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111A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111A
KR20000063111A KR1019990028126A KR19990028126A KR20000063111A KR 20000063111 A KR20000063111 A KR 20000063111A KR 1019990028126 A KR1019990028126 A KR 1019990028126A KR 19990028126 A KR19990028126 A KR 19990028126A KR 20000063111 A KR20000063111 A KR 20000063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ug
terminals
conne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278B1 (ko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영 filed Critical 최진영
Priority to KR101999002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278B1/ko
Priority to PCT/KR2000/000685 priority patent/WO2001004996A1/en
Publication of KR2000006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플러그 단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케이스에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모양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여러개의 삽입홀과 접속단자를 구성해야만 하므로 콘넥터의 크기가 커지게됨은 물론 생산단가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 형태로 형성된 고정대의 하측으로 다수의 단자편이 탄성을 가지면서 비틀어지도록 하여 접속단자를 구성하므로서, 접속단자의 단자편들이 오므라들거나 벌어지면서 플러그 단자를 잡아주도록 하여 하나의 콘넥터에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상의 편리성 증대 및 제품의 크기축소, 그리고 호텔이나 그밖의 숙박업소 및 일반 가정에서 체류하게 되는 외국인이 자신의 국가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별다른 불편함 없이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넥터{Connecter}
본 발명은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콘넥터에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편리성 증대 및 제품의 크기축소, 그리고 호텔이나 그밖의 숙박업소 및 일반 가정에서 체류하게 되는 외국인이 자신의 국가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별다른 불편함 없이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상주하게 되는 건물(일반 가정, 호텔 등)의 실내 벽면에는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넥터가 벽면에 매립되어 있거나 전선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콘넥터가 벽면에 매립된 콘넥터와 연결된 상태로 실내의 일정위치에 존재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콘넥터들은 케이스의 일면으로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이 삽입홀과 대향되는 위치의 케이스 내부에는 플러그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잡아주기 위한 접속단자가 형성된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넥터는 대부분이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와 동일한 모양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나라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국내에서 사용하려고 하면 전자제품에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의 형상과 국내에 설치된 콘넥터의 삽입공의 형상이 서로 맞지않아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즉, 국내 호텔이나 그밖의 숙박업소에는 원형이나 직사각형으로 된 삽입공이 형성된 콘넥터만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플러그가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직경이 작은 원형의 플러그를 사용하는 타국산 전자제품을 국내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 모양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콘넥터를 선출원(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9-1953호)하였다.
상기 선출원된 기술은, 케이스의 전면에 다양한 모양의 삽입공을 형성하여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러가지 모양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삽입공가 대향되는 케이스의 내부에는 각종 삽입공과 형상이 대응되는 접속단자들을 형성시킨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은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플러그를 콘넥터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케이스에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모양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여러개의 삽입홀과 접속단자를 구성해야만 하므로 콘넥터의 크기가 커지게됨은 물론 생산단가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콘넥터에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편리성 증대 및 제품의 크기축소, 그리고 호텔이나 그밖의 숙박업소에서 체류하게 되는 외국인이 자신의 국가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별다른 불편함 없이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넥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케이스의 상면에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2개의 삽입홀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접속단자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접속단자는 링 형상의 고정부 하측으로 다수의 단자편이 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단자편이 탄성을 가지면서 내측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비틀어서 그 중앙부분이 조밀해지도록 하여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와 접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베이스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부의 일측으로 부터 길게 돌출되는 고정지지대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단자편의 하측 끝부분은 지지부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단에 복원스프링이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플러그 단자의 삽입시 단자편들이 고정홈을 따라 약간씩 외측으로 밀리면서 플러그단자를 잡아주도록 하여 플러그 단자의 모양에 관계없이 플러그 단자가 접속단자에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을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하고, 이 삽입홀의 하측으로는 간격이 넓은 플러그 단자의 입력시 케이스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삽입홀을 부분적으로 개폐하고, 플러그 단자의 이탈시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개폐판을 설치하되, 이 개폐판의 상면에 경사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접속단자의 지지부 하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를 형성하되 지지부의 일측으로는 복원스프링이 탄지되도록 하여 플러그 단자간의 간격에 관계없이 삽입홀에 삽입하여 접속단자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의 단자편 중앙 일측으로는 일정각도 휘어지도록 접속부를 돌출시켜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와의 접속율이 향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콘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접속단자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접속단자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접속단자에 '1'자형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된 상태
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접속단자를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접속단자의 접속부를 상세히 보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개폐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러그, 2: 플러그 단자,
3: 케이스, 4,5: 삽입홀,
6: 개폐판, 7,20: 가이드,
8,15,21: 스프링, 9,10: 접속단자,
11: 고정부, 12: 단자편,
13: 회전부, 14: 고정홈,
16: 지지부, 17: 베이스,
18: 고정지지대, 19: 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 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케이스(3)의 상면에 플러그(1)의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되기 위한 2개의 삽입홀(4,5)을 형성하는데, 이때 각각의 삽입홀(5)을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한다.
