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136B1 -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136B1
KR102572136B1 KR1020180002480A KR20180002480A KR102572136B1 KR 102572136 B1 KR102572136 B1 KR 102572136B1 KR 1020180002480 A KR1020180002480 A KR 1020180002480A KR 20180002480 A KR20180002480 A KR 20180002480A KR 102572136 B1 KR102572136 B1 KR 10257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gion
inorganic
light emitting
emitt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5202A (ko
Inventor
박명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136B1/ko
Priority to US15/976,210 priority patent/US10978666B2/en
Priority to CN201810952281.9A priority patent/CN110021625A/zh
Priority to US16/131,550 priority patent/US20190214596A1/en
Priority to CN201910004791.8A priority patent/CN110021640A/zh
Priority to US16/241,907 priority patent/US10818874B2/en
Publication of KR2019008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202A/ko
Priority to US16/836,933 priority patent/US10910600B2/en
Priority to US17/112,211 priority patent/US11444261B2/en
Priority to US17/139,476 priority patent/US11251404B2/en
Priority to US17/203,549 priority patent/US11127920B2/en
Priority to US17/406,606 priority patent/US20210384460A1/en
Priority to US17/579,544 priority patent/US11515507B2/en
Priority to US17/885,016 priority patent/US11864408B2/en
Priority to US17/976,845 priority patent/US1179302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136B1/ko
Priority to US18/241,169 priority patent/US20230413602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발광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봉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과 이격하며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 평면적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광투과 부위 및 상기 하부 구조물의 일측에 형성되고 평면적으로 안으로 들어가서 상기 발광 영역의 일측이 따라서 형성되게 하는 노치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윈도우를 갖는다.

Description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본 개시는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광투과 부위, 홀, 및 노치와 같은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휴대형 전자 기기가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면서 별도로 카메라를 들고 다니는 경우보다 카메라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전자 기기 하나만을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카메라가 전자 기기의 화상 표시 영역의 외부에 존재하여 전자 기기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경향에 반대하고자 US 2016-0337570 등에서는 디스플레이 내부에 카메라가 있는 구조가 개시되고 있다.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의 내부 또는 일측에 카메라가 위치하더라도 내부로 수분 및 산소가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는 전계 발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카메라가 위치하는 주변에서도 균일한 전류가 전달되는 전계 발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카메라가 위치하는 주변에서도 균일한 밝기를 가지는 전계 발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카메라가 위치하는 주변에서도 터치 감지가 잘 되는 전계 발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발광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봉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과 이격하며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 평면적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광투과 부위 및 상기 하부 구조물의 일측에 형성되고 평면적으로 안으로 들어가서 상기 발광 영역의 일측이 따라서 형성되게 하는 노치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윈도우를 갖는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이는 내부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이고,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에 형성되는 홀인 상기 광투과 부위이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 및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홀 사이에서 상기 홀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내부 무기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는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 전체 및 상기 내부 무기 표면부 전체와 접하는 무기 하부 표면을 갖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홀의 제1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 및 상기 홀의 상기 제1 측을 마주보는 제2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동일 신호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에서 상기 봉지 구조물의 측벽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측벽과 일치하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에서 상기 봉지 구조물의 측벽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측벽 보다 안쪽으로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홀을 평면적으로 우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은 상기 내부 무기 표면부에 포함되거나 상기 내부 무기 표면부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노치이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노치의 제1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 및 상기 노치의 상기 제1 측을 마주보는 제2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동일 구동 전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노치를 평면적으로 우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과 다른 층에 위치하는 제3 배선 및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과 같은 층에 위치하는 제4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배선들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배선 또는 상기 제4 배선은 상기 하부 구조물이 갖는 화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노치이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노치의 제1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 및 상기 노치의 상기 제1 측을 마주보는 제2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 및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는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 전체와 접하는 무기 하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치가 형성되는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기 일측에서의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의 폭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기 일측과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측에서의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노치를 평면적으로 우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은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에 포함되거나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 및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봉지 구조물은 연성 다층막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이는 상기 광투과 부위이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막을 갖는 전계발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광투과 부위의 제1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 및 상기 광투과 부위의 상기 제1 측을 마주보는 제2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부위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동일 구동 전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광투과 부위를 평면적으로 우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과 다른 층에 위치하는 제3 배선 및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과 같은 층에 위치하는 제4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배선들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배선 또는 상기 제4 배선은 상기 하부 구조물이 갖는 화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봉지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윈도우에 인근하는 제1 감지 전극 및 상기 윈도우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전극 보다 멀리 위치하는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 전극의 면적은 상기 제2 감지 전극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구조물은 무기 표면부를 가지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무기 표면부 전체와 접하는 무기 하부 표면을 갖고, 상기 제1 감지 전극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기 무기 표면부와 상기 봉지 구조물의 상기 무기 하부 표면이 접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봉지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윈도우에 인근하는 제1 더미 전극 및 상기 윈도우로부터 상기 제1 더미 전극 보다 멀리 위치하는 제2 더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 전극의 면적은 상기 제2 더미 전극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구조물은 무기 표면부를 가지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무기 표면부 전체와 접하는 무기 하부 표면을 갖고, 상기 제1 더미 전극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기 무기 표면부와 상기 봉지 구조물의 상기 무기 하부 표면이 접하는 영역과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봉지 구조물 위에 위치하고, 제1 터치 전극을 갖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전극은 상기 윈도우에 의해서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윈도우의 제1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측을 마주보는 제2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윈도우를 평면적으로 우회하고 상기 제1 터치 전극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사이에서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터치 전극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구조물은 비발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비발광 영역과 겹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노치이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과 겹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윈도우는 상기 광투과 부위이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광투과 부위 및 상기 발광 영역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비발광 영역과 겹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광투과 부위이고, 상기 터치 패널은 제2 터치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전극은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윈도우의 제3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3 측을 마주보는 제4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윈도우를 평면적으로 우회하고, 상기 제2 터치 전극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사이에서 연결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2 터치 전극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들은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겹칠 수 있는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기 비발광 영역과 겹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의 제1 측에 인근하는 외부 버스 배선, 상기 외부 버스 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구동 전류를 상기 외부 버스 배선에 제공하는 제1 및 제2 터미널 배선들, 및 상기 발광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연장하며 상기 외부 버스 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버스 배선으로부터 상기 구동 전류를 공급 받는 전류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영역의 상기 제1 측으로부터 상기 윈도우까지의 거리는 상기 발광 영역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측으로부터 상기 윈도우까지의 거리 이상이고, 상기 제1 터미널 배선과 상기 윈도우와의 거리는 상기 제2 터미널 배선과 상기 윈도우와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 전체와 접하는 무기 하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를 갖고,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는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봉지 구조물의 상기 무기 하부 표면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봉지 구조물은 연성 다층막일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를 갖고,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는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봉지 구조물의 상기 무기 하부 표면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노치이고, 상기 노치는 제1 방향을 따라 평면적으로 안으로 들어가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전류 배선 및 상기 노치의 상기 경사진 측벽과 대응하는 경사부를 갖는 외부 버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 배선은 상기 외부 버스 배선의 상기 경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버스 배선의 상기 경사부로부터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외부 버스 배선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류 배선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위들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위들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가 계단 형태를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위들은 번갈아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 배선은 상기 외부 버스 배선의 상기 경사부의 상기 제1 부위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 전체와 접하는 무기 하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서로 다른 개수들의 상기 전류 배선과 연결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1 부위들 및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2 부위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를 갖고,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는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봉지 구조물은 연성 다층막일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서로 다른 개수들의 상기 전류 배선과 연결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1 부위들 및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2 부위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를 갖고,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는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서로 