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482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482A
KR20220066482A KR1020200152560A KR20200152560A KR20220066482A KR 20220066482 A KR20220066482 A KR 20220066482A KR 1020200152560 A KR1020200152560 A KR 1020200152560A KR 20200152560 A KR20200152560 A KR 20200152560A KR 20220066482 A KR20220066482 A KR 20220066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tainless
disposed
display device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완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2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6482A/ko
Publication of KR20220066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51/5237
    • H01L27/3255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9Chipl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곡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서 굴곡 영역에 연성 재질의 금속 박막을 배치함으로써 굴곡 영역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상부에 지지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 굴곡 영역에는 구리(CU) 막이 배치되고, 표시 영역에는 스테인레스(SUS) 막이 배치되며, 그 위에 보호 필름(P/F)이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곡률부 부착이 가능하면서 곡률부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표시 패널의 배면 강성도 확보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배면 찍힘 등의 외부 손상(Damage)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벤딩(Bending)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 벤딩 영역에 연성 재질의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벤딩 영역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대적인 정보 소비 사회의 아이콘이 되고 있다. 휴대 전화, 가전 제품, 휴대용 컴퓨터, 텔레비전 등 형태에 상관 없이, 심미적이고 인체 공학적인 매력은 디스플레이 품질 및 전반적인 성능만큼 중요한 디자인이 고려 사항이다.
이와 같이, 베젤 구성이 최소 또는 전혀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이 기울여지고 있다.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에서 영구적인 변형(예를 들어, 굽힘)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이들 외곽 영역의 평면의 표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어도 그러한 구성 역시 주변부 회로를 표시 영역에 가장 근접하게 유지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견인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곽 영역의 굴곡 반경이 감소함에 따라, 굴곡 영역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가 증가한다.
이러한 응력의 증가는, 예를 들어, 표시 영역과 주변부 회로 사이에서 연장되고 표시 영역의 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 라인의 저항을 증가시키고 신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존에 3D 글래스(Glass) 적용 모델의 표시 장치는 곡률 영역과 평면 영역을 가리지 않고 전면을 모두 스테인레스(SUS) 막으로 형성함에 따라, 강성은 우수하였으나, 곡률 영역에서 들뜨게 되어 부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곡률 영역에서 들뜨지 않고 잘 부착되면서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표시 패널의 배면 강성도 확보함으로써 충분한 수준의 성능 및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손상 방지에 효과적인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는 전술한 문제점과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배면 등 평평한 영역(Flat Area)에 대해 강성이 높은 재질의 금속 막으로 형성하고, 벤딩(Bending)되는 곡률 영역(Curvature Area)에 대해 연성 재질의 금속 막으로 형성함으로써 벤딩 영역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표시 패널의 배면 찍힘 등의 외부 손상(Damage)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보호 필름(P/F) 상에서 곡률 영역과 평면 영역으로 분할하여, 곡률 영역에는 구리(CU) 막을 접착하고, 평면 영역에는 스테인레스(SUS) 막을 접착한 후 그 위에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 플레이트를 라미네이팅 함으로써 곡률부 부착이 가능하면서 배면 강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발명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상부에 지지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 굴곡 영역에는 구리(CU) 막이 배치되고, 표시 영역에는 스테인레스(SUS) 막이 배치되며, 그 위에 보호 필름(P/F)이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보호 필름(P/F)이 배치되고, 그 위에 구리(CU) 막이 접착되며, 구리 막의 표시 영역이 제거되고, 구리 막이 제거된 보호 필름의 표시 영역 상에 스테인레스(SUS) 막이 접착되며, 구리 막과 스테인레스 막의 상부에 지지 플레이트가 라미네이팅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보호 필름(P/F)이 배치되고, 보호 필름 위에 구리 막이 접착되고, 보호 필름 위에 구리 막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스테인레스(SUS) 막이 접착되고, 구리 막과 스테인레스 막 위에 지지 플레이트가 라미네이팅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 장치에서 곡률 영역에 연성 재질의 금속막을 배치하고, 평면 영역에 강성 재질의 금속막을 배치함으로써, 곡률부 부착이 가능하면서 표시 패널의 배면 강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서 곡률 영역에 연성 재질의 금속막을 배치함으로써 벤딩 영역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평면 영역에 강성 재질의 금속막을 배치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배면 찍힘 등의 외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1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GIP 회로부가 배치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의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 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전면(a)에 커버 기판(110)이 배치되고, 후면(b)에는 최하단에 커버 기판(110)이 배치되고, 커버 기판(110)의 상부에 구리(CU) 막(120) 및 스테인레스(SUS) 막(130)이 배치된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 영역, 비표시 영역 및 벤딩(Bending) 영역을 포함한다.
