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455Y1 - 전기 접속기구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55Y1
KR0126455Y1 KR2019950027413U KR19950027413U KR0126455Y1 KR 0126455 Y1 KR0126455 Y1 KR 0126455Y1 KR 2019950027413 U KR2019950027413 U KR 2019950027413U KR 19950027413 U KR19950027413 U KR 19950027413U KR 0126455 Y1 KR0126455 Y1 KR 0126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ion
elastically
rockers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7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396U (ko
Inventor
유대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27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455Y1/ko
Publication of KR970015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규한 전기 접속기구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플러그의 단자를 플러스 소켓의 접속탭이 탄성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상호 접속하였는 바, 접속과 분리에 상당한 힘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탄성약화로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플러그의 단자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플러그 소켓이 단자의 선단에 탄성접촉하는 접속스프링과, 단자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로커와, 소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탄성방이어스 되어 로커를 단자측으로 이동시키는 레버를 구비하여 접속과 분리가 대단히 용이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접속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전기 접속기구
제1도는 일반적인 전기 접속기구를 도시한 부분절단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발췌사시도.
제3도(a) 내지 (c)는 본 고안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 발췌 평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플러그 소켓(plug socket) 31a : (플러그 소켓의) 접속구멍
32b : (플러그 소켓의) 가이드슬릿(guide slit)
33 : 접속스프링 34 : 레버(lever)
34b : (레버의) 경사면 35 ; 로커(locker)
36 : 가이드로드(guide rod) 40 : 플러그(plug)
42 : (플러그의) 단자 42a : (단자의) 걸림홈
본 고안은 전기 접속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기, 전자제품을 옥내(屋內)배선에 접속시키는데에 주로 사용되는 플러그(plug)와 플러그 소켓(plug socket)에 관한 것이다.
전기는 전자의 이동으로 형성되는 에너지(energy)의 한 형태로서, 오늘날의 인간사회 에서 없어서는 안될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라 할 수 있다. 즉 조명은 물론 모든 기계류와 사무 및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사회 전반에 걸쳐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기는 발전소로부터 사용장소로 공급되는 것이므로 모든 건축물에는 전기의 공급을 위한 옥내 배선을 구비 하게된다. 이에 따라 전기, 전자제품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옥내배선과 접속해야 하는 바, 양자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접속기구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플러그와 플러그 소켓으로, 플러그는 제품에 플러그 소켓은 옥내 배선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1도에는 이러한 종래의 전기 접속기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구성은 220V용으로, 플러그(20)는 절연체의 몸체(21)에 제품의 전원코드(power cord:C)에 연결되는 원형단면의 두 단자(22)가 전기적으로 격리되도록 적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는 구성을 가진다. 플러그 소켓 (10)은 하부몸체(11)내에 옥내배선에 연결되고 플러그(20)의 두 단자(22)를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두 접속탭(13)이 전기적으로 격리되게 구비되고, 상부몸체(12)에는 플러그(20)의 두 단자(22)가 관통하는 결합슬롯(結合slot:12a)이 형성되어 상·하부 몸체(12)(11)가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에따라 플러그(20)의 두 단자(22)를 플러그 소켓(10)의 결합슬롯(12a)을 통해 두 접속탭(13)에 탄성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기 접속기구는 플러그 소켓(10)의 접속탭(13)이 플러그(20)의 단자(22)를 탄성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양자가 접속되는 구성이므로 플러그 소켓(10)에 대한 플러그(20)의 접속과 분리에 상당한 힘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잦은 접속과 분리에 의해 접속탭(13)의 탄성이 약화되어 접속불량이 야기되며, 이에 따라 전원이 불안정해져 제품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접속과 분리가 용이하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접속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전기 접속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구는, 플러그의 두 단자에 상호 대향하도록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고, 플러그 소켓이, 플러그의 두 단자 선단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두 접속스프링과, 플러그의 두 단자의 걸림홈에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지며 상대측으로 탄성바이어스(彈性bias) 되는 두 로커(locker)와, 하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소정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두 로커를 각각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lever)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두 로커에 그 이동을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로드(guide rod)가 이동방향으로 각각 구비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플러그 소켓에 대해 플러그를 간단히 접속 및 분리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기간 사용시에도 확실한 접속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전기 접속기구의 사용의 편의성과 신뢰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2도에서,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구는 옥내 배선에 연결되는 플러그 소켓(30)과 제품의 전원코드(C)에 연결되어 플러그 소켓(30)과 접속되는 플러그(40)로 구성된다.
플러그(40)는 절연체의 몸체(41)와, 전기적으로 격리되도록 상호 적정간격 이격되어 몸체(41)의 외부로 돌출하는 두 단자(42)를 구비한다. 두 단자(42)는 제품의 전원코드(C)에 연결되어 플러그 소켓(30)에 접속되는데, 두 단자(42)의 소정위치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호 대향하도록 걸림홈(42a)이 각각 형성된다.
플러그 소켓(30)은 하부몸체(31)와 상부몸체(32)가 상호 조립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하부몸체(31)에는 플러그(40)의 두 단자(42)가 삽입되는 접속구멍(31a)이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각 접속구멍(31a)에는 플러그(40)의 두 단자(42) 선단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두 접속스프링(33)이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접속스프링(33)은 적정탄성을 가지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그 길이는 플러그(40)의 두 단자(42)에 의해 적정탄성으로 압축될 수 있는 길이로 적절히 설정된다.
