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971A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971A
KR20020091971A KR1020010030802A KR20010030802A KR20020091971A KR 20020091971 A KR20020091971 A KR 20020091971A KR 1020010030802 A KR1020010030802 A KR 1020010030802A KR 20010030802 A KR20010030802 A KR 20010030802A KR 20020091971 A KR20020091971 A KR 20020091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electrode rod
plug
insertion hol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석
Original Assignee
봉오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봉오전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봉오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1971A/ko
Publication of KR2002009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97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공을 주위에 경사면이 형성된 반원형으로 형성함으로서, 어두운 곳에서도 플러그전극봉을 전극봉삽입공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음에 따라 플러그를 콘센트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센트는 콘센트몸체의 일면에 플러그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몸체의 내부에는 플러그전극봉과 접촉되어 통전되는 접촉단자가 형성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공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반원형이 끝나는 부분에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몸체 내에 마련된 접속단자는 상기 반원형의 전극봉삽입공을 따라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Wall outlet}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의 전극봉이 삽입되는 각각의 (+).(-)극 삽입공을 상기 전극봉이 삽입되는 위치에 반원형으로 형성시켜 어두운 곳에서도 플러그의 전극봉을 콘센트의 전극봉삽입공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각종 전기용품의 전원 플러그를 결합하여 전기용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또 상기 콘센트의 설치 개소는 주로 실내의 벽 등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내의 벽 등에 고정되고 각종 전기용품의 플러그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콘센트(10)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센트몸체(11)의 일면에 플러그안착홀(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홀에 플러그전극봉(21)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센트몸체(11)의 내부에는 전극봉삽입공(13)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전극봉(21)과 접촉되어 통전되고 그 플러그전극봉(21)을 잡아주는 탄성력을 갖는 접촉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종래의 콘센트는 플러그전극봉(21)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공(13)이 상기 플러그전극봉(21)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두운 곳 특히 밤에 플러그(20)를 콘센트(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전극봉(21)과 전극봉삽입공(13)이 정확히 일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콘센트(30)가 제공되어 있고 그 구성은 콘센트몸체(31)의 일면에 플러그안착홀(3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홀에 플러그전극봉(21)이 삽입되는 장공(33)을 형성하고 그 장공(33)의 일측 단부 즉 콘센트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장공(33)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전극봉(21)과 접촉되어 통전되고 그 플러그전극봉(21)을 잡아주는 탄성력을 갖는 접촉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콘센트는 플러그전극봉(21)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을장공(33)으로 형성시켰기 때문에 상기 도 1의 플러그전극봉(21)을 삽입하는 것보다는 한결 수월할 수 있으나 플러그전극봉(21)과 장공(33)을 정확히 일치시켜야 하는 어려움은 마찬가지였다.
또 상기 플러그전극봉(21)을 장공(33)에 정확히 일치시켜 삽입한 후에는 상기 플러그(20)를 회전시켜 플러그전극봉(21)이 접속단자에 결합되게 해야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플러그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공을 주위에 경사면이 형성된 반원형으로 형성함으로서, 어두운 곳에서도 플러그전극봉을 전극봉삽입공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음에 따라 플러그를 콘센트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콘센트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원 콘센트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콘센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콘센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 콘센트 31 : 콘센트몸체
32 : 전극봉삽입공 33 : 경사면
34 : 격벽 35 : 접속단자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센트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콘센트는 콘센트몸체의 일면에 플러그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몸체의 내부에는 플러그전극봉과 접촉되어 통전되는 접촉단자가 형성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공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반원형이 끝나는 부분에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몸체 내에 마련된 접속단자는상기 반원형의 전극봉삽입공을 따라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봉삽입공의 주위에는 플러그전극봉을 전극봉삽입공으로 가이드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플러그전극봉을 안전하게 잡아주도록 탄성편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콘센트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콘센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콘센트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센트몸체(41) 일면에 양측으로 (+)극의 플러그적극봉(21)을 삽입할 수 있는 전극봉삽입공(42)과 (-)극의 플러그적극봉(21)을 삽입할 수 있는 전극봉삽입공(42)을 반원형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플러그전극봉(21)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져 어두운 곳에서도 플러그(20)를 콘센트(4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상기 반원형의 형태로 된 전극봉삽입공(42) 주위에 경사면(43)을 형성시킴으로서 플러그(20)를 콘센트(40)에 결합하고자 플러그전극봉(21)의 