커버 기판(110)은 표시 영역, 비표시 영역 및 벤딩 영역을 모두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기판(110)은 표시 장치(100)의 하면을 형성하고, 표시 패널을 하면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기판(110)은 표시 패널이 충격받을 때 견딜 수 있도록 내충격성을 확보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기판(110)은 표시 패널이 외부로부터 힘을 받지 않아 벤딩되지 않는 경우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편평도(Flatness)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리 막(120)은 벤딩 영역에 배치되고, 스테인레스 막(130)은 표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리 막(120)은 표시 영역에 위치하되, 스테인레스 막(130)의 일측에 위치하여, 벤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리 막(120)은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되, 스테인레스 막(130)의 일측에 위치하여, 벤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리 막(120) 및 스테인레스 막(130)은 동일층에 위치하되,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고, 동일한 두께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리 막(120) 및 스테인레스 막(130)은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구리 막(120) 및 스테인레스 막(130)은 동일층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리 막(120)은 스테인레스 막(130)의 일측에 위치하여, 스테인레스 막(130)과 동일 층에 배치되며, 스테인레스 막(130)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인레스 막(130)은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과 더불어 표시 영역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표시 영역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리 막(120)은 표시 영역 내에서 스테인레스 막(130)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스테인레스 막(130)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리 막(120)은 표시 영역 내에서 스테인레스 막(130)의 일측에 스테인레스 막(130)의 가장자리와 중첩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구리 막(120) 및 스테인레스 막(130)은 커버 기판(110)과 중첩하도록 커버 기판(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구리 막(120) 및 스테인레스 막(130)은, 커버 기판(110)의 상부에서 커버 기판(110)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때, X 축 방향으로 커버 기판(110)이 스테인레스 막(130) 보다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구리 막(120) 및 스테인레스 막(130)은, 커버 기판(110)의 상부에서 커버 기판(110)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때, Y 축 방향으로 커버 기판(110)이 상측(+Y축) 방향과 하측(-Y축) 방향으로 각각 스테인레스 막(130) 보다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표시 장치(100)는 X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1 벤딩 영역과, Y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2 벤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리 막(120)은 스테인레스 막(130)의 좌측 엣지 영역에서 X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1 벤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1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커버 기판(110)의 상부에 구리 막(120) 및 스테인레스 막(130)이 위치하되, 구리 막(120) 및 스테인레스 막(130)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리 막(120) 및 스테인레스 막(130)은 커버 기판(110)과 중첩하도록 커버 기판(110) 상에 위치하되, 커버 기판(110)이 +X축 및 +Y축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인레스 막(131)은 표시 장치(100)의 표시 영역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구리 막(120)은 표시 장치(100)의 벤딩 영역 또는 비표시 영역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 기판(110)은 표시 장치(100)의 최하면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을 하면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내충격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기판(110)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같은 폴리머로 이루어진 폴리머 필름일 수 있다. 커버 기판(110)은 전체적으로 얇게(예컨대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 또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얇게 형성한 유리 필름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커버 기판(11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을 보호함에 있어서 리지드한 커버 윈도우(예컨대, 약 100 마이크로미터 이상 두께의 유리판)보다 취약할 수 있다.
벤딩 영역에 배치된 구리 막(120)은 비교적 높은 모듈러스(modulus)(또는 탄성 계수(modulus of elasticity)라고 함), 예컨대 약 10 내지 약 100 GPa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고, 100 GPa 이상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도 있다. 구리 막(120)은 벤딩 영역의 변형을 개선하고, 벤딩 영역이 일정한 곡률로 벤딩될 수 있도록 한다. 구리 막(120)은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 예컨대 약 15 내지 약 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곡률 영역(Curvature Area)과 평면 영역(Flat Area)으로 구분되고, 곡률 영역에는 구리 막(120)이 배치되고, 평면 영역에는 스테인레스 막(130)이 배치된다.
구리 막(120)과 스테인레스 막(130)은 서로 인접하지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을 가지도록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이격 공간은 제조 공정 상에서 발생할 수 밖에는 없는 공간이다.