하부몸체(31)의 소정위치에는 플러그(40)의 두 단자(42)의 걸림홈(42a)에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두 로커(35)가 단자(42)의 삽입방향과 직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두 로커(35)의 상·하단부는 이들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풀(pull)스프링(39)에 의해 상대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바람직하기로 두 로커(35)에는 이들을 이동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로드(36)가 그 이동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하부몸체(31)에는 대략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구성된 레버(34)가 힌지핀 (hinge pin:34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푸시(push)스프링(38)에 의해 로커(35)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이 푸시스프링(38)의 탄성은 두 풀스프링(39)의 탄성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두 로커(35)는 레버(34)에 의해 상시 외측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된다. 레버(35)의 일측 선단부에는 두 로커(35)에 각각 미끄럼 접촉하는 두 경사면 (34b)이 형성되어 대략 쐐기형태를 가진다. 레버(34)의 타측 선단부는 후술하는 상부몸체(32)의 가이드슬릿(32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상부몸체(32)에는 플러그(40)의 두 단자(42)가 관통하는 결합슬롯(32a)이 하부몸체 (31)의 접속구멍(31a)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소정위치에는 레버(34)의 타단부가 관통하는 가이드슬릿(32b)이 단자(42)의 삽입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구의 작동을 제3도를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에서, (a)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 로커(35)는 레버(34)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40)의 두 단자(42)를 상부몸체(32)의 결합슬롯(32a)을 통해 하부몸체(31)의 접속구멍(31a)에 삽입한다. 그러면 (b)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 로커(35)가 플러그(40)의 단자(42)에 접촉되고 그 삽입력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 때 두 로커(35)는 그 가이드로드(36)에 의해 안정되게 이동된다. 이에 따라 레버(34)의 두 경사면(34b)이 로커(35)와 미끄럼 접촉하게 되어 레버(34)가 힌지핀(34a)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c)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러그(40)의 두 단자(42)에 형성된 걸림홈(42a)이 대응하는 로커(35)의 위치에 도달하면 이들에 부여된 구속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푸시스프링(38)의 복원탄성에 의해 레버(34)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따라 두 로커(35)가 초기위치로 이동하여 대응하는 단자(42)의 걸림홈(42a)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게 된다. 이 때 두 접속스프링(33)은 대응하는 플러그(40)의 단자(42)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상호접속된다.
한편 플러그(40)를 플러그 소켓(3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몸체(32)의 외부로 돌출된 레버(34)의 타단부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레버(34)가 회전되어 그 일단부가 두 로커(35)로부터 이탈되어 구속을 해제하고, 이에따라 풀스프링(39)의 복원탄성에 의해 두 로커(35)가 내측으로 이동되어 단자(42)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그러면 접속스프링(33)의 복원탄성에 의해 단자(42)가 밖으로 밀려 이탈됨으로써 접속이 분리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플러그 소켓에 대한 플러그의 접속과 분리가 대단히 용이해 지고,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접속 스프링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종래와 같은 접속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전기 접속기구의 사용의 편의성과 신뢰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옥내배선에 연결되는 플러그 소켓과, 제품의 전원코드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전기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0)의 두 단자(42)에 상호 대향하도록 걸림홈(42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소켓(30)이, 상기 플러그(40)의 두 단자(42) 선단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두 접속스프링(33)과, 상기 플러그(40)의 두 단자(42)의 걸림홈(42a)에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지며 상대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두 로커(35)와, 하부몸체(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소정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상기 두 로커(35)를 각각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34)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로커(35)에 그 이동을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로드(36)가 이동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4)의 일측 선단부에 상기 두 로커(35)에 각각 미끄럼접촉하는 두 경사면(3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4)의 타측 선단부가 상부몸체(32)의 가이드슬릿(32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구.
KR2019950027413U 1995-09-30 1995-09-30 전기 접속기구 KR0126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413U KR0126455Y1 (ko) 1995-09-30 1995-09-30 전기 접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413U KR0126455Y1 (ko) 1995-09-30 1995-09-30 전기 접속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396U KR970015396U (ko) 1997-04-28
KR0126455Y1 true KR0126455Y1 (ko) 1998-10-15

Family

ID=1942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7413U KR0126455Y1 (ko) 1995-09-30 1995-09-30 전기 접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4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623B1 (ko) * 2020-03-04 2020-09-22 이동혁 콘센트 및 플러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6323B2 (en) * 2010-09-17 2014-11-04 Viroj Khanampornpan Fluorescent lamp holde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623B1 (ko) * 2020-03-04 2020-09-22 이동혁 콘센트 및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396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4220A (en) Connector having means for positively seating contacts
US3467942A (en) Housing member
US2732531A (en) Lockable electric connector
CA1112314A (en) Electrical socket connector construction
US4084874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JPH0782892B2 (ja) ドロワコネクター
KR900002498A (ko) 전기 콘넥터
JPH07147170A (ja) プラグ係止機構付きコンセント
US4781611A (en)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tact assembly
CA202188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ttachment for automatically shorting select conductors upon disconnection of connector
CA1086392A (en) Safety plug socket
CN211743556U (zh) 插头电连接器
KR0126455Y1 (ko) 전기 접속기구
US6310306B1 (en) Safety wall socket assembly
DE59800045D1 (de) Fassung für elektrotechnische Bauelemente
US5320546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locked components
US3001168A (en) Wiring device
US3421136A (en) Electrical contact and edge connector having such a contact
KR910003021B1 (ko) 전기 접속자 조립체
CA2346757C (en) Plug connector
CN111786187A (zh) 适配器
KR200219034Y1 (ko) 전기 접속기구
JPH03149771A (ja) 電線接続装置
KR0138314Y1 (ko) 플러그 소켓
US4725242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am actuated wire hold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