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73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735A
KR20200056735A KR1020180140766A KR20180140766A KR20200056735A KR 20200056735 A KR20200056735 A KR 20200056735A KR 1020180140766 A KR1020180140766 A KR 1020180140766A KR 20180140766 A KR20180140766 A KR 20180140766A KR 20200056735 A KR20200056735 A KR 20200056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blocking member
thickness
display devi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946B1 (ko
Inventor
서미연
곽태형
강신철
최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946B1/ko
Priority to US16/592,680 priority patent/US10944080B2/en
Priority to CN201910992311.3A priority patent/CN111192522B/zh
Priority to JP2019202176A priority patent/JP6920395B2/ja
Priority to EP19207792.3A priority patent/EP3654137A1/en
Publication of KR2020005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따르면,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주변 영역의 일부를 제1 투과율로 차광하도록 구성된 제1 차광 부재, 제1 차광 부재 및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덮도록 구성된 접착 부재,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고, 제1 차광 부재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제2 투과율로 차광하도록 구성된 제2 차광 부재, 및 접착 부재 및 제2 차광 부재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뢰성이 향상된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표시 영역에 영상을 표시 한다.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한 특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는 특정 형상으로 휘어진 커브드 (curved) 표시 장치, 특정 곡률 반경으로 말릴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및 특정 축으로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등이 있다.
표시 장치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인 마이크로 엘이디 (micro light emitting diode; Micro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퀀텀닷 다이오드(quantum-dot light emitting diode; QLED) 등의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종래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에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평판 표시 패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적용되었다.
종래의 커버 부재는 200μm 정도의 두께의 커브드(curved) 강화 유리를 사용한다. 커브드 강화 유리는 베젤(bezel) 영역에 완만한 곡률이 있어서 표시 장치의 베젤이 특정 형상으로 휘어져 있다.
종래의 접착 부재는 100μm 정도의 두께로 종래의 커버 부재와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고정시켰다. 이러한 커브드 표시 장치는 최근에 개발 중인 폴더블 표시 장치에 비해서 플렉서블 기술 측면에서 기술적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폴더블 표시 장치에 비해서 두께를 두껍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각 구성 요소들의 두께 및 단차에 따른 문제점이 크게 발생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 중에서 특히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폴딩 특성에 대한 연구를 하여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표시 장치는 폴딩 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보다 신뢰성을 달성하기가 상대적으로 더 어렵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더블 표시 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들인 폴더블 표시 패널 및 폴더블 커버 부재에 대하여 연구를 하여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서 폴더블 표시 패널 상에 폴더블 커버 부재를 부착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커버 부재 부착 시 폴더블 표시 패널의 폴딩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는 박형 구조의 커버 부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표시 패널용 폴더블 커버 부재를 적용할 때 다양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첫째, 폴더블 커버 부재의 두께가 최소화 되어야, 폴딩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폴더블 커버 부재의 두께가 200μm 정도로 두꺼울 경우, 폴더블 커버 부재를 접을 때 폴더블 커버 부재 및 폴더블 표시 패널에 크랙(crack)이 발생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더블 커버 부재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폴더블 커버 부재와 체결된 폴더블 표시 패널의 중립면(neutral plane)이 바뀌게 되고, 이에 폴더블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 스트레스(tensile stress) 또는 압축 스트레스(compressive stress)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패널에 스트레스에 의한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둘째, 폴더블 커버 부재와 폴더블 표시 패널을 부착하는 접착 부재의 두께가 최소화 되어야 폴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두꺼운 접착 부재는 폴더블 표시 패널의 단차를 보상하여, 커버 부재의 평탄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폴딩 시 두꺼운 접착 부재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에 의해서 접착 부재가 폴더블 커버 부재 또는 폴더블 표시 패널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접착 부재의 두께가 100μm 정도로 두꺼울 경우, 폴더블 커버 부재와 체결된 폴더블 표시 패널의 중립면(neutral plane)이 바뀌게 되고, 이에 폴더블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 스트레스(tensile stress) 또는 압축 스트레스(compressive stress)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패널에 스트레스에 의한 크랙이 발생될 수 있으며, 두꺼운 접착 부재에 가해지는 인장 스트레스 또는 압축 스트레스에 의해서 접착 부재에 박리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또한 박리된 틈을 통해서 폴더블 표시 패널로 산소 및 수분이 침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셋째, 폴더블 커버 부재 및 접착 부재의 두께를 최소화 할 때,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평탄도가 저하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폴더블 표시 패널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전계 발광 다이오드, 및 봉지부가 적층 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적층 된 구성요소들의 두께 및 패턴에 의한 다양한 단차(step)를 가진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딩 특성을 위해서 최소의 두께를 가지는 폴더블 커버 부재 및 접착 부재가 폴더블 표시 패널과 합착 되면, 폴더블 표시 패널의 단차를 따라서 폴더블 커버 부재에 단차가 발생되고, 이러한 단차가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평탄도가 저하되고, 제품 외관 품질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넷째, 폴더블 커버 부재 및 접착 부재의 두께를 최소화 할 때, 폴더블 커버 부재의 베젤 영역을 차광하는 차광 부재의 두께에 의해 단차가 발생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차광 부재는 표시 영역 주변의 폴더블 표시 패널의 베젤 영역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차광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두께가 요구된다. 만약 차광 부재의 두께가 너무 얇아질 경우, 반투명 특성이 생기거나, 차광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박형의 폴더블 커버 부재 및 박형의 접착 부재를 구현할 때 종래의 차광 부재를 적용하면 베젤 영역에 단차가 발생되어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평탄도가 저하되고, 제품 외관 품질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차광 부재의 두께가 12μm 내지 20μm 정도일 때, 차광 부재에 의한 단차가 발생된다. 