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576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576A
KR20200002576A KR1020180169924A KR20180169924A KR20200002576A KR 20200002576 A KR20200002576 A KR 20200002576A KR 1020180169924 A KR1020180169924 A KR 1020180169924A KR 20180169924 A KR20180169924 A KR 20180169924A KR 20200002576 A KR20200002576 A KR 20200002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ubstrate
flexible
rear surface
glass substrate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한
박성우
김세준
이준석
이샘이누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54,443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60517B2/en
Priority to CN201910572320.7A priority patent/CN110660323A/zh
Publication of KR20200002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02F2001/133331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본 출원은 신뢰성이 향상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 영역과 복수의 표시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갖는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플렉서블 기판의 복수의 표시 영역과 벤딩 영역에 마련된 표시부, 표시부를 덮는 커버 필름,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및 벤딩 영역을 지지하는 신축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지지부와 신축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지지부와 신축부의 경계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는 형태를 가지거나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와치 폰(watch phone),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네비게이션, 차량 제어 디스플레이 기기, 텔레비전, 노트북, 및 모니터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의 표시 화면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박형화가 가능하므로, 이들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연성 있는 플렉서블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배선 등을 형성한 것으로, 종이처럼 휘어져도 영상의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휘어지거나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점을 이용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큰 화면의 표시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고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캐리어 글라스 상에 플렉서블 기판을 형성한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공정을 완료한 다음, 레이저를 이용한 릴리즈 공정을 통해 플렉서블 기판에서 캐리어 글라스를 탈착(또는 분리)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고가의 레이저 장비의 사용으로 인해 제조 단가가 증가하고, 레이저 릴리즈 관련 불량(이물 또는 플렉서블 기판의 표면 거칠기에 따른 전사)이 발생되는 점을 인식하였으며,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에 배면 보호 필름(또는 백 플레이트)을 부착함에 따라 배면 보호 필름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영역에 가해지는 벤딩 스트레스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였고, 레이저 릴리즈 공정 없이 제조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명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은 신뢰성이 향상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 영역과 복수의 표시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갖는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플렉서블 기판의 복수의 표시 영역과 벤딩 영역에 마련된 표시부, 표시부를 덮는 커버 필름,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및 벤딩 영역을 지지하는 신축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지지부와 신축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지지부와 신축부의 경계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는 형태를 가지거나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 영역과 복수의 표시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갖는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플렉서블 기판의 복수의 표시 영역과 벤딩 영역 상에 마련된 표시부, 표시부를 덮는 커버 필름, 및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에 결합되고 벤딩 영역과 중첩되는 오픈부를 갖는 글라스 기판을 포함하며, 오픈부는 곡면 형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이저 릴리즈 공정 없이도 제조될 수 있고, 수분 또는 산소에 대한 신뢰성과 벤딩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너 벤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우터 벤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오픈부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충진제 및 벤딩 영역의 벤딩 스트레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충진제의 다양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너 와인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웃 와인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글라스 식각 조건에 따른 오픈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선 III-III'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패턴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선 IV-IV'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선 V-V'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실험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오버 식각 조건에 기반으로 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한 오픈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패널 구동 회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표시 영역(DA) 및 복수의 표시 영역(DA) 사이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벤딩 영역(BA)의 벤딩에 따라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접힐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표시 영역(DA1), 제 2 표시 영역(DA2), 및 하나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 방향(X)을 기준으로, 제 1 표시 영역(DA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또는 좌측 영역)에 배치되고, 제 2 표시 영역(DA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측(또는 우측 영역)에 배치되며, 하나의 벤딩 영역(BA)은 제 1 표시 영역(DA1)과 제 2 표시 영역(D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영역(BA)의 폭은 곡면 형태로 접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곡률반경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영역(BA)은 한 프레임의 영상을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DA1, DA2)과 함께 한 화면에 표시하는 하는 것으로, 벤딩 표시 영역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글라스 기판(110), 플렉서블 기판(130), 표시부(150), 및 커버 필름(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기판(110)(또는 지지 부재)은 글라스 재질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글라스 기판(110)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평탄도를 유지시키거나 수분 또는 산소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0.01~1.