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61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617A
KR20210019617A KR1020190097979A KR20190097979A KR20210019617A KR 20210019617 A KR20210019617 A KR 20210019617A KR 1020190097979 A KR1020190097979 A KR 1020190097979A KR 20190097979 A KR20190097979 A KR 20190097979A KR 20210019617 A KR20210019617 A KR 20210019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disposed
area
flexible substrat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제
김영지
이영훈
엄이슬
최영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7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617A/ko
Publication of KR2021001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배치된 폴딩 영역이 정의된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파장 변환 부재; 및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제2 비폴딩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유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혀진 상태(folded state)와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간의 상태 전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고정형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 등에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고정형 전자 기기에서 사용시에만 보다 대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 표시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딩이 가능한 대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명세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배치된 폴딩 영역이 정의된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파장 변환 부재; 및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제2 비폴딩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유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제1 두께와 상기 제2 지지 기판의 제2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기판과 상기 제2 지지 기판은 분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분리 영역은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영역의 폭은 상기 폴딩 영역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폴딩 시에, 상기 가요성 기판의 상기 폴딩 영역은 벤딩되고,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일측과 상기 제2 지지 기판의 일측은 상기 가요성 기판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기판은 상기 가요성 기판을 바라보는 하면,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 상기 하면과 연결된 측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배치된 연마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마면은 예각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하부의 상기 분리 영역에 배치된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지지 기판의 내측면과 각각 접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지지 기판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하면, 및 상기 제2 지지 기판의 하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블랙 계열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의 굴절률과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굴절률 차이는 0.2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제1 굴절율을 갖고 상기 보강 부재는 제2 굴절률을 갖되, 상기 제1 굴절률과 상기 제2 굴절률의 차이는 0.2이내일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의 제3 두께는 상기 제1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영역의 폭은 상기 폴딩 영역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지지 기판과 상기 가요성 기판과의 제1 결합력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지지 기판과 상기 가요성 기판과의 제2 결합력보다 작을 수 있다.
폴딩 시에, 상기 가요성 기판의 상기 폴딩 영역은 벤딩되고,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일측과 상기 제2 지지 기판의 일측은 상기 가요성 기판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기판은 상기 가요성 기판을 바라보는 하면,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 상기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직교하는 측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 및/또는 상기 하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배치된 연마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마면은 예각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기판은 상기 가요성 기판을 바라보는 하면,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 및 상기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직교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곡면 형상의 연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기판과 상기 제2 지지 기판은 상기 가요성 기판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블랙 계열의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기판은 상기 제2 지지 기판을 바라보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면은 상부에 위치하고 제1 거칠기를 갖는 제1 내측면과 상기 제1 내측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거칠기보다 큰 제2 거칠기를 갖는 제2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기판은 상기 제2 지지 기판을 바라보는 내측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에지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버(burr)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에지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의 경계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만입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에는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위치한 제3 비폴딩 영역, 상기 제3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1 폴딩 영역이 더 정의되고,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하부에 더 배치된 제3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 부재는 상기 제3 비폴딩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배치된 폴딩 영역이 정의된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분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하부의 상기 분리 영역 상에 배치된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제2 비폴딩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지지 기판의 내측면과 각각 접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지지 기판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하면, 및 상기 제2 지지 기판의 하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블랙 계열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의 굴절률과 상기 제1 지지 기판의 굴절률 차이는 0.2 이내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배치된 폴딩 영역이 정의된 제1 가요성 기판; 상기 제1 가요성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파장 변환 부재; 상기 파장 변환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요성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가요성 기판; 상기 파장 변환 부재와 상기 제2 가요성 기판 사이에 배치된 충진재; 및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제2 비폴딩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유리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재와 상기 발광 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를 밀봉하는 봉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과 상기 파장 변환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상 상기 충진재를 둘러싸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폴딩 또는 벤딩되는 영역에 대한 패턴 시인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보다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공정 단계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공정 단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4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도 5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보다 구체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장치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워치, 워치 폰,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이란, 플렉시블한 상태를 지칭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벤더블(badable), 롤러블(rollable) 등을 포함하여 지칭되는 용어이다. 나아가, 폴더블(foldable)은 "부분" 폴더블, "전체" 폴더블, "인" 폴더블, "아웃" 폴더블을 모두 포함하여 지칭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표시 장치(1)는 평면 시점에서 표시 장치의 상하측(예컨대, 제2 방향(DR2))으로 가로 지르는 폴딩축(AXIS_F)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예컨대 평면도 상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놓이는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예컨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에 모두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예시된 도면에서 제1 방향(DR1)은 표시 장치(1)의 가로 방향을, 제2 방향(DR2)은 표시 장치(1)의 세로 방향을 나타내고, 제3 방향(DR3)은 표시 장치(1)의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 일측은 평면도상 우측 방향을, 제1 방향(DR1) 타측은 평면도상 좌측 방향을, 제2 방향(DR2) 일측은 평면도상 상측 방향을, 제2 방향(DR2) 타측은 평면도상 하측 방향을, 제3 방향(DR3) 일측은 단면도상 상측 방향을, 제3 방향(DR3) 타측은 단면도상 하측 방향을 각각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평면상 모서리가 수직인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표시 장치는 4개의 에지(LS1, LS2, SS1, SS2)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장변 에지(LS1, LS2)과 단변 에지(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장변 에지(LS1, LS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각 단변 에지(SS1, SS2)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으로 정사각형이나 원형 등의 기타 다른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축(AXIS_F)이 각 장변 에지(LS1, LS2)을 가로지르는 방향, 예컨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경우 표시 장치(1)의 각 장변 에지(LS1, LS2)가 접힐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폴딩축(AXIS_F)이 각 단변 에지(SS1, SS2)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표시 장치(1)의 각 단변 에지(SS1, SS2)가 접힐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폴딩축(AXIS_F)이 각 장변 에지(LS1, LS2)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폴딩축(AXIS_F)은 각 장변 에지(LS1, LS2)의 중심 부위를 가로지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두께 방향 기준 "상부", "상면"은 표시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하면"은 표시 방향의 반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평면 시점에서의 "상(위)", "하(아래)", "좌(왼)", "우(오른)"는 표시면을 정위치에 두고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과 그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접혀진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은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구분된 영역들이 서로 포개질 수 있으며, 다시 펴진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은 상기 각 영역들이 펼쳐진 상태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R1), 및 제2 비폴딩 영역(NFR2) 각각의 일측에는 비표시 영역(NA)이 위치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모듈(100)의 패드 영역(P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영역(PA)에는 복수의 패드들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패드들을 통해 상기 복수의 패드들과 결합되는 외부 장치(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메인 회로 기판)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및 전원 신호 등이 표시 영역(DA)의 각 화소들에 전달될 수 있다.
폴딩축(AXIS_F)과 만나는 표시 장치(1)의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 에지(LS2)와 인접한 영역에는 평면 상에서 각각 하측/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예를 들어, 노치(notch))가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태 전환을 위한 힌지 부재(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는, 중심 영역에 배치되고 폴딩축(AXIS_F)을 포함하는 폴딩 영역(FR),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비폴딩 영역(NFR1, NFR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R)은 표시 장치(1)가 폴딩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접혀지거나 휘어지는 영역이고, 비폴딩 영역(NFR1, NFR2)은 폴딩 영역(FR)과 달리 접히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R1, NFR2)은 각각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평탄면을 이룰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부 휘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모듈(100), 표시 모듈(100) 상에 배치된 상부 커버 부재(400), 및 상부 커버 부재(400) 상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100)과 상부 커버 부재(400)를 커버하는 윈도우(6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0)은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의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전기습윤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LED(Light emitting diode) 표시 패널 등이 표시 패널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표시 모듈(10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되어 있다.
