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476B1 -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476B1
KR102611476B1 KR1020170105851A KR20170105851A KR102611476B1 KR 102611476 B1 KR102611476 B1 KR 102611476B1 KR 1020170105851 A KR1020170105851 A KR 1020170105851A KR 20170105851 A KR20170105851 A KR 20170105851A KR 102611476 B1 KR102611476 B1 KR 10261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arizing
light blocking
blocking member
pres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925A (ko
Inventor
이달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4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Abstract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상부에 배치된 편광판을 커버 글라스의 하부에 배치된 편광 코팅층으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편광 필름은 편광 베이스층, 편광 베이스층의 하부 면에 배치된 편광 코팅층, 편광 베이스층의 상부에 배치된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된 점착층, 및 점착층의 상부에 배치된 전면 커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면 커버는 커버 글라스, 커버 글라스의 하부에 배치된 접착층, 접착층의 하부에 배치된 편광 베이스층, 및 편광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된 편광 코팅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POLARIZING FILM,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FILM}
본 출원은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시각 정보를 영상 또는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 분야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 중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빠른 응답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자발광에 따라 저계조 표현력이 가능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된 점착층, 및 점착층의 상부에 배치된 전면 커버를 포함한다.
기존의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상부에 편광층이 배치되었고, 편광층의 상부에 점착층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상부에 배치된 편광층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상부에 편광층이 배치하는 공정과, 전면 커버를 이루는 커버 글라스의 하부에 감압 접착층을 배치하는 공정, 및 점착층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면 커버를 결합하는 공정이 모두 필요하다. 이에 따라, 기존의 표시 장치는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상부에 배치된 편광판을 커버 글라스의 하부에 배치된 편광 코팅층으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 표시 장치 및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 따른 편광 필름은 편광 베이스층, 편광 베이스층의 하부 면에 배치된 편광 코팅층, 편광 베이스층의 상부에 배치된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된 점착층, 및 점착층의 상부에 배치된 전면 커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면 커버는 커버 글라스, 커버 글라스의 하부에 배치된 접착층, 접착층의 하부에 배치된 편광 베이스층, 및 편광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된 편광 코팅층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은 편광 베이스층의 일 면에 편광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편광 코팅층의 하부 면에 차광 부재를 실크 프린팅하는 단계, 및 편광 코팅층의 상부 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은 편광 베이스층의 일 면에 편광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편광 베이스층의 상부 면에 차광 부재를 실크 프린팅하는 단계, 및 편광 베이스층의 상부 면 및 차광 부재의 상부 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상부에 배치된 편광판을 커버 글라스의 하부에 배치된 편광 코팅층으로 대체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전면 커버에 편광 코팅층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 표시 장치 및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기존의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점착층, 및 전면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점착층, 및 전면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점착층, 및 전면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제1 수평 축 방향", "제2 수평 축 방향" 및 "수직 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출원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10), 점착층(20), 및 전면 커버(3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기존의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10)에는 후면 커버(11), 폴리이미드층(12), 발광층(13), 보호층(14), 터치 스크린(15)이 배치되었다. 기존의 표시 장치의 후면 커버(11), 폴리이미드층(12), 발광층(13), 보호층(14), 터치 스크린(15)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후면 커버(110), 폴리이미드층(120), 발광층(130), 보호층(140), 터치 스크린(150)과 동일하므로, 도 3을 결부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기존의 표시 장치의 점착층(20)은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점착층(200)과 동일하므로, 도 3을 결부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기존의 표시 장치의 전면 커버(30)에는 커버 글라스(31), 접착층(32), 베이스 필름(33), 및 차광층(35)이 배치되었다. 기존의 표시 장치의 커버 글라스(31) 및 접착층(32)은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커버 글라스(310) 및 접착층(320)과 동일하므로, 도 3을 결부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기존의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편광판(16)이 부착되었다.
편광판(16)은 일정한 방향으로 마련된 편광축을 갖는다. 편광판(16)은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편광된 빛을 투과시킨다. 편광판(16)은 편광축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편광된 빛은 차단시킨다. 편광판(16)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발광층(13)에서 나오는 광을 편광시킨다.