이때 접착 부재의 두께가 충분하지 않아서, 단차 부분에 기포가 발생될 수 있으며, 단차 및 폴딩 시 인가되는 스트레스에 의해서 접착 부재와 박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커버 부재 및 접착 부재의 두께를 최소화 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였으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신뢰성 및 평탄도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들이 개선된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주변 영역의 일부를 제1 투과율로 차광하도록 구성된 제1 차광 부재, 제1 차광 부재 및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덮도록 구성된 접착 부재,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고, 제1 차광 부재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제2 투과율로 차광하도록 구성된 제2 차광 부재, 및 접착 부재 및 제2 차광 부재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의 두께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가 중첩된 영역의 차광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가 중첩된 영역의 차광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 각각의 광학 밀도 수준은 5 미만일 수 있으며,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의 중첩에 따른 종합 광학 밀도 수준은 5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 및 제2 차광 부재 각각의 두께의 합은 14μm 미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 및 제2 차광 부재 각각의 두께는 1μm 내지 7μ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접착 부재는 제1 차광 부재 및 제2 차광 부재의 단차를 보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접착 부재에 의해서 커버 부재의 단차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중첩하는 복수의 차광 부재, 복수의 차광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 및 복수의 차광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차광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차광 부재의 단차를 보상하도록 구성된,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복수의 비 폴딩 영역 및 복수의 비 폴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차광 부재는 적어도 폴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는 복수의 비 폴딩 영역의 주변 영역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변 영역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는 폴딩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차광 부재 중 하나의 차광 부재와 연결되고, 연결된 차광 부재의 두께는 폴딩 영역이 비 폴딩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더 얇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은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테이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차광 부재는 서로 중첩되며 동일한 방향으로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소정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두께 범위에 의해서 반투명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차광 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차광 부재가 서로 수직으로 중첩된 두께의 합이 제2 두께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불투명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두께는 제1 두께 범위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차광 부재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는 주변 영역에서 제1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2 차광 부재는 주변 영역에서 제1 폭과 상이한 제2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면서 제1 차광 부재와 중첩하도록 구성되고, 제3 차광 부재는 주변 영역에서 제2 폭과 상이한 제3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1 차광 부재와 중첩되지 않으며, 제2 차광 부재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폴딩 영역 및 비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비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는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차광 부재보다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차광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접착 부재와 복수의 차광 부재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 부재는 아크릴,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올레핀, 폴리이미드, 실리콘, 및 에폭시 중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 부재는 5 내지 20 μm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중첩되는 박형의 차광 부재를 중첩시킴으로써, 폴더블 표시 장치의 커버 부재의 박리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중첩되는 박형의 차광 부재를 중첩시킴으로써, 박형의 커버 부재를 적용하더라도, 엣지 부분의 단차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중첩되는 박형의 차광 부재를 중첩시킴으로써, 차광 부재를 박형화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반투명한 특성에 따른 빛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절단면 A'-A''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표시 장치의 절단면 B'-B''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명세서에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절단면 A'-A''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차광 구조물(120), 접착 부재(130), 및 커버 부재(15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표시 패널(110)은 평판 표시 패널, 커브드 표시 패널, 플렉서블 표시 패널, 또는 폴더블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화소(PXL)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패널(11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나,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10)은 가장자리가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10)의 일부가 곡선인 형상일 수도 있고, 일측 가장자리가 만곡된 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10)은 원형, 타원형, 곡선형, 다각형일 수도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화소(PXL)가 배치된 영역을 표시 영역(AA)으로 정의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의 주변은 주변 영역(N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변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화소(PXL) 및 구동 회로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배선,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회로가 배치되어 복수의 화소(PXL)를 구동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부연 설명하면, 주변 영역(NA)은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주변 영역(NA)은 표시 영역(AA)과 인접한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화소(PXL)는 복수의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화소는 표시 영역(AA)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각각의 서브 화소는 고유한 파장 대역의 광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서브 화소는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 광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는 애노드, 전계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동 회로는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구동 회로는 반도체 소자 및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10)은 기판의 특성에 따라서 강성(rigidity) 또는 연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10)의 기판이 소정의 두께 이상의 유리일 경우, 표시 패널(110)은 강성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평판 표시 패널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10)의 기판이 플라스틱 기판일 경우, 표시 패널(110)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만약, 표시 패널(110)이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경우, 표시 패널(110)의 연성 특성에 따라서, 커브드 표시 패널, 롤러블 표시 패널, 및 폴더블 표시 패널로 세분화 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수평, 수직, 및/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표시 패널(110) 상에는 차광 구조물(120)이 배치된다.