표시 모듈(100)은 제1 기판부(110), 제1 기판부(110) 상에 배치된 회로층(140), 회로층(140) 상에 배치된 발광층(150), 및 발광층(150) 상에 배치된 봉지막(17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0)의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회로층(140)은 발광 소자층(150)의 발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회로층(140)은 표시 배선, 표시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50)은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ED)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유기 발광 소자(ED)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50)은 봉지막(17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봉지막(170)은 발광 소자층(150)을 밀봉하여, 외부에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막(150)은 무기막의 단일 또는 다층막이나, 무기막과 유기막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커버 부재(400)는 표시 모듈(100)의 표시 영역(DA)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도록 표시 모듈(100)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 부재(400)는 표시 모듈(100)의 비표시 영역(NDA)을 커버할 수도 있고,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모두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부 커버 부재(400)는 다양한 기능성 부재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 부재(400)는 편광 기능을 갖는 편광판이나 편광 부재, 터치 센싱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모듈, 컬러 필터, 컬러 변환 필름, 광학 필름, 반사 방지 부재, 및/또는 지문 인식 센서 등과 같은 생체 정보 인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 부재(400)는 봉지막(170) 상에 배치된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패널 또는 상기 터치 센서 상에 배치된 편광판 또는 편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상술한 복수의 발광 소자(ED)가 배치된 발광 소자층(150), 발광 소자층(150) 상에 배치된 봉지층(170), 봉지층(170) 상에 배치된 상기 터치 패널 또는 상기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패널 또는 상기 터치 센서 상에 배치된 상기 편광판 또는 상기 편광 부재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 부재(400) 상에는 윈도우(600)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600)는 하부에 배치된 구성(100, 100, 300)들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600)는 유리, 석영,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600)의 두께는 100㎛ 미만일 수 있다. 윈도우(600)의 두께가 얇으면, 접힘(folding) 시에 응력이 작아지고, 접힌 상태(folded state)와 펴진 상태(unfolded state)가 반복되어도 구조가 변형되는 정도가 미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윈도우(600)로서 플렉시블 윈도우가 적용되어 표시 장치(1)의 접힘(folding) 시에 표시 모듈(100)과 함께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600)는 플렉시블한, 초박형 화학 강화된 유리(Ultra Thin Glass, UTG)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모듈(100)의 표시 영역(DA)에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화소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NA)에는 상기 각 화소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배선이나 구동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각 부재(100, 400, 600) 사이에서 이들을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층(931, 9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층(931)은 표시 모듈(100)과 상부 커버 부재(4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키며, 제2 결합층(932)은 상부 커버 부재(400)와 윈도우(6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복수의 결합층(931, 932)은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접착 특성을 가지는 막으로, 예를 들어, 압력 민감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광학 투명 수지(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각 결합층(931, 932)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결합층(931, 932)은 100% 내지 1,000%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표시 모듈(100)은 폴딩 영역(FR)에 분리 영역(SPR)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모듈(100)은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지는 가요성 기판과 상기 가요성 기판 하부에 배치되고 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판은 상기 가요성 기판을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상부 구조들을 형성할 때, 상기 가요성 기판이 구부러지거나 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 기판은 상기 가요성 기판 대비 연신율이 낮아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벤딩 스트레스를 유발하는데,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은 상기 지지 기판 사이에 분리 영역(SPR)을 마련함으로써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상기 지지 기판으로 인해 발생가능한 벤딩 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100)은 제1 기판부(110), 복수의 도전층, 이를 절연하는 복수의 절연층 및 유기층(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부(110)는 제1 가요성 기판(130)과 제1 가요성 기판(130)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 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130)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한 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요성 기판(130)은 블랙 계열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계열의 물질은 블랙 안료 또는 블랙 염료 또는 블랙 카본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 기판(120)과 제1 가요성 기판(130)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지지 기판(120)과 제1 가요성 기판(130)은 소정의 결합력을 가지고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 기판(120)과 제1 가요성 기판(130)은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착될 수 있다.
지지 기판(120)은 유리, 또는 석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120)의 두께는 100㎛ 미만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기판(120)은 제1 가요성 기판(130)을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제1 가요성 기판(130) 상에 상부 구조들을 형성할 때, 제1 가요성 기판(130)이 구부러지거나 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130)의 상부 구조들을 적층할 때에는 지지 기판(120)은 제1 가요성 기판(130)의 전면에 배치된 일체형 평면 형상을 가진다. 한편, 지지 기판(120)은 제1 가요성 기판(130) 대비 연신율이 낮아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벤딩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제1 가요성 기판(130)의 상기 상부 구조들의 적층 공정 후, 지지 기판(120)은 분리 영역(SPR)에 해당하는 영역이 제거되어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발생 가능한 벤딩 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지지 기판(120)은 제1 비폴딩 영역(NFR1)에 대응되는 제1 지지 기판(121), 및 제2 비폴딩 영역(NFR2)에 대응되는 제2 지지 기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130) 상에는 배리어층(BR)이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층(BR)은 제1 기판부(110)를 통한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배리어층(BR)은 질화 규소(SiNx)막, 산화 규소(SiO2)막 및 산질화규소(SiOxNy)막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은 제1 기판부(1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은 표시 기판(101)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버퍼층(BF)은 질화 규소(SiNx)막, 산화 규소(SiO2)막 및 산질화규소(SiOxNy)막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 상에는 반도체층(ACT)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이룬다. 반도체층(ACT)은 표시 영역(DA)의 각 화소에 배치되고, 경우에 따라 비표시 영역(NDA)에도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소스/드레인 영역 및 활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 상에는 제1 절연층(IL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L1)은 표시 기판(101)의 전체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L1)은 게이트 절연 기능을 갖는 게이트 절연막일 수 있다. 제1 절연층(IL1)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절연층(IL1)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L1) 상에는 제1 도전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1 전극(CE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 상에는 제2 절연층(IL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L2)은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을 절연시킬 수 있다.