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글라스 기판(110)은 수분 또는 산소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플렉서블 기판(130)과 함께 휘어질 수 있도록 0.01~0.7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기판(110)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과 결합되고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오픈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예에 따른 글라스 기판(110)은 복수의 지지부(111, 113) 및 오픈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111, 113) 각각은 복수의 표시 영역(DA1, DA2) 각각과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을 지지하고, 오픈부(OP)를 향하는 곡면 형태의 경사면(IP)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지지부(111, 113) 각각은 복수의 표시 영역(DA1, DA2) 각각의 평탄도를 유지시키며, 그 두께에 따라 복수의 표시 영역(DA1, DA2) 각각과 함께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오픈부(OP)는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지지부(111, 113)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오픈부(OP)는 벤딩 영역(BA)이 원활하게 벤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오픈부(OP)는 벤딩 영역(BA)의 벤딩시 벤딩 영역(BA)에 가해지는 압축 스트레스 및 인장 스트레스를 포함하는 벤딩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일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수행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평판 형태의 글라스 기판(110)로부터 식각(또는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오픈부(OP)는 곡면 형태의 경사면(IP)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글라스 식각 공정은 불산(HF; Hydrofluoric acid)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오픈부(OP)는 글라스 식각 공정이 아닌 레이저 패터닝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이 경우, 고가의 레이터 장비를 이용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질적으로 수직한 절단면을 포함하므로, 절단면에 대한 그라인딩 공정 및 레이저 패터닝 공정과 그라인딩 공정시 발생된 글라스 칩(또는 파편)의 제거를 위한 세정 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글라스 식각 공정에 따른 오픈부(OP)는 식각 공정 조건에 따라 곡면 형태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그라인딩 공정과 세정 공정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30)은 벤딩 영역(BA)이 곡면 형태로 벤딩될 수 있도록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130)은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MP(polymethylpentene), PMMA(polymethylmethacrylate), PNB(polynorborneen), PEN(polyethylenapthanate), PES(polyethersulfone), 및 COS(cyclo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투명 또는 유색 PI(polyimid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130)은 오픈부(OP)가 형성되지 않는 평판 형태의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前面)에 일정 두께로 코팅된 플라스틱 물질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글라스 기판(110)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결합(또는 접촉)된다. 다시 말하여, 플렉서블 기판(130)은 접착층 등과 같은 중간층 없이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前面)과 직접(또는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본 출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도 글라스 기판(110)의 지지부(111, 113)들을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남김으로써 글라스 기판(110) 전체를 플렉서블 기판(130)으로부터 분리하는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출원은 고가의 레이저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고, 레이저 릴리즈 공정에 따라 불량(이물 또는 플렉서블 기판의 표면 거칠기에 따른 전사)이 발생되지 않으며, 플렉서블 기판(130)의 배면에 부착되는 배면 보호 필름을 생략할 수 있어 플렉서블 기판(130)의 벤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플렉서블 기판(130) 상에 정의된 복수의 표시 영역(DA)과 벤딩 영역(BA) 상에 마련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화소 어레이부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표시부(150)는 화소 어레이층(151) 및 봉지층(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어레이층(151)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복수의 표시 영역(DA)과 벤딩 영역(BA) 상에 마련된 화소 구동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마련되어 화소 구동 라인들에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소 구동 라인들은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 및 화소 구동 전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화소 회로층, 애노드 전극층, 자발광 소자층, 및 캐소드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회로층은 각 화소 영역의 트랜지스터 영역에 마련되어 인접한 화소 구동 라인들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자발광 소자층의 발광을 제어한다. 일 예에 따른 화소 회로층은 플렉서블 기판(130) 상에 정의된 각 화소 영역의 트랜지스터 영역에 마련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 회로층은 a-Si TFT, poly-Si TFT, Oxide TFT, 및 Organic TFT 중 적어도 하나의 TF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소 회로층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플렉서블 기판(130) 상에 형성된 오버코트층에 의해 덮인다.
상기 애노드 전극층은 각 화소 영역에 정의된 개구 영역과 중첩되는 오버코트층 상에 마련되고, 오버코트층에 형성된 전극 컨택홀을 통해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전기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각 화소 영역의 개구 영역은 애노드 전극층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오버코트층 상에 형성된 뱅크 패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자발광 소자층은 각 화소의 개구 영역에 마련된 애노드 전극층 상에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른 자발광 소자층은 유기 발광 소자, 양자점 발광 소자, 또는 무기 발광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발광 소자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은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유기 발광층은 화소 별로 동일한 색, 예로서 백색 광을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화소별로 상이한 색, 예로서,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광을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캐소드 전극층은 각 화소 영역에 마련된 자발광 소자층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도록 플렉서블 기판(130) 상에 형성된다.
상기 봉지층(encapsulation layer)(153)은 화소 어레이층(151)을 둘러싸도록 플렉서블 기판(130) 상에 형성된다. 봉지층(153)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화소 어레이층(151) 등을 보호하고, 산소 또는/및 수분 나아가 이물들(particles)이 자발광 소자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봉지층(153)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봉지층(153)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153)은 제 1 무기 봉지층, 유기 봉지층, 및 제 2 무기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무기 봉지층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질화막(SiON), 티타늄 산화막(TiOx), 및 알루미늄 산화막(AlOx) 중 어느 하나의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 봉지층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 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 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 수지(benzocyclobutene resin) 중 어느 하나의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봉지층은 이물질 커버층(particle cover layer)으로 표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플렉서블 기판(130)은 패드부 및 게이트 구동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는 플렉서블 기판(130)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패드 전극을 포함한다. 복수의 패드 전극 각각은 복수의 링크 라인 각각을 통해서 표시부(150)에 마련된 화소 구동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게이트 구동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패드부는 패널 구동 회로부(200)와 연결되어 패널 구동 회로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복수의 링크 라인을 통해 표시부(150)에 마련된 화소 구동 라인들과 게이트 구동 회로부에 공급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부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각각의 일단 및/또는 타단과 연결되도록 플렉서블 기판(130)의 좌측 및/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부는 패드부를 통해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이트 신호를 복수의 게이트 라인 각각에 공급한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회로부는 각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과 함께 형성되는 게이트 내장 회로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 필름(170)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얇고 투명한 플렉서블 필름을 포함한다. 커버 필름(170)는 플렉서블 기판(130) 상에 마련된 패드부를 제외한 표시부(150)를 덮도록 봉지층(153) 상에 부착된다. 커버 필름(170)은 광학 접착 부재를 매개로 봉지층(153)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필름(17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부(150) 등을 보호한다.
