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241A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241A
KR20160096241A KR1020150017164A KR20150017164A KR20160096241A KR 20160096241 A KR20160096241 A KR 20160096241A KR 1020150017164 A KR1020150017164 A KR 1020150017164A KR 20150017164 A KR20150017164 A KR 20150017164A KR 20160096241 A KR20160096241 A KR 20160096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k layer
ink
temperature
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229B1 (ko
Inventor
박경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229B1/ko
Priority to US14/739,097 priority patent/US9676162B2/en
Publication of KR20160096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01L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4Multi-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25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I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대향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투과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차폐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차폐 영역 내의 상기 윈도우 상에 적층된 복수의 인쇄층을 포함하되, 상기 각 인쇄층은 서로 다른 해리 온도를 가진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와 같은 다양한 평판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가 활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배치하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윈도우는 표시 패널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대응되는 투과 영역과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인 차폐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폐 영역은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고,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표시 패널의 구성을 가려주는 역할을 하는 블랙 잉크층을 포함한다. 또한, 차폐 영역은 심미적인 기능과 디자인적 효과를 제공하는 다른 색상의 잉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잉크층은 상술한 효과뿐만 아니라 윈도우의 완충재로써의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복수의 잉크층은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등과 같은 방법으로 각 인쇄층을 인쇄한 뒤, 일괄적인 진행되는 건조 공정에 의해 경화된다. 다만, 이러한 일괄적인 건조 공정 시, 윈도우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외곽 잉크층은 외부와 접촉하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기에 다른 층보다 먼저 건조되며, 경화될 수 있다. 외곽 잉크층이 경화됨에 따라 다른 잉크층의 경화 시 발생되는 가스(Gas) 등은 경화된 외곽 잉크층을 빠져나가지 못해 기포로 남을 수 있다. 또한, 외곽 잉크층과 윈도우 사이에 위치한 잉크층은 불충분하게 경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잉크층은 윈도우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의 품질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잉크층 중 윈도우와 가까이 위치한 잉크층부터 경화하여,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잉크층 중 윈도우와 가까이 위치한 잉크층부터 경화하여,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대향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투과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차폐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차폐 영역 내의 상기 윈도우 상에 적층된 복수의 인쇄층을 포함하되, 상기 각 인쇄층은 서로 다른 해리 온도를 가진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인쇄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내지 제n 인쇄층을 포함하고, 제k 인쇄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의 해리 온도는 제k+1 인쇄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의 해리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단,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며, k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이다).
상기 제k 인쇄층은 diethylmalonate를 포함하고, 상기 제k+1 인쇄층은 3,5-dimethylpyrazole, methylethylketoxime, ε-caprolact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은 가장 낮은 해리 온도를 가지고, 상기 제n 인쇄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은 가장 높은 해리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층에서 상기 제n 인쇄층으로 갈수록 각 인쇄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의 해리 온도는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n 인쇄층은 차폐 인쇄층이고, 상기 제n 인쇄층은 상기 차폐 영역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쇄층은 상기 윈도우의 일면 또는 타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쇄층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인쇄층은 단차 또는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투명 기판의 일면 상에 제1 잉크층을 프린팅하고, 상기 제1 잉크층 상에 제2 잉크층을 프린팅하는 단계, 상기 제1 잉크층을 제1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잉크층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을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제1 파장의 제1 광을 상기 제1 잉크층에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상기 제1 파장과 상이한 제2 파장의 제2 광을 상기 제2 잉크층에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은 자외선이고, 상기 제2 광은 적외선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과 상기 제2 광은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을 통해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제1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상기 제1 온도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상기 제2 온도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잉크층 상에 배치되는 제3 잉크층을 프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잉크층을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은 제3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광원을 각 잉크층에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잉크층에 조사되는 광원과 상기 제3 잉크층에 조사되는 광은 서로 파장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상기 제1 온도, 상기 제2 온도 및 상기 제3 온도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잉크층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잉크층과 상기 제2 잉크층은 단차 또는 굴곡을 가지도록 프린팅될 수 있다.
