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311A -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311A
KR20180138311A KR1020170078353A KR20170078353A KR20180138311A KR 20180138311 A KR20180138311 A KR 20180138311A KR 1020170078353 A KR1020170078353 A KR 1020170078353A KR 20170078353 A KR20170078353 A KR 20170078353A KR 20180138311 A KR20180138311 A KR 20180138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window
window member
edge portion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537B1 (ko
Inventor
양승훈
구병희
홍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53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입사되는 영상의 편광성을 상실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을 갖는 윈도우 부재, 윈도우 부재의 제 2 영역에 마련된 디자인 층, 및 점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윈도우 부재의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에 인접한 디자인 층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된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COVER WINDOW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디자인 층을 갖는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또는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는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또는 표시면)에 부착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前面)에 부착된 편광 필름을 포함한다. 여기서, 편광 필름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선 등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을 원편광 상태로 변경하여 영상의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포함한다.
커버 윈도우는 광학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즉 편광 필름의 전면(前面)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테두리 부분에 직접 형성된 디자인 층을 포함한다. 디자인 층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비표시 영역을 덮는다. 디자인 층은 전자 기기를 생산하는 회사의 로고, 상품명, 개구부, 또는 아이콘 등과 같은 패턴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전자 기기는 커버 윈도우에 배치된 디자인 층에 의해 개선된 디자인을 가질 수 있지만, 사용자가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경우, 선글라스 효과(sunglasses effect)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선글라스 효과는 편광 선글라스의 투과축과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편광 필름의 투과축이 서로 수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이 사용자에게 블랙으로 시인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은 외부 광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원편광 필름에 의해 선편광되고, 이 선편광된 영상의 편광축은 편광 선글라스의 투과축과 수직이므로 편광 선글라스를 투과하지 못함으로써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한 사용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은 입사되는 영상의 편광성을 상실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을 갖는 윈도우 부재, 윈도우 부재의 제 2 영역에 마련된 디자인 층, 및 점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윈도우 부재의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에 인접한 디자인 층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된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광학 필름은 광학적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제 2 영역은 윈도우 부재의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되고,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갖는 곡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제 2 영역은 윈도우 부재의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 및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마련되며,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과 모서리 부분 각각은 곡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前面)을 덮는 커버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납하고 커버 윈도우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커버 윈도우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을 갖는 윈도우 부재, 윈도우 부재의 제 2 영역에 마련된 디자인 층, 및 점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윈도우 부재의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에 인접한 디자인 층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된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광학 필름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출원은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며 디자인층의 내측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광학 필름을 구성함으로써, 입사되는 영상의 편광성을 상실 또는 저하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은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광학 필름을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편광성을 상실시키거나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은 윈도우 부재의 영역에 디자인 층을 직접 형성함으로써, 윈도부 부재와 디자인 층 사이에서의 에어 보이드에 의한 외관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에서 윈도우 부재와 광학 필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선 IV-IV'의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1)는 윈도우 부재(10), 디자인 층(30), 점착 부재(50), 및 광학 필름(70)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10)는 전자 기기의 전면(前面)을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갖는 투명 재질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10)는 사각 형태를 포함하는 다각 형태 또는 원 형태를 포함하는 비다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10)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사각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부분은 일정한 곡률로 라운딩될 수 있다. 