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918B1 - 콘센트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918B1
KR102080918B1 KR1020180132872A KR20180132872A KR102080918B1 KR 102080918 B1 KR102080918 B1 KR 102080918B1 KR 1020180132872 A KR1020180132872 A KR 1020180132872A KR 20180132872 A KR20180132872 A KR 20180132872A KR 102080918 B1 KR102080918 B1 KR 102080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outlet
hole
closing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태
Original Assignee
노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태 filed Critical 노성태
Priority to KR102018013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918B1/ko
Priority to PCT/KR2019/014602 priority patent/WO2020091462A1/ko
Priority to DE112019000438.7T priority patent/DE112019000438T5/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 안전장치로서, 플러그의 접속단자 이외의 물질이 콘센트 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감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콘센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전장치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개폐할 수 있는 콘센트 안전장치로서,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관통구멍에 정렬 또는 이탈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 사이에 상기 개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정렬 또는 이탈되도록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개폐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회전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진입되는 측에 형성된 경사부 및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회전중심부와 가까운 상기 개폐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돌출되되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개폐부의 가운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전장치에 의하면, 화재나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센트 안전장치{Consent Safety Devices}
본 발명은 콘센트 안전장치로서, 플러그의 접속단자 이외의 물질이 콘센트 관통구멍 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감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콘센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0은 일반적인 플러그와 콘센트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가전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공급되는 플러그(400)는 콘센트(500)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파지부가 형성된 본체(410)와, 본체(410)에 일부가 매설된 상태로 양극과 음극이 연결되어 전면으로 돌출된 2개의 접속단자(420)로 구성된다.
콘센트(500)는 플러그(400) 일부가 삽입되는 오목홈(510)에 형성되어 있는 중간 판에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관통하는 관통구멍(520)이 형성되고, 중간 판의 하부에 관통구멍(5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원 접속구가 형성되어 있어, 관통구멍(520)을 관통한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전원 접속구에 접속되면 전기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근래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전기 제품 사용이 늘어나면서, 많은 수의 플러그를 한꺼번에 꽂을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오목홈과 관통구멍을 배치한 멀티콘센트 또는 벽면에 매설된 벽면 콘센트가 사용되고 있다.
멀티콘센트나 벽면 콘센트의 관통구멍은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콘센트 내부의 전원 접속구와 접촉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먼지 등의 이물질이 관통구멍을 통하여 콘센트 내부로 진입되거나, 특히 어린이들의 장난이나 부주의 또는 실수 등으로 젓가락이나 철사 등의 도체가 관통구멍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플러그 접속단자와 전원 접속구가 접촉 및 분리될 때 발생하는 스파크가 콘센트 내부로 진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과 반응하여 화재가 발생하거나, 어린이들이 관통구멍으로 삽입한 젓가락이나 철사 등이 전원 접속구와 접촉할 때 감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나 젓가락이나 철사 등과 같은 도체가 관통구멍을 통하여 콘센트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 안전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플러그의 접속단자 2개 모두가 동시에 관통구멍으로 진입하여야만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전원 접속구와 접촉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콘센트에 플러그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관통구멍을 통하여 콘센트 내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 외에 어떤 물질도 콘센트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어린이들이 장난으로 젓가락이나 철사 등 2개를 동시에 관통구멍으로 진입을 시도함에도 이들이 콘센트 내부의 전원 접속구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안전장치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개폐할 수 있는 콘센트 안전장치로서,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관통구멍에 정렬 또는 이탈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 사이에 상기 개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정렬 또는 이탈되도록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개폐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회전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진입되는 측에 형성된 경사부 및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회전중심부와 가까운 상기 개폐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돌출되되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개폐부의 가운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진입되는 측에, 상기 회전중심부와 먼 상기 개폐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안착부에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 반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된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에 경사방향을 따라 단이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저면은 상기 회전중심부에서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전장치에 의하면, 플러그의 접속단자 모두가 관통구멍으로 동시에 진입하여야만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전원 접속구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장난으로 젓가락이나 철사 등의 도체를 접속단자로 진입을 시도함에도 이들이 콘센트 내부에 설치된 전원 