제2 절연층(IL2) 상에는 상기 제2 도전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은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전극(CE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의 물질은 상술한 상기 제1 도전층의 예시된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1 전극(CE1)과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전극(CE2)은 제2 절연층(IL2)을 통해 커페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층 상에는 제3 절연층(IL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L3)은 상술한 제1 절연층(IL1)의 예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절연층(IL3)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후술할 제4 절연층(IL4)의 예시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L3) 상에는 제3 도전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도전층은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및 고전위 전압 전극(ELVD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도전층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도전층은 상기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3 도전층은 적층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도전층은 Ti/Al/Ti, Mo/Al/Mo, Mo/AlGe/Mo, Ti/Cu 등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도전층은 Ti/Al/Ti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도전층 상에는 제4 절연층(IL4)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IL4)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C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IL4) 상에는 제4 도전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도전층은 데이터 라인(DL), 연결 전극(CNE), 및 고전위 전압 배선(ELVDDL)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은 제4 절연층(IL4)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S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전극(CNE)은 제4 절연층(IL4)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전위 전압 배선(ELVDDL)은 제4 절연층(IL4)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고전위 전압 전극(ELVD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도전층은 상기 제3 도전층의 예시 물질 중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도전층 상에는 제5 절연층(IL5)이 배치된다. 제5 절연층(IL5)은 상술한 제4 절연층(IL4)의 예시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절연층(IL5) 상에는 애노드 전극(AND)이 배치된다. 애노드 전극(AND)은 제5 절연층(IL5)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연결 전극(CN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AND) 상에는 뱅크층(BANK)이 배치될 수 있다. 뱅크층(BANK)은 애노드 전극(AND)을 노출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뱅크층(BANK)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층(BANK)은 포토 레지스트,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화합물, 폴리아크릴계 수지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 전극(AND) 상면 및 뱅크층(BANK)의 개구부 내에는 유기층(EL)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EL)과 뱅크층(BANK) 상에는 캐소드 전극(CAT)이 배치된다. 캐소드 전극(CAT)은 복수의 화소에 걸쳐 배치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
캐소드 전극(CAT) 상에는 박막 봉지층(170)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170)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덮을 수 있다. 박막 봉지층(170)은 무기막과 유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막일 수 있다. 예컨대, 박막 봉지층(170)은 순차 적층된 제1 봉지 무기막(171), 봉지 유기막(172), 및 제2 봉지 무기막(1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기판(120)은 제1 비폴딩 영역(NFR1)에 배치된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비폴딩 영역(NFR2)에 배치된 제2 지지 기판(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은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은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또는 석영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의 굴절률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의 굴절률은 약 1.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은 동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기판(121)의 제1 두께(d1)와 제2 지지 기판(123)의 제2 두께(d2)는 약 100㎛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두께(d1)와 제2 두께(d2)는 각각 150㎛ 이하일 수 있다. 즉,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은 초박형 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표시 장치(1)의 전반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은 상기한 약 100㎛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은 평면상 제1 가요성 기판(130)의 평면상 크기와 동일한 일체형 지지 기판에서 분리 영역(SPR)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가요성 기판(130)의 표시 모듈(100)의 상부 구조들을 모두 형성한 후, 분리 영역(SPR)에 제1 가요성 기판(130)과 지지 기판(120) 사이의 결합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레이저를 조사한다. 상기 레이저는 자외선 레이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분리 영역(SPR)의 양 경계를 따라 커팅 부재를 이용하여 일체형 지지 기판의 분리 영역(SPR)을 제거하여 분리 영역(SPR)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을 형성할 수 있다. 분리 영역(SPR)의 양 경계를 따라 상기 커팅 부재를 이용하여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커팅 부재로 인해 분리 영역(SPR)과 인접한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의 내측면들은 소정의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 영역(SPR)은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R)과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분리 영역(SPR)의 제1 방향(DR1) 폭은 폴딩 영역(FR)의 제1 방향(DR1)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분리 영역(SPR)의 평면 형상 및 크기는 폴딩 영역(FR)의 평면 형상 및 크기와 완전히 동일할 수 있다.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단변들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장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121, 123)들의 분리 영역(SPR)에 마주하는 장변들은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 간 경계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기판(120)은 분리 영역(SPR)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 123)들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가 폴딩 동작 시, 제1 가요성 기판(130)보다 연신률이 낮은 지지 기판(120)으로 인해 벤딩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은 분리 영역(SP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외부에서 입사된 외광 또는 유기 발광 소자(ED)로부터 하부로 출광된 출사광에 의해 분리 영역(SPR)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가요성 기판(130)이 상기한 바와 같이 블랙 계열의 물질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외광 또는 상기 출사광에 의해 제1 지지 기판(121) 및 제2 지지 기판(123) 사이의 분리 영역(SPR)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100)은 폴딩 영역(FR)에서 외력에 의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접히지만 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는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접히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비폴딩 영역(NFR1)이 위치하는 평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R2)이 위치하는 평면이 서로 평행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들은 서로 소정의 예각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 123)은 각각 제1 가요성 기판(130)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일측(제2 비폴딩 영역(NFR2) 주변)에 폴딩 방향(도 1의 제3 방향(DR3) 일측)을 따라 외력이 가해지면, 폴딩 영역(FR)이 구부러지거나 접히게 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R2)은 상기 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제1 비폴딩 영역(NFR1)과 중첩하거나 대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기판(121)과 제2 지지 기판(123)은 분리 영역(SP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분리 영역(SPR)은 실질적으로 폴딩 영역(FR)의 폭 및 평면상 크기가 동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 123)은 각각 폴딩 영역(FR)에는 비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폴딩 시에 지지 기판(121, 123)이 제1 가요성 기판(130)을 추종하여 함께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여 벤딩 스트레스로 인한 표시 모듈(100)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는 제1 지지 기판(121_1)과 제2 지지 기판(123_1)이 각각 연마면(GR1, GR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지지 기판(123_1)은 제1 가요성 기판(130)과 접하는 제1 하면, 상기 제1 하면과 대향하는 제1 상면, 및 상기 제1 하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하면과 직교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기판(123_1)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1 상면을 연결하는 제1 연마면(GR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면과 제1 연마면(GR1)이 이루는 제1 각(
