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759A -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 Google Patents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759A
KR20230012759A KR1020210093419A KR20210093419A KR20230012759A KR 20230012759 A KR20230012759 A KR 20230012759A KR 1020210093419 A KR1020210093419 A KR 1020210093419A KR 20210093419 A KR20210093419 A KR 20210093419A KR 20230012759 A KR20230012759 A KR 20230012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slot
grounding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666B1 (ko
Inventor
남범규
남권우
Original Assignee
남범규
남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범규, 남권우 filed Critical 남범규
Priority to KR102021009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66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전기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을 삽입하는 슬롯(21)과 보호캡(25)을 구비하는 콘센트(20); 상기 콘센트(20)의 슬롯(21) 상에 플러그핀(11)을 손쉽게 체결 및 통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수단(30); 및 상기 플러그(10)와 콘센트(20) 상에 각각 형성되도록 개재하고, 누전 및 낙뢰, 감전으로 인한 전자기기를 보호하면서 플러그(1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1,2접지단(41)(45)을 구비하는 접지수단(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회전시켜 유도수단을 통하여 측방접속단자에 접속/차단이 가능하여 단자와의 연결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콘센트 단자와의 밀착력 저하를 감소시켜 제품의 수명을 늘리면서도 전기 저항을 줄여 안전성이 뛰어나며, 전류의 통전 및 차단이 용이함은 물론 제1,2접지단이 구성되어 상용되고 있는 플러그와의 호환이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Receptacles and plugs for easy mating and dismounting}
본 발명은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회전시켜 유도수단을 통하여 측방접속단자에 접속/차단이 가능하여 단자와의 연결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콘센트 단자와의 밀착력 저하를 감소시켜 제품의 수명을 늘리면서도 전기 저항을 줄여 안전성이 뛰어나며, 전류의 통전 및 차단이 용이함은 물론 제1,2접지단이 구성되어 상용되고 있는 플러그와의 호환이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외부의 전기가 실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벽면 콘센트와 이 벽면 콘센트에 연결되어 각종 전기적인 장치들에 전기를 공급하여 주는 멀티 콘센트로 구분되며, 이러한 콘센트의 내부에는 플러그 단자가 접지되는 접지편이 형성된 콘센트 단자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각종 전기적인 장치 또는 멀티 콘센트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으면, 이 플러그가 콘센트 몸체 내부에 구성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 단자의 접지편에 꽂아짐으로써 필요한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350호는 콘센트 몸체(11)와, 이 몸체(11)의 내부에 인입구성되고 접지편(12)이 구성되는 콘센트 단자(10)와, 상기 콘센트 단자(10)의 접지편(12) 둘레면에 상기 접지편(12)을 접지편(12)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구(2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구(20)는, 상기 접지편(12)의 내측방향으로 자체 탄성에 의해 밀어주어 콘센트 단자(10)의 접지편(12)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접지편(12)의 둘레면이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접지편(12)의 둘레면 양측에 수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지편(12)의 양측면이 각각 접지되어 접지편(12)의 양측면을 내측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절곡편(22)이 상부에 형성된 제2가압구(20b)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탄성을 갖는 가압구를 더 구비함에 따라 콘센트 단자의 접지편과 플러그 단자와의 꽂음과 빼는데 뻑뻑하여 오히려 탈부착이 더 어려워져 사용에서 불편성이 더 나올 수 있고, 설령 가압구를 더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접지편의 노화로 인한 접촉 불량이나 전기 과열과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 할 것이다.
