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074B1 -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074B1
KR102521074B1 KR1020200154039A KR20200154039A KR102521074B1 KR 102521074 B1 KR102521074 B1 KR 102521074B1 KR 1020200154039 A KR1020200154039 A KR 1020200154039A KR 20200154039 A KR20200154039 A KR 20200154039A KR 102521074 B1 KR102521074 B1 KR 10252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cap
fitting groov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395A (ko
Inventor
한상돌
Original Assignee
한상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돌 filed Critical 한상돌
Priority to KR1020200154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0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연결잭들과 서로 끼워져 연결되는 DC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잭이 끼워지는 끼움홈을 갖는 전반부와 전선케이블이 납땜되는 후반부로 이루어진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둘레를 커버하고 전후 방향이 개방된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앞단에 끼워져 상기 전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전방 캡, 및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끼워져 상기 후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후방 캡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전반부의 앞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주변의 적어도 두 대향하는 부분이 일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상기 연결잭의 삽입에 대하여 일정한 탄성력로 밀착되도록 구성된 DC 플러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DC PLUG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제품용 DC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제품의 연결잭들과 서로 끼워져 연결되는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제품 또는 전열기구 등에 전원을 연결함에 있어 통상적으로는전기제품 또는 전열기구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잭을 전원의 DC 플러그에 삽입하여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연결잭을 전원의 DC 플러그에 삽입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구성의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0606780호가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DC 플러그는 하우징에서 단자부가 관형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DC 플러그는 연결잭이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완전히 압착되지 않을 경우 작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한 쪽으로 쏠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촉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잭의 단자부 표면을 다수의 절개된 볼록면으로 구성하여 DC 플러그의 내부에 압착되도록 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 사용상의 문제로 타 제조사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잭을 사용할 경우에는 여전히 접촉불량 문제를 막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된 것으로, DC 플러그에 연결잭이 삽입된 상태에서 완전히 압착되도록 하여 접촉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연결잭이 끼워지는 끼움홈을 갖는 전반부와 전선케이블이 납땜되는 후반부로 이루어진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둘레를 커버하고 전후 방향이 개방된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앞단에 끼워져 상기 전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전방 캡, 및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끼워져 상기 후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후방 캡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전반부의 앞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주변의 적어도 두 대향하는 부분이 일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상기 연결잭의 삽입에 대하여 일정한 탄성력로 밀착되도록 구성된 DC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전방 캡은 상기 전반부의 앞단이 거치되는 단턱을 가지고, 상기 전반부의 앞단은 상기 단턱에 거치되어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 형태를 가지며, 상기 후반부는 상기 후방 캡에 대하여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둘레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방 캡과 후방 캡 사이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 몰딩액이 투입되기 위한 일정한 크기의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간극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절개공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 표면에 일정한 형상의 사출물이 일체로 몰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잭은 상기 끼움홈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단자 핀의 표면이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상기 볼록한 표면의 둘레를 따라서는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특징들에 따르면, 발명은 DC 플러그에 연결잭이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완전히 압착되므로 접촉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DC 플러그와 연결잭 중 어느 하나를 다른 제조사 물품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더라도 DC 플러그와 연결잭 간에 항상 압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접촉불량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C 플러그 결합구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C 플러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DC 플러그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DC 플러그와 연결잭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DC 플러그와 연결잭의 결합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C 플러그 결합구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DC 플러그와 연결잭의 변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DC 플러그와 연결잭의 결합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연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걸쳐 동일 유사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C 플러그 결합구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C 플러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DC 플러그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DC 플러그와 연결잭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DC 플러그와 연결잭의 결합 단면도이다.
DC 플러그(100)는 전기제품 또는 전열기구 등의 연결잭(200, 도 3 참조)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여기서 연결잭(200)은 본체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원형의 단자 핀(210)을 가지며, DC 플러그(100)는 연결잭(200)의 단자 핀(210)이 삽입되는 끼움홈(141a)을 갖는 단자부(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C 플러그(100)는 단자부(140)를 보호하기 위하여 단자부(140)의 둘레에 이를 커버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전후 방향이 개방되고 단자부(140)의 삽입을 위해 내부가 통공(111)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원통형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앞단과 후단에는 내부의 통공(111)을 폐쇄함과 동시에 단자부(140)의 전후 부분을 지지하는 전방 캡(120)과 후방 캡(130)이 각각 결합된다.
