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082Y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082Y1
KR200189082Y1 KR2020000002878U KR20000002878U KR200189082Y1 KR 200189082 Y1 KR200189082 Y1 KR 200189082Y1 KR 2020000002878 U KR2020000002878 U KR 2020000002878U KR 20000002878 U KR20000002878 U KR 20000002878U KR 200189082 Y1 KR200189082 Y1 KR 200189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outlet
insertion h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한국
Original Assignee
방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한국 filed Critical 방한국
Priority to KR2020000002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를 보다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꽂을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케이스(51)상에 플러그(60)가 끼워지는 플러그삽입홈(52)이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삽입홈(52)내의 양측으로 단자(61)가 끼워지는 단자삽입공(53)이 천공된 콘센트(5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삽입홈(52)의 표면 양측에 단자삽입공(53)으로 경사지게 깊어지는 만곡요홈(54)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Plug socket}
본 고안은 플러그가 삽입하는 콘센트(plug socket)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보다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꽂을수 있도록 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원공급단자에 플러그를 꽂아서 다른 전기회로와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소킷으로, 이러한 콘세트(1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표면으로 플러그(20)가 끼워지는 플러그삽입홈(12)이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삽입홈(12)내의 양측에는 플러그(20)의 단자(21)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공(13)이 천공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10)는 단자삽입공(13)이 천공된 플러그삽입홈(12)의 표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접속시 사용자가 플러그(20)의 단자(21)를 단자삽입공(13)에 정확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꽂아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접속시 플러그(20)의 단자(21)를 콘센트(10)의 단자삽입공(13)에 정확히 일치시킨 상태에서 꽂아야 단자(21)가 단자삽입공(13)내로 삽입되므로, 특히 주변환경에 따라 어두운 장소나 야간에는 단자(21)와 단자삽입공(13)의 위치가 잘보이지 않아 플러그(20)를 용이하게 콘센트(10)에 꽂을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플러그를 보다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꽂을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콘센트 플러그삽입홈의 표면 양측에 단자삽입공으로 경사지는 만곡요홈을 형성하여, 플러그의 단자가 상기 만곡요홈을 따라 중앙으로 미끄러지면서 단자삽입공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 - 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0 : 콘센트 51 : 케이스
52 : 플러그삽입홈 53 : 단자삽입공
54 : 만곡요홈 55 : 유동방지홈
60 : 플러그 61 : 단자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51)상에 플러그 (60)가 끼워지는 플러그삽입홈(52)이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삽입홈(52)내의 양측으로 단자(61)가 끼워지는 단자삽입공(53)이 천공된 콘센트(5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삽입홈(52)의 표면 양측에 단자삽입공(53)으로 경사지게 깊어지는 만곡요홈(54)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한편, 플러그의 형상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 플러그의 경우에는 그 선단부가 플러그삽입홈(52)내로 끼워져 유동이 없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형성된 플러그(60)의 경우에는 유동이 발생하므로, 이때 본 고안에서는 양측 만곡요홈(54)의 사이 중앙부에 장방형 플러그(60)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유동방지홈(5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접속시 플러그(60)의 단자(61)을 플러그홈(52)의 표면에 가볍게 접촉시킨 상태에서 플러그(60)를 부드럽게 중앙부위로 약간의 힘을 가해 밀어서 이동시키거나 가볍게 돌리면 도 4에서와 같이 단자(61)가 만곡요홈 (54)의 경사면을 따라 중앙으로 회전하듯이 미끄러지면서 단자삽입공(53)으로 용이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특히 어두운 장소나 야간에 단자삽입공(53)이 잘 보이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와 방법으로 쉽게 플러그(60)를 콘센트(50)에 꽂을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양측 만곡요홈(54)의 사이 중앙부에 장방형 플러그(60)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유동방지홈(55)이 형성되므로 플러그(60)가 유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콘센트는 어두운 장소나 야간에도 플러그를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꽂을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케이스(51)상에 플러그(60)가 끼워지는 플러그삽입홈(52)이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삽입홈(52)내의 양측으로 단자(61)가 끼워지는 단자삽입공(53)이 천공된 콘센트(5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삽입홈(52)의 표면 양측에 단자삽입공(53)으로 경사지게 깊어지는 만곡요홈(54)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만곡요홈(54)의 사이 중앙부에는 장방형 플러그(60)의 선단이 끼워지는 유동방지홈(5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2020000002878U 2000-02-02 2000-02-02 콘센트 KR200189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878U KR200189082Y1 (ko) 2000-02-02 2000-02-02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878U KR200189082Y1 (ko) 2000-02-02 2000-02-02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082Y1 true KR200189082Y1 (ko) 2000-07-15

Family

ID=1964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878U KR200189082Y1 (ko) 2000-02-02 2000-02-02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08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11A (ko) * 2002-02-05 2002-04-04 김용호 쉬운 꽂음 콘센트
KR20020091971A (ko) * 2001-06-01 2002-12-11 봉오전자공업 주식회사 콘센트
KR101342621B1 (ko) 2012-12-28 2013-12-20 윤재준 미끌어져 들어가는 콘센트 및 플러그
KR101467495B1 (ko) * 2013-01-15 2014-12-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웃렛
KR101680513B1 (ko) * 2016-03-04 2016-12-02 안영신 전기 접속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971A (ko) * 2001-06-01 2002-12-11 봉오전자공업 주식회사 콘센트
KR20020025911A (ko) * 2002-02-05 2002-04-04 김용호 쉬운 꽂음 콘센트
KR101342621B1 (ko) 2012-12-28 2013-12-20 윤재준 미끌어져 들어가는 콘센트 및 플러그
KR101467495B1 (ko) * 2013-01-15 2014-12-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웃렛
KR101680513B1 (ko) * 2016-03-04 2016-12-02 안영신 전기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21308A3 (de) Steckverbinder für ein kompositkabel
WO2002063722A3 (de) Reisestecker-set
DE50205637D1 (de) Steckverbindung
US6544058B1 (en) Changeable plug base structure
CN219247035U (zh) 双口连接器
KR200189082Y1 (ko) 콘센트
WO2004054037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ystem
KR20010085637A (en) Plug connector
EP1204178A3 (de) Steckverbinder mit Schalter
KR20000015207A (ko) 안전 콘센트 및 플러그
ATE304231T1 (de) Steckvorrichtung
MY114171A (en) Receptacle contact used in an electrical connector
KR20020025911A (ko) 쉬운 꽂음 콘센트
KR200255359Y1 (ko) 콘센트
WO2000036709A3 (en) Electrical connectors
KR200210797Y1 (ko) 손잡이를 갖는 플러그
KR200231606Y1 (ko) 쉬운 꽂음 콘센트
KR200258744Y1 (ko) 쉬운 플러그
EP1198036A4 (en) SOCKET DEVICE
EP0930673A3 (de) Transformationseinrichtung und Steckeranordnung
KR20020091971A (ko) 콘센트
DE50209453D1 (de) Koaxiale Steckverbindung mit hörbarer Verrastung bei elektrischer Kontaktgabe
KR200198479Y1 (ko) 가동바 스위치가 뾰족한 안전콘센트
ES2185257T3 (es) Pieza de insercion para enchufar en una toma de corriente.
KR200296139Y1 (ko) 멀티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