편광판(16)의 두께는 제 5 두께(T5)이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총 두께는 제 1 두께(T1) 및 제 5 두께(T5)를 합한 두께가 된다.
기존의 표시 장치의 베이스 필름(33)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졌다. 표시 장치의 보호를 위해 베이스 필름(33)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베이스 필름(33)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필름(33)은 표면에서 광을 산란시켜, 표면에 편광 물질을 코팅하더라도 편광 기능을 가질 수 없다. 접착층(32)과 베이스 필름(33)의 두께의 합은 제 3 두께(T3)가 된다.
차광층(35)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선 상에 형성된다. 차광층(35)은 표시 영역(DA)의 테두리를 비표시 영역(NDA)으로부터 구분한다. 차광층(35)은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 차광 성질을 갖는 테이프, 또는 차광 성질을 갖는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통하여 정보를 나타내거나 영상을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마련된 비표시 영역(NDA)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표시 영역(DA)은 화상을 통하여 정보를 나타내거나 영상을 표현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본 출원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중앙 영역에 마련된다. 표시 영역(DA)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를 포함한다. 표시 영역(DA) 내에는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복수의 화소 회로들이 마련된다. 또한, 표시 영역(DA)에는 는 복수의 화소 회로들에 화소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 전원 라인이 마련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마련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본 출원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테두리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비표시 영역(NDA)은 본 출원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형태를 결정하는 하우징(Housing) 또는 케이스(Ca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1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네 모서리 중 X 축 방향인 휴대용 단말기의 양 측면 모서리 부분에서는 극히 얇게 형성되어 베젤(Bezel)이 없는 엣지형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고, Y 축 방향인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껍게 마련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100), 점착층(200), 및 전면 커버(3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구동 회로부에서 공급되는 신호들에 따라 구동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구동 회로부로부터 공급되는 스캔 신호 및 데이터 전압에 따라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구동 회로부로부터 공급되는 터치 구동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후면 커버(110), 폴리이미드층(120), 유기 발광층(130), 보호층(140), 및 터치 스크린(150)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두께(T1)를 갖는다.
후면 커버(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이룬다. 후면 커버(100)는 강도가 큰 판(plate)이다. 후면 커버(110)는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후면 커버(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보호한다.
폴리이미드층(120)은 후면 커버(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폴리이미드층(120)은 이미드 저분자 물질들이 중합된 고분자 물질인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이루어진다. 폴리이미드층(120)은 유연성이 있는 층이다. 폴리이미드층(12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외부의 충격을 받았을 경우 구부러지거나 벤딩(bending)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발광층(130)은 폴리이미드층(1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 예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발광층(130)은 애노드 전극(anode electrode),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물층(organic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캐소드 전극(cathode electrode)을 포함한다. 발광층(130) 내부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물층으로 이동한다. 유기물층에서 정공과 전자가 서로 결합하는 경우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방출한다. 각각의 화소에는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적색 유기물층(R), 녹색 광을 방출하는 녹색 유기물층(G), 청색 광을 방출하는 청색 유기물층(B)이 마련된다.
보호층(140)은 발광층(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보호층(140)은 외부의 이물질 또는 수분이 발광층(130)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층(140)은 외부와의 반응성이 낮고 방습 능력이 우수한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진다.
터치 스크린(150)은 보호층(140)의 상부에 배치된다. 터치 스크린(150)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터치 스크린(150)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정전 용량(Cm)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전극을 내장한다. 사용자의 터치가 있는 경우 터치가 이루어진 영역에 배치된 터치 전극과 하우징 사이의 정전 용량(Cm)이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터치 스크린(150)이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발광층(130)의 상부에 별도로 배치된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온-셀(On-cell) 터치 표시 장치에 해당한다.