다른 개수들의 상기 전류 배선과 연결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1 부위들 및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2 부위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위치하고 무기 하부 표면을 갖는 봉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면서 상기 무기 하부 표면과 직접 접하여 무기-무기 접합 영역을 형성하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는 광투과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은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영역은 비-관통홀 구조를 갖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면서 상기 광투과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 외부 버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보다 바깥쪽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영역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면서 상기 광투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제2 외부 버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제1 외부 버퍼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외부 버퍼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을 통과하는 통과부를 갖는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부의 측부는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통과부의 표면은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제2 외부 버퍼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무기 표면 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영역은 비-관통홀 구조를 갖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면서 상기 광투과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부 버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유기 표면 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영역은 홀이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면서 상기 광투과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부 버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유기 표면 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배선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일부의 측벽은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일부는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에 포함되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영역은 비-관통홀 구조를 갖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광투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버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광투과 영역 사이에서는 연장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이는 내부 비발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영역은 비-관통홀 구조를 갖고,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이는 내부 버퍼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내부 버퍼 영역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위치하고 무기 하부 표면을 갖는 봉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고, 상기 무기 하부 표면과 직접 접하여 무기-무기 접합 영역을 형성하는 외부 무기 표면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제1 외부 버퍼 영역,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 바깥쪽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제2 외부 버퍼 영역, 및 제2 외부 버퍼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무기 표면 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은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위치하고 무기 하부 표면을 갖는 봉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면서 상기 무기 하부 표면과 직접 접하여 무기-무기 접합 영역을 형성하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유기 표면 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은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버퍼막을 포함하는 하부 다층막, 상기 하부 다층막 위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다층막 위에 상기 하부 전극의 측부를 덮도록 위치하는 화소 정의막, 상기 하부 전극 위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능막을 포함하는 중간 다층막, 및 상기 중간 다층막 위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을 갖는 하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는 비-관통홀 구조의 광투과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능막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 공통막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버퍼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은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상부 전극 위에 상기 상부 전극과 직접 접하도록 위치하고, 도전성 또는 반도체성을 갖고,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갖는 공통막 패턴인 유기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위에 위치하는 중간 다층막, 및 상기 중간 다층막 위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을 갖는 전계발광유닛을 포함하는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는 비-관통홀 구조의 광투과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상부 전극 위에 상기 상부 전극과 직접 접하도록 위치하고, 도전성 또는 반도체성을 갖고,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 공통막 패턴인 유기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은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버퍼막을 포함하는 무기 구조물, 상기 무기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평탄화막, 상기 평탄화막 위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 상기 평탄화막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전극의 측부를 덮는 화소 정의막, 상기 하부 전극 위에 위치하는 중간 다층막, 및 상기 중간 다층막 위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을 갖는 하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는 비-관통홀 구조의 광투과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완전히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퍼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은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평탄화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계발광장치는 무기 하부 표면을 갖는 봉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 영역에서 상기 무기 하부 표면은 상기 무기 구조물과 직접 접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상부 전극 위에 상기 상부 전극과 직접 접하도록 위치하고, 도전성 또는 반도체성을 갖고,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 공통막 패턴인 유기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평탄화막, 상기 평탄화막 위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 상기 평탄화막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전극의 측부를 덮는 화소 정의막, 상기 하부 전극 위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능막을 포함하는 중간 다층막, 및 상기 중간 다층막 위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을 갖는 하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는 비-관통홀 구조의 광투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의 중앙부와 겹치도록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탄화 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은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능막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 공통막 패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내부 비발광 영역,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위치하고 무기 하부 표면을 갖는 봉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은 홀을 포함하는 광투과 영역, 상기 광투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내부 무기 표면부, 및 상기 내부 무기 표면부를 완전히 둘러싸는 내부 버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버퍼 영역, 및 상기 외부 버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무기 표면부는 상기 무기 하부 표면과 직접 접하여 상기 광투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내부 무기-무기 접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는 상기 무기 하부 표면과 직접 접하여 상기 외부 버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무기-무기 접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은 배선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의 상기 일부는 상기 내부 무기 표면부에 포함되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은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광투과 영역 및 상기 광투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발광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봉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치는 전류 배선 및 상기 전류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광투과 영역과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서 상기 광투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내부 버스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버스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위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은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위들은 번갈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버스 배선은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1 부위들 및/또는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2 부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내부 또는 일측에 카메라가 위치하더라도 내부로 수분 및 산소가 침투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카메라가 위치하는 주변에서도 균일한 전류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카메라가 위치하는 주변에서도 균일한 밝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카메라가 위치하는 주변에서도 터치 감지가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편광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에 포함된 신호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에 포함된 신호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에 포함된 신호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에 포함된 신호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의 광투과 부위 근방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버스 배선을 갖는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버스 배선을 갖는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영역에서 봉지 구조물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우회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영역에서 봉지 구조물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영역에서 봉지 구조물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영역에서 봉지 구조물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터치 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봉지 구조물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상부 터치 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는 도 17에 도시된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하부 터치 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상부 터치 전극 및 도 18에 도시된 하부 터치 전극이 결합된 터치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봉지 구조물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2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3의 ‘C’ 및 ‘D’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3의 ‘C’ 및 ‘D’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3의 ‘C’ 및 ‘D’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3의 ‘C’ 및 ‘D’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8에 도시된 III-III’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0 또는 도 3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0 또는 도 3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0 또는 도 3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0 또는 도 3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6의 제1 광투과 부위 및 제2 광투과 부위에서 배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8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서 배선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8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사용되는 신호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는 도 4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I-II’선 및 III-III’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1의 II-II’선 및 III-III’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4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2에 도시된 II-II’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5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2에 도시된 IV-IV’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상호 배타적이 아닌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일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다른 실시예에 적용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완전히 불가능하거나 적용하지 않는다고 명확히 기재되지 않는 이상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전계 발광 장치는 하부 구조물(25) 및 봉지 구조물(31)을 포함한다. 하부 구조물(25)은 버퍼막(11), 액티브막(12), 제1 게이트 절연막(13), 제1 게이트 전극(14), 제2 게이트 절연막(15), 제2 게이트 전극(16), 층간 절연막(17), 소스/드레인 전극(18), 평탄화막(19), 하부 전극(20), 화소 정의막(21), 중간막(22), 상부 전극(23), 및 보호막(24)을 포함한다. 액티브막(12)은 소스 영역(12s), 드레인 영역(12d), 및 채널 영역(12c)을 갖는다. 소스/드레인 전극(18)은 소스 전극(18s) 및 드레인 전극(18d)을 갖는다. 중간막(22)은 전공 수송층(22a), 발광층(22b) 및 전자 수송층(22c)을 갖는다. 액티브막(12), 제1 게이트 절연막(13), 제1 게이트 전극(14), 제2 게이트 절연막(15), 제2 게이트 전극(16), 및 소스/드레인 전극(18)은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하부 전극(20), 중간막(22), 및 상부 전극(23)은 전계 발광 유닛을 형성한다.
봉지 구조물(31)은 제1 무기막(31a), 유기막(31b), 제2 무기막(31c)을 포함하고 내재적으로 연성을 갖는 다층막(multilayer)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봉지 구조물(31)은 무기 실런트 및 무기 유리 기판으로 구성되는 경성 봉지 구조물일 수도 있다.