다른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2649호는 전기 콘센트의 스프링 체결구조에 있어서, 콘센트 내벽에 설치되어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콘센트 홀(hall)(h1,h2)에 겹쳐 고정설치되는 일자형 회전부재(20)와; 상기 콘센트 홀(hall)(h1,h2)에 플러그가 삽입 및 인출될 때 일자형 회전부재(20)가 회전이동하는 상기 일자형 회전부재(20)에 연동하여 밀리거나 복귀하는 판 스프링 부재(plate spring)(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센트의 판스프링 체결구조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반복적인 플러그의 인입 또는 입출작업을 수행하거나 콘센트 홀이나 내부에 부유물이 끼이는 여러 가지 변수들을 종합한 결과 판스프링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콘센트 홀에 플러그가 인입, 인출이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을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찾아 볼 수 있어 인입, 인출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350호"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2012.05.08.)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2649호"전기 콘센트의 판스프링 체결구조"(2018.09.0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회전시켜 유도수단을 통하여 측방접속단자에 접속/차단이 가능하여 단자와의 연결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콘센트 단자와의 밀착력 저하를 감소시켜 제품의 수명을 늘리면서도 전기 저항을 줄여 안전성이 뛰어나며, 전류의 통전 및 차단이 용이함은 물론 제1,2접지단이 구성되어 상용되고 있는 플러그와의 호환이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에 있어서: 전기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의 플러그핀을 삽입하는 슬롯과 보호캡을 구비하는 콘센트; 상기 콘센트의 슬롯 상에 플러그핀을 손쉽게 체결 및 통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수단; 및 상기 플러그와 콘센트 상에 각각 형성되도록 개재하고, 누전 및 낙뢰, 감전으로 인한 전자기기를 보호하면서 플러그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1,2접지단을 구비하는 접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도수단은 슬롯의 일측에 연장형성하고, 플러그의 플러그핀이 유도되어 슬롯에 용이하게 통전 또는 차단하도록 유도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도홈은 플러그의 플러그핀의 회전시 콘센트의 슬롯에 손쉽게 체결 및 통전할 수 있도록 관통형, 경사형, 나선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도수단은 슬롯으로 회전 삽입하는 플러그핀과 탈부착하면서 통전하기 용이하게 판스프링이 포함된 측방접속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지수단은 플러그와 콘센트 상의 중앙에 각각 요철방식의 접지단자를 개재하는 제1접지단; 및 중앙에 콘센트 상의 접지단자가 설치되면서 텐션력을 지닌 연결대와, 연결대 상에서 플러그를 가이드하도록 경사각을 지닌 가이드부와, 연결대 상에서 플러그의 외접지면에 접지하는 접지부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는 제2접지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는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회전시켜 유도수단을 통하여 측방접속단자에 접속/차단이 가능하여 단자와의 연결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콘센트 단자와의 밀착력 저하를 감소시켜 제품의 수명을 늘리면서도 전기 저항을 줄여 안전성이 뛰어나며, 전류의 통전 및 차단이 용이함은 물론 제1,2접지단이 구성되어 상용되고 있는 플러그와의 호환이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와 플러그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와 플러그의 전체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 플러그를 결합과정 중 전원을 차단한 상태를 평면 및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 플러그를 결합과정 중 전원을 접속한 상태를 평면 및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와 플러그의 전체구성 중 접지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와 플러그의 전체구성 중 유도수단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하여 제안한다. 특히, 콘센트에 플러그를 결합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단자와의 연결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함께 콘센트 단자와의 밀착력 저하를 감소시켜 제품의 수명을 늘려 제품의 품질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콘센트(20)와 콘센트(20)상의 유도수단(30), 접지부(40)를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20)는 전기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을 삽입하는 슬롯(21)과 보호캡(25)을 구비한다. 콘센트(20)는 개별로 나누어진 전기배선을 상호 연결하여 전기의 흐름을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플러그(10)와 하나의 세트로 사용한다. 콘센트(20)는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이 직접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대향하는 슬롯(21)을 구비한다. 전기의 연결이 +극과 -극으로 사용하기에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도 2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러그핀(11)을 삽입하는 슬롯(21) 또한 2개로 구성하는 것이 기본이다. 단, 2핀방식의 플러그핀(11)은 한국의 전기제품에 사용하는 규격을 기준으로 하고 있음을 알리는 바이다.
