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960A -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960A
KR20190000960A KR1020170079838A KR20170079838A KR20190000960A KR 20190000960 A KR20190000960 A KR 20190000960A KR 1020170079838 A KR1020170079838 A KR 1020170079838A KR 20170079838 A KR20170079838 A KR 20170079838A KR 20190000960 A KR20190000960 A KR 20190000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ecorative
decorative print
pattern
prin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406B1 (ko
Inventor
김민수
왕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406B1/ko
Priority to US15/842,634 priority patent/US11554571B2/en
Priority to CN201810257819.4A priority patent/CN109109391A/zh
Publication of KR2019000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장식 인쇄 부재는 기재층, 기재층 상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 패턴, 제1 장식 인쇄 패턴 상에 배치된 차폐층을 포함하되, 제1 장식 인쇄 패턴은 기재층 상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층, 및 제1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된 제2 장식 인쇄층을 포함하고, 차폐층은 제2 장식 인쇄층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제1 장식 인쇄층의 측면은 제2 장식 인쇄층의 측면 및 차폐층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Description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RINTED DECOR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식 인쇄 부재는 색상이나 무늬를 나타내는 부재로서, 표시 장치의 윈도우에 적용되어 비표시 영역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고, 심미감을 부여한다. 그 밖에도 장식 인쇄 부재는 창문, 벽지, 가구 등의 인테리어 소품, 간판, 현수막 등의 광고 용품 및 냉장고, 전자레인지 등의 전자 제품 등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장식 인쇄 부재의 주로 기재 상에 데코레이션 잉크를 코팅하여 형성되는데, 외부 충격을 받으면 데코레이션 잉크층이 엣지로부터 탈락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심미감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표시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착 안정성이 개선된 장식 인쇄 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장식 인쇄층의 접착 안정성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 패턴, 상기 제1 장식 인쇄 패턴 상에 배치된 차폐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장식 인쇄 패턴은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층, 및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된 제2 장식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측면 및 상기 차폐층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기재층의 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차폐층의 폭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폭보다는 작고,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폭보다는 클 수 있다.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제2 장식 인쇄층 및 상기 차폐층은 각각 외측면 및 내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외측면 및 상기 내측면을 덮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외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외측면 및 상기 차폐층의 상기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차폐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장식 인쇄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폐층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차폐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 할 수 있다.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서 표시된 영상을 투과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투명 기판,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 패턴 및 상기 제1 장식 인쇄 패턴 상에 배치된 차폐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식 인쇄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층, 및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된 제2 장식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면 및 외측면을 덮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외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외측면 및 상기 차폐층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투명 기판의 외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차폐층의 폭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내측면을 덮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내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차폐층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차폐층의 상면 중 일부 및 상기 차폐층의 내측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면 및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 장식 인쇄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은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차폐층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차폐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은 반사율이 높은 메탈 계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은 반사율이 높은 메탈 계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층의 내구성은 상기 제1 장식 인쇄 패턴의 내구성보다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장식 인쇄 부재의 접착 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장식 인쇄층이 탈락될 가능성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장식 인쇄층의 외광 반사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인식 오류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VII-V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XI-X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윈도우 영역(A)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영역(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영역(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영역(A)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식 인쇄 부재(10)는 기재층(100), 기재층(100) 상에 형성된 제1 장식 인쇄 패턴(200) 및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을 커버하는 차폐층(300)을 포함한다.
기재층(1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용되는 대상 등에 따라 원 또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띠 형상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폐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층(100)이 사각형의 면 타입인 경우를 예시한다.
기재층(10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100)의 일면(100a)에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이 배치된 경우, 기재층(100)의 타면(100b) 측에서 기재층(100)을 통하여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을 시인할 수 있는 정도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기재층(100)은 예를 들어, 투명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을 지지하고,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이 인식되기에 충분한 투과율을 가진다면 기재층(100)의 종류에 제한이 없다.
기재층(100)의 일면(100a) 상에는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이 배치된다.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은 기재층(100) 상에 직접 인쇄되어 형성되거나, 필름 시트로 제작된 후 접착층 등을 통해 기재층(10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은 기재층(100) 상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이 면 형상의 기재층(100)을 대부분 채우는 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의 측면(200S) 중 적어도 일부는 기재층(100)의 측면(100S)에 정렬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의 측면(200S)은 적층된 복수의 층 중 최대 돌출된 부분들을 연결한 것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의 측면(200S)은 기재층(10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의 측면(200S)을 기준으로 기재층(100)의 측면(100S)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은 흰색(white), 회색(gray), 검정색(black)의 무채색 계열 또는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 등의 유채색 계열으로 표현될 수 있다. 나아가, 도 3과 같이, 장식 인쇄 부재(10_1)의 제1 장식 인쇄 패턴(200_1)은 나무 무늬를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메탈 질감 등의 다양한 무늬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장식 인쇄 패턴(200, 200_1)은 장식 인쇄 부재(10, 10_1)에 색상 및 다양한 질감을 부여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은 적층된 복수의 장식 인쇄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은 제1 장식 인쇄층(201) 및 제2 장식 인쇄층(20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 이상의 장식 인쇄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장식 인쇄층(201, 202)은 동일한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색의 복수의 장식 인쇄층(201, 202)이 적층될 경우, 더욱 명료한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2도 인쇄를 하는 경우 동일 색의 2개의 장식 인쇄층을 적층시키는데, 이것은 하나의 장식 인쇄층을 배치시키는 1도 인쇄보다 더욱 명료한 색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3도 인쇄를 하는 경우에는 동일 색의 3개의 장식 인쇄층을 적층시킬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은 서로 다른 색의 장식 인쇄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식 인쇄층(201)이 분홍색인 경우, 제2 장식 인쇄층(202)은 흰색으로 형성하여 제1 장식 인쇄층(201)이 더욱 명료하게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각 장식 인쇄층(201, 202)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장식 인쇄층(201, 202)은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재층(100)의 타면(100b) 측에서 기재층(100)을 통하여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을 바라볼 때, 목적하는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 장식 인쇄층(201, 202)은 최적의 두께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201)은 기재층(100)의 일면(100a) 상에 배치된다. 기재층(100)의 타면(100b)에서 바라볼 때, 기재층(100)을 통해 제1 장식 인쇄층(201)이 시인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201)은 기재층(100)의 일면(100a)에 직접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기재층(100)과 제1 장식 인쇄층(201) 사이에 접착 부재(미도시) 또는 프라이머(미도시) 등의 다양한 부재가 개재될 수도 있다.
제1 장식 인쇄층(201)의 측면(201S)은 기재층(100)의 측면(100S)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장식 인쇄층(201)의 적어도 일부의 측면이 기재층(100)의 측면과 정렬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제1 장식 인쇄층(201)이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측면(201S)을 포함하는 경우, 일 측면(201S)은 그에 대응하는 기재층(100)의 측면(100S)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타 측면(201S)은 그에 대응하는 기재층(100)의 측면(100S)에 정렬될 수 있다.
제2 장식 인쇄층(202)은 제1 장식 인쇄층(201) 상에 배치된다. 제2 장식 인쇄층(202)은 제1 장식 인쇄층(201)과 대체로 중첩하며, 제1 장식 인쇄층(20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 장식 인쇄층(202)의 각 측면(202S)은 그에 대응하는 제1 장식 인쇄층(201)의 각 측면(201S)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장식 인쇄층(202)의 측면(202S)은 제1 장식 인쇄층(201)의 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장식 인쇄층(201)의 측면은 제2 장식 인쇄층(202)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장식 인쇄층(201)은 제2 장식 인쇄층(202)과 중첩하는 영역과 비중첩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201)의 폭은 제2 장식 인쇄층(202)의 폭보다 크며,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의 측면은 전반적으로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층(100)의 측면(100S)을 기준으로, 제2 장식 인쇄층(202)의 측면(202S)의 수평 이격거리는 제1 장식 인쇄층(201)의 측면(201S)의 수평 이격거리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장식 인쇄층(202)의 측면(202S)과 기재층(100)의 측면(100S) 사이의 수평 이격거리는 약 0.10mm이고, 제1 장식 인쇄층(201)의 측면(201S)과 기재층(100)의 측면(101S) 사이의 수평 이격거리는 0.5mm 일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의 측면(200S)은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기재층(100)의 타면(100b)을 통해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을 바라보았을 때, 제2 장식 인쇄층(202)은 직접적으로 시인되지 않고 제1 장식 인쇄층(201)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시인될 수 있다. 기재층(100)의 타면(100b)에서 장식 인쇄 부재(10)를 바라보는 경우, 제1 장식 인쇄층(201)과 제2 장식 인쇄층(202)이 중첩된 영역과 제1 장식 인쇄층(201)만 형성된 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201)과 제2 장식 인쇄층(202)이 중첩되는 영역은 비중첩 영역보다 더 진한 색으로 보일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200) 상에는 차폐층(300)이 배치된다. 차폐층(300)은 기재층(100)의 일면(100a)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사전에 흡수하여, 입사광이 제1 장식 인쇄 패턴(200)과 기재층(100)을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장식 인쇄 부재(10)의 일면 측으로부터 다양한 파장의 빛이 입사되더라도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이 나타내는 색상에 영향을 주지 않아, 원래의 색을 유지할 수 있다.
