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22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222A
KR20200046222A KR1020180126864A KR20180126864A KR20200046222A KR 20200046222 A KR20200046222 A KR 20200046222A KR 1020180126864 A KR1020180126864 A KR 1020180126864A KR 20180126864 A KR20180126864 A KR 20180126864A KR 20200046222 A KR20200046222 A KR 20200046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aling member
display
display devi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민
고재경
김동조
김영민
박찬영
한동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6222A/ko
Priority to US16/549,691 priority patent/US11099418B2/en
Priority to EP19204061.6A priority patent/EP3644387B1/en
Priority to TW108137886A priority patent/TWI833824B/zh
Priority to CN201911009924.7A priority patent/CN111092165A/zh
Publication of KR2020004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222A/ko
Priority to US17/409,677 priority patent/US1171997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01L51/5284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H01L27/32
    • H01L51/5237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판과, 기판의 투과영역의 일부를 둘러싸는 실링부재와,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들과,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기판과 마주보는 봉지기판과, 기판 및 봉지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투명물질층, 및 봉지기판 상에 배치되며 실링부재와 대응하는 차광부를 구비하되 차광부의 폭은 실링부재의 폭 보다 큰,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표시 장치는 그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두께가 얇아지고 무게가 가벼워 그 사용의 범위가 광범위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표시 장치 중 표시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을 확대하면서, 표시 장치에 접목 또는 연계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표시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을 확대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표시영역의 일부 영역에 투과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투과영역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판; 상기 기판의 투과영역의 일부를 둘러싸는 실링부재; 상기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들;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마주보는 봉지기판;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투명물질층; 및 상기 봉지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와 대응하는 차광부를 구비하되, 상기 차광부의 폭은 상기 실링부재의 폭 보다 큰,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상기 차광부는, 상기 투과영역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물질층의 측면은, 상기 투과영역에 인접한 상기 기판의 에지와 상기 봉지기판의 에지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에지와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실링부재의 제1부분의 외측면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투과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실링부재의 제2부분의 외측면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에지에 대응하는 상기 기판의 측면, 상기 봉지기판의 에지에 대응하는 상기 봉지기판의 측면은 각각 볼록면을 가지며,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외측면은, 상기 볼록면들과 연속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투과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전원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전원라인과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물질층은 상기 봉지기판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투명물질층 사이에 개재되는 무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투명물질층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들은, 상기 투과영역을 지나는 가상의 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투과영역을 가운데 두고 상호 이격된 제1화소 및 제2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반사방지 부재 또는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 내에 투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들 각각은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판; 상기 기판의 투과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실링부재; 상기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열된 복수의 화소들;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마주보는 봉지기판;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투명물질층; 및 상기 봉지기판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기판의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투과영역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투과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로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물질층은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2부분과 마주보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의 반대인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물질층의 외측면은 상기 기판의 에지와 상기 봉지기판의 에지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차광부는,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2부분과 중첩하는 제1서브-차광부, 및 상기 제1서브-차광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서브-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서브-차광부와 상기 제2서브-차광부는 연결되어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차광부는 상기 실링부재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1부분의 외측면은,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2부분의 외측면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에지에 대응하는 상기 기판의 측면, 상기 봉지기판의 에지에 대응하는 상기 봉지기판의 측면은 각각 볼록면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1부분의 외측면은, 상기 볼록면들과 연속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과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전원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전원라인과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봉지기판은 각각, 상기 투명물질층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반사방지 부재, 및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된 투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들은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거나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투과영역 및 상기 투과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표시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표시요소들; 상기 표시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부재; 상기 봉지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투과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투과부, 및 상기 투과부를 둘러싸는 차광부를 갖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재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반사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반사방지 부재는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하며,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재는, 상기 표시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마주하는 