그리고 보호캡(25)은 콘센트(2)의 슬롯(21)으로부터 감전 또는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캡(25)은 일측에 스프링에 설치되어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에 의해 회전하여 슬롯(21)을 개방 또는 차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수단(30)은 상기 콘센트(20)의 슬롯(21) 상에 플러그핀(11)을 손쉽게 체결 및 통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유도수단(30)은 상기 콘센트(20)의 슬롯(21) 상에 플러그핀(11)을 손쉽게 삽입하면서 통전하기 용이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도수단(30)은 용어 그대로 유도를 위한 구성으로 사용하는데, 콘센트(20)의 슬롯(21) 상에 플러그핀(11)을 꼽는 과정에서 손쉽게 삽입하여 체결하고 전기를 연결하여 통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종래의 콘센트(20)에 플러그(10)를 삽입하여 전기를 통전하는 경우에는 플러그핀(11)을 콘센트(20)의 슬롯(21)에 상부인 수직방향에서 상하로 체결 및 분리작업을 수행하는데, 수직으로의 체결과정에서 슬롯(21)에 플러그핀(11)을 삽입시 보조구성이나 통전하는 접속단자와의 체결력에 따라 억지끼움하는 불편성이 나타난다. 상하 수직으로의 체결방식은 플러그핀(11)이 슬롯(21)에 일방향으로 삽입하기에 슬롯(21) 내부에 구비하는 보조구성이나 접속단자와의 상호 연계로 인한 체결, 분리작업에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슬롯(21)에 플러그핀(11)을 체결시 기존의 수직체결방식에 탈피하여 회전을 통한 새로운 방식의 체결방식으로 용이한 삽입으로 통전하는 유도수단(30)을 사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유도수단(30)은 콘센트(20)의 슬롯(21) 일측에 연장 형성되면서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이 유도되어 슬롯(21)에 용이하게 통전 또는 차단되도록 유도홈(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수단(30)의 구성으로 유도홈(31)을 구비하는데, 슬롯(21)의 일측에 연장 형성하여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이 유도홈(31)을 따라 유도되면서 전기의 통전과 차단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하는데 효과적이다. 플러그핀(11)을 슬롯(21)에 직접적으로 삽입하는 체결방식이 아닌 슬롯(21)의 일측으로 유도홈(31)을 연장 형성하여 플러그핀(11)이 유도홈(31)에 먼저 삽입한 상태에서 슬롯(21)으로 회전 이동하는 유도역할을 수행한다. 즉, 유도홈(31)은 슬롯(21)의 일측으로 일정한 크기 및 길이로 연장하여 형성하는 바, 먼저 유도홈(31)으로 플러그핀(11)을 먼저 삽입한 다음 플러그(10)를 유도홈(31)을 따라 회전시키면 슬롯(21)으로 플러그핀(11)이 유도되어 전기를 연결하는 통전작업을 수행된다. 이에 따라 유도홈(31)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하의 수직체결이 아닌 유도홈(31)을 통한 회전이동에 따른 체결방식을 적용하여 유도홈(31)에서 슬롯(21)으로의 연계된 유도로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유도홈(31)은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의 회전시 콘센트(20)의 슬롯(21)에 손쉽게 체결 및 통전할 수 있도록 관통형, 경사형, 나선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홈(31)은 상기한 설명처럼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이 유도되어 슬롯(21)에 용이하게 통전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이를 보다 손쉽게 체결 및 통전하기 위해 유도홈(31)은 관통형, 경사형, 나선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즉 도 1 내지 도 7처럼 유도홈(31)은 관통형으로 도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유도홈(31)은 경사형으로 도시한 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7처럼 유도홈(31)이 관통형인 경우에는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을 슬롯(21)에 직접적으로 삽입하는 체결방식이 아닌 플러그핀(11)이 유도홈(31)에 먼저 삽입한 상태에서 유도홈(31)을 따라 회전시키면 슬롯(21)으로 플러그핀(11)이 유도되어 전기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처럼 유도홈(31)이 경사형 또는 나선형인 경우에는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을 유도홈(31)에 먼저 