부가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배리어층, 터치 센서층, 및 편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은 봉지층(153)의 상면에 마련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배리어층은 수분 투습도가 낮은 재질, 예를 들어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층은 배리어층과 봉지층(153) 사이에 마련되거나 배리어층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은 사용자 터치에 따라 발생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상호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자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또는 터치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층은 터치 센서층 또는 배리어층 상에 마련되어 표시부(150)의 각 화소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키거나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편광층은 화소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을 원편광 상태로 변경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일 예에 따른 편광층은 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편광층은 원편광자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고 접착제를 매개로 터치 센서층 또는 배리어층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파장 변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장 변환층을 포함하는 경우, 자발광 소자층은 백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장 변환층은 봉지층(153)과 커버 필름(170) 사이에 배치되어 각 화소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파장을 변환한다. 예를 들어, 파장 변환층은 각 화소의 개구 영역과 중첩되도록 봉지층(153)의 내부, 봉지층(153)과 배리어층 사이, 봉지층(153)과 편광층 사이, 배리어층과 편광층 사이, 또는 배리어층(또는 편광층)과 커버 필름(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파장 변환층은 자발광 소자층으로부터 커버 필름(170) 쪽으로 방출되는 광 중 화소에 설정된 색상의 파장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파장 변환층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파장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에서, 하나의 단위 화소는 인접한 제 1 내지 제 3 화소로 구성될 경우, 제 1 화소에 마련된 파장 변환층은 적색 컬러필터, 제 2 화소에 마련된 파장 변환층은 녹색 컬러필터, 및 제 3 화소에 마련된 파장 변환층은 청색 컬러필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에서, 하나의 단위 화소는 파장 변환층이 형성되지 않는 백색 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파장 변환층은 자발광 소자층으로부터 커버 필름(170) 쪽으로 방출되는 광에 따라 재발광하여 화소에 설정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크기를 갖는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자점은 CdS, CdSe, CdTe, CdZnSeS, ZnS, ZnSe, GaAs, GaP, GaAs-P, Ga-Sb, InAs, InP, InSb, AlAs, AlP, 또는 AlSb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화소의 파장 변환층은 CdSe 또는 InP의 양자점, 상기 제 2 화소의 파장 변환층은 CdZnSeS의 양자점, 및 상기 제 3 화소의 파장 변환층은 ZnSe의 양자점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장 변환층(150)이 양자점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는 높은 색재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른 파장 변환층은 양자점을 함유하는 컬러필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봉지층(153)은 화소 어레이층(151)을 둘러싸는 페이스 실(face seal)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버 필름(170)은 페이스 실을 매개로 하여 화소 어레이층(15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 회로(200)는 플렉서블 기판(130)에 마련된 패드부에 연결되어 표시부(15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패드부에 공급한다. 일 예에 따른 패널 구동 회로(200)는 플렉서블 회로 필름(210) 및 구동 집적 회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회로 필름(210)은 필름 부착 공정을 통해 플렉서블 기판(130)의 패드부에 부착된다.
상기 구동 집적 회로(230)는 칩 본딩 공정 또는 표면 실장 공정에 의해 플렉서블 회로 필름(210)에 실장된다. 구동 집적 회로(230)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동기 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신호와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패드부를 통해 각 화소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며 게이트 구동 회로부에 게이트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집적 회로(230)는 플렉서블 회로 필름(210)에 실장되지 않고, 플렉서블 기판(130)의 실장되어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표시부(150)에 마련된 화소 구동 신호 라인과 게이트 구동 회로부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회로 필름(210)은 패드부와 디스플레이 구동 시스템 간의 신호 전송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기판(130) 상에 형성된 역다중화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 회로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구동 집적 회로(230) 사이에 형성되어 구동 집적 회로(230)의 출력 채널 각각을 통해 시분할로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2개 이상의 데이터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역다중화 회로를 포함하는 경우,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구동 집적 회로의 출력 채널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충진제(190)(또는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19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글라스 기판(110)에 마련된 오픈부(OP)에 충진(또는 매립)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190)는 수분 또는 산소가 오픈부(OP)를 통해 플렉서블 기판(130)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충진제(19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반복적인 벤딩(또는 폴딩)시, 오픈부(OP)에 인접한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간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190)가 충진된 오픈부(OP)는 글라스 기판(110)의 신축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글라스 기판(110)은 복수의 지지부, 및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연결된 신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들과 신축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지지부들과 신축부의 경계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또는 사면)지는 형태를 가지거나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충진제(19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오픈부(OP)에 형성되기 때문에 충진제(190)의 폭과 두께에 따른 형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의 벤딩(또는 폴딩)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에 가해지는 압축 스트레스와 인장 스트레스에 따른 중립면의 위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충진제(190)는 액상 레진, 예를 들어 유기 레진이 제팅 공정(jetting process) 또는 디스펜싱 공정(dispensing process)을 통해 오픈부(OP)에 충진(또는 매립)된 후, 광 경화 공정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190)는 액상 레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오픈부(OP)에 인접한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의 틈새까지 충진(또는 침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진제(190)는 접착 특성을 가지면서 방습 특성을 갖는 물질로 포함할 수 있으며, 자외선(UV)에 의해 경화되는 광학성 접착제(Optical Bon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제(190)는 아크릴(Acryl) 계열 또는 실리콘(Silicon) 계열의 유기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충진제(190)는 600% 이상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액상 레진으로 이루어진 충진제(190) 대신에 접착제를 매개로 하는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해 플렉서블 필름을 오픈부(OP)에 부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렉서블 필름의 라미네이팅 공정은 정밀한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 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오픈부(OP)에 부착된 플렉서블 필름과 글라스 기판(110) 사이에 공극(void)이 발생되고, 이러한 공극을 통해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오픈부(OP)를 갖는 글라스 기판(110)을 포함함으로써 글라스 기판(110)에 의해 수분 또는 산소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오픈부(OP)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에 가해지는 벤딩 스트레스가 감소하여 벤딩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에 충진된 충진제(190)를 더 포함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신뢰성 저하가 방지되거나 최소화되면서도 수분 또는 산소에 대한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레이저 릴리즈 공정 없이도 제조될 수 있고, 수분 또는 산소에 대한 신뢰성과 벤딩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글라스 기판(110) 전체를 플렉서블 기판(130)으로부터 분리하는 레이저 릴리즈 공정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에 부착되는 배면 보호 필름 및 배면 보호 필름의 부착 공정이 생략되어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너 벤딩(inner bending)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플렉서블 기판(130)은 복수의 표시 영역(DA1, DA2)이 서로 마주하는 이너 벤딩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즉, 평면 상태로 펼쳐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벤딩 영역(BA)의 벤딩에 따라 복수의 표시 영역(DA1, DA2)이 서로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글라스 기판(110)은 접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최외곽부에 배치되고, 이로 인하여 표시부(150)(또는 화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표시부(150)는 글라스 기판(110) 등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우터 벤딩(outer bending)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플렉서블 