점착층(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 면에 마련된다. 점착층(200)은 전면 커버(300)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부착시킨다. 점착층(200)은 투명하고 점착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점착층(200)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점착층(200)은 제 2 두께(T2)를 갖는다. 제 2 두께(T2)는 제 1 두께(T1)에 비해 얇다.
전면 커버(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 전체에 부착된다. 전면 커버(300)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면 커버(300)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하우징 쪽으로 오목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전면 커버(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보호한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면 커버(300)는 커버 글라스(310), 접착층(320), 편광 베이스층(330), 편광 코팅층(340), 및 차광 부재(350)를 포함한다.
커버 글라스(310)는 전면 커버(300)의 전면을 이룬다. 커버 글라스(310)는 강화 글라스(Glass), 투명 플라스틱, 또는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커버 글라스(31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커버 글라스(310)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ethylenenapnthalate) 및 PNB(polynorborne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글라스(310)는 긁힘과 투명도를 고려하여 강화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310)는 제 3 두께(T3)를 갖는다. 제 3 두께(T3)는 제 2 두께(T2)보다 두껍다. 또한, 도 5에서는 제 3 두께(T3)가 제 1 두께(T1)보다 얇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 3 두께(T3)가 제 1 두께(T1) 보다 두꺼울 수도 있다.
접착층(320)은 커버 글라스(310)의 하부 면에 마련된다. 접착층(320)은 커버 글라스(310)의 하부 면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착층(320)은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층(320)이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진 경우, 접착층(320)은 압력을 가할 경우 접착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편광 베이스층(330)의 상부에 커버 글라스(310)를 합착하기 위해 압력을 가하는 경우 접착층(320)의 접착력이 발생하여 커버 글라스(310)를 편광 베이스층(330) 상부 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편광 베이스층(330)은 접착층(320)의 하부 면에 마련된다. 편광 베이스층(330)은 외부 물질과의 반응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편광 베이스층(330)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경우, 편광 베이스층(330)은 다른 물질과 잘 반응하지 않는다. 또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편광 베이스층(330)은 구김이 잘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박막 또는 기재 필름(Base Film)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편광 베이스층(330)은 등방성(Isotrope)을 갖는다. 편광 베이스층(330)은 빛의 편광 방향에 상관 없이 일정한 광 투과율을 갖는다. 즉, 편광 베이스층(330)은 광학적으로 편광되지 않아 상부 또는 하부의 다른 층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편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 베이스층(330)은 임의의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 필름이 될 수 있다.
편광 코팅층(340)은 편광 베이스층(330)의 하부에 배치된다. 편광 코팅층(340)은 편광 베이스층(330)과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필름으로, 편광 베이스층의 표면에 코팅을 하는 공정을 통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도 1을 결부하여 설명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부착되던 편광판(16)과 달리, 전면 커버(300)를 구성하는 기재 필름인 편광 베이스층(330)에 코팅되어, 편광 베이스층(330)과 분리되지 않은 단일한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도 1을 결부하여 설명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부착되던 편광판(16) 대비 제 5 두께(T5)만큼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기존의 편광판(16)이 별도의 판 형태로 제작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부착된 것과 달리, 편광 베이스층(330)과 일체로 이루어진 통합 필름(integrated film)으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기존 대비 편광 기능을 하는 판을 부착하는 공정을 1회 감소시키므로,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부착되던 편광판(16) 대비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액정 및 이색성 염료(Dichroic Dye)로 이루어진다. 액정 및 이색성 염료는 전계에 의해 배열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색성 염료들은 빛을 흡수하는 염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색성 염료들은 가시광선 파장대의 빛을 모두 흡수하는 블랙 염료(black dye) 또는 특정한 색의 파장대 이외의 빛을 흡수하고 특정한 색의 파장대의 빛을 반사하는 염료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이색성 염료가 배열된 방향에 따라 편광된 빛을 차단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다. 