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397B1 -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 Google Patents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1397B1 KR101571397B1 KR1020140051337A KR20140051337A KR101571397B1 KR 101571397 B1 KR101571397 B1 KR 101571397B1 KR 1020140051337 A KR1020140051337 A KR 1020140051337A KR 20140051337 A KR20140051337 A KR 20140051337A KR 101571397 B1 KR101571397 B1 KR 1015713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cap member
- terminal member
- hole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에 플러그 외에 철사 등의 이물질을 삽입하여도 콘센트에 흐르는 전기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면서 콘센트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해주는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측방에 측방연통홀(111)이 형성되는 캡부재(110)와, 캡부재(11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어 캡부재(110)의 측방연통홀(111)로 수축가능하게 돌출되는 플러그단자부재(120)로 구성되는 플러그(100) 및 플러그(100)의 캡부재(110)가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상단으로 개방되고, 플러그(100)의 측방연통홀(111)을 관통한 플러그(100)의 플러그단자부재(120)가 관통되도록 측방으로 개구되는 측방관통홀(211)이 형성되는 콘센트관체(210)와, 콘센트관체(2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측방관통홀(211)을 통해 돌출되는 플러그단자부재(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단자부재(220)로 구성되는 콘센트(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측방에 측방연통홀(111)이 형성되는 캡부재(110)와, 캡부재(11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어 캡부재(110)의 측방연통홀(111)로 수축가능하게 돌출되는 플러그단자부재(120)로 구성되는 플러그(100) 및 플러그(100)의 캡부재(110)가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상단으로 개방되고, 플러그(100)의 측방연통홀(111)을 관통한 플러그(100)의 플러그단자부재(120)가 관통되도록 측방으로 개구되는 측방관통홀(211)이 형성되는 콘센트관체(210)와, 콘센트관체(2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측방관통홀(211)을 통해 돌출되는 플러그단자부재(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단자부재(220)로 구성되는 콘센트(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센트에 플러그 외에 철사 등의 이물질을 삽입하여도 콘센트에 흐르는 전기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콘센트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해주는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와 플러그는 각종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플러그와 콘센트로 이루어진다. 콘센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벽 등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매립형과, 별도로 유니트화되어 전원과 연결된 상태로 독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 탭 타입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센트와 플러그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는 플러그단자(2)가 직선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콘센트(3)는 단자홀(4)이 형성되고 단자홀(4)의 직하부에 플러그단자(2)와 접속되는 콘센트단자(5)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1)의 플러그단자(2)는 콘센트(3)의 단자홀(4)을 통해 삽입되어서 콘센트단자(5)에 접속된다. 즉, 콘센트(3)는 단자홀(4)과 콘센트단자(5)가 일직선상으로 연통됨에 따라 직선형태의 플러그단자(2)가 콘센트단자(5)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어린아이나 치매 노인 등이 철사나 금속젓가락을 콘센트(3)의 단자홀(4)에 삽입함에 따른 안전사고가 왕왕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특허출원번호 10-2005-0059025호(2006.12.28.)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센트에 플러그 외에 철사 등의 이물질을 삽입하여도 콘센트에 흐르는 전기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콘센트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해주는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는,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측방에 측방연통홀(111)이 형성되는 캡부재(110)와, 캡부재(11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어 캡부재(110)의 측방연통홀(111)로 수축가능하게 돌출되는 플러그단자부재(120)로 구성되는 플러그(100) 및 플러그(100)의 캡부재(110)가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상단으로 개방되고, 플러그(100)의 측방연통홀(111)을 관통한 플러그(100)의 플러그단자부재(120)가 관통되도록 측방으로 개구되는 측방관통홀(211)이 형성되는 콘센트관체(210)와, 콘센트관체(2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측방관통홀(211)을 통해 돌출되는 플러그단자부재(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단자부재(220)로 구성되는 콘센트(200)를 포함하며, 캡부재(110)와 콘센트관체(210)는 부도체로 구성되고, 플러그단자부재(120)는 도체이면서 탄성변형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양측에 장홀(121)이 형성되고, 고정핀(122)이 장홀(121)을 관통하여서 캡부재(110)에 고정되며, 플러그단자부재(120)의 탄성력을 증대시키도록 양단이 플러그단자부재(120)후면과 캡부재(110)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는, 콘센트에 플러그 외에 철사 등의 이물질을 삽입하여도 콘센트에 흐르는 전기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콘센트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센트와 플러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본 발명의 콘센트와 플러그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본 발명의 콘센트와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본 발명의 콘센트와 플러그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본 발명의 콘센트와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 및 콘센트(200)를 포함한다.