선단이 상기 경사면(43)에 접촉되면 그 경사면(43)을 따라 상기 플러그전극봉(21)이 전극봉삽입공(42)으로 미끄러져 내려가 전극봉삽입공(42)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의 플러그전극봉(21)과 전극봉삽입공(42)간의 일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극봉삽입공(42)이 끝나는 부분에는 격벽(44)을 형성시켰는데,그 이유는 (+)극과 (-)극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접촉단자(45)를 탄성편으로 한 이유는 플러그전극봉(21)이 삽입된 후 그 삽입된 플러그전극봉(21)을 견고하게 잡아줌은 물론, 상기 플러그전극봉(21)과 접촉단자(45)간에 긴밀한 접촉성을 갖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콘센트는 플러그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공을 반원형으로 형성하고 그 형상을 따라 접속단자를 콘센트몸체 내에 설치함으로서 상기 플러그전극봉의 삽입 공간이 넓어져 어두운 곳에서도 플러그를 콘센트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전극봉삽입공 주위에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서 플러그전극봉의 선단이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면 플러그전극봉이 경사면을 따라 전극봉삽입공으로 미끄러져 내려감으로 플러그전극봉과 전극봉삽입공간에 일치가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전극봉을 전극봉삽입공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콘센트몸체의 일면에 플러그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몸체의 내부에는 플러그전극봉과 접촉되어 통전되는 접촉단자가 형성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전극봉(21)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공(42)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반원형이 끝나는 부분에는 격벽(44)이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몸체(41)내에 마련된 접속단자(45)는 상기 반원형의 전극봉삽입공을 따라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삽입공의 주위에는 플러그전극봉을 전극봉삽입공으로 가이드 하는 경사면(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플러그전극봉을 안전하게 잡아주도록 탄성편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1020010030802A 2001-06-01 2001-06-01 콘센트 KR20020091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802A KR20020091971A (ko) 2001-06-01 2001-06-01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802A KR20020091971A (ko) 2001-06-01 2001-06-01 콘센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811U Division KR200255359Y1 (ko) 2001-06-22 2001-06-22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971A true KR20020091971A (ko) 2002-12-11

Family

ID=2770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802A KR20020091971A (ko) 2001-06-01 2001-06-01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19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16B1 (ko) * 2012-10-16 2014-01-03 이재천 플러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콘센트
KR20160003452U (ko) * 2016-09-23 2016-10-07 이현민 콘센트장치
KR20230012759A (ko) * 2021-07-16 2023-01-26 남범규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3584U (ko) * 1985-09-24 1987-04-02
KR960009339U (ko) * 1994-08-12 1996-03-16 신문식 콘센트
KR19990004848U (ko) * 1997-07-09 1999-02-05 한영희 콘센트
KR200185381Y1 (ko) * 1999-12-30 2000-06-15 이성두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0189082Y1 (ko) * 2000-02-02 2000-07-15 방한국 콘센트
KR20010000837A (ko) * 2000-10-23 2001-01-05 박장희 회전접속콘센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3584U (ko) * 1985-09-24 1987-04-02
KR960009339U (ko) * 1994-08-12 1996-03-16 신문식 콘센트
KR19990004848U (ko) * 1997-07-09 1999-02-05 한영희 콘센트
KR200185381Y1 (ko) * 1999-12-30 2000-06-15 이성두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0189082Y1 (ko) * 2000-02-02 2000-07-15 방한국 콘센트
KR20010000837A (ko) * 2000-10-23 2001-01-05 박장희 회전접속콘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16B1 (ko) * 2012-10-16 2014-01-03 이재천 플러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콘센트
KR20160003452U (ko) * 2016-09-23 2016-10-07 이현민 콘센트장치
KR20230012759A (ko) * 2021-07-16 2023-01-26 남범규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와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100805D1 (de) Stecker mit einer hülse
NO20080758L (no) Elektrisk hoyspenningskontakt tilpasset fukt
ES2192044T3 (es) Enchufe multiple para diferentes sistemas de union.
ATE272904T1 (de) Koaxialer steckverbinder
EP1139494A3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DE50011195D1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Koaxialkabel
ATE258722T1 (de)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CN114243399A (zh) 一种电源连接器和电源连接组件
DE60010436D1 (de) Elektrischer verbinder mit verformbarem einsatz
DE60023671D1 (de) Elektrischer verbinder
KR20010085637A (en) Plug connector
KR20020091971A (ko) 콘센트
KR200255359Y1 (ko) 콘센트
ATE482499T1 (de) Anschlusseinrichtung
KR200189082Y1 (ko) 콘센트
EP1128495A3 (en) Wedge-base lamp fitting structure
HUP0103791A2 (en) Electric appliance switch comprising a fuse seat
CN214468193U (zh) 一种可直接接线的灯
KR200313692Y1 (ko)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CN215008698U (zh) 一种可拉伸墙壁插座
ATE323334T1 (de) Elektrischer verbinder zwischen zwei endstellen
GB2331636A (en) Electrical plug
KR200258744Y1 (ko) 쉬운 플러그
KR200218818Y1 (ko)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ES2162613A1 (es) Molino de palas deslizantes y desplaz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