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876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876B1
KR102467876B1 KR1020150138791A KR20150138791A KR102467876B1 KR 102467876 B1 KR102467876 B1 KR 102467876B1 KR 1020150138791 A KR1020150138791 A KR 1020150138791A KR 20150138791 A KR20150138791 A KR 20150138791A KR 102467876 B1 KR102467876 B1 KR 10246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unit
flexib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529A (ko
Inventor
이종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8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H01L27/3225
    • H01L27/3262
    • H01L27/3276
    • H01L51/0097
    • H01L51/5237
    • H01L2227/32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표시면 외에 에지에서 연장된 벤딩부에 보조 표시면을 가져, 표시 유효면을 확장시키며 표시면 구동의 간섭을 방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플렉서블 기재 상에 서로 나누어 제 1 표시부, 배선 연결부 및 제 2 표시부를 구비하고, 이들을 덮도록 커버 필름을 적용한 후, 상기 배선 연결부 상부의 상기 커버 필름 상에 수화 모듈을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표시면 외에 에지에서 연장된 벤딩부에 보조 표시면을 가져, 표시 유효면을 확장시키며 표시면 구동의 간섭을 방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Emitting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양자점 표시 장치(Quantum Dot Display Device),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공통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패널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는 바, 평판 표시패널은 고유의 발광 또는 편광 혹은 그 밖의 광학 물질층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투명 절연기판을 대면 합착시킨 구성을 갖는다.
최근 표시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공간 점유가 적은 평면 표시 장치로서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는 증진되어, 최근에는 평면 표시 장치를 플렉서블한 형태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해 살펴본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자가 쥐었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좌우 양측에서 벤딩부를 갖는 표시 패널(10)과, 상기 표시 패널(10)을 덮는 커버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b는 도 1a의 표시 패널(10)을 X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으로, 평탄하게 형성된 표시 패널(10)을 좌우 양측에서 절곡을 갖게 하여, 벤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즉,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표시 패널(10)에 대해 일부 영역을 접는 것이며, 이 경우, 표시 패널(10)은 일체형이며, 도 1b와 같이, 좌우 양측 에지에서도 표시가 가능하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좌우 양측 에지에서 영상을 출사하더라도, 일반적인 사용 방식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과 측면을 쥐기 때문에, 좌우 양측 에지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져, 정상적으로 좌우 양측 에지가 유효 화면으로 인식되기 힘들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표시면 외에 에지에서 연장된 벤딩부에 보조 표시면을 가져, 표시 유효면을 확장시키며 표시면 구동의 간섭을 방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기재 상에 서로 나누어 제 1 표시부, 배선 연결부 및 제 2 표시부를 구비하고, 이들을 덮도록 커버 필름을 적용한 후, 상기 배선 연결부 상부의 상기 커버 필름 상에 수화 모듈을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측변에 벤딩부를 갖고, 나머지 영역에 평탄부를 갖는 플렉서블 기재와, 상기 평탄부와 벤딩부에 각각 서로 이격하며,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차례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봉지부, 제 1 접착층, 터치 전극 어레이 및 버퍼층으로 이루어진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와, 상기 제 1, 제 2 표시부 사이의 상기 평탄부에 상기 제 1, 제 2 표시부를 서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부와, 상기 제 1 표시부, 배선 연결부 및 제 2 표시부를 덮는 커버 필름 및 상기 배선 연결부 상부의 상기 커버 필름 상에 위치한 수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표시부, 배선 연결부 및 제 2 표시부를 덮으며, 상기 플렉서블 기재와 상기 커버 필름 사이에 위치한 제 2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필름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 1 표시부를 덮으며 상기 평탄부에 위치한 제 1 커버 윈도우와, 상기 제 2 표시부를 덮으며, 상기 벤딩부에 위치한 제 2 커버 윈도우와, 상기 수화 모듈 하부와 측부에 위치한 보호 필름으로 개별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커버 윈도우, 제 2 커버 윈도우 및 보호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커버 윈도우는 원형 편광필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제 1 커버 윈도우 및 제 2 커버 윈도우와 중첩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기재의 일변과 대향되는 상기 플렉서블 기재의 대향변에 구동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수화 모듈은 상기 구동 회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화모듈은 상기 구동 회로부와 커넥터 또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또는 와이어는 상기 보호 필름 상을 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측면에서도 시청이 가능한 보조 표시면을 갖고, 또한, 보조 표시면을 사용자의 편의성에 맞게, 사용자의 그립 영역을 피하여 구비하여,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구현시 유효 표시면을 손실없이 확장할 수 있다.