접속구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의 접속단자 이외의 물질이 전원 접속구와 불필요하게 접촉 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전장치에 의하면, 콘센트에 플러그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관통구멍을 통하여 콘센트 내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콘센트 내부에서 스파크에 의한 화재발생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폐부에 경사부가 형성된 콘센트 안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보조날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대한 저면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하우징이 구비된 콘센트 안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관통구멍(단자홀)으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관통구멍(단자홀)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개폐부가 관통구멍(단자홀)과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진입되면서 메인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로서 경사부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개폐부를 측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미끄럼방지부의 형태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폐부에 안착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개폐부가 콘센트 관통구멍에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회전중심부와 가까운 개폐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경사부가 형성된 콘센트 안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일반적인 플러그와 콘센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콘센트 안전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폐부(120)에 경사부(122)가 형성된 콘센트 안전장치(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조날개(130)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대한 저면에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안전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110)와 개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20)는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삽입 또는 퇴피되는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을 개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120)는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관통구멍에 정렬되거나 관통구멍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개로 형성된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드나들 수 있도록 콘센트의 관통구멍(520)도 2개 형성되므로 개폐부(120)도 이에 대응하여 2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각 나라의 콘센트 및 플러그의 규격에 맞춰 개폐부(120)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20)가 2개로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플러그가 콘센트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개폐부(1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에서 이탈되어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이 개방됨으로써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콘센트 내부로 삽입되면서 전원 접속구와 접촉될 수 있고, 플러그가 콘센트와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개폐부(1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에 정렬되어 콘센트 관통구멍(520)이 폐쇄됨으로써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을 통하여 콘센트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으로 삽입 또는 퇴피됨에 따라 개폐부(120)는 일정한 동선을 따라 거동됨으로써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부(120)는,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에 삽입될 때 콘센트의 관통구멍(520)과 정렬되는 위치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진입되는 측면에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여기서, 메인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형성된 경사면은, 개폐부가 콘센트의 관통구멍에서 정렬된 상태에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콘센트의 관통구멍으로 삽입될 때 개폐부(120)를 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이라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으로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삽입 또는 퇴피됨에 따라 개폐부(1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을 개폐하는 원리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플레이트(110)는 개폐부(120) 사이에서 개폐부(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에 따라 개폐부(120)가 관통구멍(520)에 정렬 또는 이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에 따라 개폐부(120)가 일정한 동선을 따라 회전하며 관통구멍(5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메인플레이트(110)는 그 중앙부에 마련된 회전중심부(112)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탄성부재는 개폐부(120)에 마련된 회전탄성부재 결합부(140)에 결합되어 메인플레이트(110)에 회전방향에 대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개폐부(1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탄성부재 결합부(140)가 개폐부(120)에 형성되는 것은 필수적인 사항이 아니며, 상황에 따라 회전탄성부재 결합부(140)는 메인플레이트(11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탄성부재 결합부(140)는, 그 형성위치는 무관하며, 회전탄성부재(150)가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탄성부재(150)와 결합한 상태로 메인플레이트(110) 또는 개폐부(12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정장치는 회전중심부(112)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날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날개(130)는 개폐부(120) 사이를 연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콘센트의 접지단자(미도시)를 계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날개는 개폐부(120)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그 단부가 구조물에 걸리거나 지지됨으로써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플레이트(110)의 저면은 회전중심부(112)가 다른 부분보다 돌출 형성될 수 있다(이때 저면은, 개폐부(120)의 형성된 부분의 대향하는 면으로, 도 4에 도시된 측면을 의미한다). 즉, 회전중심부(112)의 저면은 메인플레이트(110)의 다른 부분의 저면보다 더 돌출되어, 메인플레이트(110)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메인플레이트(1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메인플레이트(110) 저면의 다른 부분을 제외하고 회전중심부(112)의 저면이 바닥면과 접촉함으로써 메인플레이트(110) 저면의 다른 부분은 바닥면과 이격될 것이다.