Figure pat00001
1)은 예각일 수 있다. 제1 지지 기판(121_1)은 마찬가지로 제1 가요성 기판(130)과 접하는 제2 하면, 상기 제2 하면과 대향하는 제2 상면, 및 상기 제2 하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하면과 직교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기판(121_1)은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2 상면을 연결하는 제2 연마면(GR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면과 제2 연마면(GR2)이 이루는 제2 각(
Figure pat00002
2)은 예각일 수 있다.
제1 연마면(GR1) 및 제2 연마면(GR2)은 연마 부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는 지지 기판(121_1, 123_1)들의 외부 충격에 의한 물리적 손상에 취약한 모서리부가 연마면(GR1, GR2)들을 각각 포함함으로써 지지 기판(121_1, 123_1)들의 물리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공정 단계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2)는 지지 기판(121_2, 123_2)들의 내측면들이 거칠기가 다른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_2, 123_2)들은 각각 분리 영역(SPR)과 인접한 내측면(121_2S, 123_2S)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면(121_2S, 123_2S)들은 거칠기가 다른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 기판(121_2)의 제1 내측면(121_2S)은 서로 거칠기가 다른 제1 하부 내측면(121_2S1) 및 제1 상부 내측면(121_2S2)을 포함하고, 제2 지지 기판(123_2)의 제2 내측면(123_2S)은 서로 거칠기가 다른 제2 하부 내측면(123_2S1) 및 제2 상부 내측면(123_2S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상부 내측면(121_2S2, 123_2S2)은 각 하부 내측면(121_2S1, 123_2S1)보다 두께 방향으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각 상부 내측면(121_2S2, 123_2S2)은 각 하부 내측면(121_2S1, 123_2S1)보다 제1 가요성 기판(130)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하부 내측면(121_2S1) 및 제1 상부 내측면(121_2S2)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제2 하부 내측면(123_2S1) 및 제2 상부 내측면(123_2S2)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하부 내측면(121_2S1, 123_2S1)은 제1 거칠기를 갖고, 각 상부 내측면(121_2S2, 123_2S2)들은 상기 제1 거칠기보다 작은 제2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각 상부 내측면(121_2S2, 123_2S2)과 각 하부 내측면(121_2S1, 123_2S1)이 서로 다른 거칠기를 갖는 것은 일체형 지지 기판(120)으로부터 분리 영역(SPR)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기인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일체형 지지 기판(120)에서 커팅 부재(CTD)를 이용하여 일체형 지지 기판(120)의 분리 영역(SPR)을 제1 가요성 기판(130)으로부터 제거한다. 커팅 부재(CTD)는 일체형 지지 기판(120)보다 강성이 큰 고강도 커팅 툴일 수 있다. 커팅 부재(CTD)를 이용하여 일체형 지지 기판(120)의 분리 영역(SPR)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커팅 부재(CTD)는 분리 영역(SPR)의 양 경계를 따라 일체형 지지 기판(120)을 스크라이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커팅 부재(CTD)는 일체형 지지 기판(120)을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가로지르지 않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일체형 지지 기판(120)을 스크라이빙할 수 있다. 커팅 부재(CTD)가 접촉하는 일체형 지지 기판(120a)의 내측면들은 도 10에서 상술한 상기 제1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일체형 지지 기판(120a)은 분리 영역(SPR)의 양 경계에서 커팅 부재(CTD)로 인한 크랙(CRK)들을 포함하고, 크랙들은 두께 방향으로 전파되어 일체형 지지 기판(120)의 분리 영역(SPR)을 제1 가요성 기판(130)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커팅 부재(CTD)가 비접촉하고 상기 크랙들의 전파로 인해 분리 영역(SPR) 상의 일체형 지지 기판(120)과 분리되는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_2, 123_2)의 내측면들의 상부 내측면(121_2S2, 123_2S2)들은 상기 제1 거칠기보다 작은 제2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3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공정 단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3)는 지지 기판(121_3, 123_3)들의 내측면들의 평면 형상이 도 9에 따른 표시 모듈(100_2)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기판(121_3, 123_3)들의 내측면(121_3S, 123_3S)들은 각각 비폴딩 영역(NFR1, NFR2)을 향해 만입된 복수의 만입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입 패턴들은 비폴딩 영역(NFR1, NFR2)와 폴딩 영역(FR)의 경계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내측면(121_3S, 123_3S)들은 폴딩 영역(FR)에 인접 배치된 버(burr) 형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burr)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기판(121_3, 123_3)의 두께 방향으로 솟아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면(121_3S, 123_3S)들의 상기 만입 패턴들과 버(burr) 형상부는 후술하는 커팅 부재(CTD_1)를 이용한 분리 영역(SPR)의 제거 공정에 기인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술한 일체형 지지 기판(120)에서 커팅 부재(CTD_1)를 이용하여 일체형 지지 기판(120)의 분리 영역(SPR)을 제1 가요성 기판(130)으로부터 제거한다. 커팅 부재(CTD_1)는 레이저 장치일 수 있다. 커팅 부재(CTD_1)를 이용하여 일체형 지지 기판(120)의 분리 영역(SPR)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커팅 부재(CTD_1)는 분리 영역(SPR)의 양 경계를 따라 일체형 지지 기판(120)을 스크라이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커팅 부재(CTD_1)는 레이저를 일체형 지지 기판(120)의 분리 영역(SPR)의 양 경계를 향해 입사시켜 일체형 지지 기판(120)의 분리 영역(SPR)을 스크라이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내측면(121_3S, 123_3S)들은 상기 레이저의 높은 열로 인해 버(burr) 형상부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팅 부재(CTD_1)는 이산화탄소 레이저일 수 있다. 이 경우 커팅 부재(CTD_1)는 분리 영역(SPR)의 양 경계를 따라 스크라이빙하는 단계에서 일정한 주기를 갖고 상기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입사시킬 수 있다. 즉, 커팅 부재(CTD_1)가 이산화탄소 레이저인 경우 일정한 주기를 갖고 분리 영역(SPR)의 양 경계를 따라 스크라이빙하기 때문에 상기 만입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입 패턴들의 평면 형상은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4)는 제1 가요성 기판(130)의 하부의 분리 영역(SPR) 상에 보강 부재(280)가 더 배치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280)는 제1 가요성 기판(130) 하부의 분리 영역(SP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 123)의 제1 굴절률(n1)은 약 1.5일 수 있다. 보강 부재(280)의 제2 굴절률(n2)은 제1 굴절률(n1)과 0.2이내의 차이가 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280)의 제2 굴절률(n2)은 약 1.3 내지 약 1.5일 수 있다. 보강 부재(280)는 유기 레진 등을 포함하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4)는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 123)의 제1 굴절률(n1)과 0.2이내의 차이가 나는 제2 굴절률(n2)을 갖는 보강 부재(280)가 분리 영역(SPR)에 배치됨으로써 외부에서 분리 영역(SPR)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 부재(280)의 제3 두께(d3)는 제1 지지 기판(121)의 제1 두께(d1) 및 제2 지지 기판(123)의 제2 두께(d2)보다 작을 수 있다.
보강 부재(280)는 제1 지지 기판(121) 및 제2 지지 기판(123)의 내측면들의 일부와 각각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280)는 제1 지지 기판(121) 및 제2 지지 기판(123)의 제1 가요성 기판(130)의 인접한 내측면의 일부와는 접하지만, 다른 일부의 내측면들과는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보강 부재(280)는 상부의 제1 가요성 기판(130)의 하면과 직접 접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5)는 보강 부재(280_1)의 제3 두께(d3_1)가 제1 지지 기판(121)의 제1 두께(d1) 및 제2 지지 기판(123)의 제2 두께(d2)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도 15에 따른 표시 모듈(100_4)와 상이하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6)는 보강 부재(280_2)가 인접한 제1 지지 기판(121)의 내측면과 제2 지지 기판(123)의 내측면과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5에 따른 표시 모듈(100_4)와 상이하다. 즉, 보강 부재(280_2)의 폭은 분리 영역(SPR)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7)는 보강 부재(280_3)가 인접한 제1 지지 기판(121)의 내측면과 제2 지지 기판(123)의 내측면과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6에 따른 표시 모듈(100_5)와 상이하다. 즉, 보강 부재(280_3)의 폭은 분리 영역(SPR)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8)는 보강 부재(280_4)가 제1 지지 기판(121) 및 제2 지지 기판(123)의 전체 내측면들에 접한다는 점에서 도 15에 따른 표시 모듈(100_4)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15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9)는 보강 부재(280_5)가 분리 영역(SPR)의 외측으로 더 확장된다는 점에서 도 19에 따른 표시 모듈(100_8)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강 부재(280_5)는 분리 영역(SPR)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보강 부재(280_5)는 인접한 제1 지지 기판(121) 및 제2 지지 기판(123)의 하면을 덮고 직접 접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도 19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0)는 보강 부재(280_6)가 제1 지지 기판(121) 및 제2 지지 기판(123)의 하면을 모두 덮는다는 점에서 도 20에 따른 표시 모듈(100_8)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20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1)는 보강 부재(280_7)가 분리 영역(SPR)에서 제1 지지 기판(121)의 제1 두께(d1) 및 제2 지지 기판(123)의 제2 두께(d2)보다 큰 제3 두께(d3_2)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21에 따른 표시 모듈(100_10)와 상이하다.
즉, 보강 부재(280_7)는 분리 영역(SPR)에서 제3 두께(d3_2)를 갖고 제1 제1 지지 기판(121) 및 제2 지지 기판(123) 상에서 제4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두께는 제3 두께(d3_2)보다 작을 수 있다.
