멈치멈춤부(21)가 상기 회전판 덮개(47)의 하면에 형성된 멈치돌기(48)와 결합될 경우는, 상기 플러그 단자봉(2)이 U 자형 전원입력단자(61)와 결합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더 이상의 회전으로 인한 전기적 단락을 방지시키며, 또한 상기 플러그 단자봉(2)의 이탈을 방지시킨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20')는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0')에 플러그 단자봉(2')을 안내하는 타원형 가이드(22)가 형성되고, 상기 타원형 가이드(22)의 양측면에 일자형 전원입력단자(62)가 설치된다.
플러그(1')의 회전으로 플러그 단자봉(2')의 일측면이 각각 상기 일자형 전원입력단자(62)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20,20')에 설치되는 전원접속부재(60)는 견고한 고정이 요구되는 바, 고정부재나 접착제로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접속콘센트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플러그 단자봉(2,2')의 결합공(42,42')이 형성된 회전판(41,41')에 상기 플러그(1,1')를 삽입시키게 되며, 상기의 상태에서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고 상기 플러그(1,1')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플러그 단자봉(2,2')이 전원접속부재(60)에 결합되어 전기가 통전된다.
상기의 플러그 단자봉(2,2')이 상기 전원접속부재(6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부주의로 인한 상기 플러그 단자봉(2,2')의 무단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플러그(1,1')를 상기 회전접속콘센트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때에는, 상기 플러그(1,1')를 회전시켜 플러그 단자봉(2,2')이 상기 전원접속부재(60)와 접촉이 없도록 한 상태에서 손쉽게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부주의로 인한 상기 회전접속콘센트의 파손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멈치돌기(48), 멈치멈춤부(21), 가이드핀(50)과 스토퍼(51)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접속콘센트는, 종래와 달리 회전판의 회전을 위한 별도의 중심축이 필요 없게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며, 부품수를 줄여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요 구성품인 회전판, 제 1안내부재, 제 2안내부재, 개폐형 보호막, 회전판 덮개등이 모두 상부 케이스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하부케이스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이들 부품의 손상이 예방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그 단자봉의 단면형상이 원형이거나 일자형이더라도 사용이 가능하여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으며, 안전사고 예방의 측면에서도 큰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플러그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어 플러그 접속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구속되고,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와 연동하여 소정의 범위까지 회전되는 플러그 접속부재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된 플러그 접속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단자봉과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 단자봉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전원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속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플러그 접속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플러그 단자봉을 안내시키는 안내홈이 형성된 제1안내부재와;
    상기 제1안내부재의 하측에 소정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접속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반원형 테두리를 수용 안내시키는 수용홈부가 형성된 제2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속콘센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접속부재는,
    플러그 단자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를 받아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상기 플러그 단자봉의 삽입과 분리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삽입공을 개폐시키는 개폐형 보호막과;
    상기 회전판의 삽입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형 보호막을 외부로부터 보호시키는 회전판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속콘센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플러그 접속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플러그 단자봉을 안내시키는 안내홈이 형성된 제1안내부재와;
    상기 제1안내부재와 소정 이격되어 형성된 제2안내부재와;
    상기 제2안내부재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 접속부재의 회전 시, 상기 플러그 접속부재에 고정되며 연동하여 회전되는 가이드핀과 대응되어 상기 플러그접속부재의 회전을 소정의 범위로 제한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속콘센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덮개는 하면에 돌출된 멈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멈치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멈치멈춤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접속부재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멈치돌기와 멈치멈춤부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접속부재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속콘센트.