상기 제1 잉크층과 상기 제2 잉크층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윈도우와 인접하게 위치한 잉크층부터 건조될 수 있어, 기포의 발생 및 잉크층의 박리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윈도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윈도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내지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공정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10) 및 표시 패널(110)에 대향하는 윈도우(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상부 케이스(130), 하부 케이스(140) 및 결합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패널로서,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OLED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LED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 무기 EL 패널(Electro Luminescent Display Panel), FED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Panel), SED 패널(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Panel), PDP(Plasma Display Panel), CRT(Cathode Ray Tub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며, 표시 패널(110) 또한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 및 표시 패널(110)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의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PX)가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에는 복수의 화소(PX)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소자(미도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유기 발광 소자 및 회로 소자에서 제공되는 구동 신호로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회로 소자에서 제공되는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의 경계선이 이루는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경계선이 이루는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윈도우(120)는 표시 패널(110)의 발광 방향으로 대향하고, 표시 패널(110)과 결합한다. 윈도우(120)는 표시 패널(110)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윈도우(120)와 표시 패널(110)과 결합층(15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층(150)은 표시 패널(110)와 윈도우(120) 사이의 공간을 메울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층(150)은 표시 패널(110)와 윈도우(120) 사이의 공간을 메워 윈도우(120)와 표시 패널(11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층(150)은 윈도우(120)와 굴절률이 유사할수록 좋다. 결합층(150)과 윈도우(120) 간의 굴절률이 유사할수록 굴절률 차이에 의해 빛이 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합층(150)은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결합층(150)의 소재로 사용되는 아크릴 계열의 수지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윈도우(120)와 굴절률이 비슷하므로, 결합층(150)이 표시 패널(110)과 윈도우(120) 사이의 공간을 메움으로써 굴절률 차이에 의한 빛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층(150)은 윈도우(12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층(150)은 표시 패널(110)가 윈도우(120)와 불필요하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우수한 탄성을 가지므로 표시 패널(110)을 보호하여 표시 장치(10)의 기구적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즉,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1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결합층(150)은 표시 패널(110)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여 환경적 안정성 및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윈도우(120)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의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윈도우(120) 상에는 물체, 예컨대 손 또는 터치 스틱이 접촉할 경우 접촉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들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이 별도의 투명 기판과 그 상에 배치된 터치 전극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표시 패널(110)과 윈도우(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20)에는 투과 영역(TA)과 투과 영역(TA) 주변에 위치하는 차폐 영역(CA)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영역일 수 있으며, 표시 영역(NA)에서 제공되는 화상은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부 사용자 에게 시인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DA)과 대응될 수 있으며, 차폐 영역(CA)은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과 대응될 수 있다. 투광 영역(TA)은 표시 영역(DA)의 중앙부에 대응할 수 있다. 