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432B1 -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432B1
KR101413432B1 KR1020130025999A KR20130025999A KR101413432B1 KR 101413432 B1 KR101413432 B1 KR 101413432B1 KR 1020130025999 A KR1020130025999 A KR 1020130025999A KR 20130025999 A KR20130025999 A KR 20130025999A KR 101413432 B1 KR101413432 B1 KR 101413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contact ring
female termina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임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025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메일 단자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관상의 피메일 단자와; 상기 피메일 단자의 전단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피메일 단자의 전방에 구비되는 컨택트 링과; 상기 컨택트 링이 상기 피메일 단자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 외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메일 단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 형성된 컨택트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ROUND TERMINAL ASSEMBLY}
본 발명은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라운드 터미널의 내부에 컨택트 링을 조립시에 별도의 컨택트 캡을 이용하여 컨택트 링이 라운드 터미널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컨택트 링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의 종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라운드 터미널은 내부에 중공(11)이 형성되어 중공(11)에 메일 단자(미도시)가 삽입되는 피메일 단자(10)와, 피메일 단자(10) 단부의 중공(11)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일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메일 단자가 임의로 피메일 단자(1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컨택트 링(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메일 단자(10)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중앙 영역에 메일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11)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11)의 길이는 피메일 단자(10)에 삽입되는 메일 단자의 단부 길이보다는 적어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메일 단자(10)에 형성된 중공(11)의 직경은 메일 단자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다소 크게 형성되어 압입에 의하여 메일 단자의 단부가 피메일 단자(10)의 중공(11)에 삽입되도록 한다.
피메일 단자(10)의 단부는 중공(11)에 삽입된 형태로 구비되는 컨택트 링(20)이 피메일 단자(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부(12)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피메일 단자(10)의 단부에 중공(11)을 향하여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된 단턱부(12)를 구비하여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10)에서 이탈시에 컨택드 링(20)이 단턱부(12)에 걸림으로써 컨택트 링(20)이 피메일 단자(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피메일 단자(10) 단부의 중공(11) 내면에 구비된 컨택트 링(20)은 피메일 단자(10)의 중공(11)에 메일 단자가 삽입시에 메일 단자의 외주면과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력을 높임과 동시에 메일 단자가 피메일 단자(10)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컨택트 링(20)은 중심에 삽입공(21)이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을 형성하는 측면은 내측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택트 링(20)의 측면에는 미세한 슬릿이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10)에 체결시에 메일 단자의 외면과 체결되는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에 있어서는, 컨택트 링(20)을 피메일 단자(10) 단부의 중공(11)에 설치시에 컨택트 링(20)을 강제 삽입하는 방식에 의하여 피메일 단자(10)의 단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에서 컨택트 링(20)의 변형이 발생하여 피메일 단자(10)와 메일 단자 상호 간의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적인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택트 링(20)의 변형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에는 피메일 단자(10) 측으로 메일 단자를 삽입하지 못하거나 혹은 메일 단자가 피메일 단자(1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지 않아 불량이 발생하면 전류가 흐를 경우에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컨택트 링(20)이 변형되어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교체에 어려움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라운드 터미널의 내부에 컨택트 링을 조립시에 별도의 컨택트 캡을 이용하여 컨택트 링이 라운드 터미널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컨택트 링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는, 메일 단자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관상의 피메일 단자와; 상기 피메일 단자의 전단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피메일 단자의 전방에 구비되는 컨택트 링과; 상기 컨택트 링이 상기 피메일 단자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 외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메일 단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 형성된 컨택트 캡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택트 캡의 일단부에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전방에 배치된 컨택트 링이 상기 컨택트 캡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택트 캡은 압입 방식에 의하여 피메일 단자의 단부 외주면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 캡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단자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컨택트 캡은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택트 링은 상기 피메일 단자에 삽입되는 메일 단자의 외면과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컨택트 링의 측면은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택트 링의 측면에는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 측면 일부가 절개된 형성된 슬릿이 상기 컨택트 링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 링의 전방이나 또는 후방에는 별도의 원형스프링이 상기 컨택트 링과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라운드 터미널의 내부에 컨택트 링을 조립시에 별도의 컨택트 캡을 이용하여 컨택트 링이 라운드 터미널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컨택트 링이 손상됨을 방지함으로써 피메일 단자와 메일 단자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피메일 단자에 삽입된 메일 단자가 임의로 피메일 단자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컨택트 