단자부(140)는 끼움홈(141a)이 형성된 전반부(141)와 이 전반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전선케이블(미도시)이 납땜되는 후반부(14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반부(141)는 길이단을 따라 내부가 연결잭(200)의 단자 핀(210)이 삽입되는 끼움홈(141a)으로 이루어지고, 이 끼움홈(141a)의 주변으로 상기 전반부(141)의 앞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표면의 적어도 대향하는 두 부분이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구조(141b)를 갖는다. 이 절개부(141b)는 끼움홈(141a)이 연결잭(200)에 대하여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한 것으로, 연결잭(200)의 단자 핀(210)이 삽입될 때 끼움홈(141a)이 탄성에 의해 벌어지며 단자 핀(210)과 밀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절개부(141b)에 의해 형성되는 끼움홈(141a)의 직경은 연결잭(200)의 단자 핀(210)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앞단에 끼워지는 전방 캡(120)은 중앙이 단자부(140)의 전반부(141)가 관통하는 통공(121)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10)의 후단에 끼워지는 후방 캡(130)은 중앙이 단자부(140)의 후반부(142)가 관통하는 통공(131)으로 이루어진다. 전방 캡(120)의 헤드부(122)는 내부에 단자부(140)의 일부, 즉 전반부(141)의 앞단(141c)이 거치되는 단턱(122a)을 가지며, 이에 대응하여 전반부(141)의 앞단(141c)은 상기 단턱(122c)에 거치되어 밀착되도록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단턱(122a)과 전반부(141)의 앞단(141c)은 대체로 경사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부(140)의 후반부(142)는 전선케이블(미도시)의 납땜을 위해 후방 캡(130)을 관통하여 일부가 DC 플러그(100)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단자부(140)의 후반부(142)는 그 둘레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4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142a)들은 후방 캡(130)의 통공(131)에 부드럽게 끼워지고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걸림돌기(142a)들은 DC 플러그(100)의 후방측으로 완만하고 미세하게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갖추어 후방 캡(130)의 통공(131) 표면에 파고들어 안정적인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의 DC 플러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는데, 하우징(110)의 앞단과 후단에 각각 전방 캡(120)과 후방 캡(130)이 끼워져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전방 캡(120)의 통공(121)을 통해 단자부(140)가 삽입된다. 이때, 단자부(140)의 전반부(141)는 전방 캡(120)의 통공(121)을 통과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되고, 단자부(140)의 후반부(142)는 하우징(110) 내부를 관통하여 후방 캡(130)의 통공(131) 표면에 일부가 걸림된 상태로 후방 캡(130)의 외부로 인출되어 전선케이블(미도시)이 납땜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단자부(140)의 끼움홈(141a)이 연결잭(200)의 단자 핀(210)에 대하여 일정한 탄성을 갖고 밀착되도록 전반부(141)의 앞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절개부(141b)가 형성된 것으로서, 단자부(140)를 하우징(110)에 고정하고 하우징(110)의 앞단과 후단을 밀폐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10)의 양 단부에 전방 캡(120) 및 후방 캡(130)과 같은 캡 형상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하우징의 양 단부를 캡 구조물이 아닌 몰딩 방식에 의해 막을 경우 몰딩액이 하우징 내부로 스며들면서 절개부(141b)의 전체를 감싸게 되어 결국 연결잭(200)에 대한 탄성 작용이 소멸되고, 그로 인해 DC 플러그(100)와 연결잭(200) 간에 압착이 불가능하게 되어 접촉불량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DC 플러그의 하우징 표면에 일정한 형상의 사출물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DC 플러그와 사출물을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DC 플러그의 하우징 표면에 일정한 형상의 사출물을 설치하기 위해, 먼저 별도의 사출물을 성형한 후 이 사물물을 DC 플러그의 하우징 표면에 끼워 결합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는데, 이 경우 사출물과 하우징 간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사출물과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회전을 일으킬 수 있어 전기제품 또는 전열기구 등에서의 설치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우징 표면에 소정의 회전방지돌기나 별도의 회전방지부재를 결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도 있지만, 이는 원가상승 및 작업공수 증가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DC 플러그(100)의 전방 캡(120)과 후방 캡(130) 사이의 하우징(110) 내부에 몰딩액이 투입되기 위한 일정한 크기의 간극(111a)을 제공하고, 또한 하우징(110)의 표면에는 이 간극(111a)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절개공(112)을 형성하여 하우징(110) 표면에 직접 사출물(T)을 몰딩함으로써 상기 절개공(112)을 통해 삽입된 사출물(T)의 일부가 하우징(110)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DC 플러그(100)의 외부에 사출물(T)을 형성하는 동안 몰딩액의 일부가 절개공(112)을 통해 간극(111a) 안으로 삽입됨으로써 DC 플러그(100)를 사출물(T)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도 3 참조).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C 플러그 결합구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DC 플러그와 연결잭의 변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DC 플러그와 연결잭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DC 플러그(100')는 연결잭(200')의 단자 핀(210)이 삽입되는 끼움홈(141a)을 갖는 단자부(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기서 DC 플러그(100')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다만 단자부(140')의 전반부(141)에 형성되는 끼움홈(141a)의 주변이 둘 이상의 부분으로 절개된 형태가 아닌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단자부(140')는 전반부(141)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연결잭(200)의 단자 핀(210)이 삽입되는 일정한 깊이의 끼움홈(141a)을 갖는 것으로, 전반부(141)는 끼움홈(141a)의 앞단이 전방 캡(120)의 내부에 거치되어 지지된 상태로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고, 단자부(140)의 후반부(142)는 전선케이블(미도시)의 납땜을 위해 후방 캡(130)을 관통하여 일부가 DC 플러그(100)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연결잭(200')의 단자 핀(210)은 단자부(140')의 