봉지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투과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투명물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에지와 상기 표시영역의 에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실링부재의 제1부분의 외측면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투과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실링부재의 제2부분의 외측면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투과영역의 투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표시 패널에 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하지 않으면서 투과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투과영역 주변의 구성요소들이 손상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의 II- II'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V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d는 도 5c의 변형 실시예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5c의 VI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 패널 상에 윈도우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로서 제2비표시영역에 구비된 배선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0의 XIII부분을 발췌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빛을 방출하는 표시영역(DA)과 빛을 방출하지 않는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는 표시영역(DA)에 배치된 화소들에서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여 소정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영역(DA)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표시영역(DA)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투과영역(TA)을 포함한다. 투과영역(TA)은 빛이 투과하는 영역으로, 카메라나 센서 등과 같은 컴포넌트가 배치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표시 장치(1)의 투과영역(TA)은 예컨대, 약 9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둘러싼다. 비표시영역(NDA)의 일부는 표시영역(DA)과 투과영역(TA) 사이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표시영역(NDA) 중 표시영역(DA)과 투과영역(TA) 사이의 영역을 제2비표시영역(NDA2)이라 하고, 나머지 영역을 제1비표시영역(NDA1)이라 한다. 제1비표시영역(NDA1)은 표시 장치(1)의 에지를 따라 연장되며, 제2비표시영역(NDA2)은 제1비표시영역(NDA1)에 연결되며 투과영역(TA)의 일부를 둘러싼다. 투과영역(TA)은 제1비표시영역(NDA1)의 일부와 제2비표시영역(NDA2)에 의해 전체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무기 EL 표시 장치(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퀀텀닷 발광 표시 장치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의 II- II'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 입력감지 부재(20), 및 반사방지 부재(30), 및 윈도우(4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이미지를 생성한다. 표시 패널(10)은 표시영역(DA)에 배치된 화소들을 포함한다. 화소들은 표시요소 및 이와 연결된 화소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 부재(20)는 외부의 입력, 예컨대 터치 이벤트에 따른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입력감지 부재(20)는 감지전극(sensing electrode 또는 touch electrode) 및 감지전극과 연결된 신호라인(trace lin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 부재(20)는 표시 패널(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입력감지 부재(20)는 반사방지 부재(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감지 부재(20)를 형성하는 공정은 표시 패널(10)을 형성하는 공정 이후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2a,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과 입력감지 부재(20) 사이에 접착부재가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입력감지 부재(20)를 형성하는 공정은 표시 패널(10)을 형성하는 공정과 별도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감지 부재(20)와 표시 패널(10) 사이에는 접착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도 2b는 접착부재로서,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반사방지 부재(30)는 윈도우(40)를 통해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10)을 향해 입사하는 빛(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반사방지 부재(30)는 입력감지 부재(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반사방지 부재(30)는 입력감지 부재(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반사방지 부재(30)는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λ/2 위상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 자체 또는 보호필름이 반사방지 부재(30)의 베이스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반사방지 부재(30)는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은 표시 패널(10)의 화소들 각각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상을 고려하여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반사방지 부재(30)는 상쇄간섭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쇄간섭 구조물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제1 반사층과 제2 반사층을 포함할 있다. 제1 반사층 및 제2 반사층에서 각각 반사된 제1 반사광과 제2 반사광은 상쇄 간섭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광 반사율이 감소될 수 있다.
윈도우(40)는 표시영역(DA)에 대응하는 제1투과부(41A) 및 투과영역(TA)에 대응하는 제2투과부(41B)를 포함한다. 윈도우(40)는 비표시영역(NDA)에 대응하는 차광부를 포함한다. 윈도우(40)는 제1비표시영역(NDA1)에 대응하는 제1차광부(42A) 및 제2비표시영역(NDA2)에 대응하는 제2차광부(42B)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40)는 도 2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성 베이스층(TPL) 및 차광 패턴층(LBL)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40)의 제1 및 제2차광부(42A, 42B)는 투광성 베이스층(TPL)에 중첩된 차광 패턴층(LBL)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제1 및 제2투과부(41A, 41B)는 투광성 베이스층(TPL) 중 차광 패턴층(LBL)이 중첩되지 않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투광성 베이스층(TPL)은 유리 기판 및/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 층이거나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투광성 베이스층(TPL)은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 베이스층(TPL)은 접착부재로 결합된 2 이상의 필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패턴층(LBL)은 유색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4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그 아래의 구성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윈도우(40)는 그 아래의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됨으로써 접착부재 없이 그 아래의 구성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일부 구성요소(들)은 투과영역(TA)에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방지 부재(30)는 투과영역(TA)에 대응하는 개구(30H)를 포함할 수 있고, 투명 접착부재(OCA)도 투과영역(TA)에 대응하는 개구(OCA-H)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반사방지 부재(30)의 위와 아래, 그리고 입력감지 부재(20)의 위와 아래에 배치된 투명 접착부재(OCA)들 각각에 개구(OCA-H)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투명 접착부재(OCA)들 중 일부는 개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반사방지 부재(30) 및 투명 접착부재(OCA)의 개구(30H, OCA-H) 내에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층(50)이 구비될 수 있다. 투명층(50)은 레진 등과 같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투명한 물질일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과 윈도우(40) 사이의 구성요소로서 입력감지 부재(20)도 개구(20H)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 부재(20), 반사방지 부재(30) 및 투명 접착부재(OCA)의 개구(20H, 30H, OCA-H)들은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개구(20H, 30H, OCA-H)들 내에는 투명층(50)이 배치될 수 있다.