버퍼막(11), 제1 게이트 절연막(13), 제2 게이트 절연막(15), 및 층간 절연막(17)은 무기물을 포함한다. 평탄화막(19) 및 화소 정의막(21)은 절연성 유기물을 포함한다. 전공 수송층(22a), 발광층(22b) 및 전자 수송층(22c)은 도전성 또는 반도체성 유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층(22b)는 퀀텀닷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부 구조물(25)는 다수의 화소(PX)들을 갖는다. 각 화소(PX)는 발광 존(emission zone: EZ)와 화소 회로 존(pixel circuit zone: PCZ)를 포함한다. 발광 존(EZ)에서는 하부 전극(20), 발광층(22b) 및 상부 전극(23)이 모두 겹친다. 화소 회로 존(PCZ)은 발광 존(EZ)을 발광시키기 위한 화소 회로가 위치한다. 상기 화소 회로는 구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소 회로는 적어도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적어도 하나의 스캔 배선, 적어도 하나의 에미션 배선 및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존(EZ)의 외곽은 화소 회로 존(PCZ)의 외곽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발광 존(EZ)는 화소 회로 존(PCZ)와 부분적으로만 겹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소 회로 존(PCZ)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일 수 있다. 화소 회로 존(PCZ)이 모여서 화소 회로 영역(pixel circuit area: PCA)이 된다. 화소 회로 존(PCZ)이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화소 회로 영역(PCA)는 실질적으로 매트릭스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소 구조물(25)는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제2 및 제3 화소들(PX1, PX2, PX3)은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구현할 수 있다.
하부 구조물(25)은 발광 영역(emission area: 100) 및 비발광 영역(non-emission area: 200)을 포함한다. 발광 영역(100)에는 다수의 발광 존(EZ)들이 집합된다. 비발광 영역(200)은 외부 비발광 영역(200a) 및 내부 비발광 영역(200b)를 포함한다. 외부 비발광 영역(200a)은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220), 및 발광 영역(100)과 외부 무기 표면부(220)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버퍼 영역(201)을 포함한다. 내부 비발광 영역(200b)은 발광 영역(100)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윈도우로 사용되는 광투과 부위(light-transmitting region: 210) 및 발광 영역(100)과 광투과 부위(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버퍼 영역(202)을 포함한다. 여기서, 무기 표면부라 함은 무기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의미한다.
광투과 부위(210)는 발광 영역(100) 또는 내부 버퍼 영역(202)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광투과율을 갖고, 아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부재(10)로 광이 입사하거나 광학 부재(10)로부터 광이 출사하는 영역이다. 광학 부재(10)는 카메라, 플래시 등이다. 본 실시예에서 광투과 부위(210)은 비 관통홀 구조(non-hole structure)를 갖는다. 광투과 부위(210)의 크기는 화소 회로 존(PCZ) 보다 크므로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화소 내 광투과 존(light-transmitting zone)과는 다르다.
하부 전극(20) 및 발광층(22b)은 개별 패턴 막(individual pattern layer)으로 광투과 부위(210)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개별 패턴 막이라 함은 화소 마다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패턴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막을 의미한다. 전공 수송층(22a), 전자 수송층(22c) 및 상부 전극(23)은 공통 패턴 막(common pattern layer)으로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거된 형상을 갖는다 함은 제거 공정에 의해서 제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형성 공정에서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한다. 보호막(24)은 고 굴절률을 갖는 도전성 또는 반도체성 유기물을 포함하고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 공통 패턴 막이다. 여기서 공통 패턴 막이라 함은 다수의 화소 마다 독립적인 패턴이 아닌 연결된 패턴을 갖는 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공 수송층(22a), 전자 수송층(22c) 및 상부 전극(23)은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이 가려진 오픈 마스크를 채택하는 증발 증착 공정(evaporation deposition process)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공 수송층(22a), 전자 수송층(22c) 및 상부 전극(23)을 형성하기 위해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을 가리지 않는 오픈 마스크를 채택하여 증발 증착 공정을 진행한 후,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에 레이저 빔이나 식각액을 제공하는 선택적 제거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공 수송층(22a) 및 전자 수송층(22c)은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용액이 제공되지 않게 하는 프린팅 공정을 통해서 형성할 수 있다.
봉지 구조물(31)은 무기 하부 표면(31d)을 갖는다. 외부 무기 표면부(220) 전체는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와 직접 접하여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무기-무기 접합 라인을 형성한다. 무기-무기 접합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무기-유기 접합 또는 유기-유기 접합에 비하여 발광 영역(100)의 측면으로부터 침투할 수 있는 수분 및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발광 영역(100)의 아래 쪽으로부터 침투할 수 있는 수분 및 산소는 무기막 구조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다. 무기막 구조는 버퍼막(11)과 같이 홀이 형성되지 않되 발광 영역(100) 및 비발광 영역(200)과 대응하도록 확장하는 무기막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무기막 구조는 제1 게이트 절연막(13), 제2 게이트 절연막(15), 및 층간 절연막(17)과 같이 다른 무기 물질로 채워진 홀을 갖되 발광 영역(100) 및 비발광 영역(200)과 대응하도록 확장하는 무기막일 수 있다. 수분이나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외부 무기 표면부(220)와 무기막 구조의 사이에는 무기물로만 이루어진다.
하부 구조물(25)은 제1 측(25a), 제1 측(25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측(25b), 제1 측(25a) 및 제2 측(25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25c) 및 제3 측(25c)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4 측(25d)을 갖는다.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으로는 전계 발광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가 제공된다. 광투과 부위(210)는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보다 제2 측(25b)에 가깝게 형성된다. 도 1에서는 광투과 부위(210)이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보다 제4 측(25d)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광투과 부위(210)은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과 동일한 거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및 제2 측(25b)에서 외부 비발광 영역(200a)의 폭은 다르나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외부 비발광 영역(200a)의 폭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외부 비발광 영역(200a)의 폭은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서 외부 비발광 영역(200a)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전계 발광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 측(25a)에 구동 전류 인입을 위한 배선 설계의 공간적 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폭은 평균 폭으로 점유 면적을 길이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및 제2 측(25b)에서 외부 버퍼 영역(201)의 폭은 다르나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외부 버퍼 영역(201)의 폭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서 외부 버퍼 영역(201)의 폭은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또는 제4 측(25d)에서 외부 버퍼 영역(201)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는 스캔 드라이버, 에미션 드라이버 등 주변 회로가 외부 버퍼 영역(201)에 집적되므로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보다 제3 측(25c) 또는 제4 측(25d)에서 외부 버퍼 영역(201)의 폭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외부 버퍼 영역(201)의 폭은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서 외부 버퍼 영역(201)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전계 발광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 측(25a)에 구동 전류 인입을 위한 배선 설계의 공간적 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및 제2 측(25b)에서 외부 무기 표면부(220)의 폭은 다르나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외부 무기 표면부(220)의 폭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외부 무기 표면부(220)의 폭은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서 외부 무기 표면부(220)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전계 발광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 측(25a)에 구동 전류 인입을 위한 배선 설계의 공간적 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는 최종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하는 벤더블 전계 발광 장치, 폴더블 전계 발광 장치, 롤러블 전계 발광 장치, 스트레쳐블 전계 발광 장치, 또는 플렉서블 전계 발광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최종 사용자라 함은 완성된 전계 발광 장치 또는 전계 발광 장치가 포함된 완성된 장치를 구매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소비자를 의미하는 것이지, 제조 업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다르게, 전계 발광 장치는 커브진 경성 유리 기판이 부착된 커브드 전계 발광 장치 또는 평평한 경성 유리 기판에 부착된 플랫형 전계 발광 장치일 수도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편광 필름(39)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봉지 구조물(31) 상에는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 공통 패턴 막인 편광 필름(39)이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 필름(39)은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홀(h1)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25)에 포함된 신호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은 발광 영역(100)으로부터 광투과 부위(210)의 제1 측(210a)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41a) 및 광투과 부위(210)의 제1 측(210a)을 마주보는 제2 측(210b)으로부터 멀어져 발광 영역(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41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은 금속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한다. 