상기 삽입홀(4,5)과 대향되는 위치의 케이스(3) 내부에는 삽입홀(4,5)을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잡아주기 위한 제 1 및 제 2 접속단자(9,10)를 형성하는데, 이 각각의 접속단자(9,10)는 링 형상의 고정부(11)를 구비하고, 이 고정부(11)의 하측으로 다수의 단자편(12)을 형성하되 각각의 단자편(12)이 탄성을 가지면서 내측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비틀어서 링 형상의 고정부(11)의 중앙으로 단자편(12)들이 조밀하게 밀집되도록 하였다.
상기 단자편(12)은 도 7 과 도 8 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부(11)에 연결되는 상측은 좁고, 중간부분에는 그 일측으로 접속부(12a)가 일정각도 휘어지도록 돌출시켜 이 접속부(12a) 부분이 비틀어지면서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2)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각의 접속부(12a)들이 비틀림 탄성에 의해 플러그 단자(2)를 강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접속단자(9,10)는 베이스(17) 위에 형성되는 지지부(16)상에 형성한다.
즉, 접속단자(9,10)의 고정부(11)를 지지부(16)의 일측으로 부터 길게 돌출되는 고정 지지대(18)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고정부(11)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단자편(12) 들은 지지부(16)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3)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14)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홈(14)은 단자편(12)의 하측 끝부분 보다 크게 형성하여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될 때 플러그 단자(2)에 의해 단자편(12)이 밀리면서 고정홈(14)을 따라 벌어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도록 하고, 회전부(13)의 일단에는 복원스프링(15)을 탄지시켜 단자편(12) 들이 오므라들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전부(13)가 복원력을 갖도록 하였다.
도 4 는 접속단자(9,10)에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모든 단자편(12)의 접속부(12a)들이 고정부(11)의 중앙을 향해 소용돌이 치면서 밀집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도 5 는 접속단자(9,10)에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삽입된 플러그 단자(2)에 의해 단자편(12)들이 고정홈(14)을 따라 외측으로 밀리면서 회전부(13)가 복원스프링(15)의 탄성을 이기고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고, 단자편(12)의 일측에 내향 돌출된 접속부(12a)들이 그 비틀림 탄성에 의해 플러그 단자(2)를 강하게 잡아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 은 접속단자(9,10)에 '1'자 형의 플러그단자(2)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1'자형의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될때 플러그 단자(2)의 양측면이 단자편(12) 사이로 끼워지면서 견고하게 접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되어 회전부(13)가 회전하더라도 복원 스프링(15)이 회전부(13)가 단자편들이 오므라들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게 되므로 단자편(12)들이 삽입된 플러그 단자(2)를 강하게 잡아줄 수 있게되는 것이다.
플러그 단자(2)를 잡아주는 접속단자(9,10)를 상기 설명과 같이 구성하면, 접속단자(9,10)를 구성하는 단자편(12)들이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2)의 모양에 따라 외측으로 밀리면서 접속부(12a)들이 플러그 단자(2)를 잡아주게 되므로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모양의 플러그 단자를 접속단자(9,10)에 접속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원기둥 형상의 플러그 단자(2)가 접속단자(9,10)에 삽입될 경우에는 모든 단자편(12) 들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단자편(12)의 일측에 돌출된 접속부(12a)들이 플러그 단자(2)의 외측을 감싸도록 휘어지면서 플러그 단자(2)를 잡아주게 되지만, 단면이 직사각형 모양의 플러그 단자(2)가 접속단자(9,10)에 삽입될 경우에는 직사각형의 플러그 단자(2)와 접촉되는 단자편(12) 만이 외측으로 밀리고, 플러그 단자(2)가 접속부(12a)들 사이에 끼워지면서 플러그 단자(2)를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콘넥터에는 플러그 단자(2)의 모양 뿐만 아니라 플러그 단자 간의 간격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손쉽게 접속단자(9,10)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성하였다.