차광 구조물(120)은 적어도 표시 패널(110)의 주변 영역(NA)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10)의 외곽에 배치된 구동 회로 등의 구성요소가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 요소이다. 예를 들면, 차광 구조물(120)은 표시 패널(110)의 주변 영역(NA)의 전부 또는 대부분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차광 구조물(120)은 기능적인 관점에서, 예를 들면, 블랙 매트릭스(Black-matrix) 또는 데코레이션 필름(decoration film) 등으로 지칭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광 구조물(120)은 적어도 제1 차광 부재(122) 및 제2 차광 부재(1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차광 구조물(120)의 복수의 차광 부재들(122, 124)은 서로 이격되고,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차광 부재(122)는 주변 영역(NA)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광 부재(124)는 주변 영역(NA)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면서 제1 차광 부재(122)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광 구조물(120)은 블랙 잉크(예: 카본 블랙으로 채워진 폴리머)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광 구조물(120)은 주변 영역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는 수준의 차광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 구조물(120) 중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122, 124)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carbon black) 조성물을 잉크젯 프린팅 또는 스크린 프린팅한 후,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광 구조물(120)의 총 두께는 균일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 되지 않으며, 차광 구조물(120)은 표시 영역(AA)으로 갈수록 총 두께가 감소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의 두께가 표시 영역(AA)으로 갈수록 연속적/점진적으로 줄어들 경우 차광 구조물(120)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차는 완화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100)의 외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차광 구조물(120)의 두께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블랙 매트릭스는 다양한 평판 표시 장치에 적용되어 왔으며, 두께에 따른 기술적 문제점이 특별히 없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블랙 매트릭스는 단일층으로 20μm 정도의 두께로 구현되어 왔다. 이러한 두께를 가지는 단일층의 블랙 매트릭스는 충분한 차광 특성을 제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블랙 매트릭스의 두께가, 예를 들면, 12μm 이하가 될 경우, 차광률이 저하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빛샘으로 인식될 수 있었기 때문에, 블랙 매트릭스의 두께를 저감하여 반투명 특성을 구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광 투과율은, 예를 들어, 광학 밀도(optical density)로 표현될 수 있으며, 빛샘의 인지가 가능한 수준을 광학 밀도 수준 5 미만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빛샘의 인지가 불가능한 수준을 광학 밀도 수준 5 이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차광 부재(122)와 제2 차광 부재(124) 각각의 광학 밀도 수준은 5 미만이고, 제1 차광 부재(122)와 제2 차광 부재(124)의 중첩에 따른 종합 광학 밀도 수준은 5 이상이 되도록 각각의 차광 부재의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차광 부재(122) 및 상기 제2 차광 부재(124)의 두께의 합은 14μm 미만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차광 부재(122) 및 제2 차광 부재(124) 각각의 두께는 1μm 내지 7μ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복수의 차광 부재(122, 124) 중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는 소정의 두께 이하로 구현되어 반투명한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차광 부재(122)와 제2 차광 부재(124)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가 반투명한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광 구조물(120)은 복수의 차광 부재(122, 124)가 서로 중첩됨에 따라, 불투명한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차광 부재(122)와 제2 차광 부재(124)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고, 제1 차광 부재(122)와 제2 차광 부재(124)가 중첩된 영역의 차광율이 90%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차광 부재(122)와 제2 차광 부재(124)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고, 제1 차광 부재(122)와 제2 차광 부재(124)가 중첩된 영역의 차광율이 90%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접착 부재는 압력, 점성(viscosity), 열 등에 의해서 경화 전 모양이 일부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접착 부재의 단차 보상 능력은 접착 부재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접착 부재의 두께가 증가될 수록, 표시 장치의 무게가 증가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되는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단일층의 블랙 매트릭스의 단차를 보상하기 위해서 100μm 이상 두께의 종래의 접착 부재가 적용 되어 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제1 차광 부재(122)와 제2 차광 부재(124) 사이에 접착 부재(130)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착 부재(130)는 제1 차광 부재(122) 상에 배치되고, 제2 차광 부재(124)는 접착 부재(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130)는 제1 차광 부재(122)와 제2 차광 부재(124)와 접촉할 수 있다. 