플러그(100)는 콘센트(200)에 삽입되어서 전기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캡부재(110)와, 플러그(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캡부재(110)는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측방에 측방연통홀(111)이 형성되고, 된다. 이러한, 캡부재(110)는 부도체인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면서 하단이 폐쇄된 파이프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이 플러그(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단자부재(120)는 캡부재(11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어 캡부재(110)의 측방연통홀(111)로 수축가능하게 돌출되는 것으로, 탄성변형 되도록 'C'형태로 절곡되면서 도체인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플러그단재부재(120)가 'C'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중앙부분이 전면으로 볼록하고 후면으로 오목하게 된다. 이러한, 플러그단자부재(120)는 일측이나 양측에 장홀(121)이 형성되며, 고정핀(122)이 장홀(121)을 관통하여서 캡부재(1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단자부재(120)가 고정핀(12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볼록한 부분이 캡부재(110)의 측방연통홀(111)로 수축가능하게 돌출되게 된다. 이때, 볼록한 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면 플러그단자부재(120)가 펴지면서 캡부재(110)의 내측으로 수용되어서 캡부재(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즉, 캡부재(110)가 후술되는 콘센트관체(210)에 삽입될 때 플러그단자부재(120)의 볼록한 부분이 콘센트관체(2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서 캡부재(110)의 내측으로 수용되므로, 캡부재(110)가 콘센트관체(2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단자부재(120)의 탄성력을 증대시켜서 보완하도록 압축스프링(130)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압축스프링(130)은 양단이 플러그단자부재(120)의 오목한 부분과 캡부재(110)의 내주면에 지지되어서 플러그단자부재(1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콘센트(200)는 플러그(100)가 삽입되어서 전기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콘센트관체(210)와, 콘센트단자부재(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콘센트관체(210)와 콘센트단자부재(220)는 상부로 개방되는 단자홀(202)이 형성되는 콘센트박스(201)에 내장될 수 있다. 즉, 콘센트관체(210)는 단자홀(202)에 상단이 연통도면서 콘센트박스(201)에 설치될 수 있다.
콘센트관체(210)는 플러그(100)의 캡부재(110)가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상단으로 개방되고, 캡부재(110)의 측방연통홀(111)을 관통한 플러그(100)의 플러그단자부재(120)가 관통되도록 측방으로 개구되는 측방관통홀(211)이 형성되며 부도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캡부재(110)가 콘센트관체(210)에 삽입되면 캡부재(110)의 측방연통홀(111)로 수축가능하게 돌출된 플러그단자부재(120)의 볼록한 부분이 콘센트관체(210)의 측방관통홀(211)로 돌촐된다.
