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461A -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461A
KR20150033461A KR20130113512A KR20130113512A KR20150033461A KR 20150033461 A KR20150033461 A KR 20150033461A KR 20130113512 A KR20130113512 A KR 20130113512A KR 20130113512 A KR20130113512 A KR 20130113512A KR 20150033461 A KR20150033461 A KR 20150033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se film
lower layer
upper laye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376B1 (ko
Inventor
남승욱
김규영
김아영
민귀남
이규택
정용철
한소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376B1/ko
Priority to US14/332,833 priority patent/US10003044B2/en
Publication of KR2015003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접힐 수 있는 폴딩부와 접히지 않는 비폴딩부로 이루어진 열팽창계수가 상이한 복수개의 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베이스 필름을 열팽창계수(CTE) 상이한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을 수 있으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내열성을 가져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커버 윈도우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을 수 있으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내열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네비게이션, 디지털 사진기, 전자 북, 휴대용 게임기, 또는 각종 단말기 등과 같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가 표시장치로서 적용된 다양한 모바일 전자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통상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표시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된 커버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장치의 가장 외부에 형성된 구성이기 때문에, 기기 내부의 표시 패널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외부의 환경에 대해서 강해야 한다.
나아가, 스위치나 키보드를 입력장치로 사용하던 종래의 방식 대신, 최근에는 표시 화면과 일체로 이루어진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구조가 널리 보급되어, 종래의 모바일 기기에 비해 커버 윈도우의 표면이 외부 환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일이 많아지게 되어, 보다 강한 강도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커버 윈도우는 접을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커버 윈도우의 강도와 유연성은 서로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에 있으므로, 이를 모두 구현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을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플라스틱의 특성상 고온에서 접은 상태로 보관 시, 커버 윈도우의 열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을 수 있으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표면 내열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접힐 수 있는 폴딩부와 접히지 않는 비폴딩부로 이루어진 열팽창계수가 상이한 복수개의 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부층과 하부층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층에 상기 하부층에 포함되는 물질 대비 열팽창계수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층의 상기 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층의 폴딩부의 총 두께 대비 80~1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층의 상기 비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층 비폴딩부의 총 두께 대비 5~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로 이루어진 물질로부터 선택된 각각 상이한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은 액체형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두께는 1~10㎛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부층, 중간층 및 하부층의 삼중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층에 상기 중간층에 포함되는 물질 대비 열팽창계수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에 상기 하부층에 포함되는 물질 대비 열팽창계수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를 제공한다.
상기 중간층 및 상기 하부층의 상기 각 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층의 폴딩부의 총 두께 대비 80~1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간층 및 상기 하부층의 상기 각 비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층의 비폴딩부의 총 두께 대비 5~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은 열팽창계수가 상이한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또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베이스 필름을 열팽창계수(CTE) 상이한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을 수 있으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내열성을 가져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커버 윈도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의 베이스 필름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20)의 베이스 필름부(2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20)의 베이스 필름부(2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20)의 베이스 필름(2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의 베이스 필름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21)은 상부층(21a) 및 하부층(21a)으로 형성된 이중층을 포함한다.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21)의 각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에서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에 포함되는 물질은 물질의 열팽창계수(CTE)가 하부층(21b)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21)은 폴딩부(1)와 비폴딩부(2)를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21)의 폴딩부(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부분에 해당하며, 비폴딩부(2)는 접히지 않는 부분에 해당한다.
폴딩부(1)의 하부층(21b)의 두께는 폴딩부(1)의 상부층(21a)의 두께 대비 80~1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폴딩부(2)의 하부층(21b)의 두께는 비폴딩부(2)의 상부층(21a)의 두께 대비 5~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하부층(21b)의 비폴딩부(2)의 두께는 폴딩부(1)에 비해 작게 된다.
하부층(21b)의 폴딩부(1)의 두께는 25~165㎛ 범위일 수 있다.
하부층(21b)의 비폴딩부(2)의 두께는 2~50㎛ 범위일 수 있다.