차폐층(300)은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폐층(300)은 제2 장식 인쇄층(202)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고,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 장식 인쇄층(202)의 측면(202S)을 커버한다. 제2 장식 인쇄층(202)의 상면 및 측면(202S)은 차폐층(300)에 의하여 완전히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재층(100)의 일면(100a)에서 바라볼 때, 제2 장식 인쇄층(202)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차폐층(300)은 제1 장식 인쇄층(201)을 완전히 덮지는 않고, 제1 장식 인쇄층(201)의 상면 일부를 노출한다. 즉, 차폐층(300)의 측면(300S)은 제2 장식 인쇄층(202)의 측면(202S)으로부터 돌출된 제1 장식 인쇄층(201)의 상면 상에 위치한다. 차폐층(300)의 폭은 제1 장식 인쇄층(201)의 폭보다 작고, 차폐층(300)의 측면(300S)을 기준으로 제1 장식 인쇄층(201)의 측면(201S)은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기재층(100)의 타면(100b) 측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차폐층(300)은 제1 장식 인쇄층(201)에 의해 가리워져 직접적으로 시인되지 않는다. 즉, 기재층(100)의 타면(100b)에서는 차폐층(300)이 직접 보이지 않고 제1 장식 인쇄 패턴(200)이 나타내려는 색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차폐층(300)은 제2 장식 인쇄층(202)에 비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료 대비 수지의 비율을 높여 차폐층(300)을 제조할 수 있다. 수지의 비율이 증가하면 강도 및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낮은 제2 장식 인쇄층(202)이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차폐층(300)이 제2 장식 인쇄층(202)의 상면과 측면(202S)을 완전히 커버하여 보호하게 되면, 제2 장식 인쇄층(202)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차폐층(300) 자체는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탈락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장식 인쇄층(202)의 접합 안정성를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식 인쇄 부재(10_2)의 제1 장식 인쇄 패턴(200_2)은 제1 장식 인쇄층(201_2), 제2 장식 인쇄층(202_2) 및 제3 장식 인쇄층(203_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장식 인쇄층(203_2)은 제2 장식 인쇄층(202_2) 상에 배치된다. 즉, 제2 장식 인쇄층(202_2)은 제1 장식 인쇄층(201_2)과 제3 장식 인쇄층(203_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장식 인쇄층(203_2)이 추가되어도, 제1 장식 인쇄 패턴(200_2)의 측면은 전반적으로 계단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제3 장식 인쇄층(203_2)의 측면(203_2S)은 제2 장식 인쇄층(202_2)의 측면(202_2S)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장식 인쇄층(202_2)의 측면(202_2S)은 제3 장식 인쇄층(203_2)의 측면(203_2S)보다는 외측에 위치하나, 제1 장식 인쇄층(201_2)의 측면(201_2S)보다는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200_2) 상에는 차폐층(300_2)이 배치된다. 차폐층(300_2)은 제3 장식 인쇄층(203_2)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고,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3 장식 인쇄층(203_2)의 측면(203_2S)을 커버한다. 나아가, 차폐층(300_2)은 제3 장식 인쇄층(203_2)의 측면(203_2S)으로부터 돌출된 제2 장식 인쇄층(202_2)의 상면을 커버한다. 차폐층(300_2)은 제1 장식 인쇄층(201_2)을 완전히 덮지는 않고, 제1 장식 인쇄층(201_2)의 상면 일부를 노출한다. 즉, 차폐층(300_2)의 측면(300_2S)은 제2 장식 인쇄층(200_2)의 측면(200_2S)으로부터 돌출된 제1 장식 인쇄층(201_2)의 상면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3 장식 인쇄층(203_2)의 상면 및 측면(203_2S)은 차폐층(300_2)에 의하여 완전히 커버되며, 제2 장식 인쇄층(202_2)의 상면 및 측면(202_S)은 제3 장식 인쇄층(203_2) 및 차폐층(300_2)에 의하여 완전히 커버될 수 있다. 그 결과, 기재층(100_2)의 일면(100a_2)에서 바라볼 때, 제2 장식 인쇄층(202_2) 및 제3 장식 인쇄층(203_2)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층(100_2)의 타면(100b_2)에서 바라볼 때, 제2 장식 인쇄층(202_2), 제3 장식 인쇄층(203_2) 및 차폐층(300_2)은 직접적으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VII-V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장식 인쇄 부재(11)의 제1 장식 인쇄 패턴(210)과 차폐층(310)이 라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장식 인쇄 패턴(210)과 차폐층(310)은 라인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평면도 상에서 가운데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라인 패턴 형상의 제1 장식 인쇄 패턴(210)의 폭 방향 양쪽 측면은 기재층(110)의 중심부에 가까운 내측 엣지(210IS)와 기재층(110)의 측면에 가까운 외측 엣지(210OS)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제1 장식 인쇄 패턴(210)의 폭, 다시 말하면 내측 엣지(210IS)와 외측 엣지(210OS)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장식 인쇄 패턴(210)의 폭은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장식 인쇄 패턴(210)의 내측 엣지(210IS)가 제1 장식 인쇄 패턴(210)의 외측 엣지(210OS)와 대칭되는 형상인 경우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장식 인쇄 패턴(210)의 외측 엣지(210OS)와 내측 엣지(210IS)는 전반적으로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장식 인쇄층(212)의 내측면(212IS)과 외측면(212OS)은 각각 제1 장식 인쇄층(21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장식 인쇄층(212)을 기준으로, 제1 장식 인쇄층(211)의 내측면(211IS)은 제2 장식 인쇄층(212)의 내측면(212IS)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제1 장식 인쇄층(211)의 외측면(211OS)은 제2 장식 인쇄층(212)의 외측면(212OS)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장식 인쇄층(211)의 폭, 즉 내측면(211IS)과 외측면(211OS) 사이의 거리는 제2 장식 인쇄층(212)의 폭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장식 인쇄층(211)은 제2 장식 인쇄층(212)과 중첩하는 영역과 비중첩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차폐층(310)은 제2 장식 인쇄층(212)의 상면 및 양 측면(212IS, 212OS)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즉, 차폐층(310)의 내측면(310IS)은 제2 장식 인쇄층(212)의 내측면(212IS)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외측면(310OS)은 제2 장식 인쇄층(212)의 외측면(212OS)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층(110)의 타면(110b)에서 제2 장식 인쇄층(212)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차폐층(310)은 제1 장식 인쇄층(211)을 외측 상면 일부와 내측 상면 일부를 노출한다. 즉, 차폐층(310)의 내측면(310IS)은 제2 장식 인쇄층(212)의 내측면(212IS)으로부터 돌출된 제1 장식 인쇄층(211)의 상면 상에 위치하고, 차폐층(310)의 외측면(310OS)은 제2 장식 인쇄층(212)의 외측면(212OS)으로부터 돌출된 제1 장식 인쇄층(211)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차폐층(300)의 폭, 즉 차폐층(300)의 내측면(300IS)과 외측면(300OS) 사이의 거리는 제1 장식 인쇄층(211)의 폭보다 작고, 제2 장식 인쇄층(212)의 폭보다 크다.