차폐 영역(CA)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고, 표시 패널(110)에서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부분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부 케이스(130)는 윈도우(200) 및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30)는 표시 장치(10)의 상부 및 측부의 외곽을 구성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30)는 표시 패널(100)을 상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00)의 표시 영역(DA)은 상부 케이스(130)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40)는 표시 장치(10)의 하부 외곽을 구성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40) 내에는 상부 케이스(130)를 제외한 표시 장치(10)의 구성들이 수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40)는 바닥면 및 바닥면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40)의 측면은 상부 케이스(130)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 상부 케이스(130)와 하부 케이스(140)는 여러 소재를 가지고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 상부 케이스(130)와 하부 케이스(140)는 강성이 높은 재료, 즉 스테인리스 강, 냉간압연 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 수지판을 공지의 딥 드로잉(deep drawing) 가공 또는 굽힘 가공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하, 윈도우(12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윈도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윈도우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윈도우(120)는 투명 기판(121)과 투명 기판(120) 상에 배치된 인쇄 패턴(122)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기판(121)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기판(120)은 글래스(Glass), 아크릴(Acryli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사파이어, 석영이나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명 기판(121)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패널(1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투명 기판(121)은 표시 패널(110)에 대향하는 일면과 그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기판(121)의 일면은 도 3에 도시된 윈도우(120)의 배면일 수 있다. 인쇄 패턴(122)은 투명 기판(12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쇄 패턴(122)은 투명 기판(121)의 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쇄 패턴(122)은 투명 기판(121)의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패턴(122)은 투명 기판(121)의 에지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 패턴(122)은 대향하는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윈도우(120)의 차폐 영역(CA)은 이러한 인쇄 패턴(122)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윈도우(120)는 투명 기판(121)과 이의 상에 형성된 인쇄 패턴(122)으로 구성되는 차폐 영역(CA)과 투명 기판(121)만으로 구성된 투과 영역(TA)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패턴(122)은 윈도우의 차폐 영역(CA)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10)의 빛샘 현상을 방지하고, 표시 장치(10)의 베젤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차폐 영역(CA) 내의 윈도우(120) 상에 적층된 인쇄 패턴(122)은 인쇄층 스택(stack)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인쇄 패턴(122)은 복수의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패턴(122)은 4개의 인쇄층(122a, 122b, 122c, 122d)가 적층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인쇄층(122a)은 투명 기판(121)의 바로 위에 배치되고, 제2 인쇄층(122b)은 제1 인쇄층(122a) 상에 배치되고, 제3 인쇄층(122c)은 제2 인쇄층(122b) 상에 배치되고, 제4 인쇄층(122d)은 제3 인쇄층(122c) 상에 위치할 있다. 이 때, 복수의 인쇄층(122a, 122b, 122c, 122d) 각각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4 인쇄층(122d)은 차폐 인쇄층일 수 있다. 제4 인쇄층(122d)은 투명 기판(121)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최외곽 인쇄층일 수 있다. 제4 인쇄층(122d)은 검정색 계통의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고, 표시 패널(110)에서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부분을 가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4 인쇄층(122d)은 차폐 영역(CA)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 인쇄층(122d)을 제외한 나머지 인쇄층(122a, 122b, 122c)은 배젤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색상 예컨대, 화이트(white), 펄(pearl), 실버(silver), 블랙(black), 골드(Gold) 및 핑크(Pink) 등의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인쇄층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10)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 부재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은 서로 다른 해리 온도를 가진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은 순차적으로 적층 프린팅된 복수의 잉크층이 경화된 상태일 수 있다. 4개의 인쇄층을 적층하여 형성하기 위해서 4개의 잉크층이 필요할 수 있다. 각 잉크층은 복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즉, 각 잉크층은 상술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잉크층은 소정의 공정 온도 및/또는 소정 파장의 광에 의해 경화 반응을 진행하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계 화합물와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와 반응을 진행하는 폴리올(polyol)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공정 온도 및/또는 소정 파장의 광 조사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te)계 화합물과 폴리올(polyol)계 화합물은 반응식1과 같이 반응하여 우레탄(urethane)계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반응식1]
Figure pat00001

여기서,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3인 알킬기, C6∼C20인 아릴기, -OH, -OCH3, -COOCH3, -CN, 할로겐기 또는 -NH2이다.