폴딩부(1)의 하부층(21b)의 두께를 상부층(21a)의 두께 대비 80~120%의 두께로 형성하는 이유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열이 가해질 경우, 가해진 열에 의해 발생하는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열 변형 방향(디스플레이가 접히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비폴딩부(2)의 하부층(21b)의 두께를 상부층(21a) 두께 대비 5~20%의 두께로 형성하는 이유는 비폴딩부(2)는 접히는 부위가 아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열이 가해질 경우에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과 하부층(21b) 간의 열팽창계수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비폴딩부(2)에 하부층(21b)을 미형성할 경우, 폴딩부(1)는 상부층(21a)과 하부층(21b)의 이중층으로 구성되지만, 비폴딩부(2)는 상부층(21a)의 단일층으로 구성되게 되어 단일층과 이중층 간의 빛의 굴절율 차이로 인해 폴딩부(1)와 비폴딩부(2) 간의 영상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비폴딩부(2)에도 하부층(21b)은 형성되어야 한다.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을 합친 두께는 50~300㎛ 범위 내로 형성할 수 있는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플렉시블 해야하기 때문이며, 이 범위 이상의 두께로 두껍게 형성될 경우에는 플렉시블 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베이스 필름(21)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의 방향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접을 경우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21)의 바깥쪽(하부층; 21b)에서는 장력이, 안쪽(상부층; 21a)에서는 응력이 발생하여 베이스 필름(21)의 열 변형이 일어나게 되는데, 베이스 필름(21)을 접었을 때 폴딩부의 안쪽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에 열팽창계수(CTE)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하여 베이스 필름(21)에 접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하부층(21b) 방향으로 상부층(21a)의 팽창에 의해 열 변형이 일어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베이스 필름(21)의 열 변형의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베이스 필름(21)의 소재로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개시한 각 물질의 열팽창계수는 하기 표와 같다. 하기의 물질 2종을 베이스 필름(21)의 각 상, 하부층에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상부층에 열팽창계수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물질 열팽창계수( CTE )
PI 58ppm/℃
PC 70ppm/℃
PU 210 ppm/℃
PEN 20 ppm/℃
PMMA 20 ppm/℃
PET 30 ppm/℃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의 물질의 적합한 조합의 예시로는, 하부층(21b)에 폴리카보네이트 및 상부층(21a)에 폴리우레탄, 하부층(21b)에 폴리이미드 및 상부층(21a)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층(21a)에 포함되는 물질과 하부층(21b)에 포함되는 물질 간의 열팽창계수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열팽창계수가 작은 물질을 하부층(21b)에, 열팽창계수가 큰 물질을 상부층(21a)에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는 액체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 있는데,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이 두껍게 형성될 경우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한 열 변형 문제가 더욱 심화되기 때문에 고체형 접착제가 아닌 액체형 접착제를 사용한다.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은 1~10㎛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21)은 상부층(21a) 및 하부층(21a)으로 형성 된 이중층을 포함한다.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21)의 각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에서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에 포함되는 물질은 물질의 열팽창계수(CTE)가 하부층(21b)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베이스 필름(21)은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의 폴딩부(1)와 비폴딩부(2)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지 않고, 동일하거나 또는 각각 상이한 두께를 가진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팽창계수가 서로 상이한 상부층(21a)과 하부층(21b)를 포함하는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21)을 상부에는, 아크릴계 하드 코팅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팅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21) 위의 코팅층(22)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는 액체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 있는데,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이 두껍게 형성될 경우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한 열 변형 문제가 더욱 심화되기 때문에 고체형 접착제가 아닌 액체형 접착제를 사용한다.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은 1~10㎛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위에 개시한 물질 중,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우레탄(PU)를 각 상부층(21a) 및 각 하부층(21b)에 조합하여 85℃에서 접었다가 폈을 때, 변형 각도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변형 각도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평한 상태를 0도로, 디스플레이가 완전히 접힌 상태의 각도를 180도로 보고, 85℃에서 접었다가 폈을 때 지면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가 변형되어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적층구조 변형 각도
상부층 하부층
1 PU PC 80도
2 PC PU 100도
3 PC PI 115도
4 PI PC 123도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 1 및 실험예 3은 상부층(21a)에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물질을 형성시켰으며, 실험예 2 및 실험예 4는 반대로 하부층(21b)에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물질을 형성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상부층(21a)에 하부층(21b)에 대해 상대적으로 열팽창계수가 큰 물질을 형성시켰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변형 각도가 더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20)의 베이스 필름(21)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20)의 베이스 필름부(2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21)은 상부층(21a), 중간층(21c) 및 하부층(21a)으로 형성된 삼중층을 포함한다. 삼중층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21)의 각 상부층(21a), 중간층(21c) 및 하부층(21b)에서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CTE)가 중간층(21c) 및 하부층(21b)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21)의 중간층(21c)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CTE)는 하부층(21b)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보다 크지만, 상부층(21a)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보다는 작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21)은 폴딩부(1)와 비폴딩부(2)를 포함한다.