투과영역(TA)은 빛이 투과하는 영역으로서, 표시 장치(1)의 기능 향상을 위한, 또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컴포넌트(CMP)를 위한 영역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투과영역(TA)은 빛을 이용하는 컴포넌트(CMP)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a 내지 도 2c에는 컴포넌트(CMP)가 기판(100)의 아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컴포넌트(CMP)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카메라, 거리나 지문 등을 인식하는 광 센서 등과 같은 전자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1)의 표시영역(DA), 투과영역(TA), 그리고 제1 및 제2비표시영역(NDA1, NDA2)은 표시 패널(10)의 영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10)이 표시영역(DA), 투과영역(TA), 그리고 제1 및 제2비표시영역(NDA1, NDA2)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표시영역(DA), 투과영역(TA), 그리고 제1 및 제2비표시영역(NDA1, NDA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표시영역(DA)에 배열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각 화소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와 같은 표시요소를 포함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 각각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투과영역(TA)을 포함하며, 투과영역(TA)에는 표시영역(DA)과 달리 화소가 배치되지 않는다. 투과영역(TA)은 빛이 투과하는 영역으로서, 빛은 표시 패널(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통과할 수 있다. 투과영역(TA)은 표시영역(DA)의 일측에 배치되며, 표시영역(DA)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표시영역(DA) 및 투과영역(TA)은 각각 비표시영역으로 둘러싸인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표시영역 중 표시 패널(10)의 에지를 따라 연장된 영역을 제1비표시영역(NDA1)이라 하고, 표시영역(DA)과 투과영역(TA) 사이의 영역을 제2비표시영역(NDA2)이라 할 수 있다. 투과영역(TA)의 상측은 제1비표시영역(NDA1)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투과영역(TA)의 하측은 제2비표시영역(NDA2)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비표시영역(NDA1, NDA2)은 서로 연결된다. 도 3에서는 투과영역(TA)이 표시영역(DA)의 상측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투과영역(TA)은 표시영역(DA)의 좌측, 우측, 또는/및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개수도 2개 이상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윈도우(40)는 차광부와 투과부를 포함한다. 윈도우(40)의 제1투과부(41A)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의 표시영역(DA)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투과부(41B)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의 투과영역(TA)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40)의 차광부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의 제1 및 제2비표시영역(NDA1, NDA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40)의 제1차광부(42A)는 제1비표시영역(NDA1)에 대응하고, 제2차광부(42B)는 제2비표시영역(NDA2)에 대응한다. 윈도우(40)의 제1차광부(42A)는 표시 패널(10, 도 3 참조)의 제1비표시영역(NDA1)에 중첩하고, 제2차광부(42B)는 제2비표시영역(NDA2)에 중첩할 수 있다.
윈도우(40)의 제1차광부(42A)는 윈도우(40)의 에지를 따라 연장되며, 제2차광부(42B)는 제1차광부(42A)와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차광부(42B)는 제2투과부(41B)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제2투과부(41B)는 제1차광부(42A)의 일부 및 제2차광부(42B)에 의해 전체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로서, 도 3의 Va- Va'선에 따른 단면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5b는 도 5a의 V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5d는 도 5c의 변형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5c 및 도 5d는 도 3의 Vc- Vc'선에 따른 단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기판(100)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글래스재, 강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제1내면(101)과 제1외면(102)을 갖는다. 제1외면(102)은 기판(100)이 봉지기판(300)과 접합된 후 외부에 위치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면에 해당한다. 기판(100)의 측면은 이러한 제1내면(101)과 제1외면(102)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표시요소부(200)가 배치된다. 표시요소부(20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영역(DA)에 배치된다. 표시요소부(200)는 표시요소를 포함하며, 표시요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거나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요소부(200)는 표시요소 외에 박막트랜지스터 및/또는 커패시터(예, 스토리지 커패시터) 등과 같은 전자요소들도 포함할 수 있다.
봉지기판(300)은 글래스재, 강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기판(300)은 제2내면(301)과 제2외면(302)을 갖는다. 봉지기판(300)의 제2내면(301)은 기판(100)의 제1내면(101)과 마주본다.
기판(100)과 봉지기판(300) 사이에는 실링부재(350)가 위치한다. 실링부재(350)는 표시요소부(200)를 둘러싸도록 기판(100)의 제1내면(101)과 봉지기판(300)의 제2내면(301) 사이에 위치하며, 기판(100)과 봉지기판(300)을 접합한다. 실링부재(350)는 도 3에 도시된 평면 상에서 제1비표시영역(NDA1) 및 제2비표시영역(NDA2)에 위치하되, 제1비표시영역(NDA1)에 위치하는 부분과 제2비표시영역(NDA2)에 위치하는 부분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비표시영역(NDA1)에 위치하는 실링부재(350)의 부분은 표시 패널(10)의 측면을 이루며 기판(100)과 봉지기판(300) 사이에서 외측을 향하지만, 제2비표시영역(NDA2)에 위치하는 실링부재(350)의 부분은 기판(100)과 봉지기판(300) 사이에서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실링부재(350)는 일 실시예로 200~800um의 폭에 2~1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링부재(350)로는 예컨대 프릿(fri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프릿은 유리원료가 되는 글라스 재질의 부재로서, 레이저빔 노광 이후 경화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릿은 V2O5 15~40wt%, TeO2 10~30wt%, P2O5 1~15wt%, BaO 1~15wt%, ZnO 1~20wt%, ZrO2 5~30wt%, WO3 5~20wt%, BaO 1~15wt%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Fe2O3, CuO, MnO, Al2O3, Na2O, Nb2O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첨가제로 함유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실링부재(350)는 에폭시와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기판(100)은, 제1외면(102)에서 제1내면(101)으로의 방향(+y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한 제1일정부분(CR1), 및 폭이 증가하는 제1증가부분(IR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폭이라 함은 도 5a 및 도 5b에서 x축 방향으로의 길이로 이해될 수 있다.