그 결과, 기재층(110)의 일면(110a)측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차폐층(310)은 제1 장식 인쇄층(211)에 의해 가리워져 직접적으로 시인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와는 달리 제1 장식 인쇄 패턴(210)의 내측 엣지(210IS)와 외측 엣지(210OS)의 형상이 상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장식 인쇄 패턴(210)의 내측 엣지(210IS)는 외측 엣지(210OS)에 비하여 외부 충격에 덜 민감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취약한 제1 장식 인쇄 패턴(210)의 외측 엣지(210OS)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단 형상의 제1 장식 인쇄 패턴(210)과 제2 장식 인쇄층(212)의 상면 및 외측면(212OS)을 커버하는 차폐층(310)에 의해 보호하더라도, 제1 장식 인쇄 패턴(210)의 내측 엣지(210IS)는 그에 구속되지 않고 비교적 자유로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8이 참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12)는 제1 장식 인쇄 패턴(220)의 내측 엣지 측에 형성된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식 인쇄 부재(12)의 외측 엣지의 구조는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내측 엣지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재층(120) 상에는 제1 장식 인쇄층(221)과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이 배치된다.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은 제1 장식 인쇄층(221)의 내측면(221IS)에 인접 배치된다.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이 제1 장식 인쇄층(221)의 내측면(221IS)에 인접 배치됨으로써, 제1 장식 인쇄층(221)을 인쇄할 때, 잉크 넘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은 내측 영역을 한정하는 뱅크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의 두께는 제1 장식 인쇄층(22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221)은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의 외측면(420OS)에 접하고 나아가 제2 장식 인쇄 패턴(420) 측으로 일부 넘쳐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1 장식 인쇄층(221)이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의 상면 일부만을 덮고, 내측 일부는 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장식 인쇄층(222)은 제1 장식 인쇄층(221)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장식 인쇄층(222)의 내측면(222IS)과 외측면(222OS)은 모두 제1 장식 인쇄층(221)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장식 인쇄층(222)은 제2 장식 인쇄 패턴(420)과 접하지 않는다.
제2 장식 인쇄층(222)의 상면 상에는 차폐층(320)이 배치된다. 즉, 차폐층(320)은 제2 장식 인쇄층(222)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2 장식 인쇄층(222)의 내측면(222IS) 및 제1 장식 인쇄층(221)의 내측면(221IS)까지 커버할 수 있다.
내측 엣지에서 차폐층(320)은 제2 장식 인쇄층(222)의 상면과 내측면(222IS)뿐만 아니라, 제1 장식 인쇄층(221)의 돌출된 상면 및 내측면(221IS)을 커버하고,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의 상면을 일부 덮는다. 즉, 차폐층(320)의 내측면(320IS)은 제2 장식 인쇄층(222)의 내측면(222IS) 및 제1 장식 인쇄층(221)의 내측면(221IS)으로부터 돌출된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의 상면 일부는 차폐층(32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기재층(120)의 일면(120a) 측에서 장식 인쇄 부재(12)의 내측 엣지를 바라보면, 차폐층(320)과 차폐층(320)의 내측면(320IS)으로부터 돌출된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의 상면만이 시인될 뿐이며, 제1 장식 인쇄층(221) 내측 상면 및 제2 장식 인쇄층(222)의 상면은 시인되지 않는다. 기재층(120)의 타면(120b) 측에서 장식 인쇄 부재(12)를 바라보면, 제1 장식 인쇄층(221)과 제2 장식 인쇄 패턴(420)만이 직접 시인될 뿐, 제2 장식 인쇄층(222)과 차폐층(320)은 직접 시인되지 않는다. 제1 장식 인쇄층(221)과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은 서로 상이한 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장식 인쇄층과 제2 장식 인쇄 패턴(420)은 더욱 명확하게 구별되어 시인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13)는 내측 엣지에서 제2 장식 인쇄층(232)이 제1 장식 인쇄층(231)의 상면 및 내측면(231IS)을 덮는 다는 점에서 도 8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 엣지 구조 및 제1 장식 인쇄층(231)과 제2 장식 인쇄 패턴(430)의 구조는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내측 엣지에서 제2 장식 인쇄층(232)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장식 인쇄층(232)의 내측면(232IS)은 제1 장식 인쇄층(231)의 내측면(232IS)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즉, 제2 장식 인쇄층(232)은 제1 장식 인쇄층(231)과 중첩하는 영역과 비중첩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장식 인쇄층(231)의 내측면(231IS)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장식 인쇄층(232)의 내측면(232IS)은 제2 장식 인쇄 패턴(430)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장식 인쇄층(232)이 제1 장식 인쇄층(231)의 내측 상면 및 내측면(231IS)을 커버하므로, 차폐층(330)의 내측면(331IS)은 비교적 자유로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층(300)의 내측면(300IS)은 제2 장식 인쇄층(232)의 내측면(232IS)은 차폐층(330)의 내측면(330IS)보다 내측에 위치하거나, 제2 장식 인쇄층(232)의 내측면(232IS)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9는 차폐층(330)의 내측면(330IS)이 제2 장식 인쇄층(232)의 상면 상에 위치한 경우를 예시한다.
결과적으로, 기재층(130)의 일면(130a) 측에서 장식 인쇄 부재(13)의 내측 엣지를 바라보면, 차폐층(330), 차폐층(330)의 내측면(330IS)으로부터 돌출된 제2 장식 인쇄층(232)의 내측 상면 및 제2 장식 인쇄층(232)의 내측면(232IS)으로부터 돌출된 제2 장식 인쇄 패턴(430)의 내측 상면이 시인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8과 마찬가지로 내측 엣지에서 제1 장식 인쇄층(231)의 상면 및 내측면(231IS)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장식 인쇄 부재는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의 윈도우에 적용되어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장식 인쇄 부재가 유기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채용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XI-X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윈도우(1100), 윈도우(1100)와 대향하는 표시 패널(1200), 윈도우(1100)와 표시 패널(1200)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부재(1300), 편광 부재(1400), 접착 부재(1600) 및 표시 패널(1200) 하부에 배치되어 윈도우(1100)와 결합하는 하부 케이스(1600)를 포함한다. 윈도우(1100)는 상술한 장식 인쇄 부재(10, 11, 12, 13)가 적용될 수 있다. 윈도우(1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표시 장치(1000)는 평면상 서로 대향하는 제1 장변(LS1)과 제2 장변(LS2) 및 서로 대향하는 제1 단변(SS1)과 제2 단변(SS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000)는 원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DA, Display Area), 비표시 영역(NDA, Non-Display area) 및 액티브 영역(AA, Active Area)으로 구분된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며, 액티브 영역(AA)은 화면이 실질적으로 표시되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 주위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이 직사각 형상인 경우,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4개의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DA)에 완전히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를 따라 배치된 블랙 매트릭스(1230)에 의해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다.
윈도우(1100)는 투명 기판(1110), 투명 기판(1110) 상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 및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 상에 배치된 차폐층(113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10, 11, 12, 13)의 기재층(100, 110, 120, 130)은 투명 기판(1110)에 대응된다. 또한, 제1 장식 인쇄 패턴(200, 210, 220, 230)은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에 대응될 수 있으며, 차폐층(300, 310, 320, 330)은 차폐층(1130)에 대응된다.
투명 기판(111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200)을 보호한다. 투명 기판(1110)은 글라스 또는 수지 등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기판(1100)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장치(10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투명 기판(1110)은 표시 패널(1120)과 대향하는 일면(1110a) 및 일면(1110a)의 반대면으로 외부에서 사용자가 인식하는 타면(1110b)을 포함한다.
투명 기판(1110)의 일면(1110a)에는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은 표시 장치(1000)의 투명 기판(1110)의 타면(1110b)에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고, 표시 장치(1000)의 베젤에 색상을 부여한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은 미드나잇 블랙, 오키드 그레이, 아크틱 실버, 코랄 블루 또는 기타 색상을 띄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의 색(color)은 화면 외곽의 프레임 색(color)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의 구체적인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 상에는 차폐층(1130)이 배치된다. 차폐층(1130)은 투명 기판(1110)의 일면(1110a) 측에서 발생한 광을 사전에 흡수하여, 입사광이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과 투명 기판(1110)을 통해 표시 장치(1000)의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차폐층(1130)은 블랙, 그레이 등의 다양한 유색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명도가 낮은 색을 사용하여 광의 차폐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 및 차폐층(1130)은 투명 기판(1110)의 비표시 영역(NDA)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 및 차폐층(1130)은 표시 영역(DA)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 및 차폐층(1130)에는 비표시 영역(NDA) 내에 배치되는 버튼 영역이나 카메라 영역 등에 대응되는 홀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 및 차폐층(1130)은 비표시 영역(NDA)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 및 차폐층(1130)은 투명 기판(1100)의 4개의 변(LS1, LS2, SS1, SS2)을 따라 연속적인 폐곡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경우에 따라 투명 기판(1110)의 특정 변을 따라서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 및 차폐층(1130)은 투명 기판(1110)의 제1 단변(SS1) 및 제2 단변(SS2)을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 및 차폐층(1130)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12가 참조된다.