폴딩부(1)의 하부층(21b) 및 중간층(21c) 각 층의 두께는 폴딩부(1)의 상부층(21a)의 두께 대비 80~1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폴딩부(2)의 하부층(21b) 및 중간층(21c) 각 층의 두께는 비폴딩부(2)의 상부층(21a)의 두께 대비 5~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하부층(21b)의 비폴딩부(2)의 두께는 폴딩부(1)에 비해 작게 된다.
하부층(21b)의 폴딩부(1)의 두께는 25~165㎛ 범위일 수 있다.
하부층(21b)의 비폴딩부(2)의 두께는 2~50㎛ 범위일 수 있다.
폴딩부(1)의 하부층(21b) 및 중간층(21c) 각 층의 두께를 상부층(21a)의 두께 대비 80~120%의 두께로 형성하는 이유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열이 가해질 경우, 가해진 열에 의해 발생하는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 중간층(21c) 및 하부층(21b)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열 변형 방향(디스플레이가 접히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비폴딩부(2)의 하부층(21b) 및 중간층(21c) 각 층의 두께를 상부층(21a) 두께 대비 5~20%의 두께로 형성하는 이유는 비폴딩부(2)는 접히는 부위가 아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열이 가해질 경우에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 중간층(21c)과 하부층(21b) 간의 열팽창계수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비폴딩부(2)에 하부층(21b) 및 중간층(21c)을 미형성할 경우, 폴딩부(1)는 상부층(21a), 중간층(21c) 및 하부층(21b)의 삼중층으로 구성되지만, 비폴딩부(2)는 상부층(21a)의 단일층으로 구성되게 되어 단일층과 삼중층 간의 빛의 굴절율 차이로 인해 폴딩부(1)와 비폴딩부(2) 간의 영상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비폴딩부(2)에도 하부층(21b) 및 중간층(21c)은 형성되어야 한다.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 중간층(21c) 및 하부층(21b)을 합친 두께는 50~300㎛ 범위 내로 형성할 수 있는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플렉시블 해야하기 때문이며, 이 범위 이상의 두께로 두껍게 형성될 경우에는 플렉시블 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베이스 필름(21)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 중간층(21c) 및 하부층(21b)는 액체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 있는데,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이 두껍게 형성될 경우 상부층(21a), 중간층(21c) 및 하부층(21b)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한 열 변형 문제가 더욱 심화되기 때문에 고체형 접착제가 아닌 액체형 접착제를 사용한다.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은 상부층(21a)과 중간층(21c) 사이 및 중간층(21c)과 하부층(21b) 사이에 각각 1~10㎛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20)의 베이스 필름(21)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20)의 베이스 필름부(2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21)은 폴딩부(1)와 비폴딩부(2)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지 않고 서로 동일하거나 각각 상이한 두께를 가진 상부층(21a), 중간층(21c) 및 하부층(2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 중간층(21c) 및 하부층(21b)을 합친 두께는 50~300㎛ 범위 내로 형성할 수 있는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플렉시블 해야하기 때문이며, 이 범위 이상의 두께로 두껍게 형성될 경우에는 플렉시블 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베이스 필름(21)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 중간층(21c) 및 하부층(21b)는 액체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 있는데,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이 두껍게 형성될 경우 상부층(21a), 중간층(21c) 및 하부층(21b)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한 열 변형 문제가 더욱 심화되기 때문에 고체형 접착제가 아닌 액체형 접착제를 사용한다.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은 상부층(21a)과 중간층(21c) 사이 및 중간층(21c)과 하부층(21b) 사이에 각각 1~10㎛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0)의 커버 윈도우(2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0)의 커버 윈도우(20)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윈도우(20)는 베이스 필름(21) 및 베이스 필름(21) 위에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22)으로 이루어진다.