이하 설명은 도 21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2)는 보강 부재(280_8)가 블랙 계열의 물질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1에 따른 표시 모듈(100_10)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강 부재(280_8)는 블랙 계열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계열의 물질은 보강 부재(280_8)내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랙 계열의 물질은 블랙 안료 또는 블랙 염료 또는 블랙 카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280_8)는 블랙 계열의 물질을 더 포함함으로써 외부에서 분리 영역(SPR)이 시인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도 21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3)는 보강 부재(280_9)가 블랙 계열의 물질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2에 따른 표시 모듈(100_11)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22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4)는 제1 가요성 기판(130)과 지지 기판(121, 123) 사이에 희생층(29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희생층(290)은 제1 가요성 기판(130)과 제1 지지 기판(121)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과 직접 접촉하고, 제1 가요성 기판(130)과 제2 지지 기판(123)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희생층(290)은 상술한 일체형 지지 기판(도 10의 '120' 참조)의 분리 영역(SPR)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상부의 제1 가요성 기판(13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체형 지지 기판(120)의 분리 영역(SPR)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분리 영역(SPR) 상에 배치된 희생층은 분리 영역(SPR)의 일체형 지지 기판(120)과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5)는 희생층(290_1)과 지지 기판(121_4, 123_4)이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과 정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25에 따른 표시 모듈(100_14)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희생층(290_1)과 지지 기판(121_4, 123_4)의 내측면들은 비폴딩 영역(NFR1, NFR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 도 10 또는 도 14에서 상술한 분리 공정 시에 커팅 부재(CTD, CTD_1)의 절단 부분이 각각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경계에 얼라인되지 않고 비폴딩 영역(NFR1, NFR2)에 얼라인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도 25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는 제1 지지 기판(121_5)과 제2 지지 기판(123_5) 사이의 분리 영역(SPR_1)의 폭이 폴딩 영역(FR)의 폭보다 작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지지 기판(121_5) 및 제2 지지 기판(123_5)은 폴딩 영역(FR)의 일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분리 영역(SPR_1)은 폴딩 영역(FR)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130)과 하부의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_5, 123_5)은 각각 소정의 결합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의 이들의 결합력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 제1 가요성 기판(130)과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_5, 123_5)의 제1 결합력(AF1)은 폴딩 영역(FR)에서 제1 가요성 기판(130)과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_5, 123_5)의 제2 결합력(AF2)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폴딩 영역(FR)에서 제1 가요성 기판(130)과 일체형 지지 기판(도 10의 '120') 사이의 결합력을 약화시키는 공정에 기인한다. 제1 결합력(AF1)은 표시 장치의 폴딩 작동 시 폴딩 영역(FR)에서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_5, 123_5)이 상부의 제1 가요성 기판(130)과 분리되기 위해 거의 없는 수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9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100)은 폴딩 영역(FR)에서 외력에 의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접히지만 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는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접히지 않을 수 있다. 도 29에서는 제1 비폴딩 영역(NFR1)이 위치하는 평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R2)이 위치하는 평면이 서로 평행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들은 서로 소정의 예각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장치의 일측(제2 비폴딩 영역(NFR2) 주변)에 폴딩 방향을 따라 외력이 가해지면, 폴딩 영역(FR)이 구부러지거나 접히게 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R2)은 상기 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제1 비폴딩 영역(NFR1)과 중첩하거나 대항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기판(121_5) 및 제2 지지 기판(123_5)은 각각 제1 가요성 기판(13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기판(121_5)과 제2 지지 기판(123_5)은 분리 영역(SPR_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결합력(AF1)은 제2 결합력(AF2) 대비 거의 없는 수준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해 폴딩 시에 지지 기판(121_5, 123_5)이 제1 가요성 기판(130)을 추종하여 함께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여 벤딩 스트레스로 인한 표시 모듈(100)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7)는 제1 지지 기판(121_6)과 제2 지지 기판(123_6)이 각각 연마면(GR1, GR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9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도 3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8)는 제2 지지 기판(123_7)이 제3 연마면(GR3)을, 제1 지지 기판(121_7)이 제4 연마면(GR4)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0에 따른 표시 모듈(100_17)와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 연마면(GR3)은 제2 지지 기판(123_7)의 제1 측면(제2 지지 기판(123)의 상기 제1 측면과 동일)과 제1 하면(제2 지지 기판(123)의 상기 제1 하면과 동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연마면(GR4)은 제1 지지 기판(121_7)의 제2 측면(제1 지지 기판(121)의 상기 제2 측면과 동일)과 제2 하면(제1 지지 기판(121)의 상기 제2 하면과 동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면과 제3 연마면(GR3)이 이루는 제3 각(
Figure pat00003
3)은 예각일 수 있다. 상기 제2 하면과 제4 연마면(GR4)이 이루는 제4 각(
Figure pat00004
4)은 예각일 수 있다.
제1 각(
Figure pat00005
1)과 제3 각(
Figure pat00006
3)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제2 각(
Figure pat00007
2)과 제4 각(
Figure pat00008
4)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3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19)는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_8, 123_8)의 내측면들이 각각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연마면(GR5, GR6)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9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29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20)의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_9, 123_9)의 내측면(121_9S, 123_9S)들의 단면 형상이 도 9에 따른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_2, 123_2)의 내측면(121_2S, 123_2S)들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도 28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28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21)의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_10, 123_10)의 내측면(121_10S, 123_10S)들의 평면 형상 및 단면 형상이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제1 및 제2 지지 기판(121_3, 123_3)의 평면 형상 및 단면 형상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도 28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28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22)는 도 15에 따른 보강 부재(280)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28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15 및 도 28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23)는 도 16에 따른 보강 부재(280_1)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28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16 및 도 28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24)는 도 19에 따른 보강 부재(280_4)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28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19 및 도 28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25)는 도 20에 따른 보강 부재(280_5)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28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20 및 도 28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26)는 도 21에 따른 보강 부재(280_6)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28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21 및 도 28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27)는 도 22에 따른 보강 부재(280_7)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28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22 및 도 28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28)는 도 23에 따른 보강 부재(280_8)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28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23 및 도 28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29)는 도 24에 따른 보강 부재(280_9)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도 28에 따른 표시 모듈(100_16)와 상이하다.
이하 설명은 도 24 및 도 28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4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FR)과 제2 비폴딩 영역(NFR2)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비폴딩 영역(NFR3), 및 제3 비폴딩 영역(NFR3)과 제2 비폴딩 영역(NFR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폴딩 영역(FR_1)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5에 따른 표시 모듈(100)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제3 비폴딩 영역(NFR3)의 면적인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R1, NFR2)의 면적보다 클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30)는 제3 비폴딩 영역(NFR3)에 배치된 제3 지지 기판(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 기판(225)은 제1 지지 기판(121) 및 제2 지지 기판(123)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물질, 두께(d31)는 제1 지지 기판(121) 및 제2 지지 기판(123)과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제1 지지 기판(121)과 제3 지지 기판(225)은 사이에 제1 분리 영역(SPR1)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지지 기판(123)과 제3 지지 기판(225)은 제2 분리 영역(SPR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은 폴딩 영역(FR) 및 제1 폴딩 영역(FR_1)에서 외력에 의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접히지만 비폴딩 영역(NFR1, NFR2, NFR3)에서는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접히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측 및 타측(제2 비폴딩 영역(NFR2)과 제1 비폴딩 영역(NFR1) 주변)에 폴딩 방향을 따라 외력이 가해지면, 폴딩 영역(FR) 및 제1 폴딩 영역(FR_1)이 구부러지거나 접히게 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R2) 및 제1 비폴딩 영역(NFR1)은 각각 상기 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제3 비폴딩 영역(NFR3)과 중첩하거나 대항할 수 있다.
도 4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4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도 47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31)은 광 제공부(200), 광 제공부(200)와 대향하는 광 변환부(300), 광 제공부(200)와 광 변환부(300) 사이에 개재된 충진재(70) 및 광 제공부(200)와 광 변환부(300)의 테두리에서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실링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50)는 광 제공부(200)와 광 변환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 제공부(2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소자와 회로들, 예컨대 스위칭 소자 등과 같은 화소 회로, 및 유기 발광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제공부(200)는 표시 기판일 수 있다.