소정의 경질성을 가지는 우레탄(urethane)계 화합물을 잉크층 전체를 경화시킬 수 있으며, 잉크층은 경화되어 인쇄층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잉크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계 화합물은 서로 다른 해리 온도를 가진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에 의해 반응이 블록킹(blocking)된 상태일 수 있다. 블락된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계 화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을 특정 온도에서 해리하지 않는 한, 폴리올(polyol)계 화합물과의 반응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반응식2와 같이 소정의 온도에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B)을 먼저 해리한 이후에,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계 화합물은 폴리올(polyol)계 화합물과 반응하여 우레탄(urethane)계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반응식2]
Figure pat00002

블락된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계 화합물에서 해리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은 각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에 잔존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은 서로 다른 해리 온도를 가진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에 포함된 각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계 화합물과 폴리올(polyol)계 화합물의 반응 전에 특정 온도에서 해리된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내지 제4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에서 제1 인쇄층(122a)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은 제2 인쇄층(122b)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보다 해리 온도가 낮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인쇄층(122b)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은 제3 인쇄층(122c)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보다 해리 온도가 낮을 수 있다. 제3 인쇄층(122c)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은 제4 인쇄층(122d)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보다 해리 온도가 낮을 수 있다. 즉, 제1 인쇄층(122a)에서 제4 인쇄층(122d)으로 갈수록 각 인쇄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의 해리 온도는 증가할 수 있다. 제1 인쇄층(122a)은 가장 낮은 해리 온도의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을 포함하고, 제4 인쇄층(122d)은 가장 높은 해리 온도의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인쇄층(122a)은 다이에틸말로네이트(diethylmalonate, DEM)을, 제2 인쇄층(122b)은 3, 5-다이메틸파이라졸(3,5-dimethylpyrazole, DMP)를, 제3 인쇄층(122c)은 메틸에틸케토심(methylethylketoxime, MEKO)를, 제4 인쇄층(122d)은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 ε-CAP)를 각각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인쇄층(122a)은 다이에틸말로네이트(diethylmalonate)을, 제2 인쇄층(122b)은 3, 5-다이메틸파이라졸(3,5-dimethylpyrazole), 메틸에틸케토심(methylethylketoxime),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 중 적어도 하나를, 제3 인쇄층(122c)은 메틸에틸케토심(methylethylketoxime),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 중 적어도 하나를, 제4 인쇄층(122d)은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 ε-CAP)를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각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은 서로 다른 공정 온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을 형성하는 공정은 서서히 공정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낮은 해리 온도를 가진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에 의해 블록된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 화합물을 포함하는 잉크층은 다른 잉크층보다 먼저 경화되어 제1 인쇄층(122a)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음번으로 낮은 해리 온도를 가진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에 의해 블록된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 화합물을 포함하는 잉크층은 경화되어 제2 인쇄층(122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기판(121)으로부터 가까이 위치하는 잉크층부터 경화가 진행되고, 적층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나머지 잉크층의 경화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최외곽에 위치한 잉크층이 먼저 경화되지 않으므로, 투명 기판(121)과 최외곽에 위치한 잉크층 사이의 잉크층들은 충분하게 경화될 수 있다. 또한, 투명 기판(121)과 최외곽에 위치한 잉크층 사이의 잉크층들의 경화 시 발생되는 가스(Gas) 등은 아직 경화되지 않은 최외곽 잉크층을 통해 충분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투명 기판(121)으로부터 적층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잉크층들이 경화되어 형성된 복수의 인쇄층(122a, 122b, 122c, 122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는 기포의 발생 및 인쇄층의 박리 등과 같은 신뢰성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인쇄층(122a, 122b, 122c, 122d)는 단차 또는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인쇄층(122a, 122b, 122c, 122d)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제4 인쇄층(122d)은 최외곽 인쇄층(122d)으로 차폐 인쇄층일 수 있다. 제4 인쇄층(122d)은 검정색 계통의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고, 표시 패널(110)에서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부분을 가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4 인쇄층(122d)은 제4 인쇄층(122d)은 차폐 영역(CA)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인쇄층(122d)은 나머지 인쇄층(122a, 122b, 122c)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머지 인쇄층(122a, 122b, 122c)은 투과 영역(TA)과 차폐 영역(CA)의 경계까지 연장되지 않으며, 일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4 인쇄층(122d)의 말단부는 투명 기판(121)과 접할 수 있으며, 제4 인쇄층(122d)은 투과 영역(TA)과 차폐 영역(CA)의 경계까지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인쇄층(122d)은 외부에서 나머지 인쇄층(122a, 122b, 122c)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보다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복수의 인쇄층(122a, 122b, 122c, 122d)가 적층되는 투명 기판(121)의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인쇄층(122a, 122b, 122c)은 외부에서 이를 시인하기 어렵도록 적층되는 층이 높을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적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내지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공정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S110), 잉크층을 투명 기판에 프린팅하는 단계(S120), 잉크층을 경화하는 단계(S130) 및 표시 패널과 투명 기판을 결합하는 단계(S140)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된 구성과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도록 한다.
먼저, 표시 패널(110)을 준비한다(S110).