편광 코팅층(340)은 이색성 염료의 방향으로 편광된 빛을 차단하고, 이색성 염료의 단축 방향으로 편광된 빛은 투과시킨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액정과 이색성 염료를 이용하여 도 1을 결부하여 설명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부착되던 편광판(16)을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부착되던 편광판(16)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면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350)는 편광 코팅층(340)의 하부 및 점착층(200)의 측면에 배치된다. 차광 부재(350)는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상부 면을 시인할 때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검정 테두리로 시인되는 블랙 마스크(Black Mask, BM)일 수 있다. 또는, 차광 부재(350)는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에서 방출된 광이 비표시 영역(NDA)을 통해 방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색상이 있는 차광 마스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차광 부재(350)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 패턴이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350)는 편광 코팅층(340) 하부 면에 잉크 등을 이용하여 인쇄된다. 이에 따라, 차광 부재(350) 역시 별도로 분리된 구성 요소가 아니라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일체로 형성된 단일한 필름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는 표시 영역(DA)에 반영구적으로 존재하는 블랙 마스크 또는 색상이 있는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는 차광 부재(350)를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별도로 분리되도록 마련하지 않고,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일체로 된 하나의 필름 형태로 차광 부재(350)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는 블랙 마스크 또는 색상이 있는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더라도 표시 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블랙 마스크 또는 색상이 있는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350)는 블랙 마스크 또는 색상이 있는 차광 마스크를 이루는 물질을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영역 상에 실크 프린팅(Silk Printing) 하여 형성한다. 실크 프린팅은 차광 부재(350)를 형성하는 물질을 도포하는 층보다 얇게, 적어도 1회 이상 도포하여 설정된 영역 상에 차광 부재(350)가 마련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차광 부재(350)를 실크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경우 차광 부재(35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점착층(200)이 차광 부재(350)가 형성된 영역 외의 영역인 표시 영역(DA) 상에서 균일하게 형성된다. 궁극적으로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편광 코팅층(340) 후면을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과 접착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320),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의 두께의 합은 제 4 두께(T4)이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층(330), 편광 코팅층(340), 및 차광 부재(350)는 하나의 필름으로 형성되어, 접착층(320)에 의해 커버 글라스(310)에 합지된다. 하나의 필름은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커버 글라스(310)보다 얇기 때문에 제 4 두께(T4)는 제 3 두께(T3)보다 얇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베이스층(330), 편광 코팅층(340), 및 차광 부재(350)를 하나의 필름으로 구현하여, 접착층(320), 편광 베이스층(330), 편광 코팅층(340), 및 차광 부재(350)의 두께의 합을 기존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던 층들의 두께의 합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도 1을 결부하여 설명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에 부착된 편광판(16) 대비 약 20%의 두께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을 적용할 경우,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광 투과율이 40% 이상 50% 이하로, 커버 글라스(310), 접착층(320), 편광 베이스층(330) 대비 낮다. 이에 따라, 외부의 광이 차광 부재(350)에 도달하기 전에 50% 이상 60% 이하의 빛은 반사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도 1을 결부하여 설명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면에 부착된 편광판(16) 대비 차광 부재(350)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감소시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인 테두리 영역에서 반짝이는 현상이 시인되거나 차광 부재(350)가 두드러지게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100), 점착층(200), 및 전면 커버(3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반복되는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350)는 편광 베이스층(3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350)는 비표시 영역(NDA) 상에 배치되기 위해,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된 접착층(320)의 측면 및 비표시 영역(NDA) 상에 배치된 접착층(3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차광 부재(350)는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부 면을 시인할 때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검정 테두리로 시인되는 블랙 또는 다른 색상을 갖는 차광 마스크이다.
