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818Y1 -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 Google Patents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818Y1
KR200218818Y1 KR2020000027536U KR20000027536U KR200218818Y1 KR 200218818 Y1 KR200218818 Y1 KR 200218818Y1 KR 2020000027536 U KR2020000027536 U KR 2020000027536U KR 20000027536 U KR20000027536 U KR 20000027536U KR 200218818 Y1 KR200218818 Y1 KR 200218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supply
rod
power
hom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철
Original Assignee
손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철 filed Critical 손기철
Priority to KR2020000027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818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류의 상용전원을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가전기기로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DC 아답터)용 접속잭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전기기의 단자부에 형성된 원통형 전원단자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턱지게 형성된 단자봉(22)과; 상기 단자봉(22)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단자봉(22)의 단턱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 탄성을 갖는 핀단자(23)와; 상기 단자봉(22)의 단부에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의 고정부(24); 및 상기 고정부(24)에 고정되며 판형상의 금속도체를 말아 형성한 원통형의 접지단자(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접속잭을 형성하는 단자봉에 탄성을 갖는 핀단자를 부착하여 상기 접속잭과 가전기기에 형성된 단자부간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가전기기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아울러 판형상의 금속도체를 원형으로 말아 접지단자를 형성함에 따라 제작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A jack of the DC adapter}
본 고안은 교류의 상용전원을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가전기기로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DC 아답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전기기에 형성된 단자부와의 접촉불량을 최소화시켜 가전기기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카세트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소형의 가전기기는 DC 아답터라는 직류전원장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데, 이 직류전원장치는 110∼220V 교류의 상용전원을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해당 가전기기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직류전원장치(100)의 일단에는 110∼220V 교류의 상용전원을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회로가 내장된 회로블럭(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로블럭(110)의 일측에는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대응하는 전원플러그(1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류전원장치(100)의 타단에는 가전기기(200)에 형성된 홈형태의 단자부(210)에 대응하는 접속잭(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잭(120)은 단자부(210)의 내측에 형성된 단자봉(211)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전원단자(121)와, 이 전원단자(121)의 외주연을 감싸고 있는 절연체(122)와, 이 절연체(122)의 외주연을 감싸며 단자부(210)의 측벽에 형성된 미도시된 접지편과 접속되는 접지단자(1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속잭(120)을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가전기기(200)의 단자부(210)에 체결하면 단자부(210)의 단자봉(211)이 원통형 전원단자(12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접지단자(123)는 단자부(210)의 측벽에 형성된 접지편(212)에 접촉된다. 따라서, 접속잭(120)과 가전기기(200)의 단자부(2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직류전원으로 변환된 상용전원이 가전기기(200)로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류전원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면 접속잭(120)과 단자부(210)의 마찰로 인해 양측 모두가 마모되어 헐거워짐에 따라 접속잭(120)이 단자부(210)로 부터 이탈되기 쉽고 아울러 접속잭(120)의 전원단자(121)와 단자부 (210)의 단자봉(211)간에도 마모로 인한 접촉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4와 같은 접속잭을 구비한 직류전원장치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잭(130)을 형성하는 원통형 접지단자(132)의 내측에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을 가전기기(200)로 공급하는 단자봉 (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단자(13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132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가전기기(200)에는 상기된 접속잭(130)이 삽입되는 홈형태의 단자부 (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자부(210)의 내측에는 접속잭(130)의 단자봉(131)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전원단자(213)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부(210)의 측벽에는 접속잭(130)의 접지단자(132)와 접촉되는 미도시된 접지편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잭(130)을 단자부(210)에 삽입하면 절개홈(132a)에 의해 접지단자(132)가 내측으로 오므라지며 단자부(2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접속잭 (130)의 단자봉(131)은 단자부(210)의 원통형 전원단자(213)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접지단자(132)는 단자부(210)의 측벽에 형성된 접지편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접속잭(130)과 가전기기(200)의 단자부(2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직류전원으로 변환된 상용전원이 접속잭(130)을 통해 가전기기(200)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오므라졌던 접지단자(132)가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접속잭(130)과 단자부(210)가 마모되어도 접속잭(130)이 단자부(210)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같은 직류전원장치도 접속잭(130)의 단자봉(131)과 단자부(210)의 원통형 전원단자(213)의 마모로 인한 