표시 패널(110)은 대향되는 두 개의 기판(S1, S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기판(S1)은 복수의 화소 및 이를 구동하는 회로 소자가 형성되는 어레이 기판일 수 있으며, 다른 기판(S2)은 어레이 기판을 밀봉하는 봉지 기판일 수 있다. 어레이 기판(S1)은 상술한 복수의 화소 및 회로 소자 형성된 이후, 봉지 기판(S2)은 결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복수의 화소 및 회로 소자가 위치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주변 영역인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레이 기판(S1)은 밀봉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어 봉지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역에 집적 회로(미도시) 및 구동 기판과 연결되는 패드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투명 기판(121)에 잉크층(122′)을 프린팅 한다(S120).
투명 기판(121)은 글래스(Glass), 아크릴(Acrylic), 사파이어, 석영,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이나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의 공정에서, 투명 기판(121)은 일면이 표시 패널(110)과 대향되어 결합될 수 있다. 투명 기판(121)은 표시 패널(110)의 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투명 기판(121)은 투과 영역(TA)과 투과 영역(TA) 주변에 위치하는 차폐 영역(CA)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DA)와 대응되고, 차폐 영역(CA)은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과 대응될 수 있다. 잉크층(122′)은 차폐 영역(CA) 내의 투명 기판(121)의 일면 상에 프린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장치의 빛 샘 현상을 방지하고, 표시 장치의 베젤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잉크층(122′)의 높이를 소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잉크층(122′)은 복수의 잉크층 스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3개의 제1 내지 제3 잉크층(122a′, 122b′, 122c′)을 적층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더 많거나 적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잉크층(122a′)은 투명 기판(120)의 바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잉크층(122a′)의 일 단부가 투과 영역(TA)과 차페 영역(CA)의 경계 영역에 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하려는 표시 장치의 디자인에 따라서 제1 잉크층(112a′)은 일 단부가 상기 경계 영역에 접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잉크층(122b′)을 제1 잉크층(122a′)의 바로 위에 형성하고, 제3 잉크층(122c′)을 제2 잉크층(122b′)의 바로 위에 형성한다. 투명 기판(12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3 잉크층(122c′)는 차폐 잉크층일 수 있다. 제3 잉크층(122c')은 검정색 계통의 색상을 가지는 염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잉크층(122c')은 경화되어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고, 표시 패널(110)에서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부분을 가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인쇄층(122c')은 차폐 영역(CA)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도록 프린팅될 수 있다. 나머지 제1 인쇄층(122a')과 제2 인쇄층(122c')은 표시 장치의 베젤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염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인쇄층(122a')과 제2 인쇄층(122c')의 조성물은 화이트(white), 펄(pearl), 실버(silver), 블랙(black), 골드(Gold) 및 핑크(Pink) 등의 색상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인쇄층(122a′, 122b′, 122c′)은 스크린 인쇄(screen print), 라미네이션(lamination),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 등 다양한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대표적으로 스크린 인쇄(screen print)를 적용하여 잉크층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예시한다.
스크린 인쇄(screen print)를 적용하여 잉크층(122′)을 형성하는 과정은, 소정의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린 마스크를 투명 기판(121)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스퀴지(squeegee)를 이용하여 소정 컬러의 잉크를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 적용하는 단계, 및 스크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는 형성하려는 잉크층의 형상에 따라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에는 잉크의 효과적인 충전을 위한 망사(mes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 컬러의 잉크를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 적용하는 단계는, 스퀴지(squeegee)를 일정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특정 속도로 소정 컬러의 잉크를 상기 스크린 마스크 상에 롤링(rolling)하는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개구부에 잉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는 스크린 마스크를 투명 기판(12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적층된 복수의 잉크층(122a′, 122b′, 122c′), 잉크층 스택(122′)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잉크층(122a′, 122b′, 122c′)은 단차 도는 굴곡을 가지도록 프린팅될 수 있다. 특히 최외곽 잉크층인, 제3 잉크층(122c′)은 나머지 잉크층(122a′, 122b′)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잉크층(122c′)은 투과 영역(TA)과 차폐 영역(CA)의 경계까지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잉크층(122c′)은 경화되어 외부에서 나머지 인쇄층(122a, 122b, 122c)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보다 차단할 수 있다.