코팅층(22)은 제1 영역(D1) 및 제2 영역(D2)을 포함하고,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의 경도는 서로 상이하다.
제2 영역(D2)은 두 개의 제1 영역(D1) 사이에 위치하며, 표시 장치(100)를 구부릴 수 있는 A-A선을 포함하고 있다. 제2 영역(D2)은 제1 영역(D1)보다 잘 휘어지고, 제1 영역(D1)은 제2 영역(D2)에 비해 더 단단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A-A선을 따라 표시 장치(100)를 구부릴 때, 커버 윈도우(20)도 잘 구부릴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D1)은 단단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표시 패널(10)을 보호하는 역할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코팅층(22)의 제1 영역(D1)은 경성 부재(221)로 이루어져 있고, 제2 영역(D2)은 연성 부재(222)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1 영역(D1)의 전체가 경성 부재(221)로 이루어지고, 제2 영역(D2)의 전체가 연성 부재(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성 부재(221)는 연성 부재(222)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성 부재(221)도 구부릴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연성 부재(222)가 경성 부재(221)에 비해 더 잘 구부러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는 베이스 필름(21) 위에 서로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부분들로 이루어진 코팅층(22)을 형성함으로써, 접을 수 있으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표면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코팅층(22)의 제1 영역(D1)은 표시 패널(10)을 보호하는 역할보다는 접을 수 있는 역할에 더 중점을 둔 영역이고, 제2 영역(D2)은 접을 수 있는 역할보다는 표시 패널(10)을 보호하는 역할에 더 중점을 둔 영역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2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등을 이용하여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를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21)을 형성한다.
이 때, 베이스 필름(21)은 상부층(21a)과 하부층(21b)의 이중층을 포함하며, 이중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21)의 각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은 위에 개시된 고분자 물질들로부터 선택된 1종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CTE)는 하부층(21b)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물질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21)의 하부층(21b)에 포함되는 물질은 상부층(21a)에 포함되는 물질보다 열팽창계수가 작은 물질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조합의 예시로는, 하부층(21b)에 폴리카보네이트 및 상부층(21a)에 폴리우레탄을 사용하거나, 하부층(21b)에 폴리이미드 및 상부층(21a)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팽창계수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열팽창계수가 작은 물질을 하부층(21b)에, 열팽창계수가 큰 물질을 상부층(21a)에 사용할 수 있다.
이어, 아크릴계 하드 코팅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21) 위에 코팅층(22)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층(22) 위에 마스크(300)를 대응시키고,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코팅층(22)을 경화한다.
마스크(300)는 투과부(310) 및 반투과부(320)를 포함한다. 마스크(300)의 투과부(310)에 조사되는 자외선(UV)은 대부분 통과한다. 반면에, 마스크(300)의 반투과부(320)에 조사되는 자외선(UV)의 일부는 통과하고, 나머지 일부는 마스크(300)에 흡수된다.
마스크(300)의 투과부(310)는 코팅층(22)의 제1 영역(D1)에 대응하고, 마스크(300)의 반투과부(320)는 코팅층(22)의 제2 영역(D2)에 대응한다. 코팅층(22)의 제2 영역(D2)에 비해 제1 영역(D1)에 더 많은 양의 자외선(UV)이 조사된다. 따라서, 제1 영역(D1)이 제2 영역(D2)보다 더욱 단단하게 경화되어, 제1 영역(D1)은 경성 부재가 되고, 제2 영역(D2)은 연성 부재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는 동일한 물질을 코팅한 후 제1 영역(D1)과 제2 영역(D2)을 서로 다른 조건으로 경화하여 형성됨으로써, 코팅층(22)이 서로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영역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21)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패널 및 커버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 편광 부재(40), 복수개의 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21) 및 코팅층(22)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 상면에 편광필름(40)이 형성되어 있으며, 편광 부재(40) 상면에 복수개의 층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21)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필름(21) 상면에 코팅층(22)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이 외에 다른 표시 패널, 일례로 액정 표시 패널(LCD)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터치 패널(도시 하지 않음)을 포함하거나, 표시 패널(10) 상면에 터치 패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 부재(40)는 표시 패널(10)의 외광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 표시 패널(10)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편광 부재(40)는 표시 패널(10)의 광학적 특성 개선을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21)은 이중층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21)의 각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은 위에 개시된 물질들로부터 선택된 1종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CTE)가 하부층(21b)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21)은 폴딩부(1)와 비폴딩부(2)를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21)의 폴딩부(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부분에 해당하며, 비폴딩부(2)는 접히지 않는 부분에 해당한다.