기판(130)은 글라스 기판(110)의 각 지지부(111, 113)가 서로 마주하는 아우터 벤딩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즉, 평면 상태로 펼쳐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벤딩 영역(BA)의 벤딩에 따라 글라스 기판(110)의 복수의 지지부(111)가 서로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필름(170)은 접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최외곽부에 배치되고, 이로 인하여 표시부(150)(또는 화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접힌 상태에서도 표시부(150)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오픈부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 1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소프트(soft) 식각 조건에 따른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 식각 조건은 일정한 두께의 글라스를 식각하기 위하여 설정된 기준 식각 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글라스 식각 공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 1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나머지 표시 영역(DA1, DA2)과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110a)에 마스크 패턴(MP)을 형성한 후, 소프트 식각 조건을 기반으로 마스크 패턴(MP)을 마스크로 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벤딩 영역(BA)에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의 영역이 비스듬한 형태로 식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갖는 경사면(IP)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과 나란한 오픈부(OP)의 단면적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예에 따른 오픈부(OP)의 단면적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과 나란한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는 절단한 수평 절단면의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픈부(OP)의 경사면(IP)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 사이의 제 1 각도(θ1)는 예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5도 미만일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경사면(IP)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므로, 제 1 각도(θ1)는 도 5a에 도시된 오픈부(OP)의 경사면(IP)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 사이의 각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 1 예에 따른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소프트 식각 조건을 기반으로 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테일부(TP)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일부(TP)는 식각 공정 시간이 기준 식각 시간 미만으로 진행됨에 따라 벤딩 영역(BA)과 표시 영역(DA) 사이의 경계부(BP)에 접한 글라스 기판(110)의 일부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벤딩 영역(BA)과 표시 영역(DA) 사이의 경계부(BP)로부터 벤딩 영역(BA)의 중심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되는 미식각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픈부(OP)의 경사면(IP)에 형성되는 테일부(TP)는 벤딩 영역(BA)의 벤딩시, 경사면(IP)으로부터 깨짐으로써 이물 불량을 유발시키거나 플렉서블 기판(130)의 스크래치 또는 크랙을 유발시킨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 2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저스트(just) 식각 조건에 따른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스트 식각 조건은 일정한 두께의 글라스를 식각하기 위하여 설정된 기준 식각 시간 동안 수행되는 글라스 식각 공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 2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나머지 표시 영역(DA1, DA2)과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110a)에 마스크 패턴(MP)을 형성한 후, 저스트 식각 조건을 기반으로 마스크 패턴(MP)을 마스크로 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벤딩 영역(BA)에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의 영역이 오목한 단면 형태로 식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갖는 경사면(IP)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과 나란한 오픈부(OP)의 단면적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픈부(OP)의 경사면(IP)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 사이의 제 2 각도(θ2)는 예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5~70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예에 따른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저스트 식각 조건을 기반으로 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벤딩 영역(BA)과 표시 영역(DA) 사이의 경계부(BP)과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에 위치한 일단(IPa)과 경계부(BP)에 인접한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110a)에 위치한 타단(IPb) 사이에 오목한 곡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예에 따른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저스트 식각 조건을 기반으로 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도 5a에 도시된 테일부(TP)를 포함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예에 따른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으로부터 예각, 즉 15~70도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이너 벤딩 구조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예에 따른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이 이너 벤딩 구조로 벤딩될 때, 벤딩 영역(BA)에 의해 감싸이지 않기 때문에 이너 벤딩 구조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BA)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벤딩 스트레스(또는 작은 압력)를 받을 수 있다. 반면에, 제 2 예에 따른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이 아우터 벤딩 구조로 벤딩될 때, 벤딩 영역(BA)에 의해 감싸이기 때문에 아우터 벤딩 구조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BA)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벤딩 스트레스(또는 높은 압력)를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픈부(OP)의 경사면(IP) 중 벤딩 영역(BA)에 인접하면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일단(IPa)은 벤딩 영역(BA)이 이너 벤딩 구조로 벤딩될 때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벤딩 스트레스를 받아 깨지거나 손상되지 않지만, 벤딩 영역(BA)이 아우터 벤딩 구조로 벤딩될 때에는 상대적으로 큰 벤딩 스트레스를 받아 깨지거나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이너 벤딩 구조로 접히거나 벤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c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 3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오버(over) 식각 조건에 따른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버 식각 조건은 일정한 두께의 글라스를 식각하기 위하여 설정된 기준 식각 시간을 초과하는 수행되는 글라스 식각 공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 3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나머지 표시 영역(DA1, DA2)과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110a)에 마스크 패턴(MP)을 형성한 후, 오버 식각 조건을 기반으로 마스크 패턴(MP)을 마스크로 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벤딩 영역(BA)에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의 영역이 볼록한 단면 형태로 식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3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또는 사면)지는 형태를 가지거나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갖는 경사면(IP)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과 나란한 오픈부(OP)의 단면적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픈부(OP)의 경사면(IP)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 사이의 제 3 각도(θ3)는 둔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5~145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과 경사면(IP) 사이의 언더컷(U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언더컷(UC)은 식각 공정 시간이 기준 식각 시간을 초과하여 진행됨에 따라 벤딩 영역(BA)과 표시 영역(DA) 사이의 경계부(BP)에 접한 글라스 기판(110)의 일부가 과식각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3 예에 따른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오버 식각 조건을 기반으로 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벤딩 영역(BA)과 표시 영역(DA) 사이의 경계부(BP)과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에 위치한 일단(IPa)과 벤딩 영역(BA) 상의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110a)에 위치한 타단(IPb) 사이에서 오픈부(OP)의 중심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태를 가지거나 오목한 곡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예에 따른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으로부터 둔각, 즉 105~145도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이너 벤딩 구조 또는 아우터 벤딩 구조 모두에 적용될 수 있지만, 아우터 벤딩 구조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예에 따른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이 이너 벤딩 구조로 벤딩될 때, 벤딩 영역(BA)에 의해 감싸이지 않기 때문에 이너 벤딩 구조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BA)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벤딩 스트레스(또는 작은 압력)를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이너 벤딩 구조로 접히거나 벤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예에 따른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이 아우터 벤딩 구조로 벤딩될 때, 벤딩 영역(BA)에 의해 감싸이기 때문에 벤딩 영역(BA)의 아우터 벤딩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경사지거나 