차광 부재(350)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 패턴이다.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350)는 편광 베이스층(330) 상부 면에 잉크 등을 이용하여 인쇄된다. 이에 따라, 차광 부재(350) 역시 별도로 분리된 구성 요소가 아니라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일체로 형성된 단일한 필름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는 표시 영역(DA)에 반영구적으로 존재하는 블랙 또는 다른 색상의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는 차광 부재(350)를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별도로 분리되도록 마련하지 않고,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일체로 된 하나의 필름 형태로 차광 부재(350)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는 블랙 또는 다른 색상의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더라도 표시 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블랙 또는 다른 색상의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350)는 블랙 또는 다른 색상의 마스크를 이루는 재료를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영역 상에 실크 프린팅(Silk Printing) 하여 마련된다. 실크 프린팅은 차광 부재(350)를 형성하는 물질을 도포하는 층보다 얇게, 적어도 1회 이상 도포하여 설정된 영역 상에 차광 부재(350)가 마련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차광 부재(350)를 실크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경우 차광 부재(35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접착층(320)이 차광 부재(350)가 형성된 영역 외의 영역인 표시 영역(DA) 상에서 균일하게 형성된다. 궁극적으로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커버 글라스(310) 후면을 균일하게 편광 베이스층(330)의 전면과 접착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320), 편광 베이스층(330), 편광 코팅층(340), 및 차광 부재(350)의 두께의 합은 제 4 두께(T4)이다.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 베이스층(330), 편광 코팅층(340), 및 차광 부재(350)는 하나의 필름으로 형성되어, 접착층(320)에 의해 커버 글라스(310)에 합지된다. 하나의 필름은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커버 글라스(310)보다 얇기 때문에 제 4 두께(T4)는 제 3 두께(T3)보다 얇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 베이스층(330), 편광 코팅층(340), 및 차광 부재(350)를 하나의 필름으로 구현하여, 접착층(320), 편광 베이스층(330), 편광 코팅층(340), 및 차광 부재(350)의 두께의 합인 제 4 두께(T4)를 기존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던 층들의 두께의 합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도 1을 결부하여 설명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에 부착된 편광판(16) 대비 약 20%의 두께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을 적용할 경우,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편광 베이스층(330), 편광 코팅층(340), 및 차광 부재(350)는 하나의 필름으로 형성되며, 접착층(320)에 의해 커버 글라스(310)에 합지된다. 이하에서는 접착층(320), 편광 베이스층(330), 편광 코팅층(340), 및 차광 부재(350)를 합하여 편광 필름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첫 번째로, 도 5a와 같이, 편광 베이스층(330)을 마련한다. 편광 베이스층(330)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편광 베이스층(330)은 다른 물질과 잘 반응하지 않으며, 구김이 잘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박막 또는 기재 필름(Base Film)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편광 베이스층(330)은 등방성(Isotrope)을 갖는다. 편광 베이스층(330)은 빛의 편광 방향에 상관 없이 일정한 광 투과율을 갖는다. 즉, 편광 베이스층(330)은 광학적으로 편광되지 않아 상부 또는 하부의 다른 층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편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 베이스층(330)은 임의의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 필름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도 5b와 같이, 편광 베이스층(330)의 하부 면에 편광 코팅층(340)을 코팅한다. 편광 코팅층(340)은 편광 베이스층(330)의 하부에 배치된다. 편광 코팅층(340)은 편광 베이스층(330)과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필름으로, 편광 베이스층(330)의 표면에 코팅을 하는 공정을 통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도 1을 결부하여 설명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부착되던 편광판(16)과 달리 기재 필름인 편광 베이스층(330)에 코팅되어, 편광 베이스층(330)과 분리되지 않은 단일한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부착되던 편광판(16) 대비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 면에 부착되던 편광판(16) 대비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세 번째로, 도 5c와 같이, 편광 코팅층(340)의 하부 면에 차광 부재(350)를 실크 프린팅한다. 차광 부재(350)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 패턴이다. 차광 부재(350)는 편광 코팅층(340) 하부 면에 잉크 등을 이용하여 인쇄된다. 이에 따라, 차광 부재(350) 역시 별도로 분리된 구성 요소가 아니라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일체로 형성된 단일한 필름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는 표시 영역(DA)에 반영구적으로 존재하는 블랙 또는 다른 색상의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는 차광 부재(350)를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별도로 분리되도록 마련하지 않고,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일체로 된 하나의 필름 형태로 차광 부재(350)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는 블랙 또는 다른 색상의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더라도 표시 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블랙 또는 다른 색상의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350)는 블랙 또는 다른 색상의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는 물질을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영역 상에 실크 프린팅(Silk Printing) 하여 마련된다. 