폴딩부(1)의 하부층(21b)의 두께는 폴딩부(1)의 상부층(21a)의 두께 대비 80~1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폴딩부(2)의 하부층(21b)의 두께는 비폴딩부(2)의 상부층(21a)의 두께 대비 5~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하부층(21b)의 비폴딩부(2)의 두께는 폴딩부(1)에 비해 작게 된다.
하부층(21b)의 폴딩부(1)의 두께는 25~165㎛ 범위일 수 있다.
하부층(21b)의 비폴딩부(2)의 두께는 2~50㎛ 범위일 수 있다.
폴딩부(1)의 하부층(21b)의 두께를 상부층(21a)의 두께 대비 80~120%의 두께로 형성하는 이유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열이 가해질 경우, 가해진 열에 의해 발생하는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 및 하부층(21b)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열 변형 방향(디스플레이가 접히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비폴딩부(2)의 하부층(21b)의 두께를 상부층(21a) 두께 대비 5~20%의 두께로 형성하는 이유는 비폴딩부(2)는 접히는 부위가 아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열이 가해질 경우에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과 하부층(21b) 간의 열팽창계수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코팅층(22)은 베이스 필름(21) 위에 코팅되어 있다. 코팅층(22)은 서로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코팅층(22)은 아크릴계 하드 코팅으로 형성되거나 유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과, 표시 패널(10) 및 표시 패널(10)의 전방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2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이 외에 다른 표시 패널, 일례로 액정 표시 패널(LCD)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10)은 가요성 인쇄회로(3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표시 패널(10)의 제1 기판(13) 위에는 영상 표현의 기본 단위인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있으며, 제2 기판(14)이 실링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제1 기판(13)에 접합되어 화소들을 보호한다. 제1 기판(13)이 후면 기판이 되고, 제2 기판(14)이 전면 기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서 화소는 애노드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도시하지 않음)와,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그리고 드레인 단자에는 유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이 연결된다.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은 가요성 인쇄회로(3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50)에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50)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전기 신호가 입력되면, 박막 트랜지스터는 신호 입력에 따라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되어 화소 구동에 필요한 전기 신호를 드레인 단자로 출력한다.
집적회로 칩(26)은 제1 기판(13) 위에 실장되어 표시 패널(10)을 제어한다.
집적회로 칩(26)은 데이터 구동 신호 및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신호들을 각각 표시 패널(10)의 데이트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인가한다. 집적회로 칩(26) 주위에는 보호막(25)이 형성되어 집적회로 칩(26)을 보호한다.
인쇄회로기판(50)에는 구동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도시하지 않음)이 실장된다. 인쇄회로기판(50)은 커넥터(51)와 연장부(52)를 포함하며, 연장부(52)는 커넥터(51)의 일단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를 인쇄회로기판(50)으로 전송한다.