그리고, 모서리 부분은 서로 다른 곡률로 라운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모서리 부분의 곡률은 서로 대향하는 모서리들끼리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하방향의 모서리 부분의 곡률과 좌우 방향의 모서리 부분의 곡률이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10)는 글라스(Glass) 또는 강화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1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 및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접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10)는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역(A1)은 윈도우 부재(10)의 중앙 부분으로서, 광이 투과되는 투명 영역일 수 있다. 제 1 영역(A1)은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A2)은 제 1 영역(A1)을 둘러싸도록 윈도우 부재(1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서, 광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 영역일 수 있다. 제 2 영역(A2)은 제 1 영역(A1)으로부터 연장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영역(A2)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EP1, EP2, EP3, EP4)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장자리 부분(EP1)은 윈도우 부재(10)의 일측 장변과 제 1 영역(A1) 사이인는 좌측 가장자리 부분, 제 2 가장자리 부분(EP2)은 윈도우 부재(10)의 일측 단변과 제 1 영역(A1) 사이인 상측 가장자리 부분, 제 3 가장자리 부분(EP3)은 윈도우 부재(10)의 타측 장변과 제 1 영역(A1) 사이인 우측 가장자리 부분, 및 제 4 가장자리 부분(EP4)은 윈도우 부재(10)의 타측 단변과 제 1 영역(A1) 사이인 하측 가장자리 부분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영역(A2)은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EP1, EP2, EP3, EP4) 사이에 마련된 제 1 내지 제 4 모서리 부분(CP1, CP2, CP3, CP4)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모서리 부분(CP1)은 제 1 가장자리 부분(EP1)과 제 2 가장자리 부분(EP2) 사이, 제 2 모서리 부분(CP2)은 제 2 가장자리 부분(EP2)과 제 3 가장자리 부분(EP3) 사이, 제 3 모서리 부분(CP3)은 제 3 가장자리 부분(EP3)과 제 4 가장자리 부분(EP4) 사이, 및 제 4 모서리 부분(CP4)은 제 4 가장자리 부분(EP4)과 제 1 가장자리 부분(EP1)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층(30)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A2)을 덮도록 마련되어 커버 윈도우(1)의 가장자리 부분에 불투명 영역을 형성한다. 즉, 디자인 층(30)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A2)과 중첩되는 윈도우 부재(10)의 후면(10a)에 마련됨으로써 전자 기기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않는 비표시 영역을 감출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자인 층(30)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A2)에 마련된 차광 패턴, 로고 패턴, 개구 패턴 및 아이콘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 패턴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영역(A2)을 가림으로써 커버 윈도우(1)의 투명 영역(또는 광투과 영역)으로, 블랙, 화이트, 또는 컬러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로고 패턴은 전자 기기를 생산하는 회사의 로고 및/또는 회사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 패턴은 전자 기기에 탑재된 카메라와 각종 센서 각각과 중첩되는 센서 홀 패턴 등일 수 있다. 상기 아이콘 패턴은 전자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메뉴 아이콘, 홈 아이콘, 또는 실행 취소 아이콘 등일 수 있다. 디자인 층(30)은 평평한(flat), 벤드된(bended), 커브드(curved) 등의 윈도우 부재(10)에 디자인하기 위해 형성되는 데코레이션(decora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자인 층(30)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A2)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내지 제 n(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 인쇄 층(31, 33, 35, 3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층(30)은 제 1 내지 제 4 인쇄 층(31, 33, 35, 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인쇄 층(31)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A2)과 중첩되는 윈도우 부재(10)의 후면(10a)에 직접 형성된다. 이때, 제 1 인쇄 층(31)은 제 1 두께 및 제 1 폭(W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폭(W1)은 제 2 영역(A1)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쇄 층(33)은 제 2 두께 및 제 2 폭(W2)을 가지도록 제 1 인쇄 층(31)의 후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인쇄 층(35)은 제 2 두께 및 제 2 폭(W2)을 가지도록 제 2 인쇄 층(33)의 후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인쇄 층(37)은 제 2 두께 및 제 2 폭(W2)을 가지도록 제 3 인쇄 층(35)의 후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 각각은 제 1 인쇄 층(31)의 후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 각각은 제 1 인쇄 층(3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일부에 적층될 수 있다.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 각각의 제 2 두께는 공정 오차 범위 내에서 제 1 두께와 동일하거나 두꺼울 수 있다.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 각각의 제 2 폭(W2)은 제 1 인쇄 층(31)의 제 1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폭(W2)은 윈도우 부재(10)의 최외곽 측벽(10b)으로부터의 거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 각각의 외측면은 윈도우 부재(10)의 최외곽 측벽(10b)에 위치하고,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 각각의 내측면은 제 1 인쇄 층(31)의 후면에 위치한다.