도 3에서, 표시 장치(100)는 커버 글래스(Cover Glass, 302) 위에 광학 점착층(Optical Clear Adhesive, 304)이 배치되고, 광학 점착층(304) 위에 편광층(Polarizer, 306)이 배치되고, 편광층(306) 위에 백 플레이트(Back Plate, 308)가 배치되고, 백 플레이트(308) 위에 쿠션 테이프(Cushion Tape)의 제1 점착층(310) 및 제2 점착층(312)이 배치되며, 제2 점착층(312) 위에 구리 막(120)과 스테인레스 막(13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커버 클래스(302)는 커버 윈도우(Cover Window)라고도 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을 보호하며, 표시 패널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표시 패널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 글래스(302)는 내충격성 및 광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사이클로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I (Polyimide), PA (Polyaramid)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점착층(304)은 예를 들면, 100 ~ 30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광학 점착층(304)이 100um이하의 두께를 가질 경우 접착력이 약해 커버 글래스(302)와 백 플레이트(308)를 모듈화하기 어려우며, 광학 점착층(304)이 300um 이상의 두께를 가질 경우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접힘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편광판(306)은 외부 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 OLED 패널은 화상을 구현하는 구동모드일 때 표시 패널을 통해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편광판(306)을 위치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백 플레이트(308)는 편광판(306)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부착된다. 예를 들면, 백 플레이트(308)는 그린(Green) 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쿠션 테이프에서, 제1 점착층(310)은 폼(Foam) 재질을 포함하고, 제2 점착층(312)은 예를 들면, 엠보(Embo) 패턴의 감압 접착제(PS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구리 막(120) 및 스테인레스 막(130)과 백 플레이트(308)를 서로 접착 및 고정시키기 위한 쿠션 테이프의 제1 점착층(310) 및 제2 점착층(312)에 대하여 낮은 모듈러스를 갖는 영역과 높은 모듈러스를 갖는 영역이 혼재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이 모듈러스 값이 높고 낮은 쿠션 테이프(310, 312)의 각 영역들을 지나게 되면서 일부 완화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표시 장치(100)에 가해지더라도 충격이 쿠션 테이프(310, 312)에 의해 일부 완화되어, 표시 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커버 글래스(402) 위에 광학 점착층(OCA, 404)이 배치되고, 광학 점착층(404) 위에 편광층(406) 및 중간선(MidClavicular Line: MCL, 410)이 배치되고, 편광층(406) 및 중간선(410) 위에 유기 발광층(OLED, 420)이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420) 위에 백 플레이트(408)가 배치되고, 백 플레이트(408) 위에 제1 점착층(412) 및 제2 점착층(414)이 배치되고, 제2 점착층(414) 위에 스테인레스(SUS) 층(416)이 배치되고, 스테인레스 층(416) 위에 베젤 벤딩 고정 테이프(Bezel Bending Fixing Tape, 418)이 배치된다.
이때, 곡률 영역(Curvature Area)의 백 플레이트(408)를 커팅(Cutting)하여 제거함으로써, 곡률 영역에서 유기 발광층(420)이 드러나도록 한 후 곡률 영역의 중간선(410) 및 유기 발광층(420)을 벤딩하여 백 플레이트(408)가 베젤 벤딩 고정 테이프(418)에 접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베젤 벤딩 고정 테이프(418) 위에 백 플레이트(408)가 배치되고, 백 플레이트(408) 위에 벤딩된 유기 발광층(420)이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420) 위에 벤딩된 중간선(410)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중간선(410)은 곡률 영역(CA)의 변형을 개선하고, 곡률 영역(CA)이 일정한 곡률로 벤딩될 수 있도록 한다. 중간선(410)은 곡률 영역의 벤딩에 따른 강성이 약해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수지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중간선(410)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같은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선(410)이 폴리머 필름인 경우 약 1 내지 약 10 GPa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60)의 상부에 지지 플레이트(150)가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서 벤딩 영역에 구리 막(120)이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서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스테인레스 막(130)이 배치되며, 구리 막(120)과 스테인레스 막(130)의 상부에 보호 필름(140)이 배치된다.
구리 막(120)은, 지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서 표시 영역의 엣지(Edge) 영역에 대응되는 벤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리 막(120)은, 지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서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벤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인레스 막(130)은 지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서 구리 막(120)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인레스 막(130)은 지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서 구리 막(120)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 막(120) 및 스테인레스 막(130)은 각각 50 ㎛일 수 있다.
스테인레스 막(130)은 지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서 구리 막(12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 막(120)의 두께가 50 ㎛인 경우, 스테인레스 막(130)의 두께는 100 ㎛일 수 있다.