즉, 상기 삽입홀(4,5)을 통해 플러그단자(2)가 입력될 때 상기 삽입홀(5)을 개폐하는 개폐판(6)을 삽입홀(4,5)의 하측으로 설치하는데, 이 개폐판(6)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상면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6a)를 형성하고, 케이스(3)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제 1 가이드(7)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며, 개폐판(6)의 일측으로 스프링(8)을 탄지시켜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된 개폐판(6)이 삽입홀(5)로 부터 플러그 단자(2)가 이탈되었을때 스프링(8)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였다.
삽입홀(4,5)을 통해 플러그단자(2)가 삽입되면, 이 플러그단자(2)의 끝부분이 경사부(6a)에 접촉되고, 그 접촉 압력에 의해 개폐판(6)이 스프링(8)의 탄성을 이기고 밀리게되어 삽입홀(4,5)이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부(16b)의 하단에 돌기(19)를 돌출시키고, 베이스(17)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19)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가이드(20)를 형성하여 단자간의 간격이 넓은 플러그단자(2)가 삽입될때 지지부(16)가 제 2 가이드(20)를 따라 도면상의 양측으로 이동하여 플러그단자(2)가 접속단자(9)(10)의 단자편(12) 중심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지부(16)의 일측으로 복원 스프링(21)을 탄지시켜 접속단자(10)로 부터 플러그 단자(2)가 빠져나갔을때 지지부(16)가 스프링(21)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기둥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비롯한 여러가지 형상의 플러그 단자(2)를 삽입홀(4,5)을 통해 접속단자(9,10)에 삽입하게되면, 플러그 단자(2)가 개폐판(6)의 경사부(6a)에 접촉되면서 개폐판(6)이 스프링(8)의 탄성을 이기고 개방되고, 이 개방된 부분을 통해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되어진다.
삽입홀(4,5)을 통해 플러그 단자(2)가 삽입되면, 각각의 접속단자(9,10)를 구성하는 단자편(12)들이 회전하는 회전부(13)의 고정홈(14)을 따라 외측으로 약간씩 밀리면서 고정부(12a)들이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2)를 강하게 잡아주게 되며, 플러그 단자(2)가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회전부(13)의 일측에 탄지된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13)가 원위치(단자편(12)이 오므라들도록 하는 방향)로 복원되려고 하므로 단자편(12)의 고정부(12a)들이 플러그 단자(2)를 강하게 잡아줄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단자편(12)들이 오므라들거나 벌어지면서 플러그 단자(2)를 잡아주게 되므로 플러그 단자(2)의 형상에 관계없이 세계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의 플러그 단자(2)가 접속단자(9,10)에 접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단자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은 플러그 단자(2)를 접속단자(9,10)에 삽입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플러그 단자(2)를 삽입홀(4,5)에 밀어넣게 되면, 그 접촉압력에 의해 개폐판(6)이 플러그 단자(2)의 넓이만큼 열리게되어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플러그단자(2)를 삽입홀(4,5)로 삽입할 수 있게된다.
이후, 계속해서 플러그 단자(2)를 접속단자(10) 깊숙이 삽입하면, 플러그 단자(2)가 접속단자(9,10)에 접촉되면서 지지부(16)가 양측으로 밀리게되어 플러그 단자(2)의 넓이만큼 접속단자(9,10)가 벌어지게되므로 상대적으로 간격이 넓은 플러그 단자(2)라 하더라도 콘넥터에 손쉽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링 형태로 형성된 고정대의 하측으로 다수의 단자편이 탄성을 가지면서 비틀어지도록 하여 접속단자를 구성하므로서, 접속단자의 단자편들이 오므라들거나 벌어지면서 플러그 단자를 잡아주도록 하여 하나의 콘넥터에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상의 편리성 증대 및 제품의 크기축소, 그리고 호텔이나 그밖의 숙박업소에서 체류하게 되는 외국인이 자신의 국가에서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별다른 불편함 없이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넥터이다.