광투과 부위(210)는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은 같은 층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는 같은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는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가 됨에도 제1 및 제2 드라이버들(42a, 42b)이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에 각각 동일한 신호를 동일한 타이밍에 제공함으로써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가 동일한 신호 상태를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스캔 신호, 에미션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 등 다양한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신호 상태를 갖는다는 것은 언제나 동일한 신호 상태만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및 제2 드라이버들(42a, 42b)이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에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드라이버들(42a, 42b)을 통해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이 필요에 따라 다른 신호 상태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드라이버들(42a, 42b)은 각각 제1 및 제2 데이터 드라이버들이고,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은 각각 화소 회로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배선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데이터 드라이버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에 위치하고, 제2 데이터 드라이버는 하부 구조물(25)의 상기 제1 측과 다른 제2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25)에 포함된 신호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은 광투과 부위(210)을 우회하여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43)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43)는 금속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43)은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컨택(c)을 통해서 제1 배선(41a) 및 제2 배선(41b)와 연결된다. 이와 다르게, 제1 배선(41a), 제2 배선(41b) 및 연결 부재(43)은 일체일 수 있다. 즉, 제1 배선(41a), 제2 배선(41b) 및 연결 부재(43)는 동일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43)은 내부 버퍼 영역(202)과만 겹친다. 연결 부재(43)가 내부 버퍼 영역(202)과만 겹치므로 발광 영역(100)에서 신호 배선 설계의 자유도 또는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 설계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연결 부재(43)에 의해서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드라이버들(42a, 42b) 중 어느 하나는 없어도 무방하고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은 동일 신호 상태만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드라이버들(42a, 42b)은 각각 제1 및 제2 스캔 드라이버들이고,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은 각각 화소 회로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제1 및 제2 스캔 배선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드라이버들(42a, 42b)은 각각 제1 및 제2 에미션 드라이버들이고,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은 각각 화소 회로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에미션 신호를 인가하는 제1 및 제2 에미션 배선들일 수 있다. 스캔 신호 및 에미션 신호는 디지털 신호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25)에 포함된 신호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연결 부재(43)은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컨택(c)을 통해서 제1 배선(41a) 및 제2 배선(41b)와 연결된다. 연결 부재(43)은 발광 영역(100)과만 겹친다. 연결 부재(43)이 발광 영역(100)과 겹치더라도 연결 부재(43)이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와 다른 층이므로 발광 영역(100)에서 배선 설계의 자유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영역(100)에서 배선 설계의 자유도를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연결 부재(43)은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25)에 포함된 신호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연결 부재(43)은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컨택(c)을 통해서 제1 배선(41a) 및 제2 배선(41b)와 연결된다. 연결 부재(43)은 발광 영역(100) 및 내부 버퍼 영역(202)과 모두 겹친다. 연결 부재(43)이 발광 영역(100)과 겹치더라도 연결 부재(43)이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와 다른 층이므로 발광 영역(100)에서 배선 설계의 자유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영역(100)에서 배선 설계의 자유도를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연결 부재(43)은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25)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은 하부 전극(20)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은 발광 영역(100)으로부터 광투과 부위(210)의 제1 측(210a)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41a) 및 광투과 부위(210)의 제1 측(210a)을 마주보는 제2 측(210b)으로부터 멀어져 발광 영역(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41b)을 포함한다. 광투과 부위(210)는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은 같은 층에 위치한다. 하부 구조물(25)은 광투과 부위(210)을 우회하여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4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이 연결 부재(43)에 의해서 연결되므로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이 동일한 구동 전류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광투과 부위(210) 근방에서 광투과 부위(210)로 인한 구동 전류의 전달이 지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연결 부재(43)은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컨택(c)을 통해서 제1 배선(41a)과 연결되는 제3 배선(41c),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제3 배선(41c)과 컨택(c)을 통해 연결되는 제4 배선(41d), 및 제3 배선(41c)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컨택(c)을 통해 제2 및 제4 배선들(41b, 41d)과 연결되는 제5 배선(41e)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과 제4 배선(41d)은 평행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과 제3 및 5 배선들(41c, 41e)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및 5 배선들(41c, 41e)은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배선(41c)은 제1 화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 및 상기 제1 화소 회로에 인접한 제2 회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으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5 배선(41e)은 제3 화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 및 상기 제3 화소 회로에 인접한 제4 회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으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3 및 5 배선들(41c, 41e)이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화소 회로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투과 부위(210)의 주위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는 내부 버스 배선이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을 연결할 수 있다. 내부 버스 배선은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5 배선(41e)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다른 배선과 컨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하부 구조물(25)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의 광투과 부위(210) 근방을 확대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은 하부 전극(20)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제2 측(25b)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1 배선(41f)들을 포함한다. 제1 배선(41f)은 화소 회로 존(PCZ)를 가로지를 수 있다.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은 내부 버스 배선(77)을 포함한다. 내부 버스 배선(77)은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위(77a)들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위(77b)들을 갖는다.
제1 부위(77a)및 제2 부위(77b)들은 내부 버스 배선(77)의 적어도 일측이 계단 형상을 갖도록 서로 교대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위(77a)는 제1 배선(41f)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위(77a) 및 제1 배선(41f)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버스 배선(77)은 서로 다른 개수들의 제1 배선(41f)들과 연결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제1 부위(77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버스 배선(77)은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제2 부위(77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버스 배선(77)의 적어도 일측이 계단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사각형 형태를 갖는 화소 회로 존(PCZ)가 다수 집합되어 형성된 매트리스 형상의 화소 회로 영역의 외곽(PCA-1)에 내부 버스 배선(77)을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존의 외곽이 화소 회로 존(PCZ)의 외곽 안쪽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부 버스 배선(77)이 화소 회로 영역의 외곽(PCA-1)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발광 존 및 하부 전극(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적어도 일부가 겹침으로써 내부 버스 배선(77)을 화소 회로 영역에 최대한 근접시키면서 발광 영역(100)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버스 배선을 갖는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은 제2 배선(41g)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9에 도시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배선(41g)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2 배선(41g)은 화소 회로 존(PCZ)를 가로지를 수 있다. 제2 배선(41g)은 제1 배선(41f)와 다른 층에 위치하며 컨택(c4)을 통해서 제1 배선(41f)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선(41g)은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선(41g)은 제1 화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 및 상기 제1 화소 회로에 인접한 제2 회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으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배선(41g)이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화소 회로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버스 배선을 갖는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은 제2 배선(41g)이 내부 버스 배선(77)에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0에 도시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배선(41g)은 내부 버스 배선(77)의 제2 부위(77b)에 컨택(c5)을 통해 연결된다. 내부 버스 배선(77)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적어도 둘의 제2 부위(77b)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2 부위(77b)들에 연결되는 제2 배선(41g)의 개수들도 다를 수 있다. 내부 버스 배선(77)이 제1 배선들(41f) 뿐만 아니라 제2 배선들(41g)에도 연결되므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 전체에 걸쳐 보다 균일하게 전류가 전달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영역에서 봉지 구조물(31)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51, 5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터치 전극(51)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감지 전극(51a) 및 제1 브릿지 전극(51b)를 포함한다. 제1 감지 전극(51a)의 면적은 제1 브릿지 전극(51b)의 면적 보다 넓다. 제2 터치 전극(52)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감지 전극(52a) 및 제2 브릿지 전극(52b)을 포함한다. 제2 감지 전극(52a)의 면적은 제2 브릿지 전극(52b)의 면적 보다 넓다. 제1 브릿지 전극(51b) 및 제2 브릿지 전극(52b)는 서로 다른 막 상에 형성되어 교차한다.