또는,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중심부(112)의 저면이 돌출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바닥면이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중심부(112)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메인플레이트(110)의 저면에서 양 단부가 바닥면과 이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메인플레이트(110)의 저면에서 양 단부가 바닥면과 이격되면 메인플레이트(110)가 회전중심부(112)를 기준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의 관통구멍(5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관통구멍(520)만을 통하여 개폐부(120)를 가압하게 되는 경우, 가압되는 개폐부(120) 측이 하방으로 기울게 되고 가압되지 않는 개폐부(120) 측이 상방으로 기울게 되어 메인플레이트(1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메인플레이트(110)의 저면에서 회전중심부(112)가 바닥과 접촉하고 양측은 바닥에서 이격되므로, 개폐부(120)의 어느 한 쪽만이 가압되는 경우 수평을 유지하는 메인플레이트(110)가 기울게 됨으로써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메인플레이트(110)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회전중심부(112)는 플러그의 접속단자(420) 또는 젓가락이 콘센트의 관통구멍(520) 중에서 일측으로만 진입되어 콘센트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하우징(280)이 구비된 콘센트 안전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도 5 내지 도 6에서, 이를 제외한 도면에 대응되는 구성은 해당 구성의 도면번호에서 100을 더한 숫자로 표시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안전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8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작 및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제1, 2 하우징(281, 282)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80)은 내부에 각각의 구성품이 조립된 상태로 콘센트에 장착될 수 있도록 콘센트 안전장치(200)를 모듈화 할 수 있다.
하우징(280)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단자홀(284)이 구성되어야 한다.
하우징(280) 내부에는 단자홀(284)을 개폐할 수 있도록 단자홀(284)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개폐부(220) 및 개폐부(220)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중심부(212)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메인플레이트(210)가 구비된 안전날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탄성부재(250)는, 일측이 회전탄성부재 결합부(240)와 결합하고, 타측이 하우징(280) 내부에 형성된 구조물에 지지되어 메인플레이트(210)에 회전방향에 대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중심부(212)와 결합하여 메인플레이트(210)의 저면에 탄성력을 가하는 지지탄성부재(26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지지탄성부재(260)가 마련됨으로써,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개폐부(220)를 가압할 때 안전날개가 가압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였다가, 개폐부(220)의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 안전날개가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7은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관통구멍(하우징이 구비된 경우에는 단자홀을 포함)으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관통구멍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개폐부(120)가 관통구멍(단자홀)과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진입되면서 메인플레이트(110)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에 삽입되거나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으로부터 퇴피됨에 따라, 개폐부(1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을 개폐하는 원리를 알 수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탄성부재(150)가 메인플레이트(110)에 탄성력을 가하되, 회전탄성부재(150)가 탄성력을 가하는 반대방향으로 메인플레이트(110)나 개폐부(120) 등이 구조물에 지지됨으로써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폐부(1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진입방향(I)을 따라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플러그의 접속단자(420)의 단부가 개폐부(120)의 경사면을 따라 개폐부(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거동하면서 개폐부(120)를 밀어내게 되므로 개폐부(120)는 콘센트의 관통구멍(520)과 정렬되는 위치에서 이탈되고 플러그의 접속단자(420)는 콘센트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의 접속단자(420)의 진입에 의해 개폐부(120)가 밀려나면서 메인플레이트(110)는 회전중심부(11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만약 복수개의 경사부(122)가 마련된 경우에는 경사부(122)의 경사면은 모두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부(120)로서 경사부(122)에 미끄럼방지부(123)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에서 개폐부를 측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미끄럼방지부의 형태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부(120)는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진입되는 측면에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122)가 구비되고, 그 경사부(122)의 경사면에는 미끄럼방지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20)는, 플러그가 콘센트에 연결 및 해제됨에 따라,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사부(122)가 형성된 개폐부(120)와 메인플레이트(110)의 중심부에서 지지되는 회전중심부(112)에 의하여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으로 동시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접속단자(420)의 