Claims (3)

  1. 케이스의 상면에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2개의 삽입홀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접속단자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접속단자는 링 형상의 고정부 하측으로 다수의 단자편이 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단자편이 탄성을 가지면서 내측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비틀어서 그 중앙부분이 조밀해지도록 하여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와 접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베이스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부의 일측으로 부터 길게 돌출되는 고정지지대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단자편의 하측 끝부분은 지지부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단에 복원스프링이 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플러그 단자의 삽입시 단자편들이 고정홈을 따라 약간씩 외측으로 밀리면서 플러그단자를 잡아주도록 하여 플러그 단자의 모양에 관계없이 플러그 단자가 접속단자에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을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하고, 이 삽입홀의 하측으로는 플러그 단자의 입력시 케이스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삽입홀을 부분적으로 개폐하고, 플러그 단자의 이탈시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개폐판을 설치하되, 이 개폐판의 상면에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접속단자의 지지부 하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를 형성하되 지지부의 일측으로는 복원스프링이 탄지되도록 하여 플러그 단자간의 간격에 관계없이 삽입홀에 삽입하여 접속단자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의 단자편 중앙 일측으로는 일정각도 휘어지도록 접속부를 돌출시켜 삽입되는 플러그 단자와의 접속율이 향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KR1019990028126A 1999-07-13 1999-07-13 콘센트 KR100322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126A KR100322278B1 (ko) 1999-07-13 1999-07-13 콘센트
PCT/KR2000/000685 WO2001004996A1 (en) 1999-07-13 2000-06-29 Electric recepta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126A KR100322278B1 (ko) 1999-07-13 1999-07-13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111A true KR20000063111A (ko) 2000-11-06
KR100322278B1 KR100322278B1 (ko) 2002-02-06

Family

ID=1960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126A KR100322278B1 (ko) 1999-07-13 1999-07-13 콘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22278B1 (ko)
WO (1) WO200100499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42Y1 (ko) * 2010-11-26 2012-02-15 이종현 슬라이드형 벽붙이 전원 콘센트
CN109390813A (zh) * 2018-11-20 2019-02-26 许汉平 带有防触电功能的插座与插头组件
CN109390814A (zh) * 2018-11-20 2019-02-26 许汉平 带有防触电结构的插座与插头组件
CN109546481A (zh) * 2018-11-20 2019-03-29 许汉平 具有防触电结构的插座与插头组件
CN109586114A (zh) * 2018-11-20 2019-04-05 许汉平 具有防触电功能的插座与插头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50Y1 (ko) * 2010-09-20 2012-05-21 이규순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9601B2 (ja) * 1991-06-17 1999-11-02 ケル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板を用いた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H0713905B2 (ja) * 1990-11-27 1995-02-15 松下電工株式会社 ランプソケット
JPH05166562A (ja) * 1991-12-16 1993-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コネクタ
KR950010252U (ko) * 1993-09-04 1995-04-24 전기제품용 콘센트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42Y1 (ko) * 2010-11-26 2012-02-15 이종현 슬라이드형 벽붙이 전원 콘센트
CN109390813A (zh) * 2018-11-20 2019-02-26 许汉平 带有防触电功能的插座与插头组件
CN109390814A (zh) * 2018-11-20 2019-02-26 许汉平 带有防触电结构的插座与插头组件
CN109546481A (zh) * 2018-11-20 2019-03-29 许汉平 具有防触电结构的插座与插头组件
CN109586114A (zh) * 2018-11-20 2019-04-05 许汉平 具有防触电功能的插座与插头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2278B1 (ko) 2002-02-06
WO2001004996A1 (en) 200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9976B1 (en) Electrical plug, receptacle and switch
US6196851B1 (en) Reorientable electrical outlet
AU2010244965B2 (en) Socket switch
HUP9802827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pins or sockets, like a plug or coupling
TW532643U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with spring latch and grounding tabs
WO2001063700A3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preventing unauthorized use
KR20000063111A (ko) 콘센트
WO2008092187A1 (en) A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KR101407104B1 (ko) 회전삽입구가 구비된 멀티탭
KR101020090B1 (ko) 플러그
KR20130045053A (ko) 안전 콘센트
KR200416360Y1 (ko) 인입출이 가능한 건축용 콘센트
KR200313692Y1 (ko)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CN220692381U (zh) 一种安全可靠的适配器
US2291837A (en) Electric connector plug
CN212517634U (zh) 一种防触电结构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KR100375272B1 (ko) 안전콘센트 및 플러그장치
KR0122976Y1 (ko) 110v/220v 겸용 콘센트
CN215579285U (zh) 一种通讯类圆形连接器
KR200219034Y1 (ko) 전기 접속기구
CN201813004U (zh) 防水连接器组成
CN211208809U (zh) 一种带门限的开关
CN201402905Y (zh) 一种电源插板
KR200351713Y1 (ko) 안전소켓을 갖는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