제1 터치 전극(51)은 공통 패턴 막으로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다. 제1 터치 전극(51)은 광투과 부위(210)에 의해서 양분되고, 제1 감지 전극(51a-1)의 일측은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노치(51c)를 갖는다. 광투과 부위(210)에 인근하는 제1 감지 전극(51a-1)의 면적은 제1 감지 전극(51a-1) 보다 광투과 부위(2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감지 전극(51a-2)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제1 감지 전극(51a-1)을 광투과 부위(210)에 인근하게 배치시켜 광투과 부위(210) 근방에서도 정밀도 있는 센싱이 가능하다. 제2 터치 전극(52)도 공통 패턴 막으로 광투과 부위(210)에 의해서 양분되고, 제2 감지 전극(52a-1)의 일측은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노치(52c)를 갖는다. 광투과 부위(210)에 인근하는 제2 감지 전극(52a-1)의 면적은 제2 감지 전극(52a-1) 보다 광투과 부위(2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감지 전극(52a-2)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제2 감지 전극(52a-1)을 광투과 부위(210)에 인근하게 배치시켜 광투과 부위(210) 근방에서도 정밀도 있는 센싱이 가능하다.
제1 감지 전극(51a)과 제2 감지 전극(52a) 사이에 더미 전극(5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더미 전극(53)은 제1 감지 전극(51a)과 제2 감지 전극(52a) 사이에서 화상이 상대적으로 밝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전계 발광 장치 전체에 걸쳐 화상이 균일한 밝기를 가지게 한다. 제1 감지 전극(51a), 제2 감지 전극(52a) 및 더미 전극(53)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광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51a), 제2 감지 전극(52a) 및 더미 전극은 같은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더미 전극(53a)은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투과 부위(210)에 인근하는 더미 전극(53a)의 면적은 그렇지 않은 더미 전극(53b)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더미 전극(53a)을 광투과 부위(210)에 인근하게 배치시켜 광투과 부위(210) 근방에서 밝기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지 전극(51a-2) 및 제2 감지 전극(52a-2)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감지 전극(51a-2) 및 제2 감지 전극(52a-2)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전극(51)이 연장하는 상기 제1 방향이 전계 발광 장치의 단변 방향이고, 제2 터치 전극(52)이 연장하는 상기 제2 방향이 전계 발광 장치의 장변 방향인 경우, 제1 감지 전극(51a-2)의 면적은 제2 감지 전극(52a-2)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제1 터치 전극(51) 전체의 면적과 제2 터치 전극(52) 전체의 면적을 실질적으로 같게 하여 주변 노이즈 대비 센싱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지 전극(51a), 제2 감지 전극(52a) 및 더미 전극(53)은 인듐 주석 산화물과 같은 광 투과성 도전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감지 전극(51a) 및 제2 감지 전극(52a)은 다수의 금속선이 메시(mesh) 형태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우회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51, 52)는 교차 부위(x)에서 교차하고 교차 부위(x)는 내부 버퍼 영역(202)와 겹친다. 제1 터치 전극(51)은 광투과 부위(210)를 우회하는 제1 연결 부재(51d)를 포함하고, 제2 터치 전극(52)은 광투과 부위(210)을 우회하는 제2 연결 부재(5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 부재들(51d, 52d)는 서로 같은 층에 겹치지 않게 위치한다.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연결 부재들(51d, 52d)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되 겹치지 않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51d)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연결 부재(52d)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투과 부위(210)를 둘러싸는 내부 버퍼 영역(202)과 겹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영역에서 봉지 구조물(31)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51, 5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제1 터치 전극(51)은 광투과 부위(210)에 의해서 분할되지는 않으나 제1 감지 전극(51a-3)은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홀(h2)을 갖는다. 홀(h2)이 형성된 제1 감지 전극(51a-3)의 면적은 그렇지 않은 제1 감지 전극(51a)의 면적 보다 작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영역에서 봉지 구조물(31)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51, 5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광투과 부위(210)은 인접한 두 개의 제1 터치 전극(51)들과 인접한 두 개의 제2 터치 전극(52) 간의 서로 인접하는 제1 내지 4 교차부들(X1, X2, X3, X4) 사이에 광투과 부위(210)의 중심(CE)이 위치한다. 광투과 부위(210)와 인근하는 제1 감지 전극들(51a-4) 및 광투과 부위(210)와 인근하는 제2 감지 전극들(52a-4)은 각각 노치를 갖는다. 제1 터치 전극(51)들과 제2 터치 전극(52)들은 광투과 부위(210)에 의해서 분할되지는 않는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영역에서 봉지 구조물(31)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터치 전극(54)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터치 전극(54)은 감지 전극(54a) 및 터치 배선(54b)을 포함한다. 감지 전극(54a) 중 광투과 부위(210)에 인접하는 감지 전극(54a-1)의 면적은 그렇지 않은 감지 전극(54a-2)의 면적 보다 작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봉지 구조물(31)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상부 터치 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절연막(50)의 상면 상에 상부 터치 전극(60) 및 상부 더미 전극(63)이 위치한다. 절연막(50)으로 도 3에 도시된 편광 필름(39)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부 터치 전극(60)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제1 폭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터치 전극(60)들 사이에는 다수의 상부 더미 전극(63)들이 위치한다. 절연막(50)에는 광투과 부위(210)과 대응하는 홀(h3)이 형성된다. 그리고 홀(h3) 주변에는 상부 터치 전극(60) 및 상부 더미 전극(63)이 형성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홀(h3)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8는 도 17에 도시된 터치 패널에 포함되는 하부 터치 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절연막(50)의 하면 상에 하부 터치 전극(80) 및 하부 더미 전극(83)이 위치한다. 하부 터치 전극(80)은 상부 터치 전극(60)이 연장하는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제2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터치 전극(80)의 상기 제2 폭은 상부 터치 전극(60)의 상기 제1 폭과 같을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하부 터치 전극(80)의 상기 제2 폭은 상부 터치 전극(60)의 상기 제1 폭과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터치 전극(60)이 연장하는 상기 제1 방향이 전계 발광 장치의 단변 방향이고, 하부 터치 전극(80)이 연장하는 상기 제2 방향이 전계 발광 장치의 장변 방향인 경우, 상부 터치 전극(60)의 상기 제1 폭은 하부 터치 전극(80)의 상기 제2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상부 터치 전극(60) 전체의 면적과 하부 터치 전극(80) 전체의 면적을 실질적으로 같게 하여 주변 노이즈 대비 센싱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하부 터치 전극(80)들 사이에는 다수의 하부 더미 전극(83)들이 위치한다. 홀(h3) 주변에는 하부 터치 전극(80) 및 하부 더미 전극(83)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상부 터치 전극 및 도 18에 도시된 하부 터치 전극이 결합된 터치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부 터치 전극(60)은 상부 수직 감지 전극(61) 및 상부 수평 감지 전극(62)을 포함한다. 하부 터치 전극(80)은 하부 수직 감지 전극(81) 및 하부 수평 감지 전극(82)을 포함한다.