접착 부재(130)는 압력, 광,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투명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130)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ly clear resin; OC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접착 부재(130)는 경화 전 모양이 일부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130)의 두께는 50μm 이하로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접착 부재(130)의 두께는 30μ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특정 두께를 가지는 접착 부재(130)는, 예를 들어, 박형 접착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접착 부재(130)의 배면에 제1 차광 부재(122)가 배치되고, 접착 부재(130)의 상면에 제2 차광 부재(124)가 배치될 경우, 차광 부재들(122, 124)과 접촉하는 접착 부재(130)는 압력, 점성, 열 등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접착 부재(130)의 배면과 상면이 복수의 차광 부재(122, 124)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차광 부재(122, 124)의 두께에 따른 단차를 종래의 단일층의 블랙 매트릭스보다 상대적으로 더 잘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두꺼운 단일층보다 좀더 얇은 복수개의 층이 상면과 하면에 배치될 경우 단차 보상이 더 잘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종래의 단일층의 블랙 매트릭스의 두께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구조물(120)의 차광 부재들(122, 124)의 총 두께가 동일한 경우를 비교할 경우,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접착 부재(130)와 차광 구조물(120)의 조합에 따른 단차 보상 능력이 종래의 단일층의 블랙 매트릭스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연 설명하면, 종래의 단일층의 블랙 매트릭스의 두께가 14μm인 경우와 제1 차광 부재(122)의 두께가 8μm이고 제2 차광 부재(124)의 두께가 8μm 인 경우를 비교하면, 복수의 차광 부재(122, 124)의 총 두께가 종래보다 더 두껍더라도 종래의 단일층의 블랙 매트릭스보다 단차 보상 능력이 더 우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구조물(120)과 접착 부재(130)가 제공될 경우, 접착 부재(130)의 두께가 저감되더라도, 단차 문제가 상대적으로 더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접착 부재(130)의 두께가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접착 부재(130)는 제1 차광 부재(122) 및 제2 차광 부재(124)의 단차를 보상하도록 구성되고, 접착 부재(130)에 의해서 커버 부재(150)의 단차가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차광 구조물(120)과 접착 부재(130) 상에 커버 부재(150)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150)는 표시 패널(11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스크래치(scratch) 등의 손상을 저감하며, 표시 패널(11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표시패널(1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커버 부재(15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나,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150)는 가장자리가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150)의 일부가 곡선인 형상일 수도 있고, 일측 가장자리가 만곡된 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150)는 원형, 타원형, 곡선형, 다각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150)는 표시 패널(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의 형상은 상술한 커버 부재(15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커버 부재(15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커버 부재(150)의 형상을 유지하는 특성이 향상된다. 즉, 커버 부재(15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커버 부재(150)와 접촉되는 접촉면의 단차를 따라 변형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커버 부재(150)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단차가 있는 접촉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커버 부재(150)는 유리(glass), 강화 유리, 플라스틱, 또는 하드 코팅 레진으로 이루어진 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150)가 유리로 이루어지는 경우, 강성을 가지므로, 커버 부재(150)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표시 패널(110)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부재(150)는 충분한 내충격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두꺼운 20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구조물(120)은 복층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접착 부재(130)의 두께가 저감되더라도 차광 구조물(120)이 단차를 보상하여 커버 부재(150)의 박리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약, 종래의 단일층의 블랙 매트릭스가 얇은 두께의 접착 부재 상에 제공되고, 그 위에 커버 부재가 배치될 경우, 종래의 단일층의 블랙 매트릭스에 의한 단차로, 커버 부재와 접착 부재가 박리될 수 있다. 박리된 틈은 산소 및/또는 수분의 침투 경로가 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영역(AA) 및 표시 영역(AA)의 주변 영역(NA)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10),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되고 주변 영역(NA)의 일부를 제1 투과율로 차광하도록 구성된 제1 차광 부재(122), 제1 차광 부재(122) 및 표시 패널(110)을 덮도록 구성된 접착 부재(130), 접착 부재(130) 상에 배치되고 제1 차광 부재(122)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제2 투과율로 차광하도록 구성된 제2 차광 부재(124), 및 접착 부재(130) 및 제2 차광 부재(124)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 부재(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접착 부재(130)의 두께가 저감되더라도, 차광 구조물(120)이 복수개의 차광 부재(122, 124)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는 반투명한 특성을 가질 정도로 박형의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접착 