실크 프린팅은 차광 부재(350)를 형성하는 물질을 도포하는 층보다 얇게, 적어도 1회 이상 도포하여 설정된 영역 상에 차광 부재(350)가 마련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차광 부재(350)를 실크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경우 차광 부재(35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네 번째로, 도 5d와 같이, 편광 베이스층(330)의 상부 면에 접착층(320)을 형성한다. 접착층(320)은 커버 글라스(310)의 하부 면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착층(320)은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접착층(320)은 접착면 상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접착력이 발생한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에 부착된 편광판(16) 대비 약 20%의 두께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을 적용할 경우,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광 투과율이 40% 이상 50% 이하로 커버 글라스(310), 접착층(320), 편광 베이스층(330) 대비 낮다. 이에 따라, 외부의 광이 차광 부재(350)에 도달하기 전에 50% 이상 60% 이하의 빛은 반사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면에 편광판(16)이 배치된 때부다 차광 부재(350)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감소시켜, 테두리 영역에서 반짝이거나 차광 부재(350)가 두드러지게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첫 번째로, 도 6a와 같이, 편광 베이스층(330)을 마련한다. 편광 베이스층(330)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편광 베이스층(330)은 다른 물질과 잘 반응하지 않으며, 구김이 잘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박막 또는 기재 필름(Base Film)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편광 베이스층(330)은 등방성(Isotrope)을 갖는다. 편광 베이스층(330)은 빛의 편광 방향에 상관 없이 일정한 광 투과율을 갖는다. 즉, 편광 베이스층(330)은 광학적으로 편광되지 않아 상부 또는 하부의 다른 층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편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 베이스층(330)은 임의의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 필름이 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도 6b와 같이, 편광 베이스층(330)의 하부 면에 편광 코팅층(340)을 코팅한다. 편광 코팅층(340)은 편광 베이스층(330)의 하부에 배치된다. 편광 코팅층(340)은 편광 베이스층(330)과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필름으로, 편광 베이스층(330)의 표면에 코팅을 하는 공정을 통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부착되던 편광판(16)과 달리 기재 필름인 편광 베이스층(330)에 코팅되어, TAC 층(330)과 분리되지 않은 단일한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부착되던 편광판(16) 대비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편광 코팅층(340)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면에 부착되던 편광판(16) 대비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세 번째로, 도 6c와 같이, 편광 베이스층(330)의 상부 면에 차광 부재(350)를 실크 프린팅한다. 차광 부재(350)는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부 면을 시인할 때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검정 테두리로 시인되는 블랙 또는 색상이 있는 차광 마스크이다.
차광 부재(350)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 패턴이다. 차광 부재(350)는 편광 베이스층(330) 상부 면에 잉크 등을 이용하여 인쇄된다. 이에 따라, 차광 부재(350) 역시 별도로 분리된 구성 요소가 아니라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일체로 형성된 단일한 필름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는 표시 영역(DA)에 반영구적으로 존재하는 블랙 마스크를 형성하는 차광 부재(350)를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별도로 분리되도록 마련하지 않고, 편광 베이스층(330) 및 편광 코팅층(340)과 일체로 된 하나의 필름 형태로 차광 부재(350)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는 블랙 또는 색상이 있는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더라도 표시 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블랙 또는 색상이 있는 차광 마스크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350)는 블랙 또는 색상이 있는 차광 마스크를 이루는 물질을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싼 영역 상에 실크 프린팅(Silk Printing) 하여 마련된다. 실크 프린팅은 차광 부재(350)를 형성하는 물질을 도포하는 층보다 얇게, 적어도 1회 이상 도포하여 설정된 영역 상에 차광 부재(350)가 마련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차광 부재(350)를 실크 프린팅으로 형성하는 경우 차광 부재(35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네 번째로, 도 6d와 같이, 편광 베이스층(330)의 상부 및 차광 부재(350)의 상부면에 감압 접착층(320)을 형성한다. 감압 접착층(320)은 상부 면이 평탄하도록 차광 부재(350)에서 보다 얇게 형성된다. 감압 접착층(320)은 커버 글라스(310)의 하부 면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감압 접착층(320)은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감압 접착층(320)은 접착면 상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접착력이 발생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상부에 배치된 편광판을 커버 글라스의 하부에 배치된 편광 코팅층으로 대체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전면 커버에 편광 코팅층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100: 디스플레이 패널 110: 후면 커버