상부 수직 감지 전극(61) 및 하부 수직 감지 전극(81)은 서로 겹치며 수직 감지 영역(70)을 형성한다. 수직 감지 영역(70)에서는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커패시터가 형성된다. 상부 수평 감지 전극(62) 및 하부 수평 감지 전극(82) 사이에는 수평한 방향으로 제2 커패시터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및/또는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터치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진다.
상부 터치 전극(60a)는 홀(h3)과 인근하는 단부를 갖고, 상기 단부는 노치(64a)를 갖는다. 상부 터치 전극(60b)은 홀(h3)과 인근하는 측부를 갖고, 상기 측부는 노치(64b)를 갖는다. 하부 터치 전극(80a)은 홀(h3)와 인근하는 단부를 갖고, 상기 단부는 노치(84a)를 갖는다.
홀(h3)과 인근하는 상부 더미 전극(63a)의 면적은 홀(h3)과 인근하지 않는 상부 더미 전극(63b)의 면적 보다 작다. 홀(h3)과 인근하는 하부 더미 전극(83a)의 면적은 홀(h3)과 인근하지 않는 하부 더미 전극(83b)의 면적 보다 작다. 홀(h3)과 인근하는 수직 감지 영역(70a)의 면적은 홀(h3)과 인근하지 않는 수직 감지 영역(70b)의 면적 보다 작다. 홀(h3)과 인근하는 하부 수평 감지 전극(82a)의 면적은 홀(h3)과 인근하지 않는 하부 수평 감지 전극(82b) 보다 작다. 홀(h3)과 인근하는 상부 수평 감지 전극(62a)의 면적은 홀(h3)과 인근하지 않는 상부 수평 감지 전극(62b) 보다 작을 수 있다.
상부 터치 전극(60a)은 홀(h3)까지 단일의 수직 감지 영역(70e)을 갖는데 반해 상부 터치 전극(60b)는 홀(h3)까지 두 개의 수직 감지 영역들(70c, 70d)을 갖는다. 다만, 도 19는 부분도이므로, 상부 터치 전극(60a)이 홀(h3)까지 단일의 수직 감지 영역(70e)만을 갖고, 상부 터치 전극(60b)는 홀(h3)까지 두 개의 수직 감지 영역들(70c, 70d)만을 갖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봉지 구조물 상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홀(h3)과 인근하고 상부 터치 전극(60) 및 하부 터치 전극(80)으로 둘러싸인 제1 영역(A1)에는 2개의 상부 더미 전극(63)이 2개의 하부 더미 전극(83)과 서로 겹쳐 위치한다. 따라서, 총 4개의 더미 전극이 위치한다.
그러나, 홀(h3)와 인근하지 않고 상부 터치 전극(60) 및 하부 터치 전극(80)으로 둘러싸인 제2 영역(A2)에는 4개의 상부 더미 전극(63)이 4개의 하부 더미 전극(83)과 서로 겹쳐 위치한다. 따라서, 총 8개의 더미 전극이 위치한다.
도 19 및 도 20에 설명된 터치 패널에는 도 13에 설명된 우회 구조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0에 설명된 터치 패널들은 도 22, 도 28, 도 30, 도 31, 도 36, 및 도 38에서 앞으로 설명될 광투과 부위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들 및 도 41, 도 45 및 도 52에서 앞으로 설명될 노치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2와 다르게, 전공 수송층(22a), 전자 수송층(22c), 상부 전극(23) 및 보호막(24)이 공통 패턴 막이지만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갖는다. 이는 제거 공정에서 전공 수송층(22a), 전자 수송층(22c), 상부 전극(23) 및 보호막(24)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거나 증발 증착 공정에서 마스크를 설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다르게, 전공 수송층(22a), 전자 수송층(22c), 상부 전극(23) 및 보호막(24)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는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전극(23)이 반사성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투과율을 많이 낮추기 때문에 상부 전극(23)의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거된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유기물을 포함하는 전공 수송층(22a), 전자 수송층(22c), 및 보호막(24)은 상대적으로 투과율을 적게 낮추기 때문에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투과 부위(210)은 비 관통홀 구조를 갖는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2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를 참조하면, 전계 발광 장치는 발광 영역(100) 및 비발광 영역(200)을 갖는다. 비발광 영역(200)은 외부 비발광 영역(200a) 및 내부 비발광 영역(200b)를 갖는다. 외부 비발광 영역(200a)은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221), 및 발광 영역(100)과 외부 무기 표면부(221)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버퍼 영역(201)을 포함한다. 내부 비발광 영역(200b)은 발광 영역(100)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윈도우로 사용되는 광투과 부위(210), 광투과 부위(210)을 둘러싸는 내부 무기 표면부(222), 및 발광 영역(100)과 내부 무기 표면부(222)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버퍼 영역(202)를 포함한다.
하부 구조물(25)은 발광 영역(100) 및 비발광 영역(200)을 포함한다. 비발광 영역(200)은 외부 비발광 영역(200a) 및 내부 비발광 영역(200b)를 포함한다. 외부 비발광 영역(200a)은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220), 및 발광 영역(100)과 외부 무기 표면부(220)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버퍼 영역(201)을 포함한다. 내부 비발광 영역(200b)은 발광 영역(100)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윈도우로 사용되는 광투과 부위(210) 및 발광 영역(100)과 광투과 부위(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버퍼 영역(202)을 포함한다. 여기서, 무기 표면부라 함은 무기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의미한다.
광투과 부위(210)은 광학 부재(10)가 삽입되는 홀(h4)을 갖는다. 홀(h4)에는 복수개의 광학 부재(10)가 삽입될 수도 있다. 홀(h4)에 광학 부재(10)가 삽입된 후 홀(h4)의 남은 공간에는 흡습성 또는 방투습성 물질을 포함하는 필러로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필러는 홀(h4)로부터 전계 발광 장치로 침투할 수 있는 수분 내지 산소를 차단하며 광학 부재(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홀(h4)에는 광학 부재(10)가 아닌 스피커 등과 같은 비광학 부재도 삽입될 수 있다. 광투과 부위(210)의 전체가 홀(h4)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광투과 부위(210)의 일부가 홀(h4)일 수 있다. 홀(h4)로부터 발광 영역(100)의 측부로 침입할 수 있는 수분 및 산소를 내부 무기 표면부(222)와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의 직접 접합으로 형성되는 무기-무기 접합 라인이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무기-무기 접합 라인은 폐쇄된 루프 (Closed loop) 형태를 갖는다. 버퍼막(11), 제1 게이트 절연막(13), 제2 게이트 절연막(15), 및 층간 절연막(17)과 같은 무기막 구조와 내부 무기 표면부(222)와 사이에는 무기물로만 이루어진다.