접촉불량의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함에 따라 가전기기(200)로의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기대하기는 어려우며, 또한 원통형 파이프를 가공하여 접지단자(132)를 형성함에 따라 전체적인 제조공정이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가전기기에 형성된 단자부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며 아울러 상기 단자부와의 접촉불량을 최소화시켜 가전기기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교류의 상용전원을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가전기기로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의 접속잭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단자부에 형성된 원통형 전원단자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전원단자와 결합되는 결합부위가 절개홈에 의해 갈라져 있는 단자봉과; 상기 단자봉의 단부에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며 판형상의 금속도체를 말아 형성한 원통형의 접지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교류의 상용전원을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가전기기로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의 접속잭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단자부에 형성된 원통형 전원단자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턱지게 형성된 단자봉과; 상기 단자봉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단자봉의 단턱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 탄성을 갖는 핀단자와; 상기 단자봉의 단부에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며 판형상의 금속도체를 말아 형성한 원통형의 접지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속잭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속잭을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일반적인 직류전원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직류전원장치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접속잭 11,21 : 접지단자
11a,21a : 고정홀 12,22 : 단자봉
12a : 절개홈 13,24 : 고정부
13a,24a : 고정구 23 : 핀단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을 나타낸 사시도로, 110∼220V 교류의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미도시된 전원회로에 의해 변환된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을 가전기기로 공급하는 단자봉(12)이 접속잭(10)을 형성하는 원통형 접지단자(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접지단자(11)는 판형상의 금속도체를 원형으로 말아서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접지단자(11)의 소정부위에는 접지단자(1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홀(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봉(12)의 중앙에는 절개홈(12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개홈(12a)은 가전기기의 단자부에 형성된 원통형 전원단자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봉(12)의 결합부위를 두개의 부위로 절개시킨다.
즉,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절개홈(12a)이 형성된 단자봉(12)의 단부에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고정부(13)를 형성하되, 상기 접지단자(11)의 고정홀(11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고정구(13a)가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한다. 이와같이 고정부(13)가 성형된 단자봉(12)의 외주연에 판형상의 금속도체를 말아 형성한 원통형의 접지단자(11)를 장착하고 다시 합성수지로 외형을 사출성형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접속잭(10)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접속잭(10)을 가전기기에 형성된 홈형태의 단자부에 삽입하면 접지단자(11)의 양측 모서리가 맞나는 절개부위의 유격에 의해 접지단자 (11)는 내측으로 오므라지며 단자부내로 삽입된다. 이때, 접속잭(10)의 단자봉(12)도 절개홈(12a)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지며 상기 단자부에 형성된 원통형 전원단자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접지단자(11)는 단자부의 측벽에 형성된 미도시된 접지편에 접촉된다.
이와같이 접속잭(10)이 가전기기의 단자부에 결합되면 접속잭과 가전기기의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전원회로에 의해 변환된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이 가전기기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오므라졌던 접지단자(11)와 단자봉(12)이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접속잭(10)과 단자부 및 단자봉(12)과 전원단자가 마모되더라도 접속잭이 단자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봉(12)과 전원단자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을 나타낸 사시도로, 110∼220V 교류의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미도시된 전원회로에 의해 변환된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을 가전기기로 공급하는 단자봉(22)이 접속잭(20)을 형성하는 원통형 접지단자(2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접지단자 (21)는 판형상의 금속도체를 원형으로 말아서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접지단자(21)의 소정부위에는 접지단자(2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홀(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턱지게 형성된 단자봉(22)의 외주연에는 탄성을 갖는 원통형의 핀단자(23)가 고정되어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을 갖는 핀단자(23)를 단턱지게 형성된 단자봉(22)에 결합하고 상기 단자봉(22)의 단부에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고정부(24)를 형성하되, 상기 접지단자(21)의 고정홀(21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고정구(24a)가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한다. 이와같이 고정부(24)가 성형된 단자봉(22)의 외주연에 판형상의 금속도체를 말아 형성한 원통형의 접지단자(21)를 장착하고 다시 합성수지로 외형을 사출성형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접속잭(20)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접속잭(20)을 가전기기에 형성된 홈형태의 단자부에 삽입하면 접지단자(21)의 양측 모서리가 맞나는 절개부위의 유격에 의해 접지단자 (21)는 내측으로 오므라지며 단자부내로 삽입된다. 이때, 접속잭(20)의 단자봉(22)에 장착된 핀단자(23)도 내측으로 오므라지며 상기 단자부에 형성된 원통형 전원단자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접지단자(21)는 단자부의 측벽에 형성된 미도시된 접지편에 접촉된다.