또는,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 각각은 윈도우 부재(10)의 최외곽 측벽(10b)으로부터 각기 다른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 각각의 폭은 제 1 인쇄 층(3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디자인 층(30)은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 간의 단차로 인하여 제 1 인쇄 층(31)의 후면에 계단 형태의 3개의 단턱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인쇄 층(31)은 블랙 잉크, 화이트 잉크, 또는 컬러 잉크를 이용한 적어도 1회의 인쇄 공정에 의해 제 1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두께는 4 마이크로미터 이상 10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인쇄 층(31)의 제 1 두께는 4 마이크로미터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인쇄 층(31)은 얇은 두께로 인하여 반투과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 1 인쇄 층(31)이 반투과 특성을 가질 경우, 차광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거나 제 1 인쇄 층(31)의 일부와 중첩되는 광학 필름(70)의 중첩 영역을 가릴 수 없다. 또한, 제 1 인쇄 층(31) 중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과 중첩되는 영역과 중첩되지 않은 영역 사이에 색감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인쇄 층(31)은 4 마이크로미터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인쇄 층(31)이 1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할 경우, 점착 부재(50)가 윈도우 부재(10)의 후면(10a)과 제 1 인쇄층(31) 간의 단턱부에 불완전하게 부착(또는 밀착)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단턱부와 점착 부재(50) 사이에 에어 보이드(air void)가 발생된다. 에어 보이드는 외관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에어 보이드는 고온 고습 환경에서 성장하여 커버 윈도우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에 따라 본 출원에 따른 제 1 인쇄 층(31)이 10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제 1 인쇄 층(31)은 4 마이크로미터 이상 10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 각각은 제 1 인쇄 층(31)과 동일한 잉크 또는 다른 색상의 잉크를 이용한 적어도 1회의 인쇄 공정에 의해 제 2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자인 층(30)은 제 1 내지 제 4 인쇄 층(31, 33, 35, 37)을 포함하는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및 차광 패턴에 로고 패턴, 개구 패턴 및 아이콘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4 인쇄 층(31, 33, 35, 37) 각각은 인쇄 노즐을 통해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A2)과 중첩되는 윈도우 부재(10)의 후면(10a)에 잉크를 인쇄(또는 코팅)하는 인쇄 공정, 및 인쇄된 잉크를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공정은 다이렉트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인쇄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은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공정 및 현상(또는 식각)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디자인 층(30)의 제 1 내지 제 4 인쇄 층(31, 33, 35, 37) 각각은 잉크젯 인쇄 방식을 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패터닝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디자인 층(30)이 제 1 내지 제 4 인쇄 층(31, 33, 35, 37)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자인 층(30)은 적어도 제 1 인쇄 층(31) 및 제 2 인쇄 층(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재(50)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과 광학 필름(7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광학 필름(70)을 윈도우 부재(10)의 후면(10a)에 결합시킨다. 일 예에 따른 점착 부재(50)는 투명 접착 필름, 예를 들어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 부재(50)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 전체에 부착되고,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에 인접한 디자인 층(30)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추가로 부착된다. 예를 들면, 점착 부재(50)의 가장자리 부분은 디자인 층(30)에 포함된 제 1 인쇄 층(3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된다. 이때, 점착 부재(50)의 외측면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 사이의 경계부(BP)와 디자인 층(30)에 포함된 제 2 인쇄 층(33)의 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출원에 따른 점착 부재(50)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 전체와 제 1 인쇄 층(3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보다 넓은 크기를 갖는다.