이어서, 잉크층(122′)을 경화한다(S130).
잉크층(122′)은 소정의 열 및/또는 소정 파장의 빛에 의해 인쇄층(122)으로 경화될 수 있다. 복수의 잉크층(122a′, 122b′, 122c′) 각각의 조성물은 경화 반응 개시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화 반응 개시 물질은 소정의 열 및/또는 소정 파장의 빛에 의해 경화 반응을 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잉크층(122′)은 소정의 경질성을 가진 인쇄층(122)이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각 잉크층(122′)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계 화합물와 이소시아네이트(isocynate)와 반응을 진행하는 폴리올(polyol)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공정 온도 및/또는 소정 파장의 광 조사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te)계 화합물과 폴리올(polyol)계 화합물은 반응하여 우레탄(urethane)계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잉크층(122′)은 한번의 경화 공정을 통해 인쇄층(122)으로 변화하되, 투명 기판(121)으로부터 적층된 순서대로 경화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복수의 잉크층(122a′, 122b′, 122c′) 각각의 경화 개시 물질은 서로 다른 해리 온도를 가진 블락킹 그룹과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잉크층(122a′, 122b′, 122c′)에 포함된 경화 개시 물질은 특정 온도에서 블락킹 그룹을 해리시킨 이후에, 경화 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잉크층(122a′)에 포함된 블락킹 그룹의 해리 온도는 제2 잉크층(122b′)에 포함된 블락킹 그룹의 해리 온도보다 낮을 수 있으며, 제2 잉크층(122b′)에 포함된 블락킹 그룹의 해리 온도는 제3 잉크층(122c′)에 포함된 블락킹 그룹의 해리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투명 기판(121)과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잉크층(122a′)에 포함된 블락킹 그룹의 해리 온도는 가장 낮을 수 있으며, 투명 기판(121)과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3 잉크층(122c′)에 포함된 블락킹 그룹의 해리 온도는 가장 높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잉크층(122a′, 122b′, 122c′) 각각은 블락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te)계 화합물과 폴리올(polyol)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인쇄층(122a)은 다이에틸말로네이트(diethylmalonate)을, 제2 인쇄층(122b)은 3, 5-다이메틸파이라졸(3,5-dimethylpyrazole), 메틸에틸케토심(methylethylketoxime),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 중 적어도 하나를, 제3 인쇄층(122c)은 메틸에틸케토심(methylethylketoxime),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 공정 단계(S130)은 진공 챔버안에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공정 시간에 따른 공정 온도의 변화는 도 13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경화 공정 단계(S130)는 진공 챔버를 가열하는 단계, 제1 온도(T1)을 제1 시간(t1)동안 유지하는 단계, 제1 온도(T1)보다 높은 제2 온도(T2)를 제2 시간(t2) 동안 유지하는 단계, 제3 온도(T3)를 제3 시간(t3) 동안 유지하는 단계 및 진공 챔버를 방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도(T1), 제2 온도(T2) 및 제3 온도(T3)는 복수의 잉크층(122a′, 122b′, 122c′)에 포함된 경화 반응 개시물질의 반응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T1)는 제1 잉크층(122a′)에 포함된 경화 반응 블락킹 그룹이 해리되는 온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온도(T1)가 유지되는 제1 시간(t1) 동안 제1 잉크층(122a′)은 경화 반응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잉크층(122a′)이 가장 먼저 제1 인쇄층(122a)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온도(T2)는 제2 잉크층(122b′)에 포함된 경화 반응 블락킹 그룹이 해리되는 온도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온도(T2)가 유지되는 제2 시간(t2) 동안 제2 잉크층(122b′)은 경화 반응이 진행될 수 있으며, 제2 잉크층(122b′)은 경화되어 제2 인쇄층(122b)이 될 수 있다. 제3 온도(T3)는 제3 잉크층(122c′)에 포함된 경화 반응 블락킹 그룹이 해리되는 온도일 수 있다. 따라서, 제3 온도(T3)가 유지되는 제3 시간(t3) 동안 제3 잉크층(122c′)은 경화 반응이 진행될 수 있으며, 제3 잉크층(122c′)은 경화되어 제3 인쇄층(122c)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투명 기판(121)으로부터 가까이 위치하는 잉크층(122′)부터 경화가 진행되고, 적층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나머지 잉크층(122′)의 경화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최외곽에 위치한 제3 잉크층(122c′)이 먼저 경화되지 않으므로, 투명 기판(121)과 최외곽에 위치한 제3 잉크층(122c′) 사이의 잉크층들(122a′, 122b′)은 충분하게 경화될 수 있다. 