오목한 형태를 가지므로, 벤딩 영역(BA)이 아우터 벤딩 구조로 벤딩되더라도 상대적으로 적은 벤딩 스트레스를 받아 깨지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3 예에 따른 오픈부(OP)는 아우터 벤딩 구조로 접히거나 벤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벤딩 영역(BA)의 아우터 벤딩을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너 벤딩 구조보다는 아우터 벤딩 구조로 접히거나 벤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충진제 및 벤딩 영역의 벤딩 스트레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에 충진된 충진제(190)의 두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시 벤딩 영역(BA) 상의 표시부(150)에 중립면(neutral plane)(NP)이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이 이너 벤딩 구조(또는 아우터 벤딩 구조)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곡률 반경으로 벤딩될 경우, 플렉서블 기판(130), 표시부(150), 커버 필름(170) 및 충진제(190) 각각의 탄성 계수, 두께, 곡률, 푸아송비(Poisson's ratio) 등의 기계적인 물성치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에는 압축 스트레스(또는 스트레인)(CS)와 인장 스트레스(TS)가 가해지게 된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에는 압축 스트레스(CS)와 인장 스트레스(TS)가 0(zero)이 되는 중립면(NP)이 존재하며, 이러한 중립면(NP)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큰 압축 스트레스(CS)와 인장 스트레스(TS)가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충진제(190)의 두께는 표시부(150)의 화소 회로층이 상기 중립면(NP)에 위치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되고, 이로 인하여 표시부(150)의 화소 회로층은 중립면(NP)에 위치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과 충진제(190)가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벤딩되더라도 0(zero)의 벤딩 스트레스를 받게 되므로 벤딩 스트레스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벤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충진제의 다양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제 1 예에 따른 충진제(190)는 오목한 단면 형태를 가지도록 오픈부에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충진제(190)는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충진제(190)의 후면(190a)은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110a)과 벤딩 영역(BA)의 중심부 사이에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진제(190)는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110a)으로부터 벤딩 영역(BA)의 중심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 2 예에 따른 충진제(190)는 오목하게 마련된 홈부(190b)를 포함하도록 오픈부에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충진제(190)의 홈부(190b)는 벤딩 영역(BA)의 중심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충진제(190)의 홈부(190b)는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110a)으로부터 벤딩 영역(BA)의 중심부 쪽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진제(190)는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110a)으로부터 벤딩 영역(BA)의 중심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제(190)의 홈부(190b)는 V자 또는 W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예에 따른 충진제(190)는 벤딩 영역(BA)의 중심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얇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벤딩 영역(BA)의 벤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이 아우터 벤딩 구조로 벤딩될 때,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에서의 뭉침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뭉침 현상에 따른 벤딩 영역(BA)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c를 참조하면, 제 3 예에 따른 충진제(190)는 볼록한 단면 형태를 가지도록 오픈부 전체에 완전히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충진제(190)는 벤딩 영역(BA)의 중심부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충진제(190)의 후면(190c)은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110a)과 벤딩 영역(BA)의 중심부 사이에 볼록한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진제(190)는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110a)으로부터 벤딩 영역(BA)의 중심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3 예에 따른 충진제(19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또는 완충)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에 대한 신뢰성과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7c에 도시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글라스 기판에 2개 이상의 오픈부를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오픈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복수의 표시 영역(DA)과 복수의 표시 영역(DA) 사이에 배치된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표시 영역(DA) 각각의 폭과 벤딩 영역(BA) 각각의 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나선 형태로 감기는 곡률 반경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에서, 글라스 기판(110)은 복수의 벤딩 영역(BA) 각각과 중첩되는 복수의 오픈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픈부(OP)는 일정한 간격(D)을 가지도록 글라스 기판(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오픈부(OP) 각각은 곡면 형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오픈부(OP)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예에 따른 글라스 기판(110)은 오픈부(OP)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지지부는 복수의 표시 영역(DA) 각각과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130)을 평면 상태로 지지한다. 이 경우, 플렉서블 기판(130)은 복수의 벤딩 영역(BA) 각각의 벤딩에 의해 나선 형태로 감길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표시 영역(DA) 각각은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복수의 지지부는 복수의 표시 영역(DA) 각각과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130)을 지지하면서 플렉서블 기판(130)의 벤딩과 함께 벤딩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기판(130)은 복수의 표시 영역(DA) 각각과 복수의 벤딩 영역(BA) 각각의 벤딩에 의해 나선 형태로 감길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지지부, 즉 글라스 기판(110)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벤딩과 함께 벤딩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식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 기판(110)은 수분 또는 산소가 플렉서블 기판(130)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플렉서블 기판(130)과 함께 휘어질 수 있도록 0.01~1.0mm의 두께를 가지도록 식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복수의 오픈부(OP)에 충진(또는 매립)된 충진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19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이너 벤딩 구조에 따른 이너 와인딩 구조에 따라 나선 형태로 감거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아우터 벤딩 구조에 따른 아웃 와인딩 구조에 따라 나선 형태로 감길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글라스 식각 조건에 따른 오픈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으로서, 도 10a는 소프트 식각 조건에 따른 오픈부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 10b는 저스트 식각 조건에 따른 오픈부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 10c는 제 1 예에 따른 오버 식각 조건에 따른 오픈부의 형상을 나타내며, 도 10d는 제 2 예에 따른 오버 식각 조건에 따른 오픈부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10a에서 알 수 있듯이, 글라스 기판(110)에 대해 소프트 식각 조건에 따른 글라스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오픈부(OP)를 형성한 결과, 오픈부(OP)의 경사면(IP)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 사이의 각도는 13도인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소프트 식각 조건에 의해 테일부(TP)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b에서 알 수 있듯이, 글라스 기판(110)에 대해 저스트 식각 조건에 따른 글라스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오픈부(OP)를 형성한 결과, 오픈부(OP)의 경사면(IP)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 사이의 각도는 46도인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저스트 식각 조건에 의해 테일부(TP) 없이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c에서 알 수 있듯이, 글라스 기판(110)에 대해 제 1 예에 따른 오버 식각 조건에 따른 글라스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오픈부(OP)를 형성한 결과, 오픈부(OP)의 경사면(IP)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 사이의 각도는 107도인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오버 식각 조건에 의해 테일부(TP) 없이 언더컷(UC)을 포함하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또는 사면)지는 형태를 가지거나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d에서 알 수 있듯이, 글라스 기판(110)에 대해 제 1 예에 따른 오버 식각 조건보다 긴 시간을 갖는 제 2 예에 따른 오버 식각 조건에 따른 글라스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오픈부(OP)를 형성한 결과, 오픈부(OP)의 경사면(IP)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 사이의 각도는 126도인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오픈부(OP)의 경사면(IP)은 오버 식각 조건에 의해 테일부(TP) 없이 보다 깊은 언더컷(UC)을 포함하는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가지거나 오록볼록한 곡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너 벤딩 구조 또는 아우터 벤딩 구조를 기반으로 저스트 식각 조건 또는 오버 식각 조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영역과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을 식각하여 