일 예에 따른 점착 부재(50)는 제 1 인쇄 층(31)의 제 1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인쇄 층(31)의 제 1 두께와 동일하거나 얇은 두께를 가질 경우, 점착 부재(50)가 윈도우 부재(10)의 후면(10a)과 제 1 인쇄층(31) 간의 단턱부에 불완전하게 부착(또는 밀착)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단턱부와 점착 부재(50) 사이에 에어 보이드(air void)가 발생된다. 에어 보이드는 외관 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에어 보이드는 고온 고습 환경에서 성장하여 커버 윈도우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에 따라, 본 출원에 따른 점착 부재(50)는 상기 에어 보이드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 1 인쇄 층(31)의 제 1 두께 대비 적어도 3배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재(50)의 측면은 제 1 영역(A1)에 인접한 제 2 인쇄 층(33)의 내측면으로부터 0.2 마이크로미터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인쇄 층(3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점착 부재(50)를 부착하는 공정 시, 공정 오차로 인하여 점착 부재(50)가 제 2 인쇄 층(33)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인쇄 층(33)과 제 2 인쇄 층(33) 간의 단턱부와 점착 부재(50) 사이에 에어 보이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 부재(50)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 2 인쇄 층(33)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지 않고 제 1 인쇄 층(3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만 부착될 수 있도록 제 2 인쇄 층(33)의 내측면은 점착 부재(50)의 측면으로부터 0.2 마이크로미터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점착 부재(50)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과 마주하는 광학 필름(70)의 일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광학 필름(70)과 윈도우 부재(10)의 합착 공정 시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 전체와 제 1 인쇄 층(3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70)은 점착 부재(50)를 매개로 하여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 전체와 제 1 영역(A1)에 인접한 디자인 층(30)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된다. 즉, 광학 필름(70)은 점착 부재(50)에 부착되어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 전체와 디자인 층(30)에 포함된 제 1 인쇄 층(3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다. 여기서, 상기 광학 필름(70)은 점착 부재(50)를 매개로 하여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에만 부착될 경우,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 사이의 경계부(BP)에서 빛샘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빛샘은 선글라스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 필름(70)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 전체뿐만 아니라 제 1 인쇄 층(3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을 덮음으로써 상기 경계부(BP)에서의 빛샘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선글라스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70)의 가장자리 부분은 제 1 인쇄 층(3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되며, 이 경우 광학 필름(70)과 제 1 인쇄 층(31) 간의 중첩 폭(W3)은 0.11 마이크로미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 부재(50)가 윈도우 부재(10)에 부착되는 공정의 경우, 대략 ±0.1 마이크로미터의 공정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0.1 마이크로미터의 공정 오차를 기반으로, 점착 부재(50)와 광학 필름(70)이 제 1 인쇄 층(3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될 수 있도록 광학 필름(70)과 제 1 인쇄 층(31) 간의 중첩 폭(W3)은 0.11 마이크로미터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광학 필름(70)은 점착 부재(5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필름(70)은 점착 부재(50)의 절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 따른 광학 필름(70)은 입사되는 영상의 편광성을 상실시키기 위하여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투명 재질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광학 필름(70)은 이축 연신 과정을 통해 배향각이 상이한 광학적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광학 필름(70)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이축 연신에 의해 기계적으로 향상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종방향 연신과 횡방향 연신의 순서로 진행되는 이축 연신 과정에 의해서 광축 방향에 따라 분자 배향각이 상이한 광학적 이방성을 가짐으로써 입사되는 영상의 편광 상태를 상실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1)에 입사되는 광은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광학 필름(70)에 의해 편광성이 상실되거나 저하됨으로써 편광 선글라스를 투과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하더라도 커버 윈도우(1)를 투과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커버 윈도우(1)는 보호층(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층(90)은 윈도우 부재(10)의 후면으로 노출된 디자인 층(30)을 덮음으로써 충격 등으로부터 디자인 층(30)을 보호한다. 