기판(100)의 측면은, 제1외면(102)에 인접한 부분으로서 제1외면(102)에 대략 수직인 제1일정측면(100b), 및 제1일정측면(110b)에서 기판(100)의 제1내면(101)으로의 방향(+y 방향)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볼록한 제1증가측면(100a)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일정측면(100b)은 기판(100)의 제1일정부분(CR1)의 측면을 의미한다.
봉지기판(300)은, 제2외면(302)에서 제2내면(301) 방향(-y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한 제2일정부분(CR2)과 폭이 증가하는 제2증가부분(IR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폭이라 함은 도 5a 및 도 5b에서 x축 방향으로의 길이로 이해될 수 있다.
봉지기판(300)의 측면은, 제2외면(302)에 인접한 부분으로서 제2외면(302)에 대략 수직인 제2일정측면(300b)과, 제2일정측면(300b)에서 봉지기판(300)의 제2내면(301) 방향(-y 방향)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볼록한 제2증가측면(300a)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일정측면(120b)은 제2기판(120)의 제2일정부분(CR2)의 측면을 의미한다.
표시 패널(1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패널(10)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측면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경우, 측면이 기판(100)의 제1외면(102)이나 봉지기판(300)의 제2외면(302)에 수직인 평평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 비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손상될 확률이 현저하게 낮아질 수 있다. 이는 측면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기에 마치 아치 구조물과 같은 효과가 발휘되어 내충격성, 특히 측면 충격에 대한 강도가 향상되는 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이 우수한 표시 패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기판(100)의 (+y 방향으로의) 두께에 있어서, 제1일정부분(CR1)이 차지하는 부분보다 제1증가부분(IR1)이 차지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게 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00)의 (+y 방향으로의) 두께에 있어서 제1일정부분(CR1)이 차지하는 부분은 제1증가부분(IR1)이 차지하는 부분의 1/2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봉지기판(300)의 (+y 방향으로의) 두께에 있어서 제2일정부분(CR2)이 차지하는 부분은 제2증가부분(IR2)이 차지하는 부분의 1/2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기판(100)과 봉지기판(300) 사이의 실링부재(350)의 제1외측면(350a1)은 기판(100)의 측면과 봉지기판(300)의 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실링부재(350)의 제1외측면(350a1)은 기판(100)의 제1증가측면(100a) 및 봉지기판(300)의 제2증가측면(300a)과 연속적인 면을 이룰 수 있다.
실링부재(350)의 제1외측면(350a1)은 내측면(350b)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잇다. 실링부재(350)를 이용하여 기판(100)과 봉지기판(300)을 접합하고 노광 및 커팅하는 공정 등에 의해, 제1외측면(350a1)과 내측면(350b)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링부재(350)의 내측면(350b)은 제1외측면(350a1)에 비하여 더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외측면(350a1)의 곡률 반경은 내측면(350b)의 곡률 반경 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실링부재(350)는 표시영역(DA, 또는 표시요소부 200)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기판(100)과 봉지기판(300) 사이에 배치된다. 실링부재(350)는 표시영역(DA)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되, 일부는 표시영역(DA)과 투과영역(T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c를 참조하면, 실링부재(350)는 기판(100)과 봉지기판(300) 사이에 배치되되, 일부는 기판(100)과 봉지기판(300)의 에지 (또는 측면)으로부터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실링부재(350)의 일부는 투과영역(TA)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제2비표시영역(NDA2)에 위치한다. 투과영역(TA)에는 투명물질층(400)이 배치될 수 있다.