오픈부(OP)를 형성함으로써 레이저 릴리즈 공정 없이 제조될 수 있고, 수분 또는 산소에 대한 신뢰성과 벤딩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글라스 기판(110) 전체를 플렉서블 기판(130)으로부터 분리하는 레이저 릴리즈 공정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에 부착되는 배면 보호 필름 및 배면 보호 필름의 부착 공정이 생략되어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7c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식각 정지 패턴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식각 방지 패턴 및 이와 관련된 구성들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에 배치된 식각 정지 패턴(ESP)(또는 식각 배리어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 정지 패턴(ESP)은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와 중첩되도록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각 정지 패턴(ESP)은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보다 넓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식각 정지 패턴(ESP)은 글라스 기판(110)에 오픈부(OP)를 형성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식각액에 의해 플렉서블 기판(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식각 정지 패턴(ESP)은 글라스 식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식각액에 대해 내식성(또는 내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식각 정지 패턴(ESP)은 Cr, CrOx, Pt, TiO2, 및 Ni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식각 정지 패턴(ESP)은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前面)에 형성된 후, 패터닝 공정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前面) 상에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식각 정지 패턴(ESP)은 패턴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前面) 상에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패터닝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식각 정지 패턴(ESP)은 플렉서블 기판(13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예에 따른 식각 정지 패턴(ESP)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 전체에 결합되도록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식각 정지 패턴(ESP)은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前面)에 형성된 후, 플렉서블 기판(13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식각 정지 패턴(ESP)은 하거나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S(polyester), PP(polypropylene), 및 PC(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예에 따른 식각 정지 패턴(ESP)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前面) 상에 패턴 형태로 부착된 후, 플렉서블 기판(13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과 중첩되는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에 배치된 식각 정지 패턴(ESP)을 포함함으로써 글라스 기판(110)에 오픈부(OP)를 형성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한 플렉서블 기판(13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40)의 식각 정지 패턴(ESP)은 도 8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복수의 벤딩 영역(BA) 각각과 중첩되거나 글라스 기판(110)에 형성된 복수의 오픈부(OP) 각각과 중첩되도록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식각 정지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선 III-III'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패턴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패턴 프레임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패턴 프레임 및 이와 관련된 구성들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덮는 패턴 프레임(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프레임(14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덮도록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과 충진제(190)에 결합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지지하고,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강성을 증가시키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평탄도를 증가시킨다. 특히, 패턴 프레임(140)은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에 충진된 충진제(190)의 후면을 지지하거나 덮음으로써 충진제(190)와 글라스 기판(110) 사이의 단차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이 물결 형태(waviness)를 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패턴 프레임(140)은 프레임 점착 부재를 매개로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과 충진제(19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 점착 부재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OCR(Optically Clear Resin), 또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패턴 프레임(14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박형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예 따른 패턴 프레임(14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 형태를 갖는 복수의 개구 패턴(141)을 갖는 메쉬 플레이트(mesh plate) 또는 다공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프레임(140)은 알루미늄(Al) 재질, 마그네슘(Mg) 재질, 알루미늄(Al) 합금 재질, 마그네슘(Mg) 합금 재질, 및 마그네슘 리튬(Li) 합금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된 패턴 프레임(140)를 포함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강성과 평탄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식각 정지 패턴(ESP)은 도 8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 4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선 IV-IV'의 단면도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코팅층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코팅층 및 이와 관련된 구성들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덮는 코팅층(1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195)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덮도록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과 충진제(190)의 후면에 코팅됨으로써 충격으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보호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평탄도를 증가시킨다. 특히, 코팅층(195)은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에 충진된 충진제(190)의 후면을 지지하거나 덮음으로써 충진제(190)로 인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이 물결 형태(waviness)를 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코팅층(195)은 액상 레진, 예를 들어 유기 레진이 제팅 공정(jetting process) 또는 디스펜싱 공정(dispensing process)을 통해 충진제(190)의 후면과 글라스 기판(110)의 후면에 코팅된 후, 경화 공정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코팅층(195)은 충진제(19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진제(190)는 코팅층(195)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에 충진(또는 매립)되어 경화되는 코팅 물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에 충진제(190)를 형성하는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6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전체를 덮는 코팅층(195)을 포함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강성과 평탄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60)의 코팅층(195)은 도 8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 4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 도 18에 도시된 선 V-V'의 단면도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식각 희생층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식각 희생층 및 이와 관련된 구성들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70)는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에 개재된 식각 희생층(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 희생층(120)은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와 중첩되지 않는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식각 희생층(120)은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前面) 전체에 형성되어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 전체에 배치되지만, 식각 희생층(120) 중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와 중첩되는 영역은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를 형성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식각되어 제거됨으로써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와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식각 희생층(120)은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를 형성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서 식각액에 의해 빠르게 식각됨으로써 오픈부(OP)의 글라스 식각면이 역테이퍼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여, 식각 희생층(120)은 글라스 식각 공정시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가 식각된 이후 식각액에 노출되어 글라스 기판(110)보다 더 많이 식각됨으로써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 사이에 언더컷이 보다 단시간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식각 희생층(120)은 오픈부(OP)의 글라스 식각면을 역테이퍼 구조로 형성하기 위한 오버 식각 조건에 따른 글라스 식각 공정의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식각 희생층(120)은 글라스 식각 공정시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에 결합된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이 글라스 기판(110)의 측면보다 빠르게 식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식각 가속화층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식각 희생층(120)은 식각액에 노출된 이후에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 사이에서 글라스 기판(110)보다 먼저 빠르게 식각됨으로써 식각액이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 사이로 빠르게 침투하도록 한다. 식각액이 글라스 기판(110)의 전면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 사이로 침투할 경우, 도 5c에 도시된 벤딩 영역(BA)과 표시 영역(DA) 사이의 경계부(BP)에 접한 글라스 기판(110)의 식각면에 대한 과식각 속도가 증가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130a)과 경사면(IP) 사이에 언더컷(UC)이 보다 빠른 시간에 형성될 수 있다.