일 예에 따른 보호층(90)은 광학 필름(70)과 중첩되는 제 1 인쇄 층(31)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 1 인쇄 층(31), 제 2 내지 제 4 인쇄 층(33, 35, 37) 각각의 내측면 및 제 4 인쇄 층(37)의 후면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보호층(90)은 자외선 및/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보호층(90)은 광흡수 물질, 예를 들어 CrOx 또는 MoOx 등의 불투명 무기 절연 물질이나 블랙 수지 등의 불투명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1)는 윈도우 부재(10)의 전면(10c)에 마련된 전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필름은 하드 코팅층, 자체 복원층, 충격 확산층, 셀프 클리닝층, 지문 방지층, 및 충격 흡수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1)는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면서 디자인 층(30)의 내측 가장자리와 중첩되는 광학 필름(70)을 통해 입사되는 영상의 편광성을 상실 또는 저하시켜 사용자가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하더라도 영상의 시청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투명 영역과 불투명 사이의 경계부에서의 빛샘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로서, 이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에서 윈도우 부재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윈도우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나머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1)에서, 윈도우 부재(10)는 제 1 영역(A1), 제 1 영역(A1)을 둘러싸는 제 2 영역(A2), 및 곡률을 가지도록 제 2 영역(A2)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곡률부(11a, 11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역(A1)은 윈도우 부재(10)의 중앙 부분으로서, 광이 투과되는 투명 영역일 수 있다. 제 1 영역(A1)은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A2)은 제 1 영역(A1)을 둘러싸도록 윈도우 부재(1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서, 광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 영역일 수 있다. 제 2 영역(A2)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EP1, EP2, EP3, EP4)과 제 1 내지 제 4 모서리 부분(CP1, CP2, CP3, CP4)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부(11a)는 제 2 영역(A2)의 일측에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 1 곡률부(11a)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1 가장자리 부분(EP1)과 제 1 모서리 부분(CP1) 및 제 4 모서리 부분(CP4)에 곡률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윈도우 부재(10)의 제 1 가장자리 부분(EP1)은 제 1 곡률부(11a)로 인하여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만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곡률부(11b)는 제 2 영역(A2)의 일측과 나란한 제 2 영역(A2)의 타측에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즉, 제 2 곡률부(11b)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1 가장자리 부분(EP1)과 나란한 제 3 가장자리 부분(EP3)과 제 2 모서리 부분(CP2) 및 제 3 모서리 부분(CP3)에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윈도우 부재(10)의 제 3 가장자리 부분(EP3)은 제 2 곡률부(11b)로 인하여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만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10)의 제 1 가장자리 부분(EP1)과 제 3 가장자리 부분(EP3)은 윈도우 부재(10)의 장변과 나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자 기기의 디자인에 따라 비대칭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10)의 제 1 가장자리 부분(EP1)과 중첩되는 디자인 층(30)은 상기 윈도우 부재(10)의 제 1 가장자리 부분(EP1)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만곡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윈도우 부재(10)의 제 3 가장자리 부분(EP3)과 중첩되는 디자인 층(30)은 상기 윈도우 부재(10)의 제 3 가장자리 부분(EP3)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만곡된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1)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1 가장자리 부분(EP1)과 제 3 가장자리 부분(EP3) 각각이 만곡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개선된 미감을 가질 수 있으며, 평면적으로 전자 기기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베젤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 층(30)은 윈도우 부재(10)에 직접 형성되지 않고 디자인 필름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자인 층(30)을 갖는 디자인 필름은 광학 점착 부재(50)를 매개로 하여 만곡된 구조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A2)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곡률부(11a, 11b) 각각의 곡률이 작아지고 밴드된 높이(h)가 높아질수록 제 1 및 제 2 곡률부(11a, 11b)에서 윈도우 부재(10)와 디자인 필름 사이에 에어 보이드(또는 기포)가 발생된다. 예를 들면, 디자인 층(30)과 윈도우 부재(10) 사이의 기포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에어 보이드는 커버 윈도우(1)의 외관 불량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본 예는 만곡된 구조를 갖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A2)에 디자인 층(30)을 직접적으로 형성 또는 인쇄 하고,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광학 필름(70)을 윈도우 부재(10)의 제 1 영역(A1) 전체와 디자인 층(30)에 포함된 제 1 인쇄 층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함으로써, 에어 보이드에 의한 외관 불량 등의 문제점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 층(30)을 윈도우 부재(10)에 직접 형성 또는 인쇄함으로써, 선글라스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3 및 도 4에서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1 가장자리 부분(EP1)과 제 3 가장자리 부분(EP3) 각각이 만곡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윈도우 부재(10)의 제 1 가장자리 부분(EP1) 또는 제 3 가장자리 부분(EP3)이 만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 부재(10)의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EP1, EP2, EP3, EP4) 중 어느 하나는 곡률을 갖는 곡률부를 포함하도록 만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에서 윈도우 부재와 광학 필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5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로서, 이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에서 윈도우 