스테인레스 막(130)의 두께가 구리 막(120)의 두께 보다 더 두꺼워 단차가 발생된 경우, 보호 필름(140)은 구리 막(120)과 접촉하는 부분이 스테인레스 막(130)과 접촉하는 부분 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통하여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 막(130)은, 지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서 구리 막(120)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150)에 접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50)는, 제1 점착층(152) 위에 베이스 기판(154)이 배치되고, 베이스 기판(154) 위에 제2 점착층(156)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점착층(152)은 엠보싱(Embossing) 패턴을 갖는 제1 엠보싱 패턴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제2 점착층(156)은 제2 엠보싱 패턴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50)는, 제1 점착층(152), 베이스 기판(154) 및 제2 점착층(154)이 각각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플레이트(150)에서, 제1 점착층(152)의 두께가 10 ㎛인 경우, 베이스 기판(154)의 두께는 60 ㎛이고, 제2 점착층(156)의 두께는 30 ㎛일 수 있다.
이때, 베이스 기판(154)은 아크릴 계열 폼 재질 또는 우레탄 계열 폼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비표시 영역에 복수의 GIP(Gate-driver In Panel)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GIP 회로부가 배치된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가요성(flexibility)이 부여된 표시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부릴 수 있는(bendable) 표시장치, 말 수 있는(rollable) 표시장치, 깨지지 않는(unbreakable) 표시장치, 접을 수 있는(foldable) 표시장치 등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영역(active area; AA)을 포함하고, 표시 영역(AA)에는 픽셀들의 어레이(array)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의 주위에는 하나 이상의 비표시 영역(Non-Active Area; NA)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AA)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도 6에서, 비표시 영역(NA)은 사각형 형태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고 있다. 그러나, 표시 영역(AA)의 형태 및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A)의 형태 및 배치는 도 6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탑재한 전자 장치의 디자인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표시 영역(AA)의 예시적 형태는 오각형, 육각형, 원형, 타원형 등이 될 수 있다.
표시 영역(AA) 내의 각 픽셀(PX)은 픽셀 회로와 연관될 수 있다. 픽셀 회로는, 백플레인(backplane) 상의 하나 이상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픽셀 회로는, 비표시 영역에 위치한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와 같은 하나 이상의 구동 회로와 통신하기 위해,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회로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비표시 영역에 TFT(thin film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회로는 GIP(gate-in-panel) 회로부로 지칭될 수 있다. GIP 회로부(GIP)는 GIP 구조의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하고, 이때 게이트 구동부는 바텀 게이트 구조(Bottom Gate Type)의 박막 트랜지스터(BG-T)로 형성되고, 브릿지 배선(BL)의 소스 및 드레인 금속막(S/D)은 연장되어 BG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몇몇 부품들은, 분리된 인쇄 회로 기판에 탑재되고,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F(chip-on-film), TCP(tape-carrier-package) 등과 같은 회로 필름을 이용하여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연결 인터페이스(패드/범프, 핀 등)와 결합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은 연결 인터페이스와 함께 구부러져서, 인쇄 회로(COF, PCB 등)는 표시 장치(100)의 뒤편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다양한 신호를 생성하거나 표시 영역 내의 픽셀(PX)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부가 요소는 인버터 회로, 멀티플렉서, 정전기 방전 회로(electro static dischar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픽셀 구동 이외의 기능과 연관된 부가 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터치 감지 기능, 사용자 인증 기능(예: 지문 인식), 멀티 레벨 압력 감지 기능,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 기능 등을 제공하는 부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부가 요소들은 비표시 영역 및/또는 연결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외부 회로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여러 부분들은 굴곡선(BL)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굴곡선(BL)은 수평으로(예: 도 6의 X 방향), 수직으로(예: 도 6의 Y 방향), 또는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요구되는 디자인에 기초하여, 수평, 수직, 대각선 방향의 조합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edge)는, 굴곡선(BL)을 따라 중앙 부분(central portion, 101)에서 멀어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비록 굴곡선(BL)이 표시 장치(100)의 모서리와 가깝게 위치하도록 도시되었지만, 굴곡선(BL)은 중앙 부분(101)을 가로질러 연장되거나, 표시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꼭지점(corner)에서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표시 장치(100)가 폴더블(foldable) 표시장치가 되거나, 또는 접히는 양면에 표시가 이뤄지는 표시 장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flat) 부분 및 굴곡진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일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평(flat)한, 평면 영역(101)으로 지칭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일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며, 이러한 부분은 곡률 영역(102)으로 지칭될 수 있다. 곡률 영역(102)은, 소정의 굴곡 반지름으로 실제로 휘어지는 굴곡 구간(bended section)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평평한 이라는 용어에는 완벽히 평평하지는 않은 부분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오목한 중앙 부분 및 볼록한 중앙 부분도 어떤 실시 예에서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으로 기술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굴곡 부분이 오목한 중앙 부분 또는 볼록한 중앙 부분의 옆에 존재하고, 굴곡선(BL)을 따라 굴곡 축에 대한 각도를 갖고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구부러진다. 곡률 영역(102)의 굴곡 반지름은 평면 영역(101)의 굴곡 반지름보다 작다. 다시 말해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 이라는 용어는 인접한 구간보다 더 작은 곡률을 갖는 부분을 의미한다.