둘째, 메인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를 각각 분리된 패널로 구성하여, 서로 독립적인 영상의 표시가 가능하다.
셋째, 메인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의 연결을 수화부 모듈 영역에서 하되, 메인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 사이의 배선 영역 상부에 커버 필름을 더 적용하여, 수화부 모듈과 표시부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메인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를 일체형의 패널로 구성하고, 이의 영역을 나눈 구조에서, 벤딩 영역의 스트레스가 전 영역에 걸쳐 가해져 벤딩 영역에 의한 표시 품위의 영향이 메인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서로 별개의 표시부를 적용하여, 보조 표시부에 대응된 벤딩 영역의 스트레스가 메인 표시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는 도 1a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자가 쥐었을 때를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벤딩시와 벤딩부를 폈을 때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b의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세트부를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I~I' 선상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 1 표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 상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벤딩시와 벤딩부를 폈을 때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b의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세트부를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I~I' 선상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제 1 표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벤딩부를 수화부측에 인접한 일측에 갖는 것으로, 사용자의 그립(grip) 영역에서 벗어난 영역에 벤딩부가 위치한다. 즉, 정면에서 대략 직사각형으로 보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해, 4변 중 상측 변에 벤딩부를 적용한다. 이는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들거나 쥘 때, 장치의 좌우 양측변을 잡거나 쥐게 되어, 사용자의 손이 좌우 양측변을 가리게 되므로, 이러한 사용자의 그립 영역을 피하며 벤딩부를 설계한다.
또한, 상기 벤딩부를 상측 변에 위치한 이유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측변에는 충전 단자부와 같은 구성이 있어, 편의상 표시부를 적용하기 불가하기 때문이며, 만일 충전 단부를 좌우 양측변에 위치시키는 경우, 하측 변에도 벤딩부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벤딩부는 도 3a와 같이, 고정 형태로 벤딩된 상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도 있고, 혹은 기구적으로 세트의 휨성을 조절하여, 도 3b의 벤딩부를 편 상태와 도 3a의 벤딩부를 적용한 상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세트는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의 표시 영역으로 유효한 제 1, 제 2 표시면을 노출하는 형태로,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의 가장자리와 측면 및 하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표시면은 액티브 영역이 되며, 나머지 영역은 비표시 영역 또는 데드 영역으로 정의한다.