또한, 투명 기판(121)과 최외곽에 위치한 제3 잉크층(122c′) 사이의 잉크층들(122a′, 122b′)의 경화 시 발생되는 가스(Gas) 등은 아직 경화되지 않은 최외곽의 제3 잉크층(122c′)을 통해 충분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조된 표시 장치의 인쇄층(122)에 기포가 발생되거나, 인쇄층(122)이 박리되는 등의 표시 장치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경화 공정 단계(S130)은 복수의 잉크층(122a′, 122b′, 122c′)에 광(L)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잉크층(122a′, 122b′, 122c′)은 소정 파장의 광에 의해 경화 반응이 활성화되는 개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잉크층(122a′, 122b′, 122c′)에 조사되는 광은 투명 기판(121)의 타면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타면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경우, 제1 잉크층(122a′)에 우선적으로 광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제1 잉크층(122a′)은 나머지 잉크층들(122b′, 122c′)보다 먼저 경화 반응이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최외곽 잉크층인 제3 잉크층(122c′)에 조사되는 광의 파장과 투명 기판(121)과 제3 잉크층(122c′) 사이의 잉크층들(122a′, 122b′)에 조사되는 광의 파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잉크층(122a′, 122b′)에 제1 파장의 제1 광을 먼저 조사하여 제1 및 제2 잉크층(122a′, 122b′)을 경화시키고, 제3 잉크층(122c′)에는 제1 파장과 상이한 제2 광을 조사하여 제3 잉크층(122c′)을 경화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광은 자외선일 수 있으며, 제2 광은 적외선일 수 있다. 또한, 제1 잉크층(122a′)과 제2 잉크층(122b′)만으로 잉크층 스택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잉크층(122a′)과 제2 잉크층(122b′)에 조사되는 광의 파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 패널(110)과 투명 기판(121)을 결합한다(S140).
투명 기판(121)은 인쇄층(122)이 형성된 일면이 표시 패널(110)의 발광 방향과 대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투명 기판(121)과 표시 패널(110)은 그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층(150)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윈도우
121: 투명 기판
122: 인쇄층
122′: 잉크층
130: 상부 케이스
140: 하부 케이스
150: 결합층

Claims (20)

  1.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대향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투과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차폐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차폐 영역 내의 상기 윈도우 상에 적층된 복수의 인쇄층을 포함하되,
    상기 각 인쇄층은 서로 다른 해리 온도를 가진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쇄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내지 제n 인쇄층을 포함하고,
    제k 인쇄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의 해리 온도는 제k+1 인쇄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의 해리 온도보다 낮은 표시 장치(단,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며, k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이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k 인쇄층은 diethylmalonate를 포함하고, 상기 제k+1 인쇄층은 3,5-dimethylpyrazole, methylethylketoxime, ε-caprolact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은 가장 낮은 해리 온도를 가지고,
    상기 제n 인쇄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은 가장 높은 해리 온도를 가지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층에서 상기 제n 인쇄층으로 갈수록 각 인쇄층에 포함된 이소시아네이트 블락킹(isocynate-blocking) 그룹의 해리 온도는 증가하는 표시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인쇄층은 차폐 인쇄층이고,
    상기 제n 인쇄층은 상기 차폐 영역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쇄층은 상기 윈도우의 일면 또는 타면에 적층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쇄층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쇄층은 단차 또는 굴곡을 가진 표시 장치.