삽입한 상태에서 유도홈(31)의 경사형 또는 나선형을 따라 회전시키면 슬롯(21)으로 플러그핀(11)이 유도되어 전기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유도수단(30)은 콘센트(20)의 슬롯(21)으로 회전 삽입하는 플러그핀(11)과 탈부착하면서도 전기배선에 연결되어 통전이 용이하도록 판스프링(33)이 개재된 측방접속단자(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수단(30)의 구성으로 유도홈(31)을 연장 형성하여 구비하는 거 이외에 측방접속단자(35)를 구비하는데, 유도홈(31)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핀(11)이 일체로 형성된 슬롯(21)으로 회전 이동하여 콘센트(20)에 연결된 배선으로 전기를 연결하여 통전하는데 사용한다. 슬롯(21)의 직하방에는 측방접속단자(35)를 구비하는데, 유도홈(31)에서 삽입된 플러그핀(11)을 유도홈(31)과 일체로 형성된 슬롯(21)으로 회전 이동하여 콘센트(20)로 전기를 연결하게 플러그핀(11)의 외면과 측면에서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게 콘센트(20)의 내부에 측방접속단자(35)에 고정 설치한다. 측방접속단자(35)는 플러그핀(11)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접하면서 전기를 통전할 수 있게 일측이 개방되면서 플러그핀(11)에 탈부착할 수 있게 타측으로는 판스프링(33)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측방접속단자(35)는 외부에 판스프링(33)이 개재되고, 일측만 개방하게 구성하여 측방향에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집게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콘센트(20)상에서 측방접속단자(35)의 판스프링(33)에 의해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과의 밀착력 저하를 감소시켜 제품의 수명을 늘리면서도 전기 저항을 줄여 안전성이 뛰어난 효과를 지닌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수단(40)은 상기 플러그(10)와 콘센트(20) 상에 각각 형성되도록 개재하고, 누전 및 낙뢰, 감전으로 인한 전자기기를 보호하면서 플러그(1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1,2접지단(41)(45)을 구비한다. 접지수단(40)은 플러그(10)와 콘센트(20) 상에 각각 형성되어 누전 및 낙뢰, 감전으로 인한 전자기기를 보호하면서 플러그(1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접지수단(40)은 제1,2접지단(41)(45)으로 구성되는데, 플러그(10)와 콘센트(20) 상에 각각 설치되는 제1접지단(41)과, 콘센트(20) 상에 설치되는 제2접지단(45)으로 구분되게 설치되어 전 및 낙뢰, 감전으로 인한 전자기기를 보호하면서 플러그(1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접지수단(40)은 플러그(10)와 콘센트(20)상의 중앙에 각각 요철방식의 접지단자(42)(43)를 개재하는 제1접지단(41); 및 중앙에 콘센트(20) 상의 접지단자(43)가 설치되면서 텐션력을 지닌 연결대(46)와, 연결대(46) 상에서 플러그(10)를 가이드하도록 경사각을 지닌 가이드부(47)와, 연결대(46) 상에서 플러그(10)의 외접지면(13)에 접지하는 접지부(48)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는 제2접지단(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지수단(40)은 제1접지단(41)과 제2접지단(45)으로 구분된다. 제1접지단(41)은 플러그(10)와 콘센트(20)의 대향하는 중앙부에 각각 구비하는데, 플러그(10)의 중앙부에 접지단자(41), 이와 대향하게 콘센트(20)의 중앙부에 접지단자(43)가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10)와 콘센트(20) 상의 제1접지단(41)이 상기한 유도수단(30)과 상호 연계하여 플러그(10)가 콘센트(20) 상에 삽설하여 통전하는 과정에서 누전, 감전과 같은 전기 사용시에 과전류나 과전압에 의한 전자기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는 접지역할과 함께 플러그(10)와 콘센트(20)가 상호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콘센트(20)로부터 플러그(1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제2접지단(45)은 콘센트(20) 상에 설치되는데, 연결대(46)와 가이드부(47) 및 접지부(48)를 일체로 구성된다. 연결대(46)는 중앙에 콘센트(20) 상의 접지단자(43)가 설치되면서 텐션력을 지니고, 가이드부(47)는 연결대(46) 상에서 플러그(10)를 가이드하도록 경사각을 지니며, 접지부(48)는 가이드부(47)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연결대(46) 상에서 플러그(10)의 외접지면(13)에 접지한다.