광 변환부(300)는 광 제공부(200)의 상부에 위치하고, 광 제공부(200)와 대향한다. 광 변환부(300)는 상기한 표시 기판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일 수 있다. 나아가, 광 변환부(300)는 광 제공부(200)에서 제공된 광(입사광)의 색을 변환하는 색변환 패턴을 포함하는 색변환 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링 부재(50)는 에폭시계 레진 등과 같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진재(70)는 광 제공부(200), 광 변환부(300) 및 실링 부재(5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재(70)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완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진재(70)는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70)는 실리콘계 유기 물질, 에폭시계 유기 물질, 아크릴계 유기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표시 모듈(100_31)의 광 제공부(200)는 폴딩 영역(FR)에 분리 영역(SPR)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제공부(200)는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지는 가요성 기판과 상기 가요성 기판 하부에 배치되고 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판은 상기 가요성 기판을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상부 구조들을 형성할 때, 상기 가요성 기판이 구부러지거나 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 기판은 상기 가요성 기판 대비 연신율이 낮아 표시 장치의 폴딩 시 벤딩 스트레스를 유발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31)의 광 제공부(200)는 상기 지지 기판 사이에 분리 영역(SPR)을 마련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폴딩 시 상기 지지 기판으로 인해 발생가능한 벤딩 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화소는 제1 색의 광(예컨대, 약 610nm 내지 약 65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제1 화소(PX1), 제2 색의 광(예컨대,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광)을 출사하는 제2 화소(PX2) 및 제3 색의 광(예컨대, 약 430nm 내지 약 47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광)을 출사하는 제3 화소(PX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는 행렬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각 화소(PX1, PX2, PX3)는 스트라이프 타입이나 펜타일 타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 화소(PX1, PX2, PX3)는 출광 영역(PA1, PA2, PA3) 및 비출광 영역(PB)을 포함할 수 있다. 출광 영역(PA1, PA2, PA3)은 표시면을 통해 빛이 출사되는 영역으로 정의되고, 비출광 영역(PB)은 표시면을 통해 빛이 출사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비출광 영역(PB)은 출광 영역(PA1, PA2, PA3)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출광 영역(PA1, PA2, PA3)과 비출광 영역(PB)의 구분은 후술하는 차광 부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각 화소(PX1, PX2, PX3)에서 출사하는 빛의 파장은 발광 영역(LA1, LA2, LA3)에서 발광하는 빛뿐만 아니라, 그에 중첩하도록 배치된 파장 변환층이나 컬러 필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는 모두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예컨대, 청색광)을 발광하되, 해당 화소에 배치된 파장 변환층 및/또는 컬러 필터에 의해 해당 화소의 출사 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배치되어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발광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지만 발광을 하지 않도록 제어된 더미 발광 영역을 포함하거나, 발광 영역을 포함하되 차광 부재를 통해 표시 방향으로의 광 출사가 차단되어 있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에는 상술한 실링 부재(50)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50)는 표시 장치의 양 장변 및 양 단변이 포함하는 테두리 부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광 제공부(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광 제공부(200)는 제1 기판부(210), 스위칭 소자들(T1, T2, T3), 절연막(250), 뱅크층(260), 유기 발광 소자들(ED1, ED2, ED3), 박막 봉지층(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부(210)는 제1 가요성 기판(230)과 제1 가요성 기판(230)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 기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기판(2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요성 기판(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고, 지지 기판(2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기판(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인 바, 중복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기판부(210) 상에는 각 화소(PX1, PX2, PX3)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들(T1, T2, T3)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기판부(210) 상에는 각 스위칭 소자(T1, T2, T3)에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들(예컨대,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전원 배선 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들(T1, T2, T3) 상에는 절연막(250)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막(250)은 유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연막(250)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막(250) 상에는 각 화소(PX1, PX2, PX3)별로 화소 전극(AE1, AE2, AE3)이 배치될 수 있다. 각 화소 전극(AE1, AE2, AE3)은 절연막(250)을 관통하는 비아홀을 통해 스위칭 소자(T1, T2, T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AE1, AE2, AE3)은 유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 화소 전극(AE1, AE2, AE3)은 정공 주입이 용이한 일함수가 높은 물질, 예컨대,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Zinc~Oxide: IZO), 산화아연(Zinc Oxide: ZnO), 산화인듐(Induim Oxide: In2O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전면 발광형 표시 장치인 경우, 화소 전극(AE1, AE2, AE3)은 반사성 금속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성 금속층은 예컨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납(Pd), 금(Au), 니켈(Ni), 네오듐(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화소 전극(AE1, AE2, AE3)은 ITO/Ag, ITO/MgF등의 2층 구조 또는 ITO/Ag/ITO와 같은 다층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화소 전극(AE1, AE2, AE3) 상에는 뱅크층(260)이 위치할 수 있다. 뱅크층(260)은 화소(PX1, PX2, PX3)의 경계를 따라 배치된다. 뱅크층(260)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화소 전극(AE1, AE2, AE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뱅크층(26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뱅크층(260)의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화소 전극(AE1, AE2, AE3) 상에는 유기층(OL)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OL)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화소 전극(AE1) 상에 배치되는 제1 정공 수송층,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층, 상기 제1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전자 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층(OL)은 하나의 제1 발광층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발광층은 청색광(L1)을 발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층(OL)은 적층된 복수의 발광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층(OL)은 상기 제1 발광층 상에 청색광(L1)을 발광하는 제2 발광층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제1 발광층과 상기 제2 발광층 사이에는 전하 생성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하 생성층은 인접 발광층에 전하를 주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발광층과 상기 제2 발광층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발광층은 청색광을 발광하는 반면, 상기 제2 발광층은 녹색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층(OL)은 상기 제2 발광층 상에 청색을 발광하는 제3 발광층이 더 배치되고, 이 경우 상기 제2 발광층과 상기 제3 발광층 사이에는 마찬가지로 전하 생성층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발광층, 상기 제2 발광층, 및 상기 제3 발광층의 발광 색상이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발광층이 청색 또는 녹색을 발광하거나, 각 발광층이 적색, 녹색, 청색을 발광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화이트 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제1 화소 전극(AE1) 상의 유기층(OL), 제2 화소 전극(AE2) 상의 유기층(OL) 및 제3 화소 전극(AE3) 상의 유기층(OL)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AE1) 상의 유기층(OL), 제2 화소 전극(AE2) 상의 유기층(OL) 및 제3 화소 전극(AE3) 상의 유기층(OL)이 서로 연결되더라도 각 화소 전극(AE1, AE2, AE3)과 접촉하는 영역의 유기층만 발광할 수 있다. 유기층(OL)이 화소별로 구분되지 않고 공통으로 형성되면, 동시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화소 전극(AE1, AE2, AE3)마다 상기 발광층이 분리된 유기층(OL)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로 분리된 상기 발광층들과 달리 상기 정공 수송층 및/또는 상기 전자 수송층은 공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층(OL) 상에는 공통 전극(CE)이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유기 발광 소자의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전자 주입이 용이한 일함수가 낮은 물질, 예컨대 Li, Ca, LiF/Ca, LiF/Al, Al, Mg, Ag, Pt, Pd, Ni, Au Nd, Ir, Cr, BaF, Ba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전면 발광형 표시 장치인 경우, 공통 전극(CE)은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일함수가 낮은 물질의 두께를 수십 내지 수백 옹스트롬 정도로 얇게 형성하는 경우, 공통 전극(CE)은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일함수가 낮은 금속 박막을 사용하는 경우, 투과성을 확보하면서 저항을 낮추기 위해, 공통 전극(CE)은 상기 금속 박막 상에 적층된 WxOx(tungsten oxide), TiO2(Titanium oxid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MgO(magnesium oxide)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화소 전극(AE1), 유기층(OL) 및 공통 전극(CE)은 제1 유기 발광 소자(ED1)를 이루고, 제2 화소 전극(AE2), 유기층(OL) 및 공통 전극(CE)은 제2 유기 발광 소자(ED2)를 이루고, 제3 화소 전극(AE3), 유기층(OL) 및 공통 전극(CE)은 제3 유기 발광 소자(ED3)를 이룰 수 있다.