도 12는 도 11의 윈도우 영역(A)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표시 장치(1000)의 제1 단변(SS1)에서의 윈도우(1100) 영역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은 복수의 데코층이 적층된 장식 인쇄 패턴 스택(stack)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은 제1 장식 인쇄층(1121) 및 제2 장식 인쇄층(1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1121)은 투명 기판(1110)의 일면(1110a) 상에 배치된다. 제1 장식 인쇄층(1121)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내측면(1121IS)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외측면(1121OS)은 투명 기판(1110)의 측면(1110S)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적어도 일부의 측면이 투명 기판(1110)의 측면(1110S)과 정렬될 수도 있다.
투명 기판(1110)의 측면(1110S)이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외측면(1121OS)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 투명 기판(1110)의 비표시 영역(NDA)은 제1 장식 인쇄층(1121)과 중첩되는 영역과 비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외측면(1121OS)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투명 기판(1110)의 일 영역, 다시 말해 제1 장식 인쇄층(1121)과 중첩되지 않는 투명 기판(1110)의 일 영역에서 투명 기판(1110)의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판(1110)의 노출 영역은 윈도우(1100)와 하부 케이스(1600) 결합시 접착 부재(미도시)가 개재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투명 기판(1110)의 노출 영역은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과 구별되는 별도의 장식 인쇄 패턴(미도시)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상면에는 제2 장식 인쇄층(112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장식 인쇄층(1122)은 제1 장식 인쇄층(1121)과 대체로 중첩하며,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각 측면(1122IS, 1122OS)은 그에 대응하는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각 측면(1121IS, 1121OS)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각 측면(1122IS, 1122OS)은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각 측면(1121IS, 1121OS)은 그에 대응하는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각 측면(1122IS, 1122OS)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폭은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폭보다 크며,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의 측면은 전반적으로 게단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가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투명 기판(1110)의 측면(1110S)을 기준으로,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외측면(1122OS)의 수평 이격거리는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외측면(1121OS)의 수평 이격거리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측면(1122OS)과 투명 기판(1110)의 측면(1110S) 사이의 수평 이격거리는 약 0.10mm이고,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측면(1121OS)과 투명 기판(1110)의 측면(1110S) 사이의 수평 이격거리는 약 0.5mm 일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의 양 측면은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투명 기판(1110)의 타면(1110b)을 통해 표시 장치(1000)를 바라보았을 때, 제2 장식 인쇄층(1122)은 직접적으로 시인되지 않고, 제1 장식 인쇄층(1121)을 통해 간접적으로 시인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 상에는 차폐층(1130)이 배치된다. 차폐층(1130)은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폐층(1130)은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고, 외측 및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양 측면(1122IS, 1122OS)를 모두 커버한다. 반면, 차폐층(1130)은 제1 장식 인쇄층(1121)을 완전히 덮지는 않고,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상면 일부를 노출한다. 즉, 차폐층(1130)의 외 측면(1130OS)은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외측면(1122OS)으로부터 돌출된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상면 상에 위치한다. 차폐층(1130)의 내측면(1130OS) 또한 외측면(1130IS)과 마찬가지로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상면 상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차폐층(1130)의 내측면(1130IS)은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내측면(1122IS)보다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되,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내측면(1121IS)보다는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의 내부, 즉 투명 기판(1110)의 일면(1110a) 측에서 윈도우(1100)를 바라보면, 제2 장식 인쇄층(1122)은 차폐층(1130)에 의하여 완전히 가리워져, 시인되지 않는다. 아울러, 투명 기판(1110)의 타면(1110b) 측에서 표시 장치(1000)를 바라보면, 차폐층(1130)은 제1 장식 인쇄층(1121)에 의해 가리워져 직접적으로 시인되지 않는다. 즉, 표시 장치(1000)의 외부에서는 차폐층(1130)이 직접 보이지 않고,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이 나타내려는 색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차폐층(1130)은 제2 장식 인쇄층(1122)에 비하여 우수한 내구성(접착력, 강도 등)을 가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낮은 제2 장식 인쇄층(1122)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탈락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구성이 우수한 차폐층(1130)이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상면과 양 측면(1122IS, 1122OS)을 완전히 커버하여 보호하게 되면, 제2 장식 인쇄층(1122)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폐층(1130) 자체는 내구성이 우수하여,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탈락하지 않으므로, 제2 장식 인쇄층(1122)의 접합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다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200)은 윈도우(1100)와 대향하며,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표시 패널(1200)은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이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패널), 액정 표시 패널(LCD 패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20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한다.
표시 패널(1200)은 베이스 기판(1210), 베이스 기판(1210) 상에 배치된 표시부(1220), 베이스 기판(1210) 상에 배치되며 표시부(1220)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블랙 매트릭스(1230) 및 표시부(1220)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봉지층(12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10)은 표시부(1220)를 지지한다. 베이스 기판(1210)은 절연 기판 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10)은 일 실시예로, 유리, 석영, 및 고분자 수지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 물질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S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S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10)은 다른 실시예로 폴리이미드(polyimide: PI)를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10)은 표시 장치(10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1210)은 정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표시 장치(10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10) 전체는 투명 기판(1110)에 의하여 커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투명 기판(1110)은 베이스 기판(1210)과 중첩하는 영역 및 비중첩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1210)은 윈도우(1100)의 표시 영역(DA) 전체와 중첩한다. 베이스 기판(121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1210)의 제1 단변(SS1)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10) 상에는 표시부(1220) 및 블랙 매트릭스(123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1220)는 액티브 영역에 형성된다. 표시부(1220)는 화소 전극(미도시), 화소 전극 상에 형성되며 각 화소를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미도시), 및 각 화소마다 형성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유기 발광 소자(미도시)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1210)과 화소 전극(미도시) 사이에는 복수의 구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성은 일 실시예로 버퍼층, 복수의 도전성 배선, 절연층 및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30)는 표시부(1220)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20)가 직사각형인 경우, 블랙 매트릭스(1230)는 표시부(1220)의 4개의 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1230)는 액티브 영역(AA)의 외측에 형성되며, 액티브 영역(AA)에는 형성될 수 없다. 블랙 매트릭스(1230)는 윈도우(1100)의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랙 매트릭스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1230)는 제1 장식 인쇄 패턴(1120)과 중첩될 수 있다.
봉지층(1240)은 표시부(1220)를 덮도록 베이스 기판(1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표시부(1220)는 베이스 기판(1210)과 봉지층(1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240)은 표시부(1220) 등을 외부로부터 밀봉되도록 커버하여 보호한다.
봉지층(1240)은 일 실시예로 유기층 및 무기층 중 적어도 하나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1240)은 제1 무기층, 상기 제1 무기층 상에 배치되는 유기층 및 상기 유기층 상에 배치되는 제2 무기층이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봉지층(1240)은 다른 실시예로 투명 절연 기판일 수 있다. 이 경우, 봉지층(1240)과 베이스 기판(1210) 사이에는 봉지층(1240) 및 베이스 기판(1210)의 합창을 위해 실링(sealing)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1240)의 상부에는 터치 부재(1300)가 형성될 수 있다.
터치 부재(1300)는 PET 필름 등의 터치 기판, 배선부, 터치 센서부 등을 포함한다.
터치 부재(1300)는 물체가 터치 부재(1300)에 접근하거나, 터치 부재(1300)에 접촉하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이랑 사용자의 손과 같은 외부 물체가 터치 부재(1300)에 닿는 경우뿐만아니라 외부 물체가 터치 부재(1300)에 접근하거나 접근한 상태에서 움직이는(hovering) 경우도 포함한다.
터치 부재(1300)의 상부에는 편광 부재(1400)가 형성될 수 있다.
편광 부재(1400)의 외측 끝단은 비표시 영역(ND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편광 부재(1400)의 외측 끝단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로부터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편광 부재(1400)는 외부광의 반사를 줄여 명암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편광 부재(1400)는 표시부(1220)를 거쳐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광축을 변환시킨다.