콘센트단자부재(220)는 콘센트관체(2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측방관통홀(211)을 통해 돌출되는 플러그단자부재(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도체인 관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콘센트관체(210)가 콘센트단자부재(220)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콘센트관체(210)의 측방관통홀(211)로 돌촐된 플러그단자부재(120)가 콘센트단자부재(220)의 내주명에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도통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100)가 콘센트(200)에 삽입되면 부도체인 캡부재(110)가 부도체인 콘센트관체(210)에 접촉되는 상태에서 도체인 플러그단자부재(120)가 캡부재(110)와 콘센트관체(210)를 동시에 측방으로 돌출되어서 도체인 콘센트단자부재(220)에 접촉되므로 전기가 도통될 수 있다. 물론, 콘센트관체(210)에 금속젓가락이나 금속핀을 삽입시켜도 전기가 도통되지 않으므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플러그 110 : 캡부재
111 : 측방연통홀 120 : 플러그단자부재
121 : 장홀 122 : 고정핀
130 : 압축스프링 200 : 콘센트
210 : 콘센트관체 211 : 측방관통홀
220 : 콘센트단자부재 201 : 콘센트박스
202 : 단자홀
111 : 측방연통홀 120 : 플러그단자부재
121 : 장홀 122 : 고정핀
130 : 압축스프링 200 : 콘센트
210 : 콘센트관체 211 : 측방관통홀
220 : 콘센트단자부재 201 : 콘센트박스
202 : 단자홀
Claims (4)
- 내부공간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측방에 측방연통홀(111)이 형성되는 캡부재(110)와, 캡부재(11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어 캡부재(110)의 측방연통홀(111)로 수축가능하게 돌출되는 플러그단자부재(120)로 구성되는 플러그(100) 및
플러그(100)의 캡부재(110)가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상단으로 개방되고, 플러그(100)의 측방연통홀(111)을 관통한 플러그(100)의 플러그단자부재(120)가 관통되도록 측방으로 개구되는 측방관통홀(211)이 형성되는 콘센트관체(210)와, 콘센트관체(2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측방관통홀(211)을 통해 돌출되는 플러그단자부재(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단자부재(220)로 구성되는 콘센트(200)를 포함하며,
캡부재(110)와 콘센트관체(210)는 부도체로 구성되고,
플러그단자부재(120)는 도체이면서 탄성변형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양측에 장홀(121)이 형성되고, 고정핀(122)이 장홀(121)을 관통하여서 캡부재(110)에 고정되며,
플러그단자부재(120)의 탄성력을 증대시키도록 양단이 플러그단자부재(120)후면과 캡부재(110)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1337A KR101571397B1 (ko) | 2014-04-29 | 2014-04-29 |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1337A KR101571397B1 (ko) | 2014-04-29 | 2014-04-29 |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4628A KR20150124628A (ko) | 2015-11-06 |
KR101571397B1 true KR101571397B1 (ko) | 2015-11-24 |
Family
ID=5460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1337A KR101571397B1 (ko) | 2014-04-29 | 2014-04-29 |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13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0513B1 (ko) | 2016-03-04 | 2016-12-02 | 안영신 | 전기 접속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655820B (zh) * | 2015-12-31 | 2018-03-27 | 北京康祝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防触电安全插座组件 |
KR101950741B1 (ko) * | 2018-06-12 | 2019-02-21 | 서한컨설탄트(주) |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 배전시스템 |
KR102548411B1 (ko) * | 2019-05-02 | 2023-06-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클램프부가 구비된 콘센트 |
-
2014
- 2014-04-29 KR KR1020140051337A patent/KR10157139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0513B1 (ko) | 2016-03-04 | 2016-12-02 | 안영신 | 전기 접속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4628A (ko) | 2015-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1397B1 (ko) |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 |
KR20130129159A (ko) | 방수콘센트 | |
US2704357A (en) | Electrical jack | |
WO2009131874A3 (en) | High-resolution connector for a neurostimulation lead | |
GB2539154A (en) | Ground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 |
KR101046173B1 (ko) |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 |
US9450325B1 (en) | Power socket structure | |
CN203277745U (zh) | 一种防触电插头 | |
KR101301250B1 (ko) |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 |
WO2018134282A1 (en) | Front cover device for power socket and power socket equipped with such a front cover device | |
JP2010003442A (ja) | ジャックコネクタ | |
MX2018012315A (es) | Clip para conexion a tierra. | |
KR101233437B1 (ko) |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 |
US3210717A (en) | Safety connector plug | |
KR200442907Y1 (ko) |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 |
KR20180000452A (ko) | 자석을 이용한 안전 콘센트 | |
KR200468109Y1 (ko) | 플러그 및 콘센트용 어댑터 | |
TWI323537B (en) | Table tap | |
KR101514309B1 (ko) |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 |
JP6857599B2 (ja) | 電気コネクタ | |
RU2019116288A (ru) |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оснащенный контактным элементом | |
KR200489625Y1 (ko) | 접지형 콘센트 | |
KR101205016B1 (ko) | 전원 연결 기구 | |
SE9901368L (sv) | Tändstiftskontakt | |
KR100823898B1 (ko) |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