한편, 상기 제 1 표시면과 제 2 표시면 사이는 일종의 스피커로, 수화 모듈(150)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측면에서도 시청이 가능한 제 2 표시면을 갖고, 또한, 제 2 표시면을 사용자의 편의성에 맞게, 사용자의 그립 영역을 피하여 구비하여,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구현시 유효 표시면을 손실없이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도 3a 내지 도 7과 같이, 일측변에 벤딩부를 갖고, 나머지 영역에 평탄부를 갖는 플렉서블 기재(100)와, 상기 평탄부와 벤딩부에 각각 서로 이격하며,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 상에 위치하는 제 1 표시부(120) 및 제 2 표시부(140)와, 상기 제 1, 제 2 표시부(120, 140) 사이의 상기 평탄부에 상기 제 1, 제 2 표시부(120, 140)를 서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부(250)와, 상기 제 1 표시부(120), 배선 연결부(250) 및 제 2 표시부(140)를 덮는 커버 필름(130) 및 상기 배선 연결부(250) 상부의 상기 커버 필름(130) 상에 위치한 수화 모듈(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표시부(120, 140)는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각각 차례로 어레이 봉지체(121, 141), 제 1 접착층(122, 142), 터치 전극 어레이(123, 143) 및 버퍼층(124, 144)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 1 표시부(120)와 제 2 표시부(140)는 동일한 층 구성을 갖지만,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 상에, 서로 다른 영역에 서로 나누어 형성하며, 개별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각각의 어레이 봉지체(121, 141)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71)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72) 및 봉지부(173)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는 2㎛ 내지 150㎛의 두께로 절연성과 유연성을 함께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다.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는 연성 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또는 폴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 이미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올레핀계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또는 폴리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polystyrene) 또는 폴리스테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설페이트(polysulfate) 또는 폴리설페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또는 폴리아믹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아민(polyamine) 및 폴리아믹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콜(polyvinylalcohol), 폴리 알릴아민(polyallyam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는 하측에 도 6과 같이, 백 필름(110)을 더 구비하여, 세트에 의해 하측이 가려지는 것으로, 투명하거나 유색성 재료이거나 관계없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71)는 액티브 영역에 대응하여, 매트릭스상의 복수개의 화소를 포함하며, 각각의 화소에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서로 교차하는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위치하며, 기본 구성으로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된 액티브층과, 상기 액티브층의 양측에 접속된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71)의 형성과 동일 공정에서, 데드 영역에, 상기 스캔 라인에서 양측으로 연장한 스캔 회로 블록을 포함한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회로부(200)와 접속되는 패드 전극 및 상기 패드 전극으로 연결된 링크 배선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71)에서는 각각의 접속부를 제외한 영역의 배선과 배선 사이의 층간은 절연막을 구비하여, 배선 층간의 절연을 꾀한다.
한편,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72)는, 상기 액티브 영역의 각각의 화소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이 화소별로 패터닝되어, 화소별로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은 발광 방향에 따라, 발광면이 되는 측이 투명 전극으로 그 반대편의 전극이 반사 전극일 수 있다. 상기 발광면이 되는 커버 필름(130)과 가까운 제 2 전극이 투명 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전극 사이에는 유기 발광층과, 각각의 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의 공통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통층은 정공 수송층 또는 전자 수송층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정공 수송층은 인접한 전극과의 사이에 정공 주입층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전자 수송층은 인접한 전극과의 사이에 전자 주입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유기 발광층은 화소별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화소의 경계부에 일정 높이의 뱅크를 두어, 상기 뱅크로 정의되는 발광 영역 내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봉지부(173)는 예를 들어, 무기막과 유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 적층된 적층체로, 도 7과 같이, 충분히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하여, 투습에 취약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보호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제 2 표시부(120, 140)의 터치 전극 어레이(123, 143)는 각각 버퍼층(124, 144) 상에 형성한 후, 터치 전극 어레이(123, 143)의 상면이 각각 상기 봉지부(173)에 대응하도록 하여, 사이에 제 1 접착층(122, 142)를 개재하여 합착한다.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123, 143)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개의 제 1,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터치 부위에서의 제 1, 제 2 전극간의 접촉 또는 근접에 의한 정전 용량을 감지하여 터치를 검출한다. 경우에 따라 벤딩부에서 터치 검출의 요구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제 2 표시부(140)에서, 터치 전극 어레이(143)는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퍼층(124, 144)은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와 동일 성분이거나 다른 유기 절연막일 수 있으며, 투과도를 감안하여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그 두께는 1㎛ 내지 10㎛로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보다 얇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버퍼층(124, 144)의 예로는, PET, 아크릴, 에폭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으며, 투명성과 상술한 두께를 유지하는 수준에서, 플렉서블 기재를 이루는 재료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화 모듈(150)이 구비된 플렉서블 기재(100)의 일변과 대향되는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의 대향변에 구동 회로부(2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200)는 도 4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 상에 구비된 패드 전극과 접속된 플렉서블 인쇄회로 기판(FPC)의 형태로 존재하며, 최종 장치에서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측부 또는 하부로 접혀져 세트에 의해 가려진다. 그리고, 구동 회로부(200)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 및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한 드라이브 IC(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화 모듈(150)은 상기 구동 회로부(200)와 커넥터 또는 와이어(17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또는 와이어(175)는 상기 커버 필름(130) 상을 지나는 것으로, 이는 제 1, 제 2 표시부(120, 140) 사이의 배선 연결부(250)에서 전기적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 1 표시부(120), 제 2 표시부(140) 및 배선 연결부(250)를 덮도록 제 2 접착층(125)을 더 갖는 것으로, 상기 제 2 접착층(125) 상에 커버 필름(130)이 위치한다.