표시 패널(10)의 전방에는 표시 패널(10)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20)가 위치한다. 커버 윈도우(20)는 표시 패널(10)이 외부 충격에 의해 깨지지 않도록 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커버 윈도우(20)는 소정의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표시 패널(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 패널(10)과 커버 윈도우(20)가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 윈도우(20)는 베이스 필름(21) 및 베이스 필름(21) 위에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22)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21)은 표시 패널(10)의 표시부(11)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부(11)가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투명부(211), 및 표시 패널(10)의 비표시부(12)에 대응되는 영역에 비표시부(12)가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투명하게 형성된 불투명부(212)를 포함한다. 불투명부(212)는 표시 패널(10)의 비표시부(12)에 형성된 배선이나 부품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역할을 한다. 불투명부(212)에는 제품의 로고나 장식용 문양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베이스 필름(21)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필름(21)은 2층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21)을 일례로 들면,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21)의 각 상부층 및 하부층은 위에 물질들로부터 선택된 1종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CTE)가 하부층에 포함되는 물질의 열팽창계수보다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21a)의 방향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접을 경우에 있어서, 베이스 필름(21)의 바깥쪽(하부층)에서는 장력이, 안쪽(상부층)에서는 응력이 발생하여 베이스 필름(21)의 열 변형이 일어나게 되는데, 베이스 필름(21)을 접었을 때 폴딩부의 안쪽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21)의 상부층에 열팽창계수(CTE)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하여 베이스 필름(21)에 접히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하부층 방향으로 상부층의 팽창에 의해 열 변형이 일어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베이스 필름(21)의 열 변형의 정도를 상쇄시키기 위함이다.
코팅층(22)은 베이스 필름(21) 위에 코팅되어 있다. 코팅층(22)은 서로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코팅층(22)은 아크릴계 하드 코팅으로 형성되거나 유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0)는 구부릴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A-A 선을 따라 표시 장치(100)를 구부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 윈도우(20)도 A-A 선을 따라 구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20)에 포함되는 베이스 필름(21)은 이중층 및 삼중층에 대한 예시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중층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베이스 필름을 열팽창계수(CTE) 상이한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을 수 있으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내열성을 가져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커버 윈도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D1: 제1 영역 D2: 제2 영역
10: 표시 패널 20: 커버 윈도우
21: 베이스 필름 22: 코팅층
30: 가요성 인쇄회로 40: 편광 부재
50: 인쇄 회로 기판 221: 경성 부재
222: 연성 부재 300: 마스크
310: 투과부 320: 반투과부

Claims (19)

  1.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접힐 수 있는 폴딩부와 접히지 않는 비폴딩부로 이루어진 열팽창계수가 상이한 복수개의 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2.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부층과 하부층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층에 상기 하부층에 포함되는 물질 대비 열팽창계수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3. 제2항에서,
    상기 하부층의 상기 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층의 폴딩부의 총 두께 대비 80~120%의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4. 제3항에서,
    상기 하부층의 상기 비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층 비폴딩부의 총 두께 대비 5~20%의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5. 제2항에서,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로 이루어진 물질로부터 선택된 각각 상이한 1종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6. 제2항에서,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은 액체형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7. 제6항에서,
    상기 접착제의 두께는 1~10㎛ 범위인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8.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부층, 중간층 및 하부층의 삼중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층에 상기 중간층에 포함되는 물질 대비 열팽창계수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에 상기 하부층에 포함되는 물질 대비 열팽창계수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9. 제8항에서,
    상기 중간층 및 상기 하부층의 상기 각 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층의 폴딩부의 총 두께 대비 80~120%의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10. 제9항에서,
    상기 중간층 및 상기 하부층의 상기 각 비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상부층의 비폴딩부의 총 두께 대비 5~20%의 두께를 가지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11. 제8항에서,
    상기 상부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하부층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로 이루어진 물질로부터 선택된 각각 상이한 1종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12. 제8항에서,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은 액체형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13. 제12항에서,
    상기 접착제의 두께는 1~10㎛ 범위인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14.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은 열팽창계수가 상이한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접힐 수 있는 폴딩부와 접히지 않는 비폴딩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부층과 하부층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층에 상기 하부층에 포함되는 물질 대비 열팽창계수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5항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부층, 중간층 및 하부층의 삼중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층에 상기 중간층에 포함되는 물질 대비 열팽창계수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에 상기 하부층에 포함되는 물질 대비 열팽창계수가 더 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5항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각 층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및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로 이루어진 물질로부터 선택된 각각 상이한 1종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5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또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인 표시 장치.