굴곡선(BL)의 위치에 따라서 굴곡선의 일 측에 있는 부분은 표시 장치(100)의 중앙을 향해 위치하는 반면, 굴곡선의 타 측에 있는 부분은 표시 장치(100)의 모서리를 향해 위치한다. 표시 장치(100)의 중앙을 향해 놓이는 부분은 중앙 부분이라 언급될 수 있고 표시 장치(100)의 모서리를 향해 놓이는 부분은 모서리 부분이라 언급될 수 있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표시 장치(100)의 중앙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모서리 부분은 굴곡 부분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은 모서리 부분에도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00)의 몇몇 형상에서, 굴곡 구간은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 사이에 놓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을 구부리면, 비표시 영역이 표시 장치(100)의 앞면에서는 안보이거나 최소로만 보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 중 표시 장치(100)의 앞면에서 보이는 일부는 베젤(bezel)로 가려질 수 있다. 베젤은 독자적인 구조물, 또는 하우징이나 다른 적합한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 중 표시 장치(100)의 앞면에서 보이는 일부는 블랙 잉크(예: 카본 블랙으로 채워진 폴리머)와 같은 불투명한 마스크 층 아래에 숨겨질 수도 있다. 이러한 불투명한 마스크 층은 표시 장치(100)에 포함된 다양한 층(터치센서층, 편광층, 덮개층 등)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표시 장치(100)의 굴곡 부분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영역을 이하에서는 제2 표시 영역이라 호칭한다. 즉,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픽셀이 굴곡 부분에 포함되도록 굴곡선(BL)이 표시 영역 내에 놓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의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 평면 영역(101)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곡률 영역(102)은 표시 장치(100)의 모서리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곡률 영역(102)은 표시 장치(10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곡률 영역(102)은, 굴곡축에 대한 굴곡각 및 굴곡 반지름 R을 갖고 평면 영역(10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각 곡률 영역(102)의 크기는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각 곡률 영역(102)에서 굴곡선(BL)으로부터 베이스 층(106)의 외곽 모서리까지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굴곡 축 둘레의 굴곡 각 및 굴곡축으로부터의 곡률 반지름 R은 곡률 영역(102)마다 다를 수 있다.
곡률 영역(102)은 예를 들면, 90의 굴곡각 를 갖고, 또한 곡률 영역(102)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곡률 영역(102)은 더 큰 굴곡각 로 구부러져, 곡률 영역(102)의 일 부분이 평면 영역(101)의 아래로 갈 수 있다. 또한, 곡률 영역(102)은 90 이하의 굴곡각 로 구부러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곡률 영역(102)의 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s)은 약 0.1 mm에서 약 10 mm 사이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1 mm에서 약 5 mm 사이 또는, 약 0.1 mm에서 약 1 mm 사이, 또는 약 0.1 mm에서 약 0.5 mm 사이일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곡률 영역(102)에서의 곡률 반지름은 0.5 mm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 내의 픽셀 매트릭스는, 평면 영역(101)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곡률 영역(102) 내의 제2 표시 영역과 평면 영역(101) 내의 표시 영역은, 굴곡 구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평면 영역(101)과 곡률 영역(102)의 몇몇 부품들은, 굴곡 구간을 가로질러 놓인 하나 이상의 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의 픽셀과 중앙 표시 영역의 픽셀은 구동 회로(예: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 등)에 의해 마치 동일 매트릭스에 있는 것처럼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표시 영역의 픽셀과 중앙 표시 영역의 동일한 구동 회로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표시 영역의 N번째 행 픽셀과 제2 표시 영역의 N번째 행 픽셀은, 같은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의 기능에 따라서는, 제2 표시 영역의 픽셀이 중앙 표시 영역의 픽셀과 분리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즉, 제2 표시 영역의 픽셀은, 표시 영역의 픽셀 매트릭스와는 분리된 독립된 매트릭스로 구동 회로에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표시 영역의 픽셀은, 중앙 표시 영역의 픽셀에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와는 다른 하나 이상의 분리된 구동 회로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형상에 상관없이, 곡률 영역(102)의 제2 표시 영역은 표시 장치(100)의 2차 표시 영역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는 전자장치에 내장된 기능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영역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버튼, 문자 메시지 등과 같은 이미지 및/또는 문자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제2 표시 영역은 여러 목적(예: 상태 표시)의 다양한 색의 빛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이때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는 평면 영역(101) 내의 표시 영역만큼 클 필요는 없다.