부재(130)의 두께가 저감되더라도 단차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150)의 두께가 두껍더라도 커버 부재(150)와 접착 부재(130)의 박리 문제가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130)와 커버 부재(150)는 평판 표시 장치, 플렉서블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는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는 표시 패널(110), 차광 구조물(120), 접착 부재(130), 및 커버 부재(350)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350)는 하드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커버 부재(350)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커버 부재(350)의 두께는 5μm 내지 20μ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 부재(350)가 코팅 물질일 경우, 커버 부재(350)는 차광 구조물(120)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커버 부재(350)가 코팅 물질일 경우, 코팅되는 표면의 단차를 따라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차광 구조물(120)에 의해서 단차가 보상되기 때문에, 커버 부재(350)의 단차가 최소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차가 사용자에게 시인되어 폴더블 표시 장치(300)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커버 부재(350)는 내충격성 및 광 투과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폴딩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350)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350)는 상술한 다양한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커버 부재(350)는 얇은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350)는 80μ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 부재(350)는 박형 특성 및 플렉서블 특성을 고려하여, 아크릴(acrylic),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아세테이트(polyacet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테르(polyether), 올레핀(olefin), 폴리이미드(polyimide), 실리콘(silicon), 및 에폭시(epoxy) 중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 부재(350)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층으로 베이스 올리고머 또는 베이스 모노머 및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올리고머(oligomer) 또는 베이스 모노머(monomer)는 경화 공정을 통해 폴리머화되는 물질로, 아크릴계 또는 에폭시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개시제는 광 개시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자외선 광 개시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개시제는 경화 공정 후 원 상태로 잔류할 수 있는 금속 성분이 포함된 양이온 개시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bF6-, SiF6- 등과 같은 보레이트(borate) 계열 또는 Ph3S+ 이 양이온 개시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양이온 개시제는 경화 공정 후 금속 이온 성분 분석 등을 통해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시제는 경화 공정 후 경화 반응에 참여하여 베이스 올리고머 또는 베이스 모노머에 결합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민(amine)계 개시제 또는 이미다졸(imidazole)계 개시제일 수 있다. 이러한 경화 반응에 참여하는 개시제는 경화 공정 후 DSC 분석, FT-IR 분석, NMR 분석 등의 분석을 진행하여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제의 조성비는 베이스 올리고머 또는 베이스 모노머 대비 1 내지 5 wt%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350)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평판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00)는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장치(400)의 단면도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3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00)는 표시 패널(110), 차광 구조물(120), 접착 부재(130), 및 커버 부재(35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300)의 커버 부재(350) 및 접착 부재(130)의 두께가 저감됨에 따라,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폴딩 특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400)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400)는 폴딩 영역(FA) 및 폴딩 영역(FA)과 인접한 비 폴딩 영역(NFA)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400)는 폴딩 영역이 접힐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00)는 얇고 폴딩 특성이 우수한 커버 부재(350)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표시 장치(400)의 두께가 감소되고 폴딩 특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400)는 특정 부분(FA)이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를 폴더블 표시 장치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130)의 두께는 50μ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다 바람직하게, 접착 부재(130)의 두께는 30μ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350)는 얇은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350)는 80μ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부연 설명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의 경우, 인위적으로 표시 장치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서 변형 시키기 때문에, 평판 표시 장치의 경우 때 고려하지 않았던 새로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착 부재(130) 및 커버 부재(350)의 두께는 폴딩 특성과 관련되어 있다.