식각 희생층(120)이 식각된 영역으로 침투하는 식각액의 양은 식각 희생층(12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식각 희생층(12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글라스 식각면의 언더컷(UC)이 보다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각 희생층(120)의 두께는 글라스 기판(110)의 두께 및 글라스 식각 공정 시간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각 희생층(120)은 0.2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른 식각 희생층(120)은 글라스 식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식각액에 의해 쉽게 식각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각 희생층(120)은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과 같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SiOx)일 수 있다.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에 노출된 글라스 기판(110)과 식각 희생층(120)은 오픈부(OP)에 충진되는 충진제(19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즉, 충진제(190)는 오픈부(OP)의 언더컷(UC)까지 충진되어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에 노출된 글라스 기판(110)과 식각 희생층(120) 각각의 식각면을 덮는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7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에 개재된 식각 희생층(120)을 포함함으로써 글라스 기판(110)에 형성되는 오픈부(OP)의 글라스 식각면이 역테이퍼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오픈부(OP)를 형성하는 오버 식각 조건에 따른 글라스 식각 공정의 공정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70)는 플렉서블 기판(130)과 식각 희생층(120) 사이에 개재된 식각 정지층(또는 식각 배리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각 정지층은 글라스 기판(110)에 오픈부(OP)를 형성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식각액에 의해 플렉서블 기판(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오픈부(OP)와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130)의 일부는 식각액에 의해 식각 희생층(120)이 식각되면 식각액에 노출되어 식각액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각 정지층은 오픈부(OP)와 중첩되도록 플렉서블 기판(130)과 식각 희생층(120)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이 식각액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예에 따른 식각 정지층은 식각 희생층(120)과 달리 글라스 식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식각액에 대해 내식성(또는 내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 식각 공정에서 불산 계열을 포함하는 식각액이 사용될 때, 식각 정지층은 Cr, CrOx, Pt, TiO2, 및 Ni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각 정지층은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거나 글라스 기판(110)의 오픈부(OP)보다 넓은 크기를 갖는 패턴 형태를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70)의 식각 희생층(120)은 도 8, 도 11 및 도 12, 및 도 14 내지 도 17에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 40, 50, 6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출원의 실험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오버 식각 조건에 기반으로 하는 글라스 식각 공정에 의한 오픈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20에서 알 수 있듯이, 글라스 기판(110)에 대해 오버 식각 조건에 따른 글라스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오픈부(OP)를 형성한 결과, 오픈부(OP)의 경사면(IP)과 플렉서블 기판(130)의 후면 사이의 각도는 164도(또는 -16도)인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오픈부(OP)의 글라스 식각면은 오버 식각 조건 및 식각 희생층(120)에 의해 크고 깊은 언더컷(UC)을 포함하는 역테이프 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식각 희생층(120)이 적용된 오픈부(OP)의 언더컷(UC)은 식각 희생층(120)이 적용되지 않은 도 10c 및 도 10d에 도시된 오픈부(OP)의 언더컷(UC)보다 크고 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글라스 기판(110)과 플렉서블 기판(130) 사이에 식각 희생층(120)을 적용하는 경우, 오픈부(OP)의 글라스 식각면을 크고 깊은 언더컷(UC)을 포함하는 역테이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을 가지면서 벤딩 영역의 벤딩에 따라 접히거나 벤딩될 수 있는 싱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싱글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멀티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 영역과 복수의 표시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갖는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플렉서블 기판의 복수의 표시 영역과 상기 벤딩 영역에 마련된 표시부, 표시부를 덮는 커버 필름, 및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및 벤딩 영역을 지지하는 신축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지지부와 신축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지지부와 신축부의 경계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는 형태를 가지거나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지지부 각각은 글라스 재질을 포함하며, 신축부는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지지부 각각은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신축부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신축부는 오목한 홈부를 더 포함하며, 홈부의 중심부는 벤딩 영역의 중심부와 중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은 복수의 지지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 영역과 복수의 표시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갖는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플렉서블 기판의 복수의 표시 영역과 벤딩 영역 상에 마련된 표시부, 표시부를 덮는 커버 필름, 및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겹합된 글라스 기판을 포함하며, 글라스 기판은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과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및 플렉서블 기판의 벤딩 영역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마련된 오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기판은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과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을 지지하고 오픈부를 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플렉서블 기판은 복수의 지지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표시 영역과 복수의 표시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갖는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플렉서블 기판의 복수의 표시 영역과 벤딩 영역 상에 마련된 표시부, 표시부를 덮는 커버 필름, 및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에 결합되고 벤딩 영역과 중첩되는 오픈부를 갖는 글라스 기판을 포함하며, 오픈부는 곡면 형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기판은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과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을 지지하며 오픈부를 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오픈부는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경사면은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나란한 오픈부의 단면적은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15도 ~ 70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오픈부는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경사면 사이의 언더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픈부에 충진된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충진제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충진제는 오목한 홈부를 더 포함하며, 홈부의 중심부는 벤딩 영역의 중심부와 중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은 복수의 표시 영역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충진제와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배치된 식각 정지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글라스 기판의 후면과 충진제의 후면을 덮는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코팅층은 충진제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글라스 기판의 후면과 충진제의 후면에 결합된 패턴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패턴 프레임은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쉬 플레이트 또는 다공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글라스 기판의 오픈부와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글라스 기판과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배치된 식각 희생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식각 희생층은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오픈부는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경사면 사이의 언더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픈부에 충진된 충진제를 더 포함하며, 충진제는 오픈부에 노출된 글라스 기판과 식각 희생층 각각의 식각면을 덮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글라스 기판의 오픈부와 중첩되도록 플렉서블 기판과 식각 희생층 사이에 배치된 식각 정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글라스 기판은 0.01~1.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은 나선 형태로 감길 수 있다.