부재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윈도우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나머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1)에서,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A2)은 전체적으로 만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A2)을 구성하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EP1, EP2, EP3, EP4) 및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EP1, EP2, EP3, EP4) 사이의 모서리 부분(CP1, CP2, CP3, CP4) 각각은 곡률을 갖는 곡률부(11a, 11b, 11c, 11d, 11e, 11f, 11g, 11h)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1)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EP1, EP2, EP3, EP4) 및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EP1, EP2, EP3, EP4) 사이의 모서리 부분(CP1, CP2, CP3, CP4) 각각이 전체적으로 만곡된 구조를 가지면서 각 모서리 부분(CP1, CP2, CP3, CP4)이 곡률을 라운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및 도 4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1)는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A2)이 전체적으로 만곡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개선된 미감을 가질 수 있으며, 평면적으로 전자 기기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베젤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의 각 모서리 부분(CP1, CP2, CP3, CP4)의 굴곡된 곡률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 부재(10)의 네 모서리 부분(CP1, CP2, CP3, CP4) 중 일부 모서리만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 부재(10)의 네 모서리 부분(CP1, CP2, CP3, CP4) 중 굴곡지게 형성된 적어도 2 이상의 모서리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고 굴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모서리 부분(CP1, CP2, CP3, CP4)은 서로 다른 곡률로 라운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모서리 부분의 곡률은 서로 대향하는 모서리들끼리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하 방향의 모서리 부분의 곡률과 좌우 방향의 모서리 부분의 곡률이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을 덮는 커버 윈도우(3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납하고 커버 윈도우(300)를 지지하는 하우징(50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하우징(500)에 수납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화소 어레이를 갖는 화소 어레이 기판(111), 화소 어레이를 봉지하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113), 및 봉지층(113)의 상면에 부착된 편광 필름(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화소 구동 라인들에 의해 마련된 화소 영역에 각각 마련된다. 이러한 복수의 화소 각각은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갖는 화소 회로, 및 화소 회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층 또는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발광 소자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113)은 외부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발광 소자 등을 보호하고, 수분이 발광 소자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편광 필름(115)은 필름 부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봉지층(113)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편광 필름(115)은 화소 어레이 기판(311)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화소 구동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을 원편광 상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봉지층(113)과 편광 필름(115) 사이에 개재된 배리어층 및 터치 전극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봉지층(113)의 상면에 마련된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봉지층(113)은 화소 어레이를 둘러싸는 충진재를 매개로 하여 화소 어레이 기판(111)에 부착되는 봉지 기판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충진재는 투명 충진재로 형성할 경우 봉지 기판은 투명 봉지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 회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소 어레이 기판(111)에 마련된 패드부에 연결되고, 화소 구동 라인들에 구동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각 화소에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前面)을 덮도록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비표시 영역을 가려준다. 이를 위해, 커버 윈도우(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제 1 영역,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비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제 2 영역, 및 제 2 영역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비표시 영역을 가려주는 디자인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300)는 전자 기기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300)는 패널 점착 부재(200)를 매개로 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前面), 즉 편광 필름(135)의 전면(前面)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은 패널 점착 부재(200)를 매개로 하는 다이렉트 본딩 공정에 의해 커버 윈도우(300)에 마련된 광학 필름(7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점착 부재(200)는 커버 윈도우(300)의 광학 필름(70)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점착 부재(200)의 가장자리 부분은 윈도우 부재(300)의 제 1 영역에 인접한 디자인 층(30)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패널 점착 부재(200)는 광학 접착 필름, 예를 들어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수납하고 커버 윈도우(300)를 지지한다. 예를 들면, 하우징(500)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을 지지하거나 제 2 영역에 결합됨으로써 커버 윈도우(300)를 지지한다.