이러한 제1접지단(41)과 제2접지단(45)은 플러그(10)와 콘센트(20)가 결합시 상호 접하면서 연계하도록 구비하여 콘센트(20)의 슬롯(21)에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이 회전 이동하여 슬롯(21) 상에 구비하는 측방접속단자(35)와의 체결됨에 따라 통전되게 연결한 상태에서 전기의 누전, 낙뢰, 감전과 같은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상호 연계하여 유도홈(31)에서 슬롯(21)으로의 회전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구비한다. 슬롯(21)의 일측을 유도홈(31)으로 연장 형성하여 플러그핀(11)이 유도홈(31)에서 슬롯(21)으로 회전하는 유도작업을 제1접지단(41)과 제2접지단(45)을 통하여 회전력을 높이면서 접지력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제1접지단(41)과 제2접지단(45)은 콘센트(20) 상에서 플러그(10)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바, 이는 플러그(10)가 콘센트(20)의 유도수단(30)을 통해 슬롯(21)의 측방접속단자(35)에 손쉽게 결합하기 위해 플러그(10)와 콘센트(20) 상의 제1접지단(41)과 함께 플러그(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외접지면(13) 또한 회전하면서 제2접지단(45)의 일정한 경사각을 지닌 가이드부(47)를 따라 회전하여 접지부(48)에 접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회전시켜 유도수단을 통하여 측방접속단자에 접속/차단이 가능하여 단자와의 연결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콘센트 단자와의 밀착력 저하를 감소시켜 제품의 수명을 늘리면서도 전기 저항을 줄여 안전성이 뛰어나며, 전류의 통전 및 차단이 용이함은 물론 제1,2접지단이 구성되어 상용되고 있는 플러그와의 호환이 가능하여 제품의 품질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플러그 11 : 플러그핀
13 : 외접지면 20 : 콘센트
21 : 슬롯 30 : 유도수단
31 : 유도홈 33 : 판스프링
35 : 측방접속단자 40 : 접지부
41 : 제1접지단자 43 : 제2접지단자
45 : 가이드면 47 : 접촉면
49 : 텐션면

Claims (5)

  1.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에 있어서:
    전기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을 삽입하는 슬롯(21)과 보호캡(25)을 구비하는 콘센트(20);
    상기 콘센트(20)의 슬롯(21) 상에 플러그핀(11)을 손쉽게 체결 및 통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수단(30); 및
    상기 플러그(10)와 콘센트(20) 상에 각각 형성되도록 개재하고, 누전 및 낙뢰, 감전으로 인한 전자기기를 보호하면서 플러그(1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1,2접지단(41)(45)을 구비하는 접지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수단(30)은 콘센트(20)의 슬롯(21) 일측에 연장 형성되면서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이 유도되어 슬롯(21)에 용이하게 통전 또는 차단되도록 유도홈(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홈(31)은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의 회전시 콘센트(20)의 슬롯(21)에 손쉽게 체결 및 통전할 수 있도록 관통형, 경사형, 나선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수단(30)은 콘센트(20)의 슬롯(21)으로 회전 삽입하는 플러그핀(11)과 탈부착하면서도 전기배선에 연결되어 통전이 용이하도록 판스프링(33)이 개재된 측방접속단자(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수단(40)은 플러그(10)와 콘센트(20)상의 중앙에 각각 요철방식의 접지단자(42)(43)를 개재하는 제1접지단(41); 및 중앙에 콘센트(20) 상의 접지단자(43)가 설치되면서 텐션력을 지닌 연결대(46)와, 연결대(46) 상에서 플러그(10)를 가이드하도록 경사각을 지닌 가이드부(47)와, 연결대(46) 상에서 플러그(10)의 외접지면(13)에 접지하는 접지부(48)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는 제2접지단(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KR1020210093419A 2021-07-16 2021-07-16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전원 접속기구 KR102604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419A KR102604666B1 (ko) 2021-07-16 2021-07-16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전원 접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419A KR102604666B1 (ko) 2021-07-16 2021-07-16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전원 접속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759A true KR20230012759A (ko) 2023-01-26
