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034Y1 - 전기 접속기구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034Y1
KR200219034Y1 KR2020000023206U KR20000023206U KR200219034Y1 KR 200219034 Y1 KR200219034 Y1 KR 200219034Y1 KR 2020000023206 U KR2020000023206 U KR 2020000023206U KR 20000023206 U KR20000023206 U KR 20000023206U KR 200219034 Y1 KR200219034 Y1 KR 200219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rocker
fitt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국
Original Assignee
전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국 filed Critical 전종국
Priority to KR2020000023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034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접속기구에 관해 제시한다. 본 고안은 건물의 옥내배선과 연결되며 일측면에 접속구멍이 형성된 플러그 안착홈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의 접속구멍에 끼워지는 두 단자핀을 가지고 제품의 전원코드에 연결되는 플러그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접속시킴으로써 전동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접속기구에 있어서, 콘센트의 플러그 안착홈 내주면에 복수의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플러그의 몸체에 콘센트의 걸림구멍들에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복수의 로커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로커는 플러그의 몸체에 일단이 피봇 지지되어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고, 그 타단부 외측면에 콘센트의 걸림구멍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갖는다. 본 고안은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로커의 구속을 물리적으로 해제해야만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부주의에 의한 접촉으로 플러그가 이탈되는 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기 접속기구{electric contactor}
본 고안은 전기 접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결합되는 플러그(plug)와 콘센트(plug receptacle) 쌍으로 이루어진 전기 접속기구에 있어서 플러그가 외부접촉 등에 의해 콘센트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기 접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전동기구와, TV·냉장고 등의 가전제품 및 각종 전열기구를 비롯한 모든 전기, 전자제품들은 전기에너지를 그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전자제품들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건물내의 옥내배선과 접속해야 하는 바, 이들 제품에는 옥내배선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 접속기구로는 플러그와 콘센트 쌍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플러그는 제품의 전원코드(power cord)에 연결되고, 콘센트는 건물의 벽면에 매립되어 옥내배선에 연결된다.도 1에 이와 같은 전기 접속기구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였다. 플러그(1)는 제품의 전원코드(C)에 연결 고정되는 몸체(2)의 한쪽에 두 단자핀(3)을 나란하게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콘센트(4)는 몸체(5)의 내부에 플러그(1)의 단자핀(3)들을 각각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두 단자슬리브(6)가 지지보스(7)내에 끼워져 있고, 몸체(5)의 전면에는 플러그(1)의 단자핀(3)들이 각각 관통하는 두 접속구멍(9)을 갖는 플러그 안착홈(8)이 적정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1)의 단자핀(3)들을 콘센트(4)의 접속구멍(9)에 끼우면, 단자핀(3)들이 콘센트(4)의 대응하는 단자슬리브(6)내에 탄성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제품에 필요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기 접속기구는 단순히 단자슬리브(6)의 내경을 플러그(1)의 단자핀(3) 외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하여 양자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콘센트(4)에 대한 플러그(1)의 접속상태를 유지시키고 있는 바, 제품의 전원코드(C)가 당겨지거나 플러그(1) 몸체(2)에 접촉이 발생될 경우 플러그(1)가 콘센트(4)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장기간 사용으로 단자슬리브(6)에 변형이 발생된 경우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이로 인해 빈번히 사용되는 가전제품이나 산업용 전동공구의 사용도중 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플러그(1)나 전원코드(C)에 부주의로 인한 약간의 외력만 가해져도 플러그(1)가 쉽게 이탈되어 단전되어 버린다. 특히,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상황의 특성상 제품의 전원코드(C)를 길게 늘어뜨린 상태에서 작업하게 되는 바, 전원코드(C)가 다른 물체와 빈번히 접촉되어 플러그(1)가 쉽게 이탈됨으로써 단전에 의한 작업시간 지연의 문제가 빈발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코드나 플러그에 부주의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접속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접속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센트
12: 단자슬리브 14: 플러그 안착홈
15: 접속구멍 16: 걸림구멍
20: 플러그
21: 몸체 22: 단자핀
23: (몸체의) 수용홈 24: 로커25: (로커의) 걸림돌기 25a: (걸림돌기의) 경사면27: 스프링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구는, 건물의 옥내배선과 연결되며 일측면에 접속구멍이 형성된 플러그 안착홈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의 접속구멍에 끼워지는 두 단자핀을 가지고 제품의 전원코드에 연결되는 플러그 쌍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양자를 접속시킴으로써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접속기구에 있어서, 콘센트의 플러그 안착홈 내주면에 복수의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플러그의 몸체에 콘센트의 걸림구멍들에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복수의 로커(locker)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로커는, 플러그의 몸체에 일단이 피봇(pivot) 지지되어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elastic bias)되고, 그 타단부 외측면에 콘센트의 걸림구멍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로커의 구속을 물리적으로 해제해야만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부주의에 의한 접촉으로 플러그가 이탈되는 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전기 접속기구의 안정성과 사용의 편의성 향상 등에 효과가 있다.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도 2 내지 도 5에서,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구는 건물의 벽체등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콘센트(10)와, 전동제품의 전원코드(C)에 연결되어 콘센트(20)에 접속되는 플러그(20) 쌍으로 구성된다.콘센트(10)는 몸체(11)의 내부에 옥내배선과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슬리브(12)를 구비하는데, 각 단자슬리브(12)들은 몸체(11)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보스(13)내에 끼워진다. 몸체(11)의 전면에는 후술한 플러그(20)의 단자핀(22)들이 관통하도록 접속구멍(15)을 갖는 원형의 플러그 안착홈(14)이 적정깊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플러그 안착홈(14)의 내주면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두 걸림구멍(16)이 마주보도록 배열 형성된다.