일 예에 따른 하우징(500)은 지지 프레임(510), 최외곽 커버(530), 및 회로 수납 공간(55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5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고, 회로 수납 공간(550)을 마련한다. 일 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510)은 패널 지지부(511) 및 지지 측벽(513)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 지지부(51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한다. 일 예로서, 패널 지지부(51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전체를 지지하도록 평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패널 지지부(51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만을 지지하도록 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측벽(513)은 패널 지지부(51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커버 윈도우(300)를 지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을 둘러싼다. 지지 측벽(513)은 커버 윈도우(300)의 제 2 영역과 중첩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지지 측벽(513)은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커버 윈도우(300)의 제 2 영역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최외곽 커버(530)는 지지 프레임(510)의 후면과 각 측면을 둘러싸면서 커버 윈도우(300)의 각 외측면을 둘러싼다. 일 예에 따른 최외곽 커버(530)는 지지 프레임(510)의 후면을 지지하거나 덮는 후면 커버(531), 및 후면 커버(531)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벤딩되어 지지 프레임(510)의 각 측면과 커버 윈도우(300)의 각 외측면을 모두 둘러싸는 측면 커버(533)를 포함한다.
또는, 후면 커버(531)와 측면 커버(533)는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서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후면 커버(531)는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유리 재질의 후면 커버(531)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 및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접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300)와 후면 커버(531) 각각이 모두 고릴라 글라스로 이루어진 경우, 후면 커버(531)의 고릴라 글라스는 커버 윈도우(300)의 고릴라 글라스보다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회로 수납 공간(550)은 패널 지지부(511)와 후면 커버(531) 사이에 마련된다. 이러한 회로 수납 공간(500)에는 패널 구동 회로부, 메모리, 및 배터리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커버 윈도우(300)에 마련되고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광학 필름(7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편광성을 상실시키거나 저하시킴으로써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선 IV-IV'의 단면도로서, 이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을 덮는 커버 윈도우(3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납하고 커버 윈도우(300)를 지지하는 하우징(50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前面)을 덮도록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비표시 영역을 가려준다. 이를 위해, 커버 윈도우(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제 1 영역,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비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제 2 영역, 및 제 2 영역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비표시 영역을 가려주는 디자인 층을 포함하며, 제 2 영역이 곡률로 만곡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300)는 전자 기기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5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수납하고 커버 윈도우(300)를 지지한다. 예를 들면, 하우징(500)은 윈도우 부재(10)의 제 2 영역을 지지하거나 제 2 영역에 결합됨으로써 커버 윈도우(300)를 지지한다.
일 예에 따른 하우징(5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고 회로 수납 공간을 마련하는 지지 프레임(510), 및 지지 프레임(510)의 후면과 각 측면을 둘러싸면서 커버 윈도우(300)의 각 외측면을 둘러싸는 최외곽 커버(530)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5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511), 및 패널 지지부(51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을 둘러싸면서 커버 윈도우(300)의 제 2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 측벽(5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측벽(513)은 커버 윈도우(300)의 제 2 영역과 중첩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측벽(513)은 윈도우 부재(10)의 만곡된 제 2 영역을 지지한다. 또는, 지지 측벽(513)은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커버 윈도우(300)의 제 2 영역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최외곽 커버(530)는 지지 프레임(510)의 후면을 지지하거나 덮는 후면 커버(531), 및 후면 커버(531)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벤딩되어 지지 프레임(510)의 각 측면을 둘러싸면서 만곡된 윈도우 부재(10)의 외측면을 지지한다.