박막 봉지층(270)은 공통 전극(C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270)은 외부로부터 불순물 또는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 발광 소자(ED1, ED2, ED3) 상부에 배치되어 광 제공부(200)를 밀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270)은 하부에 배치된 공통 전극(CE)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ED1, ED2, ED3)를 덮을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제1 기판부(210) 및 박막 봉지층(270)에 의해 둘러싸여 밀봉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270)은 공통 전극(CE)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봉지 무기막(271), 봉지 유기막(272) 및 제2 봉지 무기막(2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광 변환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광 변환부(300)는 제2 기판부(310), 차광 부재(320), 컬러 필터(331, 332, 333), 광 변환 패턴(351, 352, 353), 복수의 적층된 캡핑층(340: 341, 343, 344, 345, 3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부(310)는 제1 기판부(210)와 대향한다. 제2 기판부(310)는 폴리 이미드 등의 플렉시블한 물질을 포함하는 가요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기판부(310)는 제1 기판부(210)의 지지 기판(220)과 마찬가지로 유리 또는 석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판부(310)의 광 제공부(200)를 향하는 방향(도 4의 하측 방향) 일면 상에는 차광 부재(320)가 배치될 수 있다. 차광 부재(320)는 출광 영역(PA1, PA2, PA3)의 경계, 즉 비출광 영역(PB)에 배치되어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차광 부재(320)는 각 화소(PX1, PX2, PX3)간 빛의 혼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차광 부재(320)는 출광 영역(PA)과 마찬가지로 평면상 격자 형태으로 배열될 수 있다. 차광 부재(320)는 광 변환부(300)의 뱅크층(260)과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할 수 있다. 차광 부재(320)는 유기물, 크롬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 또는 카본 블랙(Carbon black)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판부(310)의 일면 상에는 컬러 필터(330)가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330)는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331~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331~333)는 특정 파장의 빛은 흡수하고, 다른 특정 파장의 빛은 투과시키는 흡수형 필터일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331)는 제1 출광 영역(PA1)에 배치되고, 제2 컬러 필터(332)는 제2 출광 영역(PA2)에 배치되며, 제3 컬러 필터(333)는 제3 출광 영역(PA3)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컬러 필터(330)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인접한 차광 부재(320)의 일면 상에도 일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331)는 제1 파장 변환 패턴(351)에서 출사된 청색광(L1) 및 적색광(L2) 중 청색광(L1)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즉, 제1 컬러 필터(331)는 청색광을 차단하는 청색광 차단 필터로 기능하며, 적색광(L2)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적색광 투과 필터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331)는 적색의 색제(red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컬러 필터(332)는 제2 파장 변환 패턴(352)에서 출사된 청색광(L1) 및 녹색광(L3) 중 청색광(L1)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즉, 제2 컬러 필터(332)는 청색광을 차단하는 청색광 차단 필터로 기능하며, 녹색광(L3)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녹색광 투과 필터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컬러 필터(332)는 녹색의 색제(red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333)는 광 투과 패턴(353)에서 출사된 청색광(L4)을 투과시키는 청색광 투과 필터로 기능할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333)는 청색의 색제(blue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각 컬러 필터(331, 332, 333)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컬러 필터(331)는 적색광 투과 필터로 기능하므로, 적색광을 제한 나머지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컬러 필터(332)는 녹색광 투과 필터로 기능하므로, 녹색광을 제한 나머지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3 컬러 필터(333)는 청색광 투과 필터로 기능하므로, 청색광을 제한 나머지 외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331~333)는 외광에 의한 반사를 개선할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331), 제2 컬러 필터(332) 및 제3 컬러 필터(333) 상에는 제1 캡핑층(34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캡핑층(341)은 컬러 필터(331, 332, 333)의 전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1 캡핑층(341)은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공기 등의 불순물이 침투하여 제1 컬러 필터(331), 제2 컬러 필터(332) 및 제3 컬러 필터(333) 등을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캡핑층(341)은 제1 컬러 필터(331), 제2 컬러 필터(332) 및 제3 컬러 필터(333)에 포함된 색제가 다른 구성, 예컨대 제1 컬러 필터(331), 제2 컬러 필터(332) 및 제3 컬러 필터(333)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확산 및/또는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41)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핑층(341)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캡핑층(341) 상에는 광 변환 패턴(350)이 배치될 수 있다. 광 변환 패턴(350)은 제1 파장 변환 패턴(351), 제2 파장 변환 패턴(352) 및 광 투과 패턴(3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광 영역(PA1)에는 제1 파장 변환 패턴(35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51)은 제1 출광 영역(PA1) 내에 배치되고 제2 출광 영역(PA2) 및 제3 출광 영역(PA3)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51)은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의 광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켜 출사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51)은 청색광(L1)을 적색광(L2)으로 변환하여 출사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51)은 제1 베이스 수지(3511) 및 제1 베이스 수지(3511) 내에 분산된 제1 파장 시프터(35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베이스 수지(3511) 내에 분산된 제1 산란체(3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3511)는 광 투과율이 높고, 제1 파장 시프터(3512) 및 제1 산란체(3513)에 대한 분산 특성이 우수한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수지(3511)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카도계 수지 또는 이미드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3512)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킬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3512)의 예로는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점은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전이하면서 특정한 색을 방출하는 입자상 물질일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LA1)으로부터 제공된 청색광(L1) 중 일부는 제1 파장 시프터(3512)에 의해 적색광(L2)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1 파장 변환 패턴(351)을 투과하여 방출될 수 있다. 청색광(L1) 중 제1 파장 변환 패턴(351)에 의해 변환되지 않고 제1 컬러 필터(331)에 입사한 광은, 제1 컬러 필터(33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반면, 청색광(L1) 중 제1 파장 변환 패턴(351)에 의해 변환된 적색광(L2)은 제1 컬러 필터(331)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제1 산란체(3513)는 제1 베이스 수지(351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1 베이스 수지(351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351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제1 산란체(3513)는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입자 또는 유기 입자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로는 산화 티타늄(TiO2), 산화 규소(SiO2)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인듐(In2O3), 산화 아연(ZnO) 또는 산화 주석(SnO2)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유기입자의 재료로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2 출광 영역(PA2)에는 제2 파장 변환 패턴(35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2)은 제2 출광 영역(PA2) 내에 배치되고 제1 출광 영역(PA1) 및 제3 출광 영역(PA3)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2)은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의 광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켜 출사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2)은 청색광(L1)을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인 녹색광(L3)으로 변환하여 출사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2)은 제2 베이스 수지(3521) 및 제2 베이스 수지(3521) 내에 분산된 제2 파장 시프터(35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베이스 수지(3521) 내에 분산된 제2 산란체(35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수지(3521)는 제1 베이스 수지(351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베이스 수지(3511)의 구성 물질로 예시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3522)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킬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3522)는 430nm 내지 47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광(L1)을 510nm 내지 55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광(L3)으로 변환할 수 있다. 청색광(L1) 중 일부는 제2 파장 시프터(3522)에 의해 녹색광(L3)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1 파장 변환 패턴(351)을 투과하여 방출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컬러 필터(332)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반면, 청색광(L1)중 제2 파장 변환 패턴(352)에 의해 변환된 녹색광(L3)은 제2 컬러 필터(332)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제2 파장 시프터(3522)의 예로는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3522)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제1파장 시프터(3433)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제1 파장 시프터(3512) 및 제2 파장 시프터(3522)는 모두 양자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파장 시프터(3512)를 이루는 양자점의 직경은 제2 파장 시프터(3522)를 이루는 양자점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2 산란체(3523)는 제2 베이스 수지(352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2 베이스 수지(352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산란체(352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이외 제2 산란체(3523)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제1 산란체(3513)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제3 출광 영역(PA3)에는 광 투과 패턴(353)이 배치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53)은 제3 출광 영역(PA3) 내에 배치되고 제1 출광 영역(PA1) 및 제2 출광 영역(PA2)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53)은 입사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 패턴(353)은 광 투과 패턴(353)에 제공된 청색광(L1)을 그대로 투과시킬 수 있다. 다만, 광 투과 패턴(353)은 제3 산란체(3533)를 포함하여 제공된 청색광(L1)을 임의의 방향으로 무작위 산란시킬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53)은 제3 베이스 수지(3531) 및 제3 베이스 수지(3531) 내에 분산된 제3 산란체(3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베이스 수지(3531)는 제1베이스 수지(345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베이스 수지(3451)의 구성 물질로 예시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산란체(3533)는 제3 베이스 수지(353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고 제3 베이스 수지(353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산란체(3533)는 광 산란 입자일 수 있다. 이외 제3 산란체(3533)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제1 산란체(3513)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제3 발광 소자(ED3)에서 제공된 청색광(L1)은 광 투과 패턴(353)을 투과하여 제3 화소(PX3)에서 청색광(L4)이 출사될 수 있다.