진입은 허용하되, 단지 하나의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을 통하여 금속 젓가락과 같이 전도체이며 단부의 직경이 콘센트의 관통구멍(520)보다 작은 물질(이하, 대표적으로 젓가락)이 경사부(122)를 가압할 때 메인플레이트(1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젓가락이 콘센트의 모든 관통구멍(520)을 통하여 개폐부(120)를 동시에 가압할 때에는, 진입방향(I)을 따라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으로 진입하는 젓가락의 단부가, 플러그의 접속 단자의 단부와 마찬가지로, 개폐부(120)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개폐부(120)를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젓가락의 삽입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콘센트의 안전장치의 구성으로 마련된 경사부(122)와 회전중심부(112)만으로는 각각의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을 통하여 동시에 삽입되는 젓가락의 진입을 막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전기감전사고 중 10% 정도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어린 아이들에 의한 사고이므로, 콘센트나 전자기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주의사항을 잘 인지하고 있지 않은 호기심 많은 어린 아이들이 단지 하나의 젓가락이든 또는 두 개의 젓가락이든 그 단부를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으로 진입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확실한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젓가락을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에 삽입 시도하려는 어린 아이들의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젓가락이 콘센트의 일부 관통구멍(520)뿐만 아니라, 모든 관통구멍(520)으로 동시에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안전장치(100)의 개폐부(120)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진입되는 측에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22)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123)는 플러그의 접속단자(420)의 단부와 접촉을 하며 경사부(122)에서 플러그의 접속단자(420)의 단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허용하되, 젓가락의 단부와는 접촉하며 젓가락의 단부가 경사부(122)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미끄럼방지부(123)는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메인플레이트(1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되, 젓가락이 메인플레이트(110)를 회전시키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22)의 경사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123)는 경사부(122)의 경사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센트의 접속단자는 그 직경이 5mm 내외이고 그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반면에, 대표적으로 젓가락은 그 직경이 콘센트의 접속단자의 직경보다 작고 그 단부가 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단부의 형상 차이는, 각각의 용도에 맞춰 형성된 것인데, 콘센트의 접속단자의 단부는 그 형태가 플러그의 관통구멍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마련된 것이고, 젓가락의 단부는 그 형태가 물건(반찬 등)을 집기에 용이하도록 마련된 것이기 때문이다. 즉, 젓가락의 단부가 두껍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진 형태로 마련되면 젓가락 끝으로 물건을 집기가 어려우므로, 젓가락의 단부는 상대적으로 콘센트의 접속단자의 단부보다 그 직경이 작고 단부의 외형이 각지게 형성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콘센트의 접속단자와 젓가락의 단부의 형상을 고려하면 미끄럼방지부(123)는 복수의 돌기와 돌기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젓가락의 단부 모서리 부분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젓가락의 단부가 경사부(122)의 경사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되, 콘센트의 접속단자의 단부는 경사부(122)의 경사면에서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돌기는 경사부(122)의 경사면에서 0.5~1mm 정도로 돌출되도록 하고, 돌기와 돌기 사이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돌기와 돌기 사이에 젓가락의 단부 모서리 부분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부(123)는 또 다른 실시형태로 경사부(122)의 경사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사부(122)의 경사면에 형성된 홈에 젓가락의 단부 모서리 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젓가락의 단부가 경사부(122)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경사부(122)의 경사면에 마련된 홈은 젓가락의 단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홈에 젓가락의 단부가 홈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경사부(122)는 콘센트의 접속단자의 단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그 면적이 매우 작기 때문에 경사부(122)에 형성될 수 있는 홈의 크기는 제한이 있고, 경사부(122)에 마련된 홈에 젓가락 단부의 모서리만 걸려도 젓가락의 단부가 경사부(122)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부(122)의 경사면에 마련된 홈의 크기는 젓가락의 단면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123)는 또 다른 실시형태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22)의 경사면에 경사부의 경사방향을 따라 단이 형성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즉, 미끄럼방지부(123)가 경사부(122)의 경사면이 경사방향을 따라 단차지도록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경사면에 형성된 단턱에 젓가락 단부의 모서리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폐부에 안착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안전장치(100)의 개폐부(120)는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진입되는 