편광 부재(1400)는 일 실시예에서,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가 염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편광 부재(1400)는 필요에 따라 생략하거나 적절히 순서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편광 부재(1400) 상에는 접착 부재(1500)가 배치된다. 접착 부재(1500)는 윈도우(1100)와 표시 패널(1200) 사이에 개재되어 윈도우(1100)와 표시 패널(1200)을 결합시킨다. 접착 부재(1500)는 광학 투명성 레진(OpticaLSy Clear Resin; OCR) 또는 투명 접착 필름(OpticaLSy Clear Adhesive; OC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 부재(1500)의 외측 끝단은 편광 부재(1400)의 외측 끝단과 정렬될 수 있다. 접착 부재(1500)의 외측 끝단은 비표시 영역(ND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접착 부재(1500)의 외측 끝단은 차폐층(1130)의 내측면(1130IS)과 외측면(1130O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 부재(1500)는 차폐층(1130)의 상면 중 일부와 내측면(1130IS)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1500)는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상면 중 차폐층(1130)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은 노출 영역 및 내측면(1121IS)에 접할 수 있다. 즉, 차폐층(1130)의 내측면(1130IS)으로부터 돌출된 제1 장식 인쇄층(1121)의 상면은 접착 부재(1500)와 접할 수 있다.
차폐층(1130)의 상면 중 접착 부재(150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 중 적어도 일부는 하부 케이스(160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영역(A)의 부분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1000)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윈도우(2100)는 곡면으로 벤딩(bending)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투명 기판(2110)의 비표시 영역(NDA) 전체 및 표시 영역(DA)의 일부는 특정 곡률로 벤딩(bending)될 수 있다.
투명 기판(2110) 상에는 제1 장식 인쇄 패턴(2120) 및 차폐층(2130)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2000)의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계단 형상의 제1 장식 인쇄 패턴(2120) 및 이를 커버하는 차폐층(2130)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장식 인쇄 패턴(2120)과 차폐층(2130)은 투명 기판(211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벤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영역(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도 8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12)가 적용된 경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3100)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 측에 형성된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12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3100)의 외측의 제1 장식 인쇄 패턴(3120) 및 차폐층(3130)의 구조는 도 12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 측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을 참조하면, 투명 기판(3110)의 일면(3110a) 상에는 제1 장식 인쇄층(3121)과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이 배치된다.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의 폭, 즉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의 외측면(3140OS)과 내측면(3140IS) 사이의 거리는 제1 장식 인쇄층(3121)의 폭보다 작다. 즉,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은 제1 장식 인쇄층(3121)의 내측면(3121IS)에 인접 배치된다.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이 제1 장식 인쇄층(3121)의 내측면(3121IS)에 인접 배치됨으로써, 제1 장식 인쇄층(3121)을 인쇄할 때, 잉크 넘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를 한정하는 뱅크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의 두께는 제1 장식 인쇄층(312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3121)은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의 외측면(3140OS)에 접하고, 나아가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 측으로 일부 넘쳐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1 장식 인쇄층(3121)이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의 상면 일부만을 덮고,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에 가까운 측의 상면은 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장식 인쇄층(3122)은 제1 장식 인쇄층(3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장식 인쇄층(3122)의 양 측면(3122IS, 3122OS)은 모두 제1 장식 인쇄층(3121)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장식 인쇄층(3122)은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과 접하지 않는다.
제2 장식 인쇄층(3122) 상면 상에는 차폐층(3130)이 배치된다. 차폐층(3130)은 제2 장식 인쇄층(3130)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2 장식 인쇄층(3122)의 내측면(3122IS) 및 제1 장식 인쇄층(3121)의 내측면(3121IS)까지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차폐층(313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를 넘어 표시 영역(DA)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차폐층(3130)의 내측면(3130IS)은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의 내측면(3140IS)은 차폐층(3130)의 내측면(3130IS)으로부터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투명 기판(3110)의 일면(3110a) 측에서 윈도우(3100)를 바라보면, 차폐층(3130), 차폐층(3130)의 내측면(3130IS)으로부터 돌출된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 및 차폐층(31300의 외측면(3130OS)으로부터 돌출된 제1 장식 인쇄층(3121)만이 직접적으로 시인된다. 즉,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와 가까운 측의 제1 장식 인쇄층(3121) 영역은 시인되지 않는다.
한편, 제1 장식 인쇄층(3121)이 반사율이 높은 메탈 계열(Pearl, Mirror, Al 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윈도우(3100)와 표시 패널(1200)의 라미네이션 공정 시, 제1 장식 인쇄층(3121)에 의한 얼라인 키 인식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차폐층(3130)이 제1 장식 인쇄층(3121)의 내측 영역을 완전히 커버하여 외부에서 인식되지 않게 하면, 제1 장식 인쇄층(3121)에 의한 얼라인 키 인식 오류가 개선될 수 있다.
차폐층(3130)의 내측면(3130IS)은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의 내측면(3140IS)보다 내측에 위치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차폐층(3130)의 내측면(3130IS)은 제2 장식 인쇄 패턴(3140)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인쇄 장식층(3121)의 내측면(3121IS)을 기준으로 제2 인쇄 장식 패턴(3140)의 내측면(3140IS)이 돌출된 거리는 차폐층(3130)의 내측면(3130IS)을 기준으로 제2 인쇄 장식 패턴(3140)의 내측면(3140IS)이 돌출된 거리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쇄 장식층(3121)의 내측면(3121IS)을 기준으로 제2 인쇄 장식 패턴(3140)의 내측면(3140IS)이 돌출된 거리가 약 0.2mm 일 때, 차폐층(3130)의 내측면(3130IS)을 기준으로 제2 인쇄 장식 패턴(3140)의 내측면(3140IS)이 돌출된 거리는 약 0.1mm 일 수 있다. 따라서, 차폐층(3130)은 투명 기판(3110)의 일면(3110a)에서 외부에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영역(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윈도우(4100)는 도 9에 따른 장식 인쇄 부재(13)가 적용된 경우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4100)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 측에서 제2 장식 인쇄층(4122)이 제1 장식 인쇄층(4121)의 상면 및 내측면(4121IS)을 덮는 다는 점에서 도 14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4100)의 외측에서 제1 장식 인쇄 패턴(4120) 및 차폐층(4130) 구조와 윈도우(4100) 내측의 제2 장식 인쇄 패턴(4140) 구조는 도 14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 측에서 제1 장식 인쇄 패턴(4120) 및 차폐층(4130)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4100)는 도 14와 마찬가지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에 인접하여 제2 인쇄 장식 패턴(4140)을 더 포함한다. 다만, 제2 장식 인쇄층(4122)의 내측면(4122IS)이 제1 장식 인쇄층(4121)의 내측면(4121IS)보다 내측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도 14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2 장식 인쇄층(4122)의 내측면(4122IS)이 제1 장식 인쇄층(4121)의 내측면(4121IS)보다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DA-L)에 더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장식 인쇄층(4122)은 제1 장식 인쇄층(4121)의 상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장식 인쇄층(4121)의 내측면(4121IS)을 커버할 수 있다. 투명 기판(4110)의 일면(4110a) 측에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를 바라보면, 제1 장식 인쇄층(4121)의 내측 상면 및 내측면(4121IS)은 인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장식 인쇄층(4121)에 의한 얼라인 키 인식 오류가 감소할 수 있다.
제2 장식 인쇄층(4122)이 제1 장식 인쇄층(4121)의 내측 상면 및 내측면(4121IS)을 커버하므로, 차폐층(4130)의 내측면(4130IS)은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층(4130)의 내측면(4130IS)은 제2 장식 인쇄층(4122)의 내측면(4122IS)과 정렬되거나, 제2 장식 인쇄층(4122)의 내측면(4122IS)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식 인쇄 부재의 외측 엣지에서, 제2 장식 인쇄층의 상면 및 외측면이 차폐층에 의하여 커버되므로, 제2 장식 인쇄층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식 인쇄 부재의 내측 엣지에서, 제1 장식 인쇄층의 상면 및 내측면은 차폐층 또는 제2 장식 인쇄층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으므로, 제1 장식 인쇄층에 의한 얼라인 키 인식 오류가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인쇄 부재
100: 기재층
200: 제1 장식 인쇄 패턴
300: 차폐층
420: 제2 장식 인쇄 패턴
1000: 표시 장치
1100: 윈도우
1110: 투명 기판
1120: 제1 장식 인쇄 패턴
1130: 차폐층

Claims (20)

  1.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 패턴;
    상기 제1 장식 인쇄 패턴 상에 배치된 차폐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장식 인쇄 패턴은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층, 및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된 제2 장식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측면 및 상기 차폐층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장식 인쇄 부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장식 인쇄 부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의 폭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폭보다는 작고,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폭보다는 큰 장식 인쇄 부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제2 장식 인쇄층 및 상기 차폐층은 각각 외측면 및 내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외측면 및 상기 내측면을 덮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외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외측면 및 상기 차폐층의 상기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차폐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장식 인쇄 부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장식 인쇄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장식 인쇄 부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장식 인쇄 부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차폐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장식 인쇄 부재.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장식 인쇄 부재.