  10.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투명 기판의 일면 상에 제1 잉크층을 프린팅하고, 상기 제1 잉크층 상에 제2 잉크층을 프린팅하는 단계;
    상기 제1 잉크층을 제1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잉크층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을 상기 표시 패널과 대향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제1 파장의 제1 광을 상기 제1 잉크층에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상기 제1 파장과 상이한 제2 파장의 제2 광을 상기 제2 잉크층에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자외선이고, 상기 제2 광은 적외선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과 상기 제2 광은 상기 투명 기판의 타면을 통해 조사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상기 제1 온도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상기 제2 온도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잉크층 상에 배치되는 제3 잉크층을 프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잉크층을 상기 제2 온도보다 높은 제3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광원을 각 잉크층에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잉크층에 조사되는 광원과 상기 제3 잉크층에 조사되는 광은 서로 파장이 상이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잉크층의 경화 단계는 상기 제1 온도, 상기 제2 온도 및 상기 제3 온도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잉크층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잉크층과 상기 제2 잉크층은 단차 또는 굴곡을 가지도록 프린팅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잉크층과 상기 제2 잉크층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0017164A 2015-02-04 2015-02-04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5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164A KR102375229B1 (ko) 2015-02-04 2015-02-04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4/739,097 US9676162B2 (en) 2015-02-04 2015-06-15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164A KR102375229B1 (ko) 2015-02-04 2015-02-04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241A true KR20160096241A (ko) 2016-08-16
KR102375229B1 KR102375229B1 (ko) 2022-03-17

Family

ID=5655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164A KR102375229B1 (ko) 2015-02-04 2015-02-04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76162B2 (ko)
KR (1) KR1023752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90062677A (ko) * 2017-11-28 2019-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5229A (zh) * 2016-12-20 2018-06-26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572136B1 (ko) 2018-01-08 2023-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CN110021640A (zh) 2018-01-08 2019-07-16 三星显示有限公司 电致发光装置
CN108600419A (zh) * 2018-03-09 2018-09-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10136720A (ko) * 2020-05-08 2021-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장치
KR20220051096A (ko) * 2020-10-16 2022-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그 윈도우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116A (ko) * 2000-04-28 2001-11-08 김순택 배기시간을 단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공정
US20130082961A1 (en) * 2011-09-30 2013-04-04 Wintek Corporatio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KR20140019112A (ko) * 2012-08-03 2014-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경화성 잉크 조성물, 이로 제조된 열경화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9394A1 (de) 2003-10-21 2005-05-25 Marabuwerke Gmbh & Co. Kg UV-härtendes Bindemittel für Farben oder Lacke zur Bedruckung von Glas und Verfahren zur Bedruckung von Glassubstraten
FR2976576B1 (fr) 2011-06-17 2014-08-08 Saint Gobain Procede de fabrication d'un substrat en verre comportant des motifs imprimes en email.
KR101380802B1 (ko) 2012-05-02 2014-04-07 주식회사 송산 불투명창에 요철패턴이 표현되는 모바일 데코 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116A (ko) * 2000-04-28 2001-11-08 김순택 배기시간을 단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공정
US20130082961A1 (en) * 2011-09-30 2013-04-04 Wintek Corporatio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KR20140019112A (ko) * 2012-08-03 2014-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경화성 잉크 조성물, 이로 제조된 열경화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554571B2 (en) 2017-06-23 2023-01-17 Samsung Display Co., Ltd. Decorative print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62677A (ko) * 2017-11-28 2019-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229B1 (ko) 2022-03-17
US20160221293A1 (en) 2016-08-04
US9676162B2 (en)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229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7034235B2 (ja) 表示装置、ガラス基板および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EP345437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031441B2 (en) Electro-opt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4206076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0101981A2 (en) Electro-optic displays with color filters
KR20140146087A (ko) 전자 장치용 터치 스크린 어셈블리
KR20090039218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의 제조 방법
WO2020189407A1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242591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911267A (zh) 顯示面板及顯示裝置
EP343905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69972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1427B1 (ko) 모바일기기의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5022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JP2007234599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および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
JP6331275B2 (ja) 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2015201256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656393B2 (ja) モジュール
JP2014072156A (ja) 有機el表示装置
CN113809116A (zh) 一种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JP2000223261A (ja) カラー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37064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31345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464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