실험 결과, 커버 부재(350)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예를 들면, 약 200μm), 커버 부재(350) 및/또는 표시 패널(110)에서 크랙(crack)이 관찰되었다. 이는, 커버 부재(350)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커버 부재(350)와 체결된 표시 패널(110)의 중립면(neutral plane)이 바뀌게 되고, 이에 표시 패널(110)에 가해지는 인장 스트레스(tensile stress) 또는 압축 스트레스(compressive stress)가 달라짐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험 결과, 접착 부재(130)의 두께가 증가하면, 폴딩 시 발생되는 스트레스에 의해서 접착 부재(130)가 커버 부재(350) 또는 표시 패널(110)로부터 박리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130)의 두께가 100μm 정도로 두꺼울 경우, 폴딩 시 인장 스트레스 또는 압축 스트레스에 의해서 접착 부재(130)가 박리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박리된 틈은 산소 및/또는 수분의 침투 경로가 될 수 있으며 표시 장치(400)의 불량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00)의 커버 부재(350) 및 접착 부재(130)의 두께는 폴딩 특성을 고려해서 저감될 수 있으며, 상술하였듯이, 차광 구조물(120)에 의해서 커버 부재(350)와 접착 부재(130)의 두께가 저감되더라도 단차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표시 장치의 절단면 B'-B''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00)는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00)는 표시 패널(110), 차광 구조물(520), 접착 부재(130), 및 커버 부재(35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500)는 복수의 비 폴딩 영역(NFA) 및 복수의 비 폴딩 영역(NFA)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영역(FA)을 포함하고,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차광 부재(522, 524)는 적어도 폴딩 영역(FA)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광 구조물(520)은 제1 차광 부재(522), 제2 차광 부재(524), 및 제3 차광 부재(5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광 부재(524)와 제3 차광 부재(526)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다. 그리고 제2 차광부재(524)와 제3 차광부재(526)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522) 및 제2 차광 부재(524)는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차광 부재(526)는 비 폴딩 영역(NF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차광 구조물(520)은 폴딩 영역(FA) 및 비 폴딩 영역(NFA)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차광 부재(522, 524)중 하나의 차광 부재(524)와 연결된 차광 부재(526)는 복수의 비 폴딩 영역(NFA)의 주변 영역(NA)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제2 차광부재(524)와 제3 차광부재(526)는 폴딩 여부에 따라 두께가 상이한 하나의 차광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주변 영역(NA)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526)는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복수의 차광 부재(522, 524) 중 하나의 차광 부재(524)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된 차광 부재(524, 526)의 두께는 폴딩 영역(FA)이 비 폴딩 영역(NFA)보다 상대적으로 더 얇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차광 부재(524)는 반투명 특성을 가지는 두께일 수 있으며, 비 폴딩 영역(NFA)에 배치된 차광 부재(526)는 불투명 특성을 가지는 두께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각각의 차광 부재(522, 524)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차광 부재(522, 524)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00)는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00)는 표시 패널(110), 차광 구조물(720), 접착 부재(130), 및 커버 부재(150)를 포함한다.
차광 구조물(720)은 제1 차광 부재(722) 및 제2 차광 부재(7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차광 부재(722) 및 제2 차광 부재(724)는 표시 영역(AA)에 가까워질수록 두께가 저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급격한 두께 변화를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 부재(130)의 단차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00)는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00)는 표시 패널(110), 차광 구조물(820), 접착 부재(130), 및 커버 부재(150)를 포함한다.
차광 구조물(820)은 제1 차광 부재(822) 및 제2 차광 부재(8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차광 부재(822) 및 제2 차광 부재(824)는 엣지 부분에 소정의 테이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엣지 부분에서의 급격한 두께 변화를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 부재(130)의 단차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00)는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00)는 표시 패널(110), 차광 구조물(920), 접착 부재(130), 및 커버 부재(350)를 포함한다.
차광 구조물(920)은 제1 차광 부재(922) 및 제2 차광 부재(9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차광 부재(922) 및 제2 차광 부재(924)는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커버 부재(350)가 하드 코팅층으로 형성될 때, 커버 부재(350)와 가까운 제2 차광 부재(924)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한다, 예를 들면, 1μm 내지 2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차광 부재(922)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한다. 예를 들면, 4μm 내지 6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커버 부재(350)의 두께가 얇더라도, 제2 차광 부재(924)의 두께에 의한 단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커버 부재(35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박리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10), 차광 구조물(1020), 접착 부재(130), 커버 부재(350) 및 편광판(1030)을 포함한다.
차광 구조물(1020)은 복수의 차광 부재(1022, 1024, 10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차광 부재(1022, 1024, 1026) 중 일부는 편광판(103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일부는 편광판(10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차광 부재들(1022, 1024, 1026)은 서로 다른 단면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가 일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차광 부재가 반투명 특성을 가지더라도, 다른 차광 부재가 중첩되는 일부를 차광시켜서 빛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00)는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00)는 표시 패널(110), 차광 구조물(1120), 접착 부재(130), 커버 부재(350) 및 편광판(1030)을 포함한다.