KR1020000062223A 2000-10-23 2000-10-23 회전접속콘센트 KR20010000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223A KR20010000837A (ko) 2000-10-23 2000-10-23 회전접속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223A KR20010000837A (ko) 2000-10-23 2000-10-23 회전접속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837A true KR20010000837A (ko) 2001-01-05

Family

ID=1969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223A KR20010000837A (ko) 2000-10-23 2000-10-23 회전접속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837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971A (ko) * 2001-06-01 2002-12-11 봉오전자공업 주식회사 콘센트
KR100747659B1 (ko) * 2005-02-18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정류장치 및 이를 적용한 무선인증용 태그
KR100754251B1 (ko) * 2005-11-09 2007-09-05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754250B1 (ko) * 2007-01-22 2007-09-05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927329B1 (ko) * 2009-06-08 2009-11-18 (주)참소리전자통신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KR100977670B1 (ko) * 2008-09-23 2010-08-24 심병섭 원터치형 콘센트
KR100989404B1 (ko) * 2010-03-26 2010-10-25 문영기 회전형 안전 콘센트
KR101123986B1 (ko) * 2010-07-20 2012-03-23 정성인 회전식 멀티탭
KR101233437B1 (ko) * 2011-05-23 2013-02-14 강흥묵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20230012759A (ko) * 2021-07-16 2023-01-26 남범규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603A (ja) * 1989-08-23 1991-04-04 Zeria Pharmaceut Co Ltd パロチンコンドロイチン硫酸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魚介類の成長促進剤
KR960035664U (ko) * 1995-04-12 1996-11-21 이영기 콘센트
KR970011298U (ko) * 1995-08-02 1997-03-29 문희찬 220v용 전기 콘센트의 이중 안전장치
KR20000006335U (ko) * 1998-09-14 2000-04-15 손상철 이중 안전구조를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603A (ja) * 1989-08-23 1991-04-04 Zeria Pharmaceut Co Ltd パロチンコンドロイチン硫酸及び該化合物を含有する魚介類の成長促進剤
KR960035664U (ko) * 1995-04-12 1996-11-21 이영기 콘센트
KR970011298U (ko) * 1995-08-02 1997-03-29 문희찬 220v용 전기 콘센트의 이중 안전장치
KR20000006335U (ko) * 1998-09-14 2000-04-15 손상철 이중 안전구조를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971A (ko) * 2001-06-01 2002-12-11 봉오전자공업 주식회사 콘센트
KR100747659B1 (ko) * 2005-02-18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정류장치 및 이를 적용한 무선인증용 태그
KR100754251B1 (ko) * 2005-11-09 2007-09-05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754250B1 (ko) * 2007-01-22 2007-09-05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977670B1 (ko) * 2008-09-23 2010-08-24 심병섭 원터치형 콘센트
KR100927329B1 (ko) * 2009-06-08 2009-11-18 (주)참소리전자통신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전형 절전 콘센트
KR100989404B1 (ko) * 2010-03-26 2010-10-25 문영기 회전형 안전 콘센트
KR101123986B1 (ko) * 2010-07-20 2012-03-23 정성인 회전식 멀티탭
KR101233437B1 (ko) * 2011-05-23 2013-02-14 강흥묵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20230012759A (ko) * 2021-07-16 2023-01-26 남범규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673B1 (en) Electrical outlet cover
US6932629B2 (en) Device with USB terminal
KR20010000837A (ko) 회전접속콘센트
US4499523A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unit and cover
US5763970A (en) Encoder system with cover mounted encoder
KR200185381Y1 (ko)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0398891Y1 (ko) 회동식 접속부를 갖는 안전 콘센트
RU2296401C2 (ru) Штепсель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розетка с заслонкой для контактных гнезд и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основе указанной розетки
EP2403071A1 (en) An actuator, an electrical plug and socket assembly
KR20090129918A (ko) 회전접속콘센트
JPH0524143Y2 (ko)
JPH01311582A (ja) 蛍光灯ランプソケット
CN215379476U (zh) 输入面板组件及充电面板组件
GB2082851A (en) Electric plugs
KR100420487B1 (ko) 커버를 갖는 콘센트
KR101992691B1 (ko) 콘센트용 안전커버
KR19980066934U (ko) 콘센트
ES351443A1 (es) Perfeccionamientos en la construccion de dispositivos de enchufe de collarin.
KR100389806B1 (ko) 콘센트 안전장치
JP2007171750A (ja) テストターミナルカバー
CN215869929U (zh) 一种插座保护盖
KR0136803Y1 (ko) 안전용 콘센트
CN219893590U (zh) 翻盖装置及储能设备
JP3571541B2 (ja) コネクタ装置
JP4488587B2 (ja) ランプソケット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