상술한 본 출원의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110: 글라스 기판 111, 113: 지지부
120: 식각 희생층 130: 플렉서블 기판
140: 패턴 프레임 150: 표시부
151: 화소 어레이층 153: 봉지층
170: 커버 필름 190: 충진제
195: 코팅층 IP: 경사면
OP: 오픈부 UC: 언더컷

Claims (30)

  1. 복수의 표시 영역과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갖는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과 상기 벤딩 영역에 마련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덮는 커버 필름; 및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벤딩 영역을 지지하는 신축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신축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신축부의 경계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는 형태를 가지거나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 각각은 글라스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부는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 각각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직접적으로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단면 형태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오목한 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부의 중심부는 상기 벤딩 영역의 중심부와 중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복수의 표시 영역과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사이의 벤딩 영역을 갖는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과 상기 벤딩 영역에 마련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덮는 커버 필름;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되는 오픈부를 갖는 글라스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오픈부는 곡면 형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기판은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과 중첩되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을 지지하며 상기 오픈부를 향하는 상기 경사면을 갖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픈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 사이에 마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오목한 곡면 형태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나란한 상기 오픈부의 단면적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상기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예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상기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15도 ~ 70도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상기 경사면 사이의 언더컷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상기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둔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부에 충진된 충진제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단면 형태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오목한 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홈부의 중심부는 상기 벤딩 영역의 중심부와 중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와 상기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배치된 식각 정지 패턴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기판의 후면과 상기 충진제의 후면을 덮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충진제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기판의 후면과 상기 충진제의 후면에 결합된 패턴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프레임은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메쉬 플레이트 또는 다공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기판의 오픈부와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글라스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배치된 식각 희생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희생층은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후면과 상기 경사면 사이의 언더컷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부에 충진된 충진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진제는 상기 오픈부에 노출된 상기 글라스 기판과 상기 식각 희생층 각각의 식각면을 덮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기판의 오픈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식각 희생층 사이에 배치된 식각 정지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기판은 0.01~1.0mm의 두께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나선 형태로 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69924A 2018-06-29 2018-12-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02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54,443 US11360517B2 (en) 2018-06-29 2019-06-27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201910572320.7A CN110660323A (zh) 2018-06-29 2019-06-28 柔性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161 2018-06-29
KR20180075161 2018-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76A true KR20200002576A (ko) 2020-01-08

Family

ID=6915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924A KR20200002576A (ko) 2018-06-29 2018-12-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57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2730A (zh) * 2020-09-30 2020-12-1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421492A (zh) * 2021-06-18 2021-09-2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2060101A1 (ko) * 2020-09-15 2022-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fpcb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083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374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96581A (ko) *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US11495770B2 (en) 2020-05-27 2022-11-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3022410A1 (ko) * 2021-08-20 2023-0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3177124A1 (ko) * 2022-03-16 2023-09-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평면 영역 및 변형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972703B2 (en) 2020-12-22 2024-04-30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rigid support member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5770B2 (en) 2020-05-27 2022-11-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2060101A1 (ko) * 2020-09-15 2022-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fpcb를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102730A (zh) * 2020-09-30 2020-12-1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2119083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374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72703B2 (en) 2020-12-22 2024-04-30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rigid support member
KR20220096581A (ko) *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CN113421492A (zh) * 2021-06-18 2021-09-2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421492B (zh) * 2021-06-18 2023-10-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3022410A1 (ko) * 2021-08-20 2023-0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3177124A1 (ko) * 2022-03-16 2023-09-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평면 영역 및 변형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0517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20000257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384101B (zh) 柔性显示设备和包括柔性显示设备的电子装置
US11696489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with curved edg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3182474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21004761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5299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066820B (zh) 显示装置
US1090345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81826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46667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96946B1 (ko) 표시 장치
KR2018007334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8105977A (ja) 表示装置
KR201600735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6000348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220022926A (ko) 표시 장치
CN113130588B (zh) 显示设备
US20220231110A1 (en) Display device
US11538895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link line portion
CN113130559B (zh) 显示装置
KR20210019617A (ko) 표시 장치
US2024009910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4836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6787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