표시 장치(100)의 특정 부분에서의 강도 및/또는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지지층(108)이 베이스 층(106)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108)은 평면 영역(101)의 아래쪽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층(108)은 더 큰 유연성이 필요한 굴곡 구간에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지지층(108)은 평면 영역(101) 아래에 위치한 곡률 영역(10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특정 부분의 강도를 높이면, 표시 장치(100)에 다양한 부품들을 정확히 구성하고 배치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베이스 층(106)이 지지층(108)보다 더 큰 탄성을 갖는 경우에, 지지층(108)은 베이스 층(106)에서의 갈라짐(crack) 발생을 억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베이스 층(106) 및 지지층(108)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 테레플레이트, 기타 적합한 폴리머의 조합으로 구성된 박형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베이스 층(106) 및 지지층(108)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물질은 박형 유리, 유전체로 차폐된 금속 호일(metal foil), 다층 폴리머, 나노 파티클 또는 마이크로 파티클과 조합된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고분자 필름 등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여러 부분에 제공되는 지지층(108)이 모두 동일한 물질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박형 유리층이 평면 영역(101)에 대한 지지층(108)으로 사용되면서, 플라스틱 필름이 모서리 부분에 대한 지지층(108)으로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층(106) 및 지지층(108)의 두께 또한 표시 장치(100)의 디자인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이다. 한 관점에서, 만약 베이스 층(106)이 과도한 두께를 갖는다면, 베이스 층(106)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어렵다. 또, 베이스 층(106)의 과도한 두께는, 굴곡 시에 그 위에 배치된 부품에 기계적 스트레스를 가중시킨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베이스 층(106)이 너무 얇다면, 그 위에 배치된 부품들을 지탱할 기판으로서 너무 약하다.
이와 같은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베이스 층(106)은 약 5m에서 약 50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106)은 약 5m에서 약 30m의 범위나, 약 5m에서 약 16m의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지지층(108)은 약 100m에서 약 125m, 약 50m에서 약 150m, 약 75m에서 200m, 150m 이하, 또는 100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약 10m에서 약 16m 사이의 두께를 갖는 폴리이미드 층이 베이스 층(106)으로 사용되고, 약 50m에서 약 125m 사이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층이 지지층(108)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약 10m에서 약 16m 사이의 두께를 갖는 폴리이미드 층이 베이스 층(106)으로 사용되고, 약 50m에서 약 200m 사이의 두께를 갖는 박형 유리가 지지층(108)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박형 유리가 베이스 층(106)으로 사용되고, 베이스 층(106)은 파손을 피하기 위해 지지층(108)으로 기능하는 폴리이미드 층을 가질 수 있다.
제조 과정에서 표시 장치(100)의 몇몇 부분들은 외부 광에 노출될 수 있다. 부품들을 제조하는데 쓰이는 물질 또는 부품들 그 자체는, 표시 장치(100) 제조 중의 광 노출에 의해 원치 않는 상태 변화(예: TFT에서의 임계 전압 천이 등)를 겪는다. 표시 장치(100)의 몇몇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외부 광에 과도하게 노출된다. 그리고 이는 표시 불균일(예: mura, shadow defects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베이스 층(106) 및/또는 지지층(108)은, 외부 광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물질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차단 물질은, 베이스 층(106)의 구성 물질(폴리이미드, 기타 폴리머)에 혼합된 염화 카본 블랙이다. 이와 같이 베이스 층(106), 광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셰이드(shade)를 가진 폴로이미드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층(106)은,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서 입사하는 외부 광의 반사를 줄임으로써, 가시성(vis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 층(106) 대신에, 표시 장치(100)의 후면(즉, 지지층(108)이 부착된 면)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의 양을 줄이기 위해, 지지층(108)이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층(108)의 구성 물질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광 차단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베이스 층(106) 및 지지층(108)이 모두 하나 이상의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층(106) 및 지지층(108)에 사용되는 광 차단 물질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베이스 층(106) 및 지지층(108)이 불요한 외부 광을 차단하게 만드는 것은 표시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반사를 감소시키지만, 부품들을 정확하게 배치하기 위한 정렬 표식(alignment marks), 또는 제조 공정의 수행을 위한 정렬 표식을 인식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층(layer)들의 배치는 중첩 부분의 외곽을 비교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부품들을 베이스 층(106) 상에 정확히 배치하거나, 또는 표시 장치(100)의 구부러짐 중에 정렬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만약 베이스 층(106) 및/또는 지지층(108)이 과도한 범위의 광 스펙트럼(즉, 가시광, 자외선, 적외선 스펙트럼의 파장)을 차단한다면 표시 장치(100)내의 잔해 또는 이물질을 확인하는 것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베이스 층(106) 및/또는 지지층(108)에 포함되는 광 차단 물질은, 특정 편광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조/검사 과정에서 사용되는 특정 파장 범위 이내의 광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서, 지지층(108)은 품질 검사 및/또는 정렬 과정에서 사용되는 광(예: UV, IR)은 통과시키되, 가시광 파장 범위의 광은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된 범위의 파장은, 베이스 층(106)이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하였을 경우에, 베이스 층(106)에 부착된 인쇄 회로 필름에 의해 생기는 음영이 야기하는, 표시장치의 불균일성 문제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베이스 층(106) 및 지지층(108)은 특정 형태의 광을 차단시키거나 통과시키는 일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108)은 해당 광이 베이스 층(106)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광의 편광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 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먼저 보호 필름(P/F)(140)이 배치된다(S810).