KR102604666B1 KR102604666B1 (ko) 2023-11-23

Family

ID=8511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419A KR102604666B1 (ko) 2021-07-16 2021-07-16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전원 접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66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37A (ko) * 2000-10-23 2001-01-05 박장희 회전접속콘센트
KR20020091971A (ko) * 2001-06-01 2002-12-11 봉오전자공업 주식회사 콘센트
KR200409566Y1 (ko) * 2005-12-09 2006-02-22 (주)아이씨엑스 스위치가 없는 절전형 전기 기구용 콘센트
KR20110011332U (ko) * 2010-06-01 2011-12-07 해경 기 콘센트
KR20120002276U (ko) * 2010-09-20 2012-03-28 이규순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101217322B1 (ko) * 2011-07-26 2012-12-31 김영현 전원 접속기구
KR20130001081A (ko) * 2011-06-24 2013-01-03 김영현 전원 접속기구
KR20180002649U (ko) 2018-05-23 2018-09-05 안기상 전기 콘센트의 판스프링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37A (ko) * 2000-10-23 2001-01-05 박장희 회전접속콘센트
KR20020091971A (ko) * 2001-06-01 2002-12-11 봉오전자공업 주식회사 콘센트
KR200409566Y1 (ko) * 2005-12-09 2006-02-22 (주)아이씨엑스 스위치가 없는 절전형 전기 기구용 콘센트
KR20110011332U (ko) * 2010-06-01 2011-12-07 해경 기 콘센트
KR20120002276U (ko) * 2010-09-20 2012-03-28 이규순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200460350Y1 (ko) 2010-09-20 2012-05-21 이규순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20130001081A (ko) * 2011-06-24 2013-01-03 김영현 전원 접속기구
KR101217322B1 (ko) * 2011-07-26 2012-12-31 김영현 전원 접속기구
KR20180002649U (ko) 2018-05-23 2018-09-05 안기상 전기 콘센트의 판스프링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666B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838B1 (en) Universal-conversion power cable
US20160233621A1 (en) Usb socket
US6884125B2 (en) Secured connector and using process thereof
CA2828327A1 (en) Hot-plugging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 energy meter
KR101123986B1 (ko) 회전식 멀티탭
CN101644422A (zh) 照明母线槽用插头插口组合装置
CN102222849B (zh) 防爆电连接装置及其插头、插座
KR20230012759A (ko)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CN106207675B (zh) 电缆公头、电缆母头及盾构机用电缆连接器
KR200459130Y1 (ko) 콘센트 구멍 개폐 안전장치
CN202384529U (zh) 便携式插销插座
CN217362045U (zh) 一种防脱落电源装置及净水机
CN216161976U (zh) 一种带防触电保护机构的电源插头
CN205609900U (zh) 一种电源线
CN109273894A (zh) 一种高压连接器
KR200483856Y1 (ko) 콘센트장치
CN209298419U (zh) 一种电源接头
CN113675801B (zh) 一种母线分配装置
KR200488749Y1 (ko) 접지극 접속강화 및 손상방지용 전기플러그
CN211480356U (zh) 一种改进型防触电插座面板
CN218182654U (zh) 一种带开关的电源线
CN219046283U (zh) 一种开关盒
KR101485148B1 (ko) 특고압 변전설비의 인입선 커넥터
CN212725739U (zh) 一种办公室用防尘接线柜
CN220086515U (zh) 一种高低压分离出线结构直流充电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