투명물질층(400)은 투명한(광투광성)의 물질, 예컨대 레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영역(TA)에 대응하여 투명물질층(400)이 기판(100)과 봉지기판(300)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 이들 사이에 공기(air)가 개재되는 경우에 비하여 광투과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투명물질층(400)은 기판(100) 또는/및 봉지기판(300)과의 굴절률과 유사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투명물질층(400)의 굴절률은 기판(100) 또는/및 봉지기판(300)과의 굴절률(약 1.5~1.6)과 약 0.5 이하의 차이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는, 투명물질층(400)의 굴절률은 기판(100) 또는/및 봉지기판(300)과의 굴절률과 약 0.3 이하의 차이, 또는 0.2 이하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투명물질층(400)은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 및 봉지기판(30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투명물질층(400)은 실링부재(350)를 이용하여 기판(100)과 봉지기판(300)을 합착한 이후, 투명한 물질을 기판(100)과 봉지기판(300) 사이에 주입하고 이를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투명물질층(400)의 외측면(400a)은 기판(100) 및 봉지기판(300)의 외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c에는 투명물질층(400)의 외측면(400a)이 기판(100)의 제1증가측면(100a) 및 봉지기판(300)의 제2증가측면(300a)과 연속적인 것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투명물질층(400)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투명한 물질의 주입량 등에 따라, 투명물질층(400)의 외측면(400a)은 기판(100)의 제1증가측면(100a) 및 봉지기판(300)의 제2증가측면(300a)과 다른 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5d에는 투명물질층(400)의 외측면(400a)이 기판(100)의 제1증가측면(100a) 및 봉지기판(300)의 제2증가측면(300a)보다 내측에, 즉 표시요소부(200)에 가깝게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투명물질층(400)은 실링부재(35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실링부재(350) 중 제2비표시영역(NDA2)에 위치하는 부분의 제2외측면(350a2)은 투명물질층(400)의 내측면(400b)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c 및 도 5d는 투명물질층(400)의 내측면(400b)과 실링부재(350)의 제2외측면(350a2)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인 것을 도시한다. 여기서, 투명물질층(400)의 내측면(400b)은 투과영역(TA) 주변에서 제2외측면(350a2)과 마주보는 면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실링부재(350) 중 제2비표시영역(NDA2)에 위치하는 부분(이하, 제2부분이라 함)의 제2외측면(350a2)은, 실링부재(350) 중 제1비표시영역(NDA1)에 위치하는 부분(이하, 제1부분이라 함)의 제1외측면(350a1)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링부재(350) 중 제1부분의 제1외측면(350a1)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이 큰 라운드진 면(또는, 곡률이 매우 큰 경우 실질적으로 평편한 면)을 가질 수 있다. 반면, 실링부재(350) 중 제2부분의 제2외측면(350a2)은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갖는 것과 같이 그 형상이 제1외측면(350a1)과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실링부재(350) 중 제2부분의 제2외측면(350a2)은 곡면, 변곡점을 갖는 면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5c의 VI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실링부재(350)를 이용하여 기판(100) 및 봉지기판(300)을 합착하는 공정에서 실링부재(350)를 이루는 물질의 종류, 함량, 경화 조건 등에 따라, 실링부재(350)의 제2부분의 제2외측면(350a2)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후술할 도 6 a 내지 도 6d에서와 같이 기판(100) 상에 배선이나 무기절연층 등을 포함하는 구조물(WS)이 구비되는 경우, 기판(100)과 봉지기판(300) 사이에서 실링부재(350)를 이루는 물질의 퍼짐이 달라지면서 실링부재(350)의 제2부분의 제2외측면(350a2)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실링부재(350)의 제2부분의 제2외측면(350a2)은 경사면을 기판(100)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봉지기판(300)에 접하는 부분을 향해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봉지기판(300)을 향해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갖다가 소정의 지점에서 방향을 바꾸어 봉지기판(300)과 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 및 봉지기판(300) 사이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의 단면은 도 3의 Va- Va'선에 따른 단면과 대응될 수 있다. 도 5a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패널(10)은 봉지부재로서 글래스재 등을 포함하는 봉지기판(300)을 구비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표시 패널(10')은 유기 및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봉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기판(100') 상에 배치된 표시요소부(200)를 커버하는 봉지부재를 포함하되, 봉지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봉지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300')일 수 있다. 기판(100')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00')은 투명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층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박막 봉지층(300')은 제1 및 제2무기봉지층(310, 330)과 이들 사이의 유기봉지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무기봉지층(310, 330)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폴리머(polymer)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계열의 소재로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요소부(200)가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경우, 박막 봉지층(300')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표시 패널 상에 윈도우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링부재(350)는 기판(100) 및 봉지기판(300)의 에지들을 따라 연장된 부분(350A, 도 5a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부분)과 투과영역(TA)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부분(350B, 도 5c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부분)을 포함한다. 제1부분(350A) 및 제2부분(350B)은 서로 연결되어 일측이 개방된 대략 오메가(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투과영역(TA)에는 투명물질층(400)이 배치되므로, 실링부재(350)의 제2부분(350B)은 투명물질층(400)의 일부를 둘러싼다. 평면상에서, 투명물질층(400)의 하측은 실링부재(350)의 제2부분(350B)과 접촉한 채로 제2부분(350B)에 의해 둘러싸이나, 투명물질층(400)의 상측은 실링부재(350)로 둘러싸이지 않는다.