여기서, 보호 필름(140)은 일측 표면이 점착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보호 필름(140)은 구리 막(120)과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이 점착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140)의 상부에 구리(CU) 막이 접착된다(S820).
이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140)의 상부에서 구리 막(120)의 일부 영역이 제거된다(S830).
이때, 보호 필름(140)의 상부에서 제거된 영역에 부착되는 스테인레스 막(130)의 두께가 구리 막(12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경우에, 구리 막(120)과 스테인레스 막(130) 사이에는 더 두꺼운 만큼 단차가 발생되므로, 이 단차를 보상하기 위해, 보호 필름(140)은 그 단차 높이 만큼 제거될 수 있다.
이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140)의 상부에서 구리 막(120)이 제거된 일부 영역에 스테인레스(SUS)(130) 막이 접착된다(S840).
여기서, 구리 막(120)의 두께와 스테인레스 막(130)의 두께는 보호 필름(140)의 상부에서 서로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구리 막(120)의 두께와 스테인레스 막(130)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경우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140)은 구리 막(120)과 접착된 영역의 두께가 스테인레스 막(130)과 접착된 영역의 두께보다 단차 만큼 더 두꺼워서 이러한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막(130)은, 구리 막(120)과 동일층에서 구리 막(120)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보호 필름(140)과 접착될 수 있다.
이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 막(120)과 스테인레스 막(130)의 상부에 지지 플레이트(150)가 라미네이팅된다(S850).
이때, 지지 플레이트(150)는, 구리 막(120)과 스테인레스 막(130)의 상부에 제1 점착층(152)이 배치되고, 제1 점착층(152) 위에 베이스 기판(154)이 접착되고, 베이스 기판(154) 위에 제2 점착층(156)이 배치되며, 제1 점착층(152), 제2 점착층(156) 및 베이스 기판(154)이 각각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고 3 개층으로 합지된 상태를 이룬다. 제1 점착층(152)은 엠보싱 패턴을 갖는 제1 엠보싱 패턴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제2 점착층(156)은 제2 엠보싱 패턴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기판(154)은 아크릴 계열 폼 재질 또는 우레탄 계열 폼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 표시 패널(160)이 접착된다(S860).
여기서, 표시 패널(160)은 평면 영역(101)과 곡률 영역(102)으로 구분되고, 평면 영역(101)은 표시 영역(AA)만으로 이루어지거나,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 영역(101)은 스테인레스 막(130)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곡률 영역(102)은 구리 막(120)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AA)은 구리 막(120)과 스테인레스 막(130)에 모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60)에서 표시 영역(AA)은 유기 발광 소자(OLED)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층은 다수 개의 OLED 소자를 포함한다. OLED 소자는, 베이스층 상에 구현된 픽셀 회로 및 구동 회로, 베이스층 상의 연결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외부의 다른 구동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OLED층은 특정 색상(예: red, green, blue)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발광 물질층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유기발광 물질층은 백색 광(본질적으로는 여러 색상의 광의 조합)을 방출할 수 있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벤딩(Bending)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 벤딩 영역에 연성 재질의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벤딩 영역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3D Glass가 적용된 모델에 대해서도 강성 확보가 가능한 SUS 재질의 Cushion tape을 적용하여, 배면 찍힘 등의 외부 Damage로부터 표시 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곡률부 부착이 가능하면서, 배면 강성 확보도 가능한 hybrid 구조를 적용하여 강성 확보 및 곡률부 부착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품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표시 장치 101 : 평면 영역
102 : 곡률 영역 110 : 커버 기판
120 : 구리막 130 : 스테인레스막
140 : 보호 필름 150 : 지지 플레이트
152 : 제1 점착층 154 : 베이스 기판
156 : 제2 점착층 160 : 표시 패널
302, 402 : 커버 글래스 304, 404 : 광학 점착층
306, 406 : 편광층 308, 408 : 백 플레이트
310, 412 : 제1 점착층 312, 414 : 제2 점착층
410 : 중간선(MCL) 416 : 스테인레스층
418 : 베젤 벤딩 고정 테이프 420 : 유기 발광층
AA : 표시 영역 NA : 비표시 영역
GIP : GIP 회로부

Claims (18)

  1.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벤딩 영역에 배치된 구리(Cu) 막;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스테인레스(SUS) 막; 및
    상기 구리 막과 상기 스테인레스 막의 상부에 배치된 보호 필름(P/F);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막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표시 영역의 엣지(Edge) 영역에 대응되는 벤딩 영역에 배치된,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막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벤딩 영역에 배치된,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막은 상기 구리 막과 동일층에 배치된,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막은 상기 구리 막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막은 상기 구리 막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막의 두께가 상기 구리 막의 두께 보다 더 두꺼워 단차가 발생된 경우,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구리 