발광 영역(100)으로 완전히 둘러싸이는 광투과 부위(210)가 광학 부재(10)가 삽입되는 홀(h4)을 갖는 경우, 봉지 구조물(31)은 무기 실런트 및 무기 유리 기판으로 구성되는 경성 봉지 구조물 보다는 연성을 갖는 다층막인 것이 유리하다. 이는 광투과 부위(210)가 발광 영역(100)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이므로 광투과 부위(210) 주변에 무기 실런트를 형성하고 무기 실런트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광 영역(100)이 손상을 입거나, 무기 유리 기판 중 광투과 부위(210)에 대응하는 영역을 레이저 등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광 영역(100)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2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가 발광 영역(100)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이 과도하지 않은 한도 내에서 무기 실런트 및 무기 유리 기판으로 구성되는 경성 봉지 구조물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배선(41a)의 적어도 일부, 제2 배선(41b)의 적어도 일부, 연결 부재(43)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은 도 22에 도시된 내부 무기 표면부(222)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배선(41a)의 적어도 일부, 제2 배선(41b)의 적어도 일부, 연결 부재(43)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22에 도시된 내부 무기 표면부(222)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들도 도 22 및 도 23에 설명된 전계 발광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내지 도 11에 설명된 내부 버스 배선(77)은 내부 무기 표면부(222)와 겹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내지 도 11에 설명된 내부 버스 배선(77)은 내부 무기 표면부(222)에 포함되거나 내부 무기 표면부(222)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0에 설명된 터치 패널들은 도 22 및 도 23에 설명된 전계 발광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의 제1 감지 전극(51a-1) 및 더미 전극(53a), 도 14의 제1 감지 전극(51a-1), 도 15의 제1 및 제2 감지 전극들(51a-4, 52a-4), 도 16의 감지 전극(54a-1), 도 19의 상부 더미 전극(63a), 하부 더미 전극(83a), 수직 감지 영역(70a), 하부 수평 감지 전극(82a), 및 상부 수평 감지 전극(62a)은 내부 무기 표면부(222)와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3의 ‘C’ 및 ‘D’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4의 ‘C’영역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과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는 일치한다. 여기서, 일치한다 함은 적어도 일부가 일치하면 되고 전부가 일치할 필요는 없다. 하부 구조물(25)은 최외각에 위치하고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21b-1),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21b-1)와 연결되고 외부 유기 댐(71)의 표면에 대응하는 외부 유기 표면부(221c-1), 및 외부 유기 표면부(221c-1)과 연결되고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21d-1)을 포함한다.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21b-1)과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21d-1)은 외부 유기 표면부(221c-1)에 의해서 완전히 떨어지거나 부분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21b-1) 전체와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21d-1) 전체는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과 직접 접한다.
도 24의 ‘C’영역을 다시 참조하면, 발광 영역(100)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이 층간 절연막(17) 위에 위치한다.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은 소스/드레인 전극(18)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상부 연결 배선(81-1)은 평탄화막(19)위에 위치하고, 상부 전극(23) 및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과 접한다. 외부 상부 연결 배선(81-1)은 하부 전극(20)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은 발광 영역(100)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전극(23)이 음극인 경우, 전자는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 및 외부 상부 연결 배선(81-1)을 순차적으로 통하여 상부 전극(23)에 전달된다.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은 전계 발광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상부 연결 배선(81-1)는 형성되지 않고, 상부 전극(23)이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과 접할 수도 있다.
도 24의 ‘D’영역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에 대해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은 안쪽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이 형성되는 공정과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이 형성되는 공정이 다른 경우,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에 대해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은 안쪽으로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 구조물(31)의 제1 무기막(31a)과 제2 무기막(31c)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증착용 오픈 마스크를 통해 증착하는 경우, 제1 무기막(31a)과 제2 무기막(31c)의 측벽을 일치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에 대해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을 안쪽으로 떨어지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식각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계 발광 유닛 형성 후 수행되는 통상의 식각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계 발광 유닛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 24의 ‘D’영역을 다시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은 최외각에 위치하고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과 접하지 않는 개방형 내부 무기 표면부(222a-1), 개방형 내부 무기 표면부(222a-1)과 연결되고 홀(h4)을 둘러싸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1)를 갖고,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1)와 연결되고 내부 유기 댐(72)의 표면에 대응하는 내부 유기 표면부(222c-1), 및 내부 유기 표면부(222c-1)과 연결되고 홀(h4)을 둘러싸는 제2 내부 무기 표면부(222d-1)을 포함한다.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1)과 제2 내부 무기 표면부(222d-1)은 내부 유기 표면부(222c-1)에 의해서 완전히 떨어지거나 부분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1) 전체와 제2 내부 무기 표면부(222d-1) 전체는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과 직접 접한다. 개방형 내부 무기 표면부(222a-1)는 봉지 구조물(31)에 대해서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개방형 내부 무기 표면부(222a-1)는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과 접하지 않지만, 봉지 구조물(31) 형성 후 다른 부재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연결 부재(43d)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1) 아래에 위치한다. 연결 부재(43e)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1)에 포함된다. 연결 부재(43f)는 개방형 내부 무기 표면부(222a-1)의 아래에 위치한다.
도 24의 ‘D’영역을 다시 참조하면, 광투과 부위(210)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내부 하부 연결 배선(84-1)이 층간 절연막(17) 위에 위치한다. 내부 하부 연결 배선(84-1)은 소스/드레인 전극(18)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상부 연결 배선(82-1)은 평탄화막(19) 위에 위치하고, 상부 전극(23) 및 내부 하부 연결 배선(84-1)과 접한다. 내부 상부 연결 배선(82-1)은 하부 전극(20)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하부 연결 배선(84-1)은 발광 영역(100)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하부 연결 배선(84-1)은 전계 발광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하부 연결 배선(84-1)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상부 연결 배선(82-1)는 형성되지 않고, 상부 전극(23)이 내부 하부 연결 배선(84-1)과 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상부 연결 배선(82-1) 및 내부 하부 연결 배선(84-1)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3의 ‘C’ 및 ‘D’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5의 ‘C’영역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과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는 일치한다. 하부 구조물(25)은 최외각에 위치하고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21b-2),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21b-2)와 연결되고 외부 유기 댐(71)의 표면에 대응하는 외부 유기 표면부(221c-2), 및 외부 유기 표면부(221c-2)과 연결되고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21d-2)을 포함한다.
도 25의 ‘D’영역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과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는 일치한다. 하부 구조물(25)은 최외각에 홀(h4)을 둘러싸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2)를 갖고,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2)와 연결되고 내부 유기 댐(72)의 표면에 대응하는 내부 유기 표면부(222c-2), 및 내부 유기 표면부(222c-2)과 연결되고 홀(h4)을 둘러싸는 제2 내부 무기 표면부(222d-2)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43d)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2) 아래에 위치한다. 연결 부재(43e)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2)에 포함된다.
도 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3의 ‘C’ 및 ‘D’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6의 ‘C’영역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에 대해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은 안쪽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하부 구조물(25)은 최외각에 위치하고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과 접하지 않는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21a-3),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21a-3)와 연결되고,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21b-3),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21b-3)와 연결되고 외부 유기 댐(71)의 표면에 대응하는 제1 유기 표면부(221c-3), 및 외부 유기 표면부(221c-1)과 연결되고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21d-3)을 포함한다.
도 26의 ‘D’영역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에 대해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은 안쪽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하부 구조물(25)은 최외각에 위치하고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과 접하지 않는 개방형 내부 무기 표면부(222a-3), 개방형 내부 무기 표면부(222a-3)과 연결되고 홀(h4)을 둘러싸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3)를 갖고,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3)와 연결되고 내부 유기 댐(72)의 표면에 대응하는 제2 유기 표면부(222c-3), 및 제2 유기 표면부(222c-3)과 연결되고 홀(h4)을 둘러싸는 제2 내부 무기 표면부(222d-3)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43d)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3) 아래에 위치한다. 연결 부재(43e)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3)에 포함된다. 연결 부재(43f)는 개방형 내부 무기 표면부(222a-3)의 아래에 위치한다.