측면에 개폐부(12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돌출되되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122) 및 경사부(122)보다 낮게(즉, 안착부가 경사부보다 콘센트의 관통구멍에서 멀리 배치될 수 있게) 형성된 안착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126)를 경사부(122)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으로 진입할 때 플러그의 접속단자(420)의 단부가 안착부(126)보다 경사부(122)에 먼저 접촉할 수 있는데, 그러면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경사부(122)를 타고 진입하면서 메인플레이트(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경사부(122)를 개폐부(120)의 가장자리에 안착부(126)보다 작은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플러그의 접속단자(420)의 단부보다 그 면적이 작은 젓가락의 단부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으로 삽입될 때 경사부(122)를 지나쳐 안착부(126)로 진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부(122)와 안착부(126)가 구비된 개폐부(120)는 콘센트의 관통구멍(520)과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을 가진 플러그의 접속단자(420)는 경사부(122)를 타고 콘센트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반면에, 플러그의 접속단자(420)보다 상대적으로 단부의 면적이 작은 젓가락은 안착부(126)로 진입되도록 함으로써 콘센트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부(122)의 경사방향과 안착부(126)의 경사방향을 다르게 하여 젓가락이 안착부(126)를 가압할 때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이 개방되는 반대 방향으로 메인플레이트(110)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젓가락의 단부가 콘센트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사부(122)와 안착부(126)의 경계에는 헌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120)에서 돌출 형성된 경사부(122)가 플러그의 접속단자(420)와 접촉하게 되면서 경사부(122)와 안착부(126)의 경계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데, 헌치부는 경사부(122)와 안착부(126)의 경계에 형성됨으로써 경사부(122)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경사부(122)에 먼저 접촉한 젓가락의 단부가 헌치부의 경사면을 따라 안착부(126)로 미끄러지도록 헌치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개폐부(120)가 콘센트 관통구멍(520)에 정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회전중심부(112)와 가까운 개폐부(120)의 가장자리 영역에 경사부(122)가 형성된 콘센트 안전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19은 도 18의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의 오목홈(510)에 형성된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에 개폐부(120)가 정렬된 상태에서,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의 원주와 개폐부(120)의 원주 사이에 간극(D)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간극(D)은 경사부(122)가 형성된 영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메인플레이트(110)의 회전을 위해 메인플레이트(110)의 양단에서 저면이 바닥과 이격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이때, 메인플레이트(110)의 어느 한 쪽 단부가 더 가압된다면 메인플레이트(110)가 기울어지게 되면서 더 가압되는 측의 간극(D)은 더 커질 수 있다. 간극(D)은 커질수록, 젓가락의 단부가 간극(D) 사이로 파고들기 용이해지므로, 젓가락의 단부가 경사부(122)를 가압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결국 젓가락의 단부에 의하여 메인플레이트(110)가 회전된는 것을 허용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부(122)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간극(D)의 확장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22)가 회전중심부(112)와 가까운 개폐부(120)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착부(126)를 개폐부(12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하여, 젓가락의 단부가 안착부(126)로 진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126)를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안착부(126)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안착부(126)에 접촉한 젓가락의 단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진입되는 측에, 상기 회전중심부(112)와 먼 상기 개폐부(120)의 가장자리 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12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128)는 개폐부(120)에서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안착부(126)를 사이에 두고 경사부(122)와 이격되어 개폐부(120)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이탈방지부(128)는 젓가락의 단부가 간극(D)을 통하여 콘센트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28)는 경사부(122)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개폐부(120)의 가장자리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28)가 개폐부(120)의 가장자리 일부에 형성되는 경우 중심각이 140도 내지 150도를 이루는 호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탈방지부(128)와 경사부(12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젓가락의 단부가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을 통하여, 경사부(122) 및 안착부(126)만 노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경사부(122), 안착부(126) 및 이탈방지부(128)의 일부만 노출되도록 하고, 이탈방지부(128)의 전부 또는 일부는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을 통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러그의 접속단자(420)가 콘센트의 관통구멍(520)으로 진입할 때 이탈방지부(128)가 플러그의 접속단자(420)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128)는 콘센트 관통구멍(520)의 대응되는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200: 콘센트 안전장치