평면 상에서, 실링부재(350)는 매끄러운 곡선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제2부분(350B)은 전체적으로 제3곡률반경(R3)을 갖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부분(350B) 중 제1부분(350A)과 연결되는 부분은 제1곡률반경(R1) 및 제2곡률반경(R2)을 갖도록 커브질 수 있다. 제1곡률반경(R1) 및 제2곡률반경(R2)의 중심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제3곡률반경(R3)의 중심은 제1곡률반경(R1) 및 제2곡률반경(R2)의 중심과 다르며, 따라서 제2부분(350B)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투과영역(TA)은 표시영역(DA)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즉, 복수의 화소(P)들을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는 투과영역(TA)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화소(P)들 중 투과영역(TA)을 지나는 가상의 선 상에 배치된 제1화소(P1)와 제2화소(P2)는 투과영역(TA)을 가운데 두고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윈도우(40)의 차광부(42)는 실링부재(350)와 중첩한다. 차광부(42)의 폭(W1)은 실링부재(350)의 폭(W2) 보다 클 수 있다. 평면상에서, 실링부재(350)가 투명물질층(40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과 달리 차광부(42)는 투명물질층(400)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차광부(42)는 기판(100)의 에지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제1차광부(42A) 및 제1차광부(42A)로부터 연장되어 제1차광부(42A)와 함께 제2투과부(41B)를 정의하는 제2차광부(42B)를 포함한다.
제1차광부(42A)는 실링부재(350)의 제1부분(350A)과 중첩하는 부분을 제1서브-차광부(42Aa) 및, 실링부재(350)와 중첩하지 않는 제2서브-차광부(42A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서브-차광부(42Ab)의 직하(直下)에는 투명물질층(4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서브-차광부(42Ab)는 제2차광부(42B)와 연결되어 제2투과부(41B)를 정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9의 X-X'선에 따른 단면에 대응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로서 제2비표시영역에 구비된 배선들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11은 제2비표시영역에 배치된 전원라인을, 도 12는 신호라인들을 도시한다. 도 10에는 편의상 봉지기판(300) 상에 반사방지 부재(30) 및 윈도우(40)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나, 봉지기판(300)과 윈도우(40) 사이에는 앞서 도 2a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입력감지 부재, 및 접착 부재 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편의상 실링부재를 사각형으로 도시하나, 실링부재의 외측면과 내측면은 앞서 도 5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먼저, 도 10의 표시영역(DA)을 설명한다.
기판(100) 상에는 표시요소부(200)가 위치한다. 표시요소부(200)는 화소들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에는 표시요소부(200)가 화소회로(PC) 및 이와 연결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비한 화소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화소회로(PC)는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과 박막트랜지스터(TFT) 사이에는 버퍼층(201)이 배치된다. 버퍼층(201)은 기판(100)을 통하여 침투하는 이물 또는 습기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201)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및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와 같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층(Act) 및 게이트전극(GE)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예컨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게이트전극(GE)과 중첩하는 채널영역(C) 및 채널영역(C)의 양측에 배치되되 채널영역(C)보다 고농도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소스영역(S) 및 드레인영역(D)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영역(S) 및 드레인영역(D)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과 게이트전극(GE) 사이에는 게이트절연층(203)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203)은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사이드, 및/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와 같은 무기 절연층일 수 있으며, 무기 절연층층은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중첩하는 제1 및 제2스토리지 축전판(CE1, CE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스토리지 축전판(CE1, CE2) 사이에는 제1층간절연층(20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층간절연층(105)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도 10에서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중첩하며, 제1스토리지 축전판(CE1)이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GE)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스토리지 축전판(CE1)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GE)과 별개의 독립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2층간절연층(207)으로 커버될 수 있다. 제2층간절연층(107)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층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데이터선(DL) 및 구동전압선(PL)은 제2층간절연층(207)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평탄화 절연층(209)으로 커버될 수 있다. 평탄화 절연층(209)은 유기절연물을 포함한다. 예컨대, 평탄화 절연층(209)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 절연층(209) 상에는 화소전극(210)이 배치된다. 화소전극(210)은 평탄화 절연층(209)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화소회로(P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전극(210)은 반사전극이다. 화소전극(210)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로뮴(Cr)등을 포함하는 반사막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210)은 전술한 반사막의 위와 아래에 배치된 ITO와 같은 투명한 도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210) 상에는 화소정의막(211)이 배치되며, 화소정의막(211)은 화소전극(210)의 중심부를 노출하는 개구를 갖는다. 화소정의막(211)은 화소전극(210)의 가장자리와 대향전극(23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이들 사이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211)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220)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220)이 저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중간층(220)은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중간층(220)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중간층(220)은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중간층(220)의 구조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중간층(220)을 이루는 층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시영역(DA)에서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중간층(220) 상에 배치된다. 대향전극(230)은 복수개의 화소들을 커버하도록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로뮴(Cr), 리튬(Li), 칼슘(Ca)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투광성의 도전막일 수 있다. 화소전극(210), 중간층(220) 및 대향전극(230)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캡핑층(CPL)으로 커버될 수 있다.