상대적으로 제 2 접착층(125)은 제 1 접착층(122)과 비교하여, 상기 배선 연결부(250) 상을 덮는 것으로, 커버 필름(130)과 상기 배선 연결부(250)를 포함한 플렉서블 기재(100) 사이에 채워져, 커버 필름(130)과 함께, 수화 모듈(150)과 배선 연결부(250) 사이의 전기적 절연이 유지된다.
상기 배선 연결부(250)는 상기 제 1 표시부(120)와 제 2 표시부(140)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 2 표시부(140)는 패널로서 제 1 표시부(120)에 대해 독립 구성을 갖지만, 제 1 표시부(120)에 인접한 구동 회로부(200)를 통해 함께 구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선 연결부(250)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71) 형성시 함께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필름(130)은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표면 충격이나 스크래치에 대해 보호 기능이 있는 재료로 형성한다.
한편, 커버 필름(130)은 일측변이 벤딩이 가능한 상기 플렉서블 기재(100) 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이하, 커버 필름을 영역별로 분리하여 형성한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제 1 표시부(120)를 덮으며 상기 평탄부에 위치한 제 1 커버 윈도우(133)와, 상기 제 2 표시부(140)를 덮으며, 상기 벤딩부에 위치한 제 2 커버 윈도우(135)와, 상기 수화 모듈(150) 하부와 측부에 위치한 보호 필름(137)으로 나누어 커버 필름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커버 윈도우(133), 제 2 커버 윈도우(135) 및 보호 필름(137)은 모두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예를 들어, PET,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으며, 투명성과 보호 기재의 특성 및 광학적으로 투과율이 높은 한 여러 재료로 대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커버 윈도우(133, 135)는 하측의 제 1, 제 2 표시부(120, 140)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원형 편광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원형 편광 필름은 외부광을 제외한 제 1, 제 2 표시부(120, 140)에서 발광되는 광의 투과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보호 기재 특성을 갖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137)은 광학적 특성보다는, 전기적 절연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하부 제 1, 제 2 표시부(120, 140)간의 배선 연결부(250)를 통한 전기적 연결에 상측의 수화 모듈(150)의 동작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에 주의한다.