110, 210: 메인플레이트
112, 212: 회전중심부
120, 220: 개폐부
122: 경사부
123: 미끄럼방지부
126: 안착부
128: 이탈방지부
130: 보조날개
140, 240: 회전탄성부재 결합부
150, 250: 회전탄성부재
260: 지지탄성부재
280: 하우징
281: 제1 하우징
282: 제2 하우징
284: 단자홀
400: 플러그
410: 본체
420: 플러그의 접속단자
500: 콘센트
510: 오목홈
520: 콘센트의 관통구멍
D: 콘센트의 관통구멍의 원주와 개폐부의 원주 사이의 간극

Claims (10)

  1.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을 개폐할 수 있는 콘센트 안전장치로서,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하도록 상기 관통구멍에 정렬 또는 이탈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 사이에 상기 개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정렬 또는 이탈되도록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메인플레이트; 및
    상기 개폐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회전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진입되는 측에 형성된 경사부, 안착부 및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회전중심부와 가까운 상기 개폐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돌출되되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안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경사부와 대향하여 상기 회전중심부와 먼 상기 개폐부의 가장자리 영역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면적은 상기 안착부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 반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된 콘센트 안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에 경사방향을 따라 단이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저면은 상기 회전중심부에서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장치.
KR1020180132872A 2018-11-01 2018-11-01 콘센트 안전장치 KR102080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872A KR102080918B1 (ko) 2018-11-01 2018-11-01 콘센트 안전장치
PCT/KR2019/014602 WO2020091462A1 (ko) 2018-11-01 2019-10-31 콘센트 안전장치
DE112019000438.7T DE112019000438T5 (de) 2018-11-01 2019-10-31 Sicherheitsvorrichtung für Steckdos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872A KR102080918B1 (ko) 2018-11-01 2018-11-01 콘센트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918B1 true KR102080918B1 (ko) 2020-02-24

Family

ID=69637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872A KR102080918B1 (ko) 2018-11-01 2018-11-01 콘센트 안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80918B1 (ko)
DE (1) DE112019000438T5 (ko)
WO (1) WO202009146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822Y1 (ko) * 1999-09-15 2000-03-15 이덕현 콘센트의 안전장치
KR20110008756A (ko) * 2009-07-21 2011-01-2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20170029216A (ko) * 2015-09-07 2017-03-15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KR101871356B1 (ko) * 2017-02-27 2018-06-26 주식회사 수만테크 다중 안전 장치를 갖는 멀티 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90424U (zh) * 2009-08-20 2010-05-26 优比仕电子(深圳)有限公司 防触电保护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822Y1 (ko) * 1999-09-15 2000-03-15 이덕현 콘센트의 안전장치
KR20110008756A (ko) * 2009-07-21 2011-01-2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20170029216A (ko) * 2015-09-07 2017-03-15 배봉관 콘센트 안전장치
KR101871356B1 (ko) * 2017-02-27 2018-06-26 주식회사 수만테크 다중 안전 장치를 갖는 멀티 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9000438T5 (de) 2020-10-08
WO2020091462A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KR20130129159A (ko) 방수콘센트
US9761985B1 (en) Socket with safety protection effect
KR101046173B1 (ko)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US4040698A (en) Electrical safety outlet and plug
KR100904219B1 (ko) 콘센트 안전커버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KR102077542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2080918B1 (ko) 콘센트 안전장치
US2226148A (en) Safety wall socket connection and plug
KR101571397B1 (ko)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US3001168A (en) Wiring device
KR101982806B1 (ko) 피메일 방수 조인트 하우징
CN107112690B (zh) 插座
KR101938498B1 (ko) 안전형 콘센트
KR100340447B1 (ko) 안전 콘센트
US3166370A (en) Electrical outlets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0989404B1 (ko) 회전형 안전 콘센트
KR101850145B1 (ko)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KR20230149051A (ko) 매입형 콘센트
KR200252581Y1 (ko)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US2487560A (en) Safety plug socket
KR100734888B1 (ko) 콘센트
KR101564843B1 (ko)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