제2비표시영역(NDA2)에는 더미화소(DPX)들 및 실링부재(350)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350)는 제2비표시영역(NDA2) 중 더미화소(DPX)들의 외측, 더미화소(DPX)들 및 투과영역(T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비표시영역(NDA2)에는 전원이나 신호 등을 인가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비표시영역(DNA2)에는 전원라인(160) 및 다수의 라인들 포함하는 배선부(WLU)가 배치될 수 있다.
전원라인(160)은 대향전극(230)에 소정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라인(16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선(DL) 또는 구동전압선(PL)과 동일한 층(제2층간 절연층, 207)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도전층(260)을 매개로 대향전극(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라인(16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영역(D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되 실링부재(350)와 유사하게 투과영역(TA)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배선부(WLU)에 구비된 다수의 라인들은, 도 12에 도시된 제2비표시영역(NDA2) 상으로 연장된 구동전압선(PL)들의 일부 및 스캔선(SL)들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구동전압선(PL)들의 일부 및 스캔선(SL)들의 일부는 상호 중첩되어 표시요소부(200)의 로드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실링부재(350)는 전원라인(16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링부재(350)는 전원라인(160)과 중첩할 수 있다. 전원라인(160)의 단부(160E)는 실링부재(350), 예컨대 실링부재(350)의 제2부분(350B)의 제2외측면(350a2) 및 내측면(35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방지 부재(30)는 투과영역(TA)에 대응하는 개구(30H)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30H) 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층(50)이 위치할 수 있다. 개구(30H)를 정의하는 반사방지 부재(30)의 측면은 기판(100)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실링부재(350)의 내측면(350b)과 제2외측면(350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40)의 차광부, 예컨대 제2차광부(42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링부재(350)와 중첩할 수 있다. 제2차광부(42B)의 폭(W1)은 실링부재(350)의 폭(W2)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기판(100)에 수직인 방향에서 윈도우(40)를 보았을 때 실링부재(350)는 시인되지 않는다. 차광부, 예컨대 제2차광부(42B)는 대향전극(230)의 단부(230E) 및 캡핑층(CPL)의 단부(CPL-E)도 커버할 수 있다.
투명물질층(400)은 투과영역(TA)에 위치하며, 실링부재(350)의 제2외측면(350a2)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투명물질층(400)은 기판(100)과 봉지기판(300) 사이에 위치하되, 투명물질층(400)의 상면은 봉지기판(300)의 하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투명물질층(400)의 하면은 기판(100)의 상면과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0의 XIII부분을 발췌한 단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3a을 참조하면, 기판(100) 중 투과영역(TA)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버퍼층(201) 내지 제2층간절연층(207)에 해당하는 절연층들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투과영역(TA)은 전술한 절연층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투명물질층(400)의 하면(400c)은 기판(100)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3b를 참조하면, 기판(100) 중 투과영역(TA)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버퍼층(201) 내지 제2층간절연층(207)에 해당하는 절연층들 중 일부, 예컨대 버퍼층(201)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201)의 일부가 투과영역(TA)에 남아있으면 도 13a의 경우에 비하여 투과율이 다소 저하될 수 있으나, 그 두께가 매우 얇거나 굴절률이 기판(100) 또는/및 투명물질층(400)의 굴절률과 유사한 경우에는 투과율의 저하가 미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물질층(400)은 기판(100)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표시 패널
20: 입력감지 부재
30: 반사방지 부재
40: 윈도우
41A: 제1투과부
41B: 제2투과부
42A: 제1차광부
42B: 제2차광부
50: 투명층
100: 기판
300: 봉지기판
350: 실링부재
400: 투명물질층

Claims (30)

  1. 기판;
    상기 기판의 투과영역의 일부를 둘러싸는 실링부재;
    상기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들;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마주보는 봉지기판;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투명물질층; 및
    상기 봉지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와 대응하는 차광부를 구비하되, 상기 차광부의 폭은 상기 실링부재의 폭 보다 큰, 윈도우;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상기 차광부는, 상기 투과영역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물질층의 측면은, 상기 투과영역에 인접한 상기 기판의 에지와 상기 봉지기판의 에지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에지와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실링부재의 제1부분의 외측면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투과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실링부재의 제2부분의 외측면과 다른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에지에 대응하는 상기 기판의 측면, 상기 봉지기판의 에지에 대응하는 상기 봉지기판의 측면은 각각 볼록면을 가지며,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1부분의 상기 외측면은, 상기 볼록면들과 연속면인,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투과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전원라인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전원라인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물질층은 상기 봉지기판은 직접 접촉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투명물질층 사이에 개재되는 무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투명물질층은 직접 접촉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들은,
    상기 투과영역을 지나는 가상의 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투과영역을 가운데 두고 상호 이격된 제1화소 및 제2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반사방지 부재 또는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하는 투명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들 각각은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기판;
    상기 기판의 투과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실링부재;
    상기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열된 복수의 화소들;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마주보는 봉지기판;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투명물질층; 및
    상기 봉지기판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기판의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되 상기 투과영역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투과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로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물질층은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2부분과 마주보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의 반대인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물질층의 외측면은 상기 기판의 에지와 상기 봉지기판의 에지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된, 표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차광부는,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2부분과 중첩하는 제1서브-차광부, 및 상기 제1서브-차광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서브-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서브-차광부와 상기 제2서브-차광부는 연결되어 고리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차광부는 상기 실링부재와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1부분의 외측면은,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2부분의 외측면과 다른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에지에 대응하는 상기 기판의 측면, 상기 봉지기판의 에지에 대응하는 상기 봉지기판의 측면은 각각 볼록면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제1부분의 외측면은, 상기 볼록면들과 연속면인, 표시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전원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전원라인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봉지기판은 각각, 상기 투명물질층과 직접 접촉하는, 표시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반사방지 부재, 및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된 투광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들은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거나 액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5. 투과영역 및 상기 투과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표시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표시요소들;