차광 구조물(1120)은 복수의 차광 부재(1122, 1124, 11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3개의 차광 부재(1122, 1124, 1126)은 두께가 소정의 두께 이하로 구성되어 반투명한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차광 부재(1122, 1124, 1126)가 서로 중첩어 불투명한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차광 부재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차광 부재(1122, 1124, 1126)의 두께에 다른 단차를 보다 더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광 구조물(120, 720, 820, 920, 1020, 1120)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적용될 경우 차광 특성을 유지하면서 폴딩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광 구조물(120, 720, 820, 920, 1020, 1120)은 평판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 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 구조물은 복수의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차광 부재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 구조물은 복수의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차광 부재의 두께는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 구조물은 복수의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차광 부재의 엣지 부분은 소정의 테이퍼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의 배면에는 편광판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은 폴더블 표시 패널로 입사하는 외부 광의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표시 패널의 설계에 따라 편광판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생략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다양한 신호를 생성하거나 표시 영역내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요소는 인버터 회로, 멀티플렉서, 정전기 방전 회로(electro static dischar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화소 구동 이외의 기능과 연관된 부가 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터치 감지 기능, 사용자 인증 기능(예: 지문 인식), 멀티 레벨 압력 감지 기능,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 기능 등을 제공하는 부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은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등과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무기층과,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에폭시계 유기물 등과 같은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유기층이 교대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1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각각의 구성들이 서로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아래와 같이 설명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주변 영역의 일부를 제1 투과율로 차광하도록 구성된 제1 차광 부재, 제1 차광 부재 및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덮도록 구성된 접착 부재,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고, 제1 차광 부재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제2 투과율로 차광하도록 구성된 제2 차광 부재, 및 접착 부재 및 제2 차광 부재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의 두께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가 중첩된 영역의 차광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가 중첩된 영역의 차광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 각각의 광학 밀도 수준은 5 미만일 수 있으며, 제1 차광 부재와 제2 차광 부재의 중첩에 따른 종합 광학 밀도 수준은 5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 및 제2 차광 부재 각각의 두께의 합은 14μm 미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 및 제2 차광 부재 각각의 두께는 1μm 내지 7μ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접착 부재는 제1 차광 부재 및 제2 차광 부재의 단차를 보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접착 부재에 의해서 커버 부재의 단차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중첩하는 복수의 차광 부재, 복수의 차광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 및 복수의 차광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차광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차광 부재의 단차를 보상하도록 구성된,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복수의 비 폴딩 영역 및 복수의 비 폴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차광 부재는 적어도 폴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는 복수의 비 폴딩 영역의 주변 영역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변 영역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는 폴딩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차광 부재 중 하나의 차광 부재와 연결되고, 연결된 차광 부재의 두께는 폴딩 영역이 비 폴딩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더 얇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은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테이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차광 부재는 서로 중첩되며 동일한 방향으로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소정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두께 범위에 의해서 반투명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차광 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차광 부재가 서로 수직으로 중첩된 두께의 합이 제2 두께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불투명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두께는 제1 두께 범위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차광 부재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차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차광 부재는 주변 영역에서 제1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2 차광 부재는 주변 영역에서 제1 폭과 상이한 제2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면서 제1 차광 부재와 중첩하도록 구성되고, 제3 차광 부재는 주변 영역에서 제2 폭과 상이한 제3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1 차광 부재와 중첩되지 않으며, 제2 차광 부재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폴딩 영역 및 비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비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는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차광 부재보다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차광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접착 부재와 복수의 차광 부재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 부재는 아크릴,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올레핀, 폴리이미드, 실리콘, 및 에폭시 중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 부재는 5 내지 20 μm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300, 400, 500, 700, 800, 900, 1000, 1100 : 표시 장치
110 : 표시 패널
120, 520, 720, 820, 920, 1020, 1120 : 차광 구조물
130 : 접착 부재
150, 350 : 커버 부재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를 제1 투과율로 차광하도록 구성된 제1 차광 부재;
    상기 제1 차광 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덮도록 구성된 접착 부재;
    상기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제2 투과율로 차광하도록 구성된 제2 차광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차광 부재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상기 제2 차광 부재가 중첩된 영역의 차광율이 90% 이상인,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상기 제2 차광 부재가 중첩된 영역의 차광율이 90% 이상인,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상기 제2 차광 부재 각각의 광학 밀도 수준은 5 미만이고,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중첩에 따른 종합 광학 밀도 수준은 5 이상인,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 및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두께의 합은 14μm 미만인,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부재 및 상기 제2 차광 부재 각각의 두께는 1μm 내지 7μm 인,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 및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단차를 보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서 상기 커버 부재의 단차가 저감된, 표시 장치.