  9.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서 표시된 영상을 투과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투명 기판;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 패턴; 및
    상기 제1 장식 인쇄 패턴 상에 배치된 차폐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식 인쇄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된 제1 장식 인쇄층; 및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된 제2 장식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면 및 외측면을 덮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외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외측면 및 상기 차폐층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의 외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의 폭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폭보다 큰 표시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내측면을 덮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내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차폐층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차폐층의 상면 중 일부 및 상기 차폐층의 내측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면 및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내측면과 접하는 표시 장치.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 장식 인쇄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은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외측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은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차폐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서 있어서,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은 반사율이 높은 메탈 계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장식 인쇄 패턴의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의 상기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식 인쇄층은 반사율이 높은 메탈 계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의 내구성은 상기 제1 장식 인쇄 패턴의 내구성보다 높은 표시 장치.
KR1020170079838A 2017-06-23 2017-06-23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07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38A KR102407406B1 (ko) 2017-06-23 2017-06-23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5/842,634 US11554571B2 (en) 2017-06-23 2017-12-14 Decorative print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810257819.4A CN109109391A (zh) 2017-06-23 2018-03-27 装饰印刷构件以及包括装饰印刷构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38A KR102407406B1 (ko) 2017-06-23 2017-06-23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60A true KR20190000960A (ko) 2019-01-04
KR102407406B1 KR102407406B1 (ko) 2022-06-13

Family

ID=6469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38A KR102407406B1 (ko) 2017-06-23 2017-06-23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54571B2 (ko)
KR (1) KR102407406B1 (ko)
CN (1) CN109109391A (ko)

Cited B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358B1 (ko) * 2005-07-01 2007-04-10 한광석 네온싸인 점멸기의 위상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06035B1 (ko) * 2005-04-02 2007-04-11 김현실 접이식 연결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텐트
KR100707049B1 (ko) * 2005-08-17 2007-04-13 현 규 곽 에어분사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실러 스월 도포장치
KR100708893B1 (ko) * 2006-03-27 2007-04-18 주식회사 청하기계 생선 할복기
KR100709487B1 (ko) * 2006-08-11 2007-04-20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전개식 적재용 랙
KR100710687B1 (ko) * 2004-11-04 2007-04-24 (주) 아원 콜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호전환 및 내선통화 알림방법
KR100710732B1 (ko) * 2005-04-22 2007-04-24 주식회사 모리스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
KR100709744B1 (ko) * 2005-02-07 2007-04-25 (주)에어비타 소켓조립체
KR100711581B1 (ko) * 2004-12-31 2007-04-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지폐저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711566B1 (ko) * 2006-09-08 2007-04-27 해성쏠라(주) 자동차 선루프용 태양전지모듈 제조방법
KR100712009B1 (ko) * 2005-12-21 2007-04-27 한국수자원공사 침전조의 슬러지 제거 시스템
KR100712610B1 (ko) * 2005-06-10 2007-04-30 에이치케이이카 주식회사 차량 방향 지시등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는 방향 지시등작동 여부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712609B1 (ko) * 2004-07-29 2007-04-30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쿠쇼 연미기
KR100712496B1 (ko) * 2001-09-21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화학기상증착 장비의 가스 디퓨저
KR100714410B1 (ko) * 2006-07-28 2007-05-04 (주)한신코리아 충격흡수 및 완화용 인솔
KR100716675B1 (ko) * 2006-07-03 2007-05-09 김창동 풍력을 이용한 곡물 선별장치
KR100717123B1 (ko) * 2005-03-29 2007-05-10 (주)스틸라이프 건축물 지붕용 마감판넬의 고정캡
KR100716407B1 (ko) * 2004-10-13 2007-05-11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능동형 안테나를 가지는 자동차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KR100717968B1 (ko) * 2007-02-27 2007-05-14 한영옥 유아 보호용 싸개
KR100718816B1 (ko) * 2006-07-19 2007-05-16 정재노 유자씨 배출장치
KR100718870B1 (ko) * 2004-06-02 2007-05-16 심우중 포장재 구조
KR100719293B1 (ko) * 2005-12-12 2007-05-17 최광복 레이블 직조기의 잔사 처리장치
KR100721218B1 (ko) * 2000-06-07 2007-05-22 대우전자부품(주)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KR100721133B1 (ko) * 2006-08-16 2007-05-23 임세영 구두 바닥창
KR100722864B1 (ko) * 2007-02-01 2007-05-31 골드레일로드(주) 콘크리트 도상 궤도의 레일 체결부 보호 및 발판용 덮개
KR100724097B1 (ko) * 2005-11-04 2007-06-0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장 시험용 이동식 전력량계 시험장치
KR100724106B1 (ko) * 2005-05-16 2007-06-04 목관호 전기침
KR100725177B1 (ko) * 2005-10-27 2007-06-04 한국전력공사 역계산 기법을 이용한 보일러 고온부 가스온도 계산 방법및 그 시스템
KR100723259B1 (ko) * 2006-10-14 2007-06-11 주식회사 삼안 하천제방 누수방지 차수막 설치구조
KR100726421B1 (ko) * 2001-04-28 2007-06-11 (주)에코텍 시설원예재배용 고농도 탄산가스 발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27644B1 (ko) * 2005-12-06 2007-06-13 장희선 이온 플레이팅 지그장치
KR100727180B1 (ko) * 2006-07-06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인사이드핸들 작동소음 방지구조
KR100728884B1 (ko) * 2006-08-08 2007-06-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0729239B1 (ko) * 2006-08-22 2007-06-15 (합)동양엔지니어링 중성선 전류를 이용한 조명등
KR100730660B1 (ko) * 2005-12-27 2007-06-21 금산군 홍삼당귀캔디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731196B1 (ko) * 2006-03-16 2007-06-22 세이프테크 (주)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
KR100731198B1 (ko) * 2006-03-16 2007-06-22 세이프테크 (주)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
KR100731903B1 (ko) * 2005-10-13 2007-06-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래피어 직기용 정밀 위입 컨트롤 장치
KR100732492B1 (ko) * 2005-11-03 2007-06-27 (주)화인이테크 타워형 무교반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2400B1 (ko) * 2005-05-31 2007-06-27 엄환섭 진행파관의 전자빔 집속 진단장치
KR100732700B1 (ko) * 2005-09-26 2007-06-28 (주)정방종합엔지니어링 철로연결부 구조
KR100733000B1 (ko) * 2006-07-06 2007-06-28 권욱근 떡성형기용 고물공급장치
KR100733912B1 (ko) * 2005-10-05 2007-07-02 윤원병 경계석 원심성형장치
KR100734205B1 (ko) * 2006-01-06 2007-07-02 (주)팬코 테이블용 선풍기
KR100734076B1 (ko) * 2001-10-23 2007-07-0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초기화 및 파워업 신호 발생 회로
KR100734473B1 (ko) * 2005-06-27 2007-07-12 권윤회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KR100739899B1 (ko) * 1999-08-02 2007-07-13 스웬코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병렬형 무-주름 전기 커넥터
KR100745687B1 (ko) * 2006-01-19 2007-08-02 장상준 걸이형 보드
KR100745119B1 (ko) * 2006-03-28 2007-08-07 (주)한맥기술 수처리 장치
KR100746732B1 (ko) * 2007-05-23 2007-08-09 (주)종합건축사사무소명선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우수 이용 가능한 배수관
KR100750262B1 (ko) * 2006-11-02 2007-08-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각부품의 조립구조를 개선한 3-도어 타입의 냉장고
KR100750252B1 (ko) * 2006-07-21 2007-08-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냉장고 기계실의 소음 방지 구조