한편, 상기 보호 필름(137)과, 상기 제 1 커버 윈도우(133) 및 제 2 커버 윈도우(135)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9와 같이, 상기 보호 필름(137)은 제 1 커버 윈도우(133) 및 제 2 커버 윈도우(135)와 일부 중첩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중첩시, 상기 보호 필름(137)이 상기 제 1, 제 2 커버 윈도우(133, 135)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혹은 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메인 표시부의 제 1 표시부와 보조 표시부의 제 2 표시부를 각각 분리된 패널로 구성하여, 서로 독립적인 영상의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제 1 표시부와, 제 2 표시부간의 연결을 수화 모듈 영역에서 하되, 제 1, 제 2 표시부 사이의 배선 연결부 상부에 커버 필름을 더 적용하여, 수화 모듈과 표시부와, 제 1, 제 2 표시부간 구동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 1, 제 2 표시부의 독립 패널 구성에 의해, 벤딩부에 위치한 제 2 표시부의 벤딩 스트레스가 제 1 표시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플렉서블 기재 110: 백 필름
120: 제 1 표시부 130: 커버 필름
133: 제 1 커버 윈도우 135: 제 2 커버 윈도우
140: 제 2 표시부 150: 수화 모듈
200: 구동 회로부 250: 배선 연결부
300: 드라이브 IC 137: 보호 필름

Claims (12)

  1. 일측변에 벤딩부를 갖고, 나머지 영역에 평탄부를 갖는 플렉서블 기재;
    상기 평탄부에 구비된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표시부와 이격하며 상기 벤딩부에 구비된 제 2 표시부;
    상기 제 1, 제 2 표시부 사이의 상기 평탄부에 상기 제 1, 제 2 표시부를 서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부;
    상기 제 1 표시부, 배선 연결부 및 제 2 표시부를 덮는 커버 필름; 및
    상기 배선 연결부와 중첩하며 상기 커버 필름 상에 위치한 수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시부 및 제 2 표시부는 각각, 상기 플렉서블 기재 상에, 차례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봉지부, 제 1 접착층, 터치 전극 어레이 및 버퍼층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제 1, 제 2 표시부의 상기 버퍼층의 상부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 배선 연결부 및 제 2 표시부를 덮으며, 상기 플렉서블 기재와 상기 커버 필름 사이에 위치한 제 2 접착층을 더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제 1 표시부를 덮으며 상기 평탄부에 위치한 제 1 커버 윈도우와, 상기 제 2 표시부를 덮으며, 상기 벤딩부에 위치한 제 2 커버 윈도우와, 상기 수화 모듈 하부와 측부에 위치한 보호 필름으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 윈도우, 제 2 커버 윈도우 및 보호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커버 윈도우는 원형 편광필름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제 1 커버 윈도우 및 제 2 커버 윈도우와 중첩부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가 상기 제 2 표시부보다 크기가 크고,
    상기 플렉서블 기재의 일측변과 대향되는 상기 플렉서블 기재의 대향변에 구동 회로부를 더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모듈은 상기 제 1 표시부의 상기 수화 모듈에 인접한 변과 상기 플렉서블 기재의 대향변 사이를 지나는 커넥터 또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구동 회로부와 연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또는 와이어는 상기 보호 필름 상을 지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재의 상기 벤딩부의 형상을 따라 벤딩된 상태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2 표시부는 상기 수화 모듈의 장축의 양 변에 나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0150138791A 2015-10-01 2015-10-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467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791A KR102467876B1 (ko) 2015-10-01 2015-10-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791A KR102467876B1 (ko) 2015-10-01 2015-10-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529A KR20170039529A (ko) 2017-04-11
KR102467876B1 true KR102467876B1 (ko) 2022-11-16

Family

ID=5858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791A KR102467876B1 (ko) 2015-10-01 2015-10-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8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201B1 (ko) * 2012-08-20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면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016526B1 (ko) * 2013-01-17 2019-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529A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6009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EP3182474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155299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933870B2 (en) Back plate member for flexible display,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9062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08501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9030B1 (ko) 전자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표시장치
KR102298370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49632B1 (ko) 표시장치
KR10239379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백 플레이트 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660323A (zh) 柔性显示设备
KR20180047586A (ko) 인-셀 터치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30017745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KR2020000257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62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231110A1 (en) Display device
CN112018151A (zh) 显示设备和制造显示设备的方法
KR20200049321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787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637199B1 (ko) 보더리스타입 표시장치
KR102579027B1 (ko) 전자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표시장치
KR102227163B1 (ko) 표시 장치
US11614650B2 (en) Display device
US20240172531A1 (en) Display device
KR20230102471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