    상기 표시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부재;
    상기 봉지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투과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투과부, 및 상기 투과부를 둘러싸는 차광부를 갖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재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반사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방지 부재는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내에 위치하며,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투명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재는,
    상기 표시요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마주하는 봉지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투과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표시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투과영역과 대응하는 투명물질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에지와 상기 표시영역의 에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실링부재의 제1부분의 외측면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투과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실링부재의 제2부분의 외측면과 다른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KR1020180126864A 2018-10-23 2018-10-23 표시 장치 KR20200046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64A KR20200046222A (ko) 2018-10-23 2018-10-23 표시 장치
US16/549,691 US11099418B2 (en) 2018-10-23 2019-08-23 Display device
EP19204061.6A EP3644387B1 (en) 2018-10-23 2019-10-18 Display device
TW108137886A TWI833824B (zh) 2018-10-23 2019-10-21 顯示裝置
CN201911009924.7A CN111092165A (zh) 2018-10-23 2019-10-23 显示装置
US17/409,677 US11719973B2 (en) 2018-10-23 2021-08-2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64A KR20200046222A (ko) 2018-10-23 2018-10-23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222A true KR20200046222A (ko) 2020-05-07

Family

ID=6829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864A KR20200046222A (ko) 2018-10-23 2018-10-2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099418B2 (ko)
EP (1) EP3644387B1 (ko)
KR (1) KR20200046222A (ko)
CN (1) CN1110921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4243B2 (en) 2020-11-03 2023-12-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222A (ko) * 2018-10-23 2020-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38557A (ko) * 2019-05-31 2020-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16217A (ko) 2019-08-02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4292A (ko) * 2019-08-21 2021-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314679B (zh) * 2021-05-25 2023-04-07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粘结结构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11737314B2 (en) * 2021-05-25 2023-08-22 Innolux Corporatio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264B1 (ko) 2009-08-07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봉지기판,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4195B1 (ko) * 2010-02-19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20075823A1 (en) * 2010-09-28 201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53270B1 (ko) 2011-03-17 2014-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11089443B4 (de) 2011-02-14 2016-12-01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KR101813459B1 (ko) 2011-06-24 2018-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4059B1 (ko) * 2012-08-02 2019-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3002627B1 (en) 2014-09-30 2019-01-30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54075B1 (ko) 2014-09-30 2017-07-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303244B1 (ko) * 2015-04-15 2021-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84068B1 (ko) 2015-09-11 2022-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70111827A (ko) 2016-03-29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76900B1 (ko) 2016-06-02 2022-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관통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0450B1 (ko) 2018-06-22 2023-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6222A (ko) * 2018-10-23 2020-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4243B2 (en) 2020-11-03 2023-12-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4387A1 (en) 2020-04-29
EP3644387B1 (en) 2022-11-16
US20210382345A1 (en) 2021-12-09
TW202026723A (zh) 2020-07-16
CN111092165A (zh) 2020-05-01
US20200124910A1 (en) 2020-04-23
US11099418B2 (en) 2021-08-24
US11719973B2 (en)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6222A (ko) 표시 장치
KR10248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31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41658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GB2566789A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KR102610710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447815A (zh) 显示设备
US11257895B2 (en) Display panel comprising a sealing member, a first conductive line, and a second conductive line
KR2021008367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29302A (ko) 표시 장치
KR20210016233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20226021A1 (ja) 検出装置
KR2021008160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1627955A (zh) 显示面板
CN111697028A (zh) 显示装置
KR20210087611A (ko) 표시 장치
KR20230134029A (ko)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30030718A (ko) 표시 장치
KR20220089777A (ko) 표시 장치
KR20230022336A (ko) 표시 장치
KR20230017392A (ko) 표시 장치
KR20220004892A (ko) 표시 장치
KR20210145887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833824B (zh) 顯示裝置
US1182570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first and second wi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