KR100751851B1 (ko) * 2006-09-27 2007-08-28 한영기 집게 차량용 전자척
KR100753508B1 (ko) * 2005-04-14 200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753111B1 (ko) * 2006-01-04 2007-08-31 최승관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100754568B1 (ko) * 2004-10-29 2007-09-0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체 커버용 프로텍트 커버
KR100756108B1 (ko) * 2006-09-11 2007-09-05 장익순 모소기용 엣지버너
KR100754250B1 (ko) * 2007-01-22 2007-09-05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756882B1 (ko) * 2006-04-14 2007-09-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제상수를 이용한 개량형 응축기
KR100757124B1 (ko) * 2005-11-17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포그 램프 정비용 휠 가드 체결구조
KR100757539B1 (ko) * 2006-08-08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분해를 이용한 pc-pbt 블랜드 소재에서의 pc와pbt 정량분석 방법
KR100758532B1 (ko) * 2006-03-13 2007-09-13 (주) 파루 환경인자 감지기
KR100759114B1 (ko) * 2006-09-04 2007-09-19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전기분해에 의한 분뇨처리장치
KR100760801B1 (ko) * 2006-07-10 2007-09-20 김정균
KR100762859B1 (ko) * 2007-02-13 2007-10-02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상승식 승강기 도어의 안전 록킹장치
KR100762549B1 (ko) * 2006-10-31 2007-10-04 김태원 바이오-폴리싱용 가공기
KR100760688B1 (ko) * 2007-06-11 2007-10-04 (주)양지스페이스아트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63764B1 (ko) * 2007-06-18 2007-10-04 남기욱 배합사료의 액상원료 첨가시스템
KR100764547B1 (ko) * 2006-05-16 2007-10-09 (주)다우썬 형광등 다방향 접속장치
KR100764027B1 (ko) * 2006-09-19 2007-10-10 황보의 인스턴트 용기
KR100766807B1 (ko) * 2003-11-12 2007-10-17 김수원 자동차용 배기구
KR100770030B1 (ko) * 2006-10-17 2007-10-25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디바이스 테스트 소켓
KR100772964B1 (ko) * 2006-10-12 2007-11-02 이대훈 목수용 먹줄통의 권취롤러
KR100772132B1 (ko) * 2006-05-19 2007-11-05 김호겸 도난경보장치
KR100774151B1 (ko) * 2006-07-31 2007-11-07 고려전자주식회사 난방용 온수분배기
KR100774695B1 (ko) * 2005-11-02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빙판길 해동장치
KR100774259B1 (ko) * 2006-06-12 2007-11-12 이기춘 슬러지 펌핑장치
KR100777962B1 (ko) * 2006-10-13 2007-11-21 송정환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용 마감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776937B1 (ko) * 2006-03-27 2007-11-2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입출력 공용 단자 제어 회로
KR100778185B1 (ko) * 2006-05-15 2007-11-2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디젤차량의 매연여과장치 및 이를 통한매연재생 제어방법
KR100778931B1 (ko) * 2006-11-24 2007-11-22 김진영 유아, 장애인용 자동조명스위치
KR100779393B1 (ko) * 2007-04-11 2007-11-23 이영창 이중 조절 가능한 독서대
KR100777590B1 (ko) * 2007-01-19 2007-11-28 이준항 떡 제조장치
KR100781093B1 (ko) * 2007-07-18 2007-11-30 황원기 바닥 미장용 높이조절장치
KR100781404B1 (ko) * 2006-09-11 2007-12-03 장익순 모소기의 원단 틀어짐 보상장치
KR100781749B1 (ko) * 2007-03-03 2007-12-04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냉장고 실내등 점등 스위치
KR100781938B1 (ko) * 2001-07-18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동소자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0785213B1 (ko) * 2006-11-06 2007-12-11 김대식 입상배관 지지장치
KR100784786B1 (ko) * 2006-09-12 2007-12-14 윤봉중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86732B1 (ko) * 2007-10-11 2007-12-17 (주)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난간대
KR100786804B1 (ko) * 2006-07-20 2007-12-18 연혜란 김발고정용 부구 및 이를 이용하는 김발 자동부침장치
KR100787180B1 (ko) * 2005-09-08 2007-12-21 삼정캐리월드(주) 철재 파렛트 보호구
KR100788738B1 (ko) * 2006-11-09 2007-12-26 동서코퍼레이션(주) 조합 분수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1652B2 (ja) * 2019-03-28 2023-05-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200120845A (ko) *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835142A (zh) * 2020-06-23 2021-12-24 宸美(厦门)光电有限公司 光学膜层与显示设备
CN112419889A (zh) * 2020-10-13 2021-02-26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墙纸及显示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9419A1 (en) 2013-07-26 2015-01-29 Wintek Corporation Decoration plate and touch panel
KR20160053061A (ko) * 2014-10-30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93173A (ko) * 2015-01-28 2016-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6241A (ko) * 2015-02-04 2016-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1526C (zh) * 2002-02-11 2005-12-14 西门子(中国)有限公司 塑料壳体的喷漆方法
CN201566384U (zh) 2009-10-30 2010-09-01 泰可尔科技股份有限公司 转印膜结构
TWI489336B (zh) * 2012-11-22 2015-06-21 Wintek Corp 觸控面板及其觸控顯示模組
CN104345973A (zh) 2013-07-26 2015-02-11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装饰板与触摸板
TW201525797A (zh) 2013-12-25 2015-07-01 Wintek Corp 裝飾面板及觸控裝置
TWM484742U (zh) 2014-03-04 2014-08-21 Wintek Corp 裝飾面板及觸控裝置
CN104898874A (zh) 2014-03-06 2015-09-09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板
TW201546670A (zh) 2014-06-03 2015-12-16 Wintek Corp 觸控裝置
KR20160028595A (ko) 2014-09-03 2016-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04990240U (zh) 2015-09-06 2016-01-20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
CN105938873A (zh) 2016-07-01 2016-09-1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29419A1 (en) 2013-07-26 2015-01-29 Wintek Corporation Decoration plate and touch panel
KR20160053061A (ko) * 2014-10-30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93173A (ko) * 2015-01-28 2016-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6241A (ko) * 2015-02-04 2016-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899B1 (ko) * 1999-08-02 2007-07-13 스웬코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병렬형 무-주름 전기 커넥터
KR100721218B1 (ko) * 2000-06-07 2007-05-22 대우전자부품(주)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KR100726421B1 (ko) * 2001-04-28 2007-06-11 (주)에코텍 시설원예재배용 고농도 탄산가스 발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81938B1 (ko) * 2001-07-18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동소자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0712496B1 (ko) * 2001-09-21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화학기상증착 장비의 가스 디퓨저
KR100734076B1 (ko) * 2001-10-23 2007-07-0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초기화 및 파워업 신호 발생 회로
KR100766807B1 (ko) * 2003-11-12 2007-10-17 김수원 자동차용 배기구
KR100718870B1 (ko) * 2004-06-02 2007-05-16 심우중 포장재 구조
KR100712609B1 (ko) * 2004-07-29 2007-04-30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쿠쇼 연미기
KR100716407B1 (ko) * 2004-10-13 2007-05-11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능동형 안테나를 가지는 자동차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KR100754568B1 (ko) * 2004-10-29 2007-09-0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체 커버용 프로텍트 커버
KR100710687B1 (ko) * 2004-11-04 2007-04-24 (주) 아원 콜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호전환 및 내선통화 알림방법
KR100711581B1 (ko) * 2004-12-31 2007-04-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지폐저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709744B1 (ko) * 2005-02-07 2007-04-25 (주)에어비타 소켓조립체
KR100717123B1 (ko) * 2005-03-29 2007-05-10 (주)스틸라이프 건축물 지붕용 마감판넬의 고정캡
KR100706035B1 (ko) * 2005-04-02 2007-04-11 김현실 접이식 연결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텐트
KR100753508B1 (ko) * 2005-04-14 200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710732B1 (ko) * 2005-04-22 2007-04-24 주식회사 모리스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
KR100724106B1 (ko) * 2005-05-16 2007-06-04 목관호 전기침
KR100732400B1 (ko) * 2005-05-31 2007-06-27 엄환섭 진행파관의 전자빔 집속 진단장치