링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컨택트 링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의 종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의 종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의 종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의 종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의 종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는, 메일 단자(미도시)가 삽입되는 중공(110)이 형성된 관상의 피메일 단자(100)와, 피메일 단자(100)의 전단과 접촉된 상태로 피메일 단자(100)의 전방에 구비되는 컨택트 링(200)과, 컨택트 링(200)이 피메일 단자(100)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피메일 단자(100)의 단부 외주면에 삽입되며 메일 단자(미도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 형성된 컨택트 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메일 단자(100)는 메일 단자와의 결합에 의하여 상호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와이어와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나 혹은 전원 등을 특정한 전자기기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피메일 단자(100)의 중심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메일 단자(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공(110)이 구비되어 있는데, 중공(110)의 직경은 피메일 단자(100)에 삽입되는 상기 메일 단자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100)에 삽입시에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100)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메일 단자가 피메일 단자(10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피메일 단자(100)의 단부 내주면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피메일 단자(100)에 컨택트 링(200)과 컨택트 캡(300)을 조립시에 컨택트 링(200)의 일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를 조립시에 피메일 단자(100)를 세운 상태에서 컨택트 링(200)이 안착홈(미도시)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컨택트 링(200)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컨택트 캡(300)을 피메일 단자(10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컨택트 링(200)은 피메일 단자(100)의 중공(110)에 메일 단자가 삽입시에 메일 단자의 외주면과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력을 높임과 동시에 메일 단자가 피메일 단자(100)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컨택트 링(200)은 중심에 삽입공(210)이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을 형성하는 측면은 내측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택트 링(200)의 측면에는 미세한 슬릿(220)이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100)에 체결시에 메일 단자의 외면과 체결되는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슬릿(220)은 컨택트 링(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측면 일부가 절개된 형성되며, 컨택트 링(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택트 캡(300)의 일단부에는 피메일 단자(100)의 전방에 배치된 컨택트 링(200)이 컨택트 캡(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택트 캡(300)의 직경은 압입 방식에 의하여 피메일 단자(100)의 단부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피메일 단자(100)의 외경과 유사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임의로 컨택트 캡(300)이 피메일 단자(100)의 외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컨택트 캡(300)의 길이는 적어도 컨택트 링(200)을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피메일 단자(100)와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도록 피메일 단자(100)의 외면과 접촉되는 컨택트 캡(300) 내면의 면적이 넓을 수록 효과적이다.
이러한 컨택트 캡(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압입 방식에 의하여 피메일 단자(100)의 외면에 체결될 수도 있지만, 컨택트 캡(300)의 내경을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피메일 단자(100)의 외면에 꽉 맞물리도록 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하여 피메일 단자(100)의 외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컨택트 캡(300)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320)이 형성되고, 피메일 단자(100)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320)과 맞물리는 제2나사산(1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컨택트 링(200)의 높이와 동일한 정도의 컨택트 캡(300)의 단부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320)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제1나사산(320)과 맞물리는 피메일 단자(100)의 외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120)의 형성 길이는 적어도 피메일 단자(100)보다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컨택트 캡(300)이 피메일 단자(100)의 외면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 컨택트 링(200)의 유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과도한 힘으로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100)에 결합시에 컨택트 링(200)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컨택트 링(200)의 전방이나 또는 후방에는 별도의 원형스프링(미도시)이 컨택트 링(200)과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를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에서 피메일 단자(100)의 단부에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된 경우에는 피메일 단자(100)를 세운 상태에서 컨택트 링(200)의 일단부가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택트 캡(300)을 피메일 단자(100)의 단부에 삽입하고, 컨택트 캡(300)에 형성된 단턱부(310)가 컨택트 링(200)과 접촉될 때까지 컨택트 캡(300)을 삽입하면 라운트 터미널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피메일 단자(100)의 단부에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컨택트 캡(300)을 세운 상태에서 컨택트 캡(300)의 내면에 컨택트 링(200)을 삽입하여 컨택트 링(200)이 단턱부(310)와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피메일 단자(100)를 컨택트 캡(300)에 삽입하여 컨택트 링(200)의 일단부와 피메일 단자(100)가 접촉될 수 있을 정도까지 피메일 단자(100)를 컨택트 캡(300) 측으로 인입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에서 피메일 단자(100)의 단부에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된 경우에는 피메일 단자(100)를 세운 상태에서 컨택트 링(200)의 일단부가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택트 캡(300)을 피메일 단자(100)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한 후에 회전시키게 되면 제1나사산(320)과 제2나사산(120)이 상호 맞물리면서 컨택트 캡(300)과 피메일 단자(100)의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라운트 터미널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피메일 단자(100)의 단부에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컨택트 캡(300)을 세운 상태에서 컨택트 캡(300)의 내면에 컨택트 링(200)을 삽입하여 컨택트 링(200)이 단턱부(310)와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피메일 단자(100)를 컨택크 캡(300)에 삽입하고 회전시키게 되면 제1나사산(320)과 제2나사산(120)이 상호 맞물리면서 컨택트 캡(300)과 피메일 단자(100)의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라운트 터미널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피메일 단자 110 : 중공