플러그(20)는 절연체로 구성된 몸체(21)의 일측면에 콘센트(10)의 단자슬리브(12)들에 각각 끼워지는 두 단자핀(22)이 돌출되어 설치된다. 두 단자핀(22)는 전기적으로 격리되도록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몸체(21)의 외주면에는 콘센트(10)의 걸림구멍(16)들에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두 로커(24)가 서로 대응하도록 배열 설치된다. 로커(24)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플러그(20)의 몸체(21)에 고정핀(26)으로 피봇 지지되어 스프링(27)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레버(lever) 형태로 구성되고, 그 타단부 외측면에 콘센트(10)의 걸림구멍(16)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5)를 갖는다. 걸림돌기(25)는 콘센트(10)에 대한 플러그(20)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그 한쪽면에 경사면(25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커(24)는 바람직하기로 플러그 몸체(21)의 외주면에는 두 수용홈(23)을 형성하여, 각 수용홈(23)내에 유동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된다.한편, 로커(24)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2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핀(26)에 결합되는 토션(torsion)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이탈 방지를 위해 플러그 몸체(21)와 로커(24)에 스프링(27)의 양쪽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지지구멍(28)(29)들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구의 동작을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먼저, 플러그(20)를 콘센트(10)에 접속시킬 때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몸체(21)를 잡고 그 단자핀(22)을 콘센트(10)의 접속구멍(15)에 끼운다. 그러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핀(22)들이 콘센트(10)의 접속구멍(15)을 관통하여 그 내부의 대응하는 단자슬리브(12)들에 끼워짐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동시에, 플러그(20)의 두 로커(24)가 콘센트(10)의 플러그 안착홈(14)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구멍(16)에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20)가 콘센트(10)에 접속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게 된다.이 때, 두 로커(24)는 그 걸림돌기(25)의 경사면(25a)이 콘센트(10)의 플러그 안착홈(14) 가장자리와 미끄럼 접촉되는 것에 의해 스프링(17)을 압축하면서 플러그 몸체(21)의 수용홈(23)내로 진입한 뒤, 단자핀(22)이 완전히 삽입되어 그 걸림돌기(25)가 콘센트(10)의 걸림구멍(16)의 위치에 도달하면, 스프링(27)의 복원탄성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함으로써 걸림돌기(25)들이 콘센트(10)의 걸림구멍(16)에 끼워지게 된다.한편, 콘센트(10)로부터 플러그(20)를 분리할 경우에는, 도 3b와 같이 플러그(20)가 콘센트(10)에 접속 고정된 상태에서 두 로커(24)를 안쪽으로 눌러서 각 걸림돌기(25)를 콘센트(10)의 걸림구멍(16)으로부터 이탈시킨 뒤 뽑아줌으로써 분리한다.따라서, 콘센트(10)와 플러그(20)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두 로커(24)의 걸림을 강제로 해제시키지 않는 한 플러그(20)가 콘센트(1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은 전혀 발생되지 않는 바, 종래와 같이 외부 물체와의 접촉으로 플러그(20)가 콘센트(1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플러그의 로커의 구속을 강제로 해제해야만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부주의에 의한 접촉으로 플러그가 이탈되는 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그러므로 본 고안은, 전기 접속기구의 안정성과 사용의 편의성은 물론 전동공구 등을 사용하는 각종 작업의 생산성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건물의 옥내배선과 연결되며 일측면에 접속구멍이 형성된 플러그 안착홈을 갖는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의 접속구멍에 끼워지는 두 단자핀을 가지고 제품의 전원코드에 연결되는 플러그 쌍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양자를 접속시킴으로써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플러그 안착홈 내주면에 복수의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몸체에 상기 콘센트의 걸림구멍들에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복수의 로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플러그의 몸체에 일단이 피봇 지지되어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고, 그 타단부 외측면에 상기 콘센트의 걸림구멍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의 걸림돌기에 상기 콘센트에 대한 플러그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로커들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구.
KR2020000023206U 2000-08-11 2000-08-11 전기 접속기구 KR200219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206U KR200219034Y1 (ko) 2000-08-11 2000-08-11 전기 접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206U KR200219034Y1 (ko) 2000-08-11 2000-08-11 전기 접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034Y1 true KR200219034Y1 (ko) 2001-04-02

Family

ID=7308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206U KR200219034Y1 (ko) 2000-08-11 2000-08-11 전기 접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0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89Y1 (ko) * 2010-11-30 2012-09-07 김기범 콘센트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89Y1 (ko) * 2010-11-30 2012-09-07 김기범 콘센트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510B1 (ko) 분리형 플러그를 가지는 헤어드라이기의 아크방지장치
KR910003023B1 (ko) 접촉자 수용수단을 갖는 커넥터
US4867697A (en) Self-locking, two-part electrical connector employing receptacle with spring-biased wedge for expanding plug's blades
US7077683B1 (en) Ratcheting electrical plug and receptacle
JPH05144516A (ja) 電気コネクタ
GB2414118A (en) Adapter with socket mountable on plug
US6033262A (en) Contact spring
KR200219034Y1 (ko) 전기 접속기구
KR200481574Y1 (ko) 분리 방지용 커넥터
US3054080A (en) Appliance plug and receptacle
KR102077542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KR200183936Y1 (ko) 전기기구용 콘센트
KR0126455Y1 (ko) 전기 접속기구
KR101984876B1 (ko) 자동 인발 기능이 구비된 플러그 구조체
KR200172065Y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200414962Y1 (ko) 플러그 연결구
KR20210077486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방법
KR101786334B1 (ko) 조인트 커넥터
KR20000063111A (ko) 콘센트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KR200326682Y1 (ko) 푸쉬버튼 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KR102080918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891695B1 (ko) 플러그 확장 모듈 구조체
JP2992751B1 (ja) 雌型抜け止め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