KR100712610B1 (ko) * 2005-06-10 2007-04-30 에이치케이이카 주식회사 차량 방향 지시등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는 방향 지시등작동 여부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734473B1 (ko) * 2005-06-27 2007-07-12 권윤회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KR100705358B1 (ko) * 2005-07-01 2007-04-10 한광석 네온싸인 점멸기의 위상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07049B1 (ko) * 2005-08-17 2007-04-13 현 규 곽 에어분사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실러 스월 도포장치
KR100787180B1 (ko) * 2005-09-08 2007-12-21 삼정캐리월드(주) 철재 파렛트 보호구
KR100732700B1 (ko) * 2005-09-26 2007-06-28 (주)정방종합엔지니어링 철로연결부 구조
KR100733912B1 (ko) * 2005-10-05 2007-07-02 윤원병 경계석 원심성형장치
KR100731903B1 (ko) * 2005-10-13 2007-06-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래피어 직기용 정밀 위입 컨트롤 장치
KR100725177B1 (ko) * 2005-10-27 2007-06-04 한국전력공사 역계산 기법을 이용한 보일러 고온부 가스온도 계산 방법및 그 시스템
KR100774695B1 (ko) * 2005-11-02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빙판길 해동장치
KR100732492B1 (ko) * 2005-11-03 2007-06-27 (주)화인이테크 타워형 무교반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724097B1 (ko) * 2005-11-04 2007-06-0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현장 시험용 이동식 전력량계 시험장치
KR100757124B1 (ko) * 2005-11-17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포그 램프 정비용 휠 가드 체결구조
KR100727644B1 (ko) * 2005-12-06 2007-06-13 장희선 이온 플레이팅 지그장치
KR100719293B1 (ko) * 2005-12-12 2007-05-17 최광복 레이블 직조기의 잔사 처리장치
KR100712009B1 (ko) * 2005-12-21 2007-04-27 한국수자원공사 침전조의 슬러지 제거 시스템
KR100730660B1 (ko) * 2005-12-27 2007-06-21 금산군 홍삼당귀캔디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753111B1 (ko) * 2006-01-04 2007-08-31 최승관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100734205B1 (ko) * 2006-01-06 2007-07-02 (주)팬코 테이블용 선풍기
KR100745687B1 (ko) * 2006-01-19 2007-08-02 장상준 걸이형 보드
KR100758532B1 (ko) * 2006-03-13 2007-09-13 (주) 파루 환경인자 감지기
KR100731198B1 (ko) * 2006-03-16 2007-06-22 세이프테크 (주)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
KR100731196B1 (ko) * 2006-03-16 2007-06-22 세이프테크 (주)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
KR100776937B1 (ko) * 2006-03-27 2007-11-2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입출력 공용 단자 제어 회로
KR100708893B1 (ko) * 2006-03-27 2007-04-18 주식회사 청하기계 생선 할복기
KR100745119B1 (ko) * 2006-03-28 2007-08-07 (주)한맥기술 수처리 장치
KR100756882B1 (ko) * 2006-04-14 2007-09-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제상수를 이용한 개량형 응축기
KR100778185B1 (ko) * 2006-05-15 2007-11-2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디젤차량의 매연여과장치 및 이를 통한매연재생 제어방법
KR100764547B1 (ko) * 2006-05-16 2007-10-09 (주)다우썬 형광등 다방향 접속장치
KR100772132B1 (ko) * 2006-05-19 2007-11-05 김호겸 도난경보장치
KR100774259B1 (ko) * 2006-06-12 2007-11-12 이기춘 슬러지 펌핑장치
KR100716675B1 (ko) * 2006-07-03 2007-05-09 김창동 풍력을 이용한 곡물 선별장치
KR100733000B1 (ko) * 2006-07-06 2007-06-28 권욱근 떡성형기용 고물공급장치
KR100727180B1 (ko) * 2006-07-06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인사이드핸들 작동소음 방지구조
KR100760801B1 (ko) * 2006-07-10 2007-09-20 김정균
KR100718816B1 (ko) * 2006-07-19 2007-05-16 정재노 유자씨 배출장치
KR100786804B1 (ko) * 2006-07-20 2007-12-18 연혜란 김발고정용 부구 및 이를 이용하는 김발 자동부침장치
KR100750252B1 (ko) * 2006-07-21 2007-08-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냉장고 기계실의 소음 방지 구조
KR100714410B1 (ko) * 2006-07-28 2007-05-04 (주)한신코리아 충격흡수 및 완화용 인솔
KR100774151B1 (ko) * 2006-07-31 2007-11-07 고려전자주식회사 난방용 온수분배기
KR100728884B1 (ko) * 2006-08-08 2007-06-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0757539B1 (ko) * 2006-08-08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분해를 이용한 pc-pbt 블랜드 소재에서의 pc와pbt 정량분석 방법
KR100709487B1 (ko) * 2006-08-11 2007-04-20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전개식 적재용 랙
KR100721133B1 (ko) * 2006-08-16 2007-05-23 임세영 구두 바닥창
KR100729239B1 (ko) * 2006-08-22 2007-06-15 (합)동양엔지니어링 중성선 전류를 이용한 조명등
KR100759114B1 (ko) * 2006-09-04 2007-09-19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전기분해에 의한 분뇨처리장치
KR100711566B1 (ko) * 2006-09-08 2007-04-27 해성쏠라(주) 자동차 선루프용 태양전지모듈 제조방법
KR100756108B1 (ko) * 2006-09-11 2007-09-05 장익순 모소기용 엣지버너
KR100781404B1 (ko) * 2006-09-11 2007-12-03 장익순 모소기의 원단 틀어짐 보상장치
KR100784786B1 (ko) * 2006-09-12 2007-12-14 윤봉중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64027B1 (ko) * 2006-09-19 2007-10-10 황보의 인스턴트 용기
KR100751851B1 (ko) * 2006-09-27 2007-08-28 한영기 집게 차량용 전자척
KR100772964B1 (ko) * 2006-10-12 2007-11-02 이대훈 목수용 먹줄통의 권취롤러
KR100777962B1 (ko) * 2006-10-13 2007-11-21 송정환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용 마감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3259B1 (ko) * 2006-10-14 2007-06-11 주식회사 삼안 하천제방 누수방지 차수막 설치구조
KR100770030B1 (ko) * 2006-10-17 2007-10-25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디바이스 테스트 소켓
KR100762549B1 (ko) * 2006-10-31 2007-10-04 김태원 바이오-폴리싱용 가공기
KR100750262B1 (ko) * 2006-11-02 2007-08-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각부품의 조립구조를 개선한 3-도어 타입의 냉장고
KR100785213B1 (ko) * 2006-11-06 2007-12-11 김대식 입상배관 지지장치
KR100788738B1 (ko) * 2006-11-09 2007-12-26 동서코퍼레이션(주) 조합 분수노즐
KR100778931B1 (ko) * 2006-11-24 2007-11-22 김진영 유아, 장애인용 자동조명스위치
KR100777590B1 (ko) * 2007-01-19 2007-11-28 이준항 떡 제조장치
KR100754250B1 (ko) * 2007-01-22 2007-09-05 강대윤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0722864B1 (ko) * 2007-02-01 2007-05-31 골드레일로드(주) 콘크리트 도상 궤도의 레일 체결부 보호 및 발판용 덮개
KR100762859B1 (ko) * 2007-02-13 2007-10-02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상승식 승강기 도어의 안전 록킹장치
KR100717968B1 (ko) * 2007-02-27 2007-05-14 한영옥 유아 보호용 싸개
KR100781749B1 (ko) * 2007-03-03 2007-12-04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냉장고 실내등 점등 스위치
KR100779393B1 (ko) * 2007-04-11 2007-11-23 이영창 이중 조절 가능한 독서대
KR100746732B1 (ko) * 2007-05-23 2007-08-09 (주)종합건축사사무소명선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우수 이용 가능한 배수관
KR100760688B1 (ko) * 2007-06-11 2007-10-04 (주)양지스페이스아트 다용도 기능성 바이오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63764B1 (ko) * 2007-06-18 2007-10-04 남기욱 배합사료의 액상원료 첨가시스템
KR100781093B1 (ko) * 2007-07-18 2007-11-30 황원기 바닥 미장용 높이조절장치
KR100786732B1 (ko) * 2007-10-11 2007-12-17 (주)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난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54571B2 (en) 2023-01-17
CN109109391A (zh) 2019-01-01
US20180370183A1 (en) 2018-12-27
KR102407406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406B1 (ko)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633801B2 (en) Touch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0804486B2 (en) Display device
US11436854B2 (en) Display device
KR102606924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KR102511474B1 (ko) 표시 장치
KR102522575B1 (ko)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223712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ecorativ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6548704B (zh) 显示装置以及制造窗组件的方法
CN110518052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9612475B2 (en) Front light module and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43605B1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28595A (ko)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48020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30082942A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US11246234B2 (en) Display device
US1152881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window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90227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KR102611476B1 (ko)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CN217641317U (zh) 显示装置
US20240248517A1 (en) Electronic device
US11217766B2 (en) Display cove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