120: 폴리이미드층 130: 발광층
140: 보호층 150: 터치 스크린
200: 점착층 300: 전면 커버
310: 커버 글라스 320: 접착층
330: 편광 베이스층 340: 편광 코팅층
350: 차광 부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편광 코팅층;
    상기 편광 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커버 글라스; 및
    상기 편광 코팅층의 표면에 배치되는 차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편광 코팅층의 하부면 및 상기 점착층의 측면에 컨택되며,
    상기 편광 코팅층의 일측 끝단의 위치와 상기 차광 부재의 일측 끝단의 위치는, 상기 점착층의 일측 끝단의 위치와 다른 표시 장치.
  5.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편광 코팅층;
    상기 편광 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커버 글라스; 및
    상기 편광 코팅층의 표면에 배치되는 차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편광 코팅층의 하부면 및 상기 점착층의 측면에 컨택되며,
    상기 편광 코팅층의 끝단과 상기 차광부재의 끝단은 상기 점착층의 끝단보다 더 연장되어 있는 표시 장치.
  6.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된 편광 코팅층;
    상기 편광 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커버 글라스; 및
    상기 편광 코팅층의 표면에 배치되는 차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편광 코팅층의 하부면 및 상기 점착층의 측면에 컨택되며,
    상기 편광 코팅층, 상기 베이스층 및 상기 차광부재는 하나의 필름 형태로 구비되는 표시 장치.
  7. 제 4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편광 코팅층과 직접 컨택되는 표시 장치.
  8. 삭제
  9. 제 4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편광 코팅층에 프린팅되어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 4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에는 상기 편광 코팅층이 코팅되어 있는 표시 장치.
  11. 제 4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 상에 배치되는 폴리이미드층;
    상기 폴리이미드층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발광층을 커버하는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상에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105851A 2017-08-22 2017-08-22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61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51A KR102611476B1 (ko) 2017-08-22 2017-08-22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51A KR102611476B1 (ko) 2017-08-22 2017-08-22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25A KR20190020925A (ko) 2019-03-05
KR102611476B1 true KR102611476B1 (ko) 2023-12-06

Family

ID=6576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851A KR102611476B1 (ko) 2017-08-22 2017-08-22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73773A (ja) * 2020-04-17 2021-11-0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061A (ko) * 2010-10-04 2012-04-13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편광판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
KR20130142715A (ko) * 2012-06-20 2013-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41320B1 (ko) * 2014-06-30 2017-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60124372A (ko) * 2015-04-17 2016-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312304B1 (ko) * 2015-06-22 2021-10-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5275B1 (ko) * 2015-09-10 2022-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25A (ko)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39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EP3182474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510980B2 (en) Display module
KR102481443B1 (ko)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606924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KR102246292B1 (ko) 휴대용 전자장치
KR102567498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19003576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ulti scre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11841745B2 (en) Display device
US945948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11342539B2 (en) Display panel aligned with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90377925A1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sensor opening
WO2021136140A1 (zh) 显示模组及电子设备
US11068104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01537B1 (ko)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JP2003036143A (ja) インナータッチパネル
US1117130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14792B1 (ko) 표시 장치
KR102611476B1 (ko)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197941B1 (ko) 광학식 지문센서의 지문인식률 개선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 센서 모듈
KR20130030594A (ko) 터치 스크린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9395A (ko) 광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KR102651805B1 (ko) 표시 장치
US20220285657A1 (en) Electronic device
KR102442611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