120 : 제2나사산 200 : 컨택트 링
210 : 삽입공 220 : 슬릿
300 : 컨택트 캡 310 : 단턱부
320 : 제1나사산

Claims (7)

  1. 메일 단자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관상의 피메일 단자와;
    상기 피메일 단자의 전단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피메일 단자의 전방에 구비되는 컨택트 링과;
    상기 컨택트 링이 상기 피메일 단자의 전방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 외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메일 단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 형성된 컨택트 캡을; 포함하며,
    상기 컨택트 링의 전방이나 또는 후방에는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피메일 단자에 삽입시에 상기 컨택트 링의 유동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원형스프링이 상기 컨택트 링과 접촉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캡의 일단부에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전방에 배치된 컨택트 링이 상기 컨택트 캡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캡은 압입 방식에 의하여 피메일 단자의 단부 외주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캡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단자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컨택트 캡은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링은 상기 피메일 단자에 삽입되는 메일 단자의 외면과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컨택트 링의 측면은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링의 측면에는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높이 방향을 따라 측면 일부가 절개된 형성된 슬릿이 상기 컨택트 링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7. 삭제
KR1020130025999A 2013-03-12 2013-03-12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KR101413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999A KR101413432B1 (ko) 2013-03-12 2013-03-12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999A KR101413432B1 (ko) 2013-03-12 2013-03-12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432B1 true KR101413432B1 (ko) 2014-07-01

Family

ID=5174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999A KR101413432B1 (ko) 2013-03-12 2013-03-12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4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6208A (zh) * 2018-05-18 2018-11-02 深圳市拙愚科技有限公司 一种可更换的大电流插孔接触件及其加工工艺
KR20230019335A (ko) 2021-07-30 2023-02-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피메일 터미널 조립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488A (ja) * 1994-07-19 1996-02-02 Yazaki Corp 端 子
US20030077950A1 (en) 2001-10-18 2003-04-24 Swearingen Dean D. Electrical connector grid anch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8519424A (ja) 2004-11-09 2008-06-05 リッタル アールイーエス エレクトロニック システム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接続ピンと薄板製構成部材との間の電気的な接続のための装置
KR20100085853A (ko) * 2009-01-20 2010-07-29 오데우 슈테크페르빈둥스시스테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고온 환경을 위한 전기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488A (ja) * 1994-07-19 1996-02-02 Yazaki Corp 端 子
US20030077950A1 (en) 2001-10-18 2003-04-24 Swearingen Dean D. Electrical connector grid anch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8519424A (ja) 2004-11-09 2008-06-05 リッタル アールイーエス エレクトロニック システム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接続ピンと薄板製構成部材との間の電気的な接続のための装置
KR20100085853A (ko) * 2009-01-20 2010-07-29 오데우 슈테크페르빈둥스시스테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고온 환경을 위한 전기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6208A (zh) * 2018-05-18 2018-11-02 深圳市拙愚科技有限公司 一种可更换的大电流插孔接触件及其加工工艺
KR20230019335A (ko) 2021-07-30 2023-02-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피메일 터미널 조립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5840B1 (en) Electric connector
US9356377B2 (en) Electrically conducting terminal
US10811821B2 (en) Connector device
US20150027464A1 (en) Electronic cigarette
US20100210149A1 (en) Conductive terminal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with the conductive terminal assembly
US7658657B1 (en) Single-pol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teel retaining spring
US11527859B2 (en) Splice assembly and brush for same
US9543713B2 (en) Vehicle-side connector with a relay-circuit unit
US9331435B2 (en) Connector with electronic component
US20140329396A1 (en) Pin terminal
CN107732497B (zh) 连接器
KR20130126463A (ko) 자동차 점화 장치
KR101413432B1 (ko)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WO2015029731A1 (ja) コネクタ
JP2014154377A (ja) 充電コネクタ
KR100767265B1 (ko) 전기 접속 커넥터
KR101744471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커넥터의 터미널
CN110061381B (zh) 同轴连接器
US6007360A (en) Guide socket of electrical connector
US20180062281A1 (en) Plug connector for making solder-free contact with a coaxial cable
JP2009059569A (ja) 差込みプラグ
WO2019035332A1 (ja) コネクタ
JP6857599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651398B1 (ko) 고주파용 동축 커넥터
JP7301944B2 (ja) バスバーに取り付けるバスバーコンタクト、およびバスバーコンタクトを取り付け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