또는, 전술한 예의 전자 기기에서와 같이, 후면 커버(531)와 측면 커버(533)는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서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회로 수납 공간(550)은 패널 지지부(511)와 후면 커버(531) 사이에 마련된다. 이러한 회로 수납 공간(500)에는 패널 구동 회로부, 메모리, 및 배터리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커버 윈도우(300)에 마련되고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광학 필름(7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편광성을 상실시키거나 저하시킴으로써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커버 윈도우(300)의 제 2 영역이 만곡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얇은 베젤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도 7 또는 도 9에 도시된 스마트 폰(smart phone),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모바일 폰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또는 가전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발광 표시 패널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300: 커버 윈도우 10: 윈도우 부재
30: 디자인 층 31, 33, 35, 37: 인쇄 층
50: 점착 부재 70: 광학 필름
90: 보호층 100: 디스플레이 모듈
110: 디스플레이 패널 111: 화소 어레이 기판
113: 봉지층 115: 편광 필름
200: 패널 점착 부재 500: 하우징
510: 지지 프레임 530: 최외곽 커버

Claims (18)

  1.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을 갖는 윈도우 부재;
    상기 윈도우 부재의 상기 제 2 영역에 마련된 디자인 층; 및
    점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윈도우 부재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한 상기 디자인 층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된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층은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제 2 영역에 적층된 제 1 내지 제 n(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 인쇄 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 1 인쇄 층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된,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과 상기 제 1 인쇄 층 간의 중첩 폭은 0.11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 층은 4 마이크로미터 이상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 1 인쇄 층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을 덮으며,
    상기 제 2 인쇄 층은 상기 제 1 인쇄 층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일부에 적층된,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재의 측면은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 2 인쇄 층의 내측면으로부터 0.2 마이크로미터 이상 이격된,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제 2 영역은 곡률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제 2 영역은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곡률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제 2 영역은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 및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모서리 부분 각각은 곡률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12.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前面)을 덮는 커버 윈도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납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前面)은 패널 점착 부재를 매개로 상기 커버 윈도우의 광학 필름에 부착된, 전자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인, 전자 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점착 부재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제 1 영역에 인접한 디자인 층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과 중첩된, 전자 기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패널 점착 부재를 매개로 상기 커버 윈도우의 광학 필름에 부착된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발광 표시 패널인, 전자 기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윈도우 부재의 제 2 영역을 지지하는, 전자 기기.
KR1020170078353A 2017-06-21 2017-06-21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50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53A KR102501537B1 (ko) 2017-06-21 2017-06-21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53A KR102501537B1 (ko) 2017-06-21 2017-06-21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311A true KR20180138311A (ko) 2018-12-31
KR102501537B1 KR102501537B1 (ko) 2023-02-17

Family

ID=6495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353A KR102501537B1 (ko) 2017-06-21 2017-06-21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5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100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내에 배치된 센서에 인접한 픽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21167299A1 (en) * 2020-02-19 2021-08-26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21201484A1 (ko) * 2020-04-01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하우징의 제조 방법
US11871612B2 (en) 2020-07-17 2024-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250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95708A (ko) * 2015-02-03 2016-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9809A (ko) * 2015-10-01 2017-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250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95708A (ko) * 2015-02-03 2016-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9809A (ko) * 2015-10-01 2017-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100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내에 배치된 센서에 인접한 픽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21167299A1 (en) * 2020-02-19 2021-08-26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US11556146B2 (en) 2020-02-19 2023-01-1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21201484A1 (ko) * 2020-04-01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하우징의 제조 방법
US11871612B2 (en) 2020-07-17 2024-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537B1 (ko)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539B2 (en) Electro-optical devic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301080B2 (ja) 液晶表示装置
TWI470302B (zh) 顯示裝置
US9207475B2 (en) Display apparatus
WO2014010463A1 (ja) 表示装置
US20150138484A1 (en) Display device
US20170293176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44843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80138311A (ko)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20200264668A1 (en) Display device
KR102081828B1 (ko) 표시 장치용 보호창 및 이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
CN113630486B (zh) 电子设备及显示屏
US2022038649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US20160231774A1 (en) Display module
JP2008216939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538579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22002293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54486A (ko) 전자 장치
KR102491720B1 (ko) 액정 표시 장치
TWI427372B (zh) 光學模組與顯示裝置
WO2017010291A1 (ja) 表示装置
JP2010060883A (ja) 表示装置
US11668983B2 (en) Display apparatus
KR102140088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2611476B1 (ko)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06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509

Effective date: 2022112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