막과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스테인레스 막과 접촉하는 부분 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통하여 상기 단차를 보상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 막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구리 막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접착된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제1 엠보싱 패턴 점착제 위에 베이스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 위에 제2 엠보싱 패턴 점착제가 배치된,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아크릴 계열 폼 재질 또는 우레탄 계열 폼 재질인 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엠보싱 패턴 점착제, 상기 제2 엠보싱 패턴 점착제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이 각각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복수의 GIP(Gate-driver In Panel) 회로부가 배치된, 표시장치.
  13. (a) 보호 필름(P/F)이 배치되는 단계;
    (b) 상기 보호 필름의 상부에 구리(CU) 막이 접착되는 단계;
    (c) 상기 보호 필름의 상부에서 상기 구리 막의 일부 영역이 제거되는 단계;
    (d) 상기 보호 필름의 상부에서 상기 구리 막이 제거된 일부 영역에 스테인레스(SUS) 막이 접착되는 단계; 및
    (e) 상기 구리 막과 상기 스테인레스 막의 상부에 지지 플레이트가 라미네이팅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4. (a) 보호 필름(P/F)이 배치되는 단계;
    (b) 상기 보호 필름의 상부에 구리(CU) 막이 접착되는 단계;
    (c) 상기 보호 필름의 상부에 상기 구리 막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스테인레스(SUS) 막이 접착되는 단계; 및
    (d) 상기 구리 막과 상기 스테인레스 막의 상부에 지지 플레이트가 라미네이팅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스테인레스 막의 두께가 상기 구리 막의 두께 보다 더 두꺼워 단차가 발생된 경우, 상기 구리 막과 접착된 영역의 두께가 상기 스테인레스 막과 접착된 영역의 두께보다 상기 단차 만큼 더 두꺼워 상기 단차를 보상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스테인레스 막은, 상기 구리 막과 동일층에서 상기 구리 막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보호 필름과 접착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구리 막과 상기 스테인레스 막의 상부에 제1 엠보싱 패턴 점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엠보싱 패턴 점착제 위에 베이스 기판이 접착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 위에 제2 엠보싱 패턴 점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엠보싱 패턴 점착제, 상기 제2 엠보싱 패턴 점착제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이 각각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고 3 개층으로 합지된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엠보싱 패턴 점착제 위에 표시 패널이 접착되는, 표시장치 제조 방법.
KR1020200152560A 2020-11-16 2020-11-1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66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560A KR20220066482A (ko) 2020-11-16 2020-11-1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560A KR20220066482A (ko) 2020-11-16 2020-11-1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482A true KR20220066482A (ko) 2022-05-24

Family

ID=8180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560A KR20220066482A (ko) 2020-11-16 2020-11-1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64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3043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1696489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with curved edg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9947882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robust flexible displays
EP3182474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07886848B (zh) 柔性显示装置
US8716932B2 (en)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s
KR2020008236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0181576B2 (en) Display device
KR20200063801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00048205A (ko) 플렉서블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1532797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glass substrates
US11342539B2 (en) Display panel aligned with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841745B2 (en) Display device
KR20180111281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01537B1 (ko)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20022926A (ko) 표시 장치
KR10264839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7568A (ko) 표시 장치용 보호창 및 이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
KR2022002293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24041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968854B2 (en) Folding display device including detachable protective film
KR20220066482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5454270A (zh) 显示装置以及包括其的触摸输入系统
US10725232B2 (en)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30039889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