끼움홈(141a)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단자 핀(210)은 표면을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이 볼록한 표면의 둘레를 따라서는 다수의 절개부(211)를 형성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잭(200')의 단자 핀(21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부(140')의 끼움홈(141a)에 삽입되어 모아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갖게 되며, 이러한 탄성력은 단자 핀(210)과 끼움홈(141a)의 밀착력을 높여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며,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동일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물의 많은 변화, 수정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연결잭이 끼워지는 끼움홈을 갖는 전반부와 전선케이블이 납땜되는 후반부로 이루어진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둘레를 커버하고 전후 방향이 개방된 중공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앞단에 끼워져 상기 전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전방 캡, 및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끼워져 상기 후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후방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캡과 후방 캡 사이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 몰딩액이 투입되기 위한 일정한 크기의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간극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절개공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 표면에 일정한 형상의 사출물이 일체로 몰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전반부의 앞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주변의 적어도 두 대향하는 부분이 일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상기 연결잭의 삽입에 대하여 일정한 탄성력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플러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캡은 상기 전반부의 앞단이 거치되는 단턱을 가지고, 상기 전반부의 앞단은 상기 단턱에 거치되어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 형태를 가지며, 상기 후반부는 상기 후방 캡에 대하여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둘레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플러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잭은 상기 끼움홈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단자 핀의 표면이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상기 볼록한 표면의 둘레를 따라서는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플러그.
KR1020200154039A 2020-11-17 2020-11-17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 KR102521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039A KR102521074B1 (ko) 2020-11-17 2020-11-17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039A KR102521074B1 (ko) 2020-11-17 2020-11-17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395A KR20220067395A (ko) 2022-05-24
KR102521074B1 true KR102521074B1 (ko) 2023-04-13

Family

ID=8180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039A KR102521074B1 (ko) 2020-11-17 2020-11-17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0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818Y1 (ko) * 2000-10-02 2001-04-02 손기철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JP2002260792A (ja) * 2001-02-28 2002-09-13 Harting Automotive Gmbh & Co Kg 差込みコネクタ
KR200357975Y1 (ko) * 2004-04-19 2004-08-02 손기철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17B1 (ko) * 2009-04-21 2011-06-23 손기철 전원공급용 접속 잭
KR20150017635A (ko) * 2013-08-07 2015-02-17 주식회사 나누텍 연결용 컨넥터와 그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818Y1 (ko) * 2000-10-02 2001-04-02 손기철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JP2002260792A (ja) * 2001-02-28 2002-09-13 Harting Automotive Gmbh & Co Kg 差込みコネクタ
KR200357975Y1 (ko) * 2004-04-19 2004-08-02 손기철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395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0068B2 (en) Plug-in connector with a bushing
US4776813A (en) Sealed connector assembly
US4990103A (en) Plug with cord
EP0704940B1 (en) Ground structure for shield wire and method for grounding wire
US4993964A (en) Electrical connector environmental sealing plug
US5352126A (en) Shielded connector
WO2011105456A1 (ja) プラグキャップ
JP3775709B2 (ja) 端子金具
US5975939A (en) Twist termination connector
KR940008038B1 (ko) 와이어 밀봉체
US5681186A (en) Connector module, connector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KR102521074B1 (ko) Dc 플러그 및 dc 플러그 결합구조
US20080076303A1 (en) Electrical connector
CA305662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astic latch integrated into contact cavity
JPH0741108Y2 (ja) ピンプラグ
KR101413432B1 (ko)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JP3140343B2 (ja) コネクタ装置
EP0843385A2 (en) Plug connection for high-voltage cable
US5376023A (en) Electric connector
CN218070252U (zh) 导电端子、端子组件和连接器
KR200160485Y1 (ko) 전기플러그
US813306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tubular contact pin plugged at open end
KR102410363B1 (ko)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JPS5936869Y2 (ja) プツシユプルロツク式電気コネクタ
JPH097704A (ja)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