KR1020130113512A 2013-09-24 2013-09-24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06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512A KR102206376B1 (ko) 2013-09-24 2013-09-24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4/332,833 US10003044B2 (en) 2013-09-24 2014-07-16 Cover window for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512A KR102206376B1 (ko) 2013-09-24 2013-09-24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461A true KR20150033461A (ko) 2015-04-01
KR102206376B1 KR102206376B1 (ko) 2021-01-22

Family

ID=5269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512A KR102206376B1 (ko) 2013-09-24 2013-09-24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03044B2 (ko)
KR (1) KR10220637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033A (ko) * 2016-05-30 2017-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KR20180024100A (ko) * 2016-08-26 2018-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470319B2 (en) 2016-06-24 2019-11-05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an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030663A (ko) * 2018-09-12 2020-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2053636A (zh) * 2016-09-30 2020-12-08 乐金显示有限公司 覆盖窗和使用该覆盖窗的显示装置
US11243569B2 (en) 2019-02-12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20068206A (ko) * 2017-06-13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838A (ko) * 2013-10-31 2015-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복합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366421B1 (ko) * 2015-07-29 2022-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용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91754B1 (ko) * 2016-09-09 2023-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884457B2 (en) * 2016-09-14 2021-01-05 Motorola Mobility Llc Foldable display and method for making a foldable display
US10522782B2 (en) * 2016-10-27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window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53753B1 (ko) * 2016-11-16 2024-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8790342A (zh) * 2018-06-08 2018-11-13 深圳市精品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镜片及其生产工艺
US11147169B2 (en) * 2019-11-04 2021-10-12 Sharp Kabushiki Kaisha Impact absorbing element for display device
CN117496827A (zh) * 2019-11-22 2024-02-0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弯折式电子装置
CN111063259A (zh) * 2019-12-17 2020-04-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4666428B (zh) * 2020-12-22 2023-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模组及应用其的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786A (ko) * 2009-12-04 201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210937A1 (en) * 2010-02-26 2011-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touch screen display apparatus
US20120172477A1 (en) * 2010-12-31 2012-07-05 Chi-Yu Huang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685B1 (ko) * 2009-02-12 2015-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5594522B2 (ja) 2009-07-03 2014-09-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製造用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WO2011036605A1 (en) 2009-09-22 2011-03-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lass package for sealing a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glass package
KR20110068060A (ko) 2009-12-15 2011-06-22 주식회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복층구조 윈도우 스크린
KR101713277B1 (ko) * 2010-08-13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 방지 필름 및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을 채용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4529B1 (ko) 2011-06-08 2018-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1421B1 (ko) 2011-06-30 2018-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용 윈도우 및 보호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15230A (ko) 2011-08-02 201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8726A (ko) 2011-10-10 2013-04-18 제일모직주식회사 플렉시블 기판
KR20130046758A (ko) 2011-10-28 2013-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보호용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039496B1 (ko) * 2013-08-19 2019-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786A (ko) * 2009-12-04 201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210937A1 (en) * 2010-02-26 2011-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touch screen display apparatus
US20120172477A1 (en) * 2010-12-31 2012-07-05 Chi-Yu Huang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033A (ko) * 2016-05-30 2017-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US10470319B2 (en) 2016-06-24 2019-11-05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an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80024100A (ko) * 2016-08-26 2018-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053636A (zh) * 2016-09-30 2020-12-08 乐金显示有限公司 覆盖窗和使用该覆盖窗的显示装置
CN112053636B (zh) * 2016-09-30 2022-10-21 乐金显示有限公司 覆盖窗和使用该覆盖窗的显示装置
KR20220068206A (ko) * 2017-06-13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30663A (ko) * 2018-09-12 2020-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243569B2 (en) 2019-02-12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86763A1 (en) 2015-03-26
US10003044B2 (en) 2018-06-19
KR102206376B1 (ko) 202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3461A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84110B1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US11526042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551050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1341806B (zh) 显示装置
CN107437590B (zh) 显示装置
KR10239139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80083025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02114A (ko) 표시 장치
US20140307378A1 (en) Flexible device
KR102405117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35434B1 (ko) 윈도우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50006932A (ko) 표시 장치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10259881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2012021279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00052621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53691A (ko) 표시 장치
KR101810049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17216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2020086451A (ja) 表示装置
US11968854B2 (en) Folding display device including detachable protective film
KR20160000564A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20150087655A (ko)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86514A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20210018625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