광 변환 패턴(350) 상에는 제2 캡핑층(34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43)은 광 변환 패턴(350)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43)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43)은 제1 캡핑층(34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캡핑층(341)의 설명에서 언급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43) 상에는 층간 유기층(344)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유기층(344)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평탄화층일 수 있다.
제3 캡핑층(345)은 층간 유기층(344)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캡핑층(345)은 산화규소, 질화규소, 산화질화규소 등의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 부재(50)는 광 제공부(200)의 박막 봉지층(270)과 광 변환부(300)의 제3 캡핑층(34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0_31)에서, 충진재(70)는 지지 기판(220)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충진재(70)는 지지 기판(220)보다 볼록하게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충진재(70)는 도 49에서는 하나의 층으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몇몇 실시예에서 동일 재료를 갖는 두 개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서도 다른 재료를 갖는 두 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구체적인 단면도이다.
도 5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은 충진재(70)가 생략된다는 점에서 도 49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장 변환 패턴(351_1, 352_1, 353_1)은 캡핑층(3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캡핑층(340)은 도 49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파장 변환 패턴(350_1) 상에는 층간 절연층(360)이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360)은 파장 변환 패턴(350_1) 상에 배치되어,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36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360) 상에는 차광 부재(320)가 배치될 수 있다. 차광 부재(320)는 비출광 영역(P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 부재(320), 및 층간 절연층(360) 상에는 컬러 필터(330_1:331_1, 332_1, 333_1)가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0: 표시 모듈
400: 상부 커버 부재
600: 윈도우

Claims (34)

  1.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된 폴딩 영역이 정의된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봉지 부재; 및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영역과 대응되는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영역과 대응되는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유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제1 두께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제2 두께는 동일한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분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분리 영역은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영역의 폭은 상기 폴딩 영역의 폭과 동일한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폴딩 시에, 상기 가요성 기판의 상기 폴딩 영역은 벤딩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측과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일측은 상기 가요성 기판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가요성 기판을 바라보는 하면,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 상기 하면과 연결된 측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배치된 연마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마면은 예각의 기울기를 갖는 표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하부의 상기 분리 영역에 배치된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내측면과 각각 접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하면,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하면을 완전히 덮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블랙 계열의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굴절률과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굴절률 차이는 0.2 이내인 표시 장치.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제1 굴절율을 갖고 상기 보강 부재는 제2 굴절률을 갖되, 상기 제1 굴절률과 상기 제2 굴절률의 차이는 0.2이내인 표시 장치.
  14.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제3 두께는 상기 제1 두께와 동일한 표시 장치.
  1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영역의 폭은 상기 폴딩 영역의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가요성 기판과의 제1 결합력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가요성 기판과의 제2 결합력보다 작은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폴딩 시에, 상기 가요성 기판의 상기 폴딩 영역은 벤딩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측과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일측은 상기 가요성 기판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가요성 기판측과 마주하는 하면,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 상기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직교하는 측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 및/또는 상기 하면과 상기 측면 사이에 배치된 연마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마면은 예각의 기울기를 갖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가요성 기판을 바라보는 하면, 상기 하면과 대향하는 상면, 및 상기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직교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곡면 형상의 연마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가요성 기판에 직접 배치된 표시 장치.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블랙 계열의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바라보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면은 상부에 위치하고 제1 거칠기를 갖는 제1 내측면과 상기 제1 내측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거칠기보다 큰 제2 거칠기를 갖는 제2 내측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바라보는 내측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에지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버(burr) 형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에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의 경계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만입 형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에는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한 제3 영역,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1 폴딩 영역이 더 정의되고,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하부에 더 배치된 제3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 부재는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은 모두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상기 발광 소자가 배치된 발광 소자층, 상기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된 상기 봉지 부재,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상부 커버 부재, 및 상기 상부 커버 부재 상에 배치된 윈도우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 부재는 상기 봉지 부재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8.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된 폴딩 영역이 정의된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분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어 배치되며,
    상기 분리 영역과 대응되어 상기 분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각각 유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내측면과 각각 접하는 표시 장치.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표시 장치.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하면,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하면을 완전히 덮는 표시 장치.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블랙 계열의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굴절률과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굴절률 차이는 0.2 이내인 표시 장치.
KR1020190097979A 2019-08-12 2019-08-12 표시 장치 KR20210019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79A KR20210019617A (ko) 2019-08-12 2019-08-12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79A KR20210019617A (ko) 2019-08-12 2019-08-12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617A true KR20210019617A (ko) 2021-02-23

Family

ID=7468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979A KR20210019617A (ko) 2019-08-12 2019-08-1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96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647A1 (ko) * 2022-10-20 2024-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647A1 (ko) * 2022-10-20 2024-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357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bank structure for enhanced image quality and head mounted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043916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2553875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046222A (ko) 표시 장치
US11257895B2 (en) Display panel comprising a sealing member, a first conductive line, and a second conductive line
KR20200138557A (ko) 표시 장치
KR20210016233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022926A (ko) 표시 장치
KR20220012455A (ko) 표시 장치
KR20210093420A (ko) 표시 장치
KR20210116803A (ko) 표시 장치
US20220293670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06606A (ko) 표시 장치
KR20210010053A (ko) 발광 표시 장치
KR20230025562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
CN113394248A (zh) 显示设备
KR20210019617A (ko) 표시 장치
KR20210102562A (ko) 표시 장치
US20220231110A1 (en) Display device
CN114582929A (zh) 显示装置
KR20220095312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KR20220063774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1382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4361362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230275188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