이와같이 접속잭(20)이 가전기기의 단자부에 결합되면 접속잭과 가전기기의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전원회로에 의해 변환된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이 가전기기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오므라졌던 접지단자(21)와 핀단자(23)가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접속잭(20)과 단자부 및 단자봉(22)과 전원단자가 마모되더라도 접속잭이 단자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봉(22)과 전원단자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교류의 상용전원을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가전기기로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의 접속잭을 형성하는 단자봉에 절개홈을 형성하거나 탄성을 갖는 핀단자를 부착하여 상기 접속잭과 가전기기에 형성된 단자부간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판형상의 금속도체를 원형으로 말아 접지단자를 형성함에 따라 제작이 용이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교류의 상용전원을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가전기기로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의 접속잭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단자부에 형성된 원통형 전원단자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전원단자와 결합되는 결합부위가 절개홈(12a)에 의해 갈라져 있는 단자봉(12)과;
    상기 단자봉(12)의 단부에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의 고정부(13); 및
    상기 고정부(13)에 고정되며 판형상의 금속도체를 말아 형성한 원통형의 접지단자(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2. 교류의 상용전원을 소정크기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가전기기로 공급하는 직류전원장치의 접속잭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단자부에 형성된 원통형 전원단자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턱지게 형성된 단자봉(22)과;
    상기 단자봉(22)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단자봉(22)의 단턱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 탄성을 갖는 핀단자(23)와;
    상기 단자봉(22)의 단부에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의 고정부(24); 및
    상기 고정부(24)에 고정되며 판형상의 금속도체를 말아 형성한 원통형의 접지단자(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KR2020000027536U 2000-10-02 2000-10-02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KR200218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36U KR200218818Y1 (ko) 2000-10-02 2000-10-02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36U KR200218818Y1 (ko) 2000-10-02 2000-10-02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818Y1 true KR200218818Y1 (ko) 2001-04-02

Family

ID=7305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536U KR200218818Y1 (ko) 2000-10-02 2000-10-02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8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395A (ko) * 2020-11-17 2022-05-24 한상돌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395A (ko) * 2020-11-17 2022-05-24 한상돌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
KR102521074B1 (ko) * 2020-11-17 2023-04-13 한상돌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10301A (en) Plug-in connector with a bushing
AU3596899A (en) Multiple plug for different connection systems
EP1143572A3 (de) Koxialer Steckverbinder
CN109244748B (zh) 插座和连接器
KR200218818Y1 (ko)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CN110681881A (zh) 超声波主轴及包括其的超声波机床
KR200196977Y1 (ko) 안전 콘센트
US2885650A (en) Lockable electric plug
KR200188329Y1 (ko) 전원 단속형 절전형 플러그
KR200189082Y1 (ko) 콘센트
KR200255359Y1 (ko) 콘센트
KR20020091971A (ko) 콘센트
CN210468328U (zh) 超声波主轴的导电结构
KR950004629B1 (ko) 110/220볼트 겸용 플럭
CN211305519U (zh) 超声波主轴的电连接结构
CN210702601U (zh) 超声波主轴及包括其的超声波机床
KR20100115972A (ko) 전원공급용 접속 잭과 조립방법
KR200403388Y1 (ko) 조명 스탠드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200238816Y1 (ko) 회전형 스위치 플러그
KR200219034Y1 (ko) 전기 접속기구
KR20030019714A (ko) 가전기기용 플러그 어댑터
KR200302275Y1 (ko)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KR200169258Y1 (ko) 철도신호기용 램프홀더
KR200255300Y1 (ko) 전자레인지용 휴즈 및 그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