  8.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중첩하는 복수의 차광 부재;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의 단차를 보상하도록 구성된, 폴더블 표시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복수의 비 폴딩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비 폴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는 적어도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는 상기 복수의 비 폴딩 영역의 상기 주변 영역을 덮도록 구성된, 폴더블 표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을 덮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중 하나의 차광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차광 부재의 두께는 상기 비 폴딩 영역보다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얇은, 폴더블 표시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은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테이퍼를 가지도록 구성된, 폴더블 표시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는 서로 중첩되며 동일한 방향으로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소정의 영역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5.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차광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두께 범위에 의해서 반투명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차광 부재가 서로 수직으로 중첩된 두께의 합이 제2 두께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불투명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두께 범위보다 더 두꺼운, 표시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주변 영역에서 제1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제1 폭과 상이한 제2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중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제3 차광 부재는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제2 폭과 상이한 제3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차광 부재와 중첩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폴딩 영역 및 비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중 상기 비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광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보다 개수보다 더 적은, 표시 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차광 부재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아크릴,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올레핀, 폴리이미드, 실리콘, 및 에폭시 중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5 내지 20 μm 두께로 코팅된, 표시 장치.
KR1020180140766A 2018-11-15 2018-11-15 표시 장치 KR102596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766A KR102596946B1 (ko) 2018-11-15 2018-11-15 표시 장치
US16/592,680 US10944080B2 (en) 2018-11-15 2019-10-03 Display apparatus
CN201910992311.3A CN111192522B (zh) 2018-11-15 2019-10-17 显示装置
JP2019202176A JP6920395B2 (ja) 2018-11-15 2019-11-07 表示装置
EP19207792.3A EP3654137A1 (en) 2018-11-15 2019-11-07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766A KR102596946B1 (ko) 2018-11-15 2018-11-15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735A true KR20200056735A (ko) 2020-05-25
KR102596946B1 KR102596946B1 (ko) 2023-10-31

Family

ID=6850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766A KR102596946B1 (ko) 2018-11-15 2018-11-1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44080B2 (ko)
EP (1) EP3654137A1 (ko)
JP (1) JP6920395B2 (ko)
KR (1) KR102596946B1 (ko)
CN (1) CN1111925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742A (ko) *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0017B2 (ja) * 2020-01-14 2021-09-01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1740030B (zh) * 2020-06-30 2022-11-0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12908180B (zh) * 2021-02-07 2022-09-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
CN113013219B (zh) * 2021-03-11 2024-02-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4145A1 (en) * 2012-08-21 2014-02-27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Touch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40095278A (ko) * 2013-01-24 2014-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80002114A (ko) * 2016-06-28 2018-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748461A (zh) * 2017-11-28 2018-03-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移动终端及显示屏组件加工方法
CN107807468A (zh) * 2017-11-29 2018-03-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766B1 (ko) 1995-12-27 1998-07-01 김태구 주차 브레이크 작동상태 식별장치
JP5058018B2 (ja) 2008-02-14 2012-10-2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8659734B2 (en) * 2011-01-03 2014-02-25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259904B2 (en) 2011-10-20 2016-02-16 Apple Inc. Opaque thin film passivation
KR102174761B1 (ko) * 2013-08-14 2020-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134236B2 (ja) * 2013-09-02 2017-05-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5060174A (ja) 2013-09-20 2015-03-30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340225B1 (ko) 2015-01-09 2021-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9983424B2 (en) * 2015-06-08 2018-05-29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DE112016004055B4 (de) * 2015-09-08 2024-02-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nzeigevorrichtungen und elektronisches gerät
JP6580153B2 (ja) 2015-10-26 2019-09-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センサーの製造方法、前面板一体型センサー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70071372A (ko) 2015-12-15 2017-06-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229360B (zh) * 2016-03-23 2020-03-1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其制造方法及触控显示装置
KR20180047603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388818B1 (ko) * 2017-11-15 2022-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4145A1 (en) * 2012-08-21 2014-02-27 Tpk Touch Solutions (Xiamen) Inc. Touch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40095278A (ko) * 2013-01-24 2014-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80002114A (ko) * 2016-06-28 2018-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748461A (zh) * 2017-11-28 2018-03-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移动终端及显示屏组件加工方法
CN107807468A (zh) * 2017-11-29 2018-03-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742A (ko) *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4137A1 (en) 2020-05-20
JP2020086451A (ja) 2020-06-04
CN111192522B (zh) 2022-06-03
KR102596946B1 (ko) 2023-10-31
US10944080B2 (en) 2021-03-09
US20200161590A1 (en) 2020-05-21
CN111192522A (zh) 2020-05-22
JP6920395B2 (ja)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946B1 (ko) 표시 장치
CN106257680B (zh) 显示设备
EP345437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70098796A1 (en) Window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US985751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12502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59881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70001844A (ko) 표시 장치
KR20150033461A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0257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222531B2 (en) Backlight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at least partially recessed in bottom chassi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262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17216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5766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35446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light leakage characteristics
KR20230093207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098184B1 (ko) 표시장치
KR102495305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10193971A1 (en) Light control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4802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44486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4665B1 (ko) 표시 장치
KR20210079786A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220066482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12823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