도 2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3의 ‘C’ 및 ‘D’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7의 ‘C’영역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에 대해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은 안쪽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하부 구조물(25)은 최외각에 위치하고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과 접하지 않는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21a-4),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21a-4)와 연결되고,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21b-4),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21b-4)와 연결되고 외부 유기 댐(71)의 표면에 대응하는 외부 유기 표면부(221c-4), 및 외부 유기 표면부(221c-4)과 연결되고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21d-4)을 포함한다.
도 27의 ‘D’영역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과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는 일치한다. 하부 구조물(25)은 최외각에 위치하고 홀(h4)을 둘러싸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4),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4)와 연결되고 내부 유기 댐(72)의 표면에 대응하는 내부 유기 표면부(222c-4), 및 내부 유기 표면부(222c-4)과 연결되고 홀(h4)을 둘러싸는 제2 내부 무기 표면부(222d-4)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43d)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4) 아래에 위치한다. 연결 부재(43e)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4)에 포함된다.
도 2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8에 도시된 III-III’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전계 발광 장치는 발광 영역(100) 및 비발광 영역(200)을 포함한다. 비발광 영역(200)은 외부 비발광 영역(200a) 및 내부 비발광 영역(200b)를 포함한다.
외부 비발광 영역(200a)은 발광 영역(100)을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221), 및 발광 영역(100)과 외부 무기 표면부(221)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버퍼 영역(201)을 포함한다. 내부 비발광 영역(200b)은 발광 영역(100)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윈도우로 사용되는 광투과 부위(210), 광투과 부위(210)을 둘러싸는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를 둘러싸는 내부 유기 표면부(222c), 내부 유기 표면부(222c)를 둘러싸는 제2 내부 무기 표면부(222d), 및 제2 내부 무기 표면부(222d)와 발광 영역(100)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버퍼 영역(202)을 포함한다.
광투과 부위(210)는 홀(h5)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버퍼 영역(202)의 최외각에는 홀(h5)을 둘러싸는 개방형 내부 무기 표면부(222a)가 위치할 수 있다. 개방형 내부 무기 표면부(222a)는 위에 봉지 구조물(31)으로 덮이지 않는다.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는 봉지 구조물(31)과 직접 접하며 닫힌 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내부 무기 표면부(222d)도 봉지 구조물(31)과 직접 접하며 닫힌 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구조물(25)은 내부 유기 댐(72)을 포함할 수 있는데 내부 유기 댐(72)의 표면이 하부 구조물(25)의 내부 유기 표면부(222c)에 대응한다. 여기서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 및 제2 내부 무기 표면부(222d)는 연통하지 않는 구조를 도시하였는데,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 및 제2 내부 무기 표면부(222d)는 일부 구간에서 연통할 수도 있다.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과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이 일치하지 않고,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이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 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와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과의 거리 때문에 상대적으로 발광 영역(100)을 좁게 구현해야 하므로, 발광 영역(100)에 포함되는 배선들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연결 부재(43a)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형 내부 무기 표면부(222a)의 아래에 위치하거나, 연결 부재(43b-2)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에 포함되거나, 연결 부재(43b-1)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내부 무기 표면부(222b)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배선(41a)의 적어도 일부, 제2 배선(41b)의 적어도 일부, 연결 부재(43)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은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제1 및 제2 내부 무기 표면부들(222b, 222d)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배선(41a)의 적어도 일부, 제2 배선(41b)의 적어도 일부, 연결 부재(43)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제1 및 제2 내부 무기 표면부들(222b, 222d) 중 적어도 하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들도 도 28 및 도 29에 설명된 전계 발광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내지 도 11에 설명된 내부 버스 배선(77)은 제1 및 제2 내부 무기 표면부들(222b, 222d) 중 적어도 하나와 겹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내지 도 11에 설명된 내부 버스 배선(77)은 제1 및 제2 내부 무기 표면부들(222b, 222d)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거나 제1 및 제2 내부 무기 표면부들(222b, 222d)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0에 설명된 터치 패널들은 도 28 및 도 29에 설명된 전계 발광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의 제1 감지 전극(51a-1) 및 더미 전극(53a), 도 14의 제1 감지 전극(51a-1), 도 15의 제1 및 제2 감지 전극들(51a-4, 52a-4), 도 16의 감지 전극(54a-1), 도 19의 상부 더미 전극(63a), 하부 더미 전극(83a), 수직 감지 영역(70a), 하부 수평 감지 전극(82a), 및 상부 수평 감지 전극(62a)은 제1 및 제2 내부 무기 표면부들(222b, 222d) 중 적어도 하나와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도 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0를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은 발광 영역(300) 및 외부 비발광 영역(400)을 포함한다. 외부 비발광 영역(400)은 발광 영역(300)을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420), 발광 영역(300)과 외부 무기 표면부(420)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버퍼 영역(430), 외부 버퍼 영역(430)으로 둘러싸이고 발광 영역(300)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광투과 부위(4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광투과 부위(410)은 비 관통홀 구조를 갖는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은 발광 영역(500) 및 외부 비발광 영역(600)을 포함한다. 외부 비발광 영역(600)은 발광 영역(500)을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620), 발광 영역(500)과 외부 무기 표면부(620)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버퍼 영역(630), 외부 무기 표면부(620)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발광 영역(500)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광투과 부위(610) 및 외부 무기 표면부(62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유기 표면 섬(6)을 포함한다. 광투과 부위(610)은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표면 섬(6)은 외부 무기 표면부(620)의 내부에 위치한다. 유기 표면 섬(6)은 중간막(22) 형성을 위한 증발(evaporation) 공정에서 마스크와 인접하는 스페이서의 표면일 수 있으나 유기 표면 섬(6)의 용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다르게, 유기 표면 섬(6)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배선(41a)의 적어도 일부, 제2 배선(41b)의 적어도 일부, 연결 부재(43)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은 도 31에 도시된 외부 무기 표면부(6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배선(41a)의 적어도 일부, 제2 배선(41b)의 적어도 일부, 연결 부재(43)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31에 도시된 외부 무기 표면부(620)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0 또는 도 3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은 하부 전극(20)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은 터미널 배선(1), 제1 외부 버스 배선(8), 제1 배선(2), 제2 배선(3), 및 제2 외부 버스 배선(9)을 포함한다.
터미널 배선(1)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 위치한다. 터미널 배선(1)의 단부에는 터미널 패드(미 도시)가 형성된다. 터미널 패드 상으로 공급되는 구동 전류는 터미널 배선(1)을 통해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외부 버스 배선(8)으로 전달된다. 터미널 배선(1)은 복 수개 구비될 수 있다. 터미널 배선(1)은 외부 비발광 영역(600)과 중첩한다.
제1 외부 버스 배선(8)은 터미널 배선(1)이 연결된다. 제1 외부 버스 배선(8)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 발광 영역(500)의 제1 측(500a)와 인근하게 위치하고 제1 측(25a)이 연장하는 수평 방향(HD: Horizontal Direction)을 따라 연장한다. 제1 외부 버스 배선(8)은 외부 비발광 영역(600)과 중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존의 외곽이 화소 회로 존의 외곽 안쪽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외부 버스 배선(8)은 화소 회로 영역의 외곽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발광 존 및 하부 전극(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적어도 일부가 겹침으로써 제1 외부 버스 배선(8)을 화소 회로 영역에 최대한 근접시키면서 도 30에 도시된 발광 영역(300)의 면적 또는 도 31에 도시된 발광 영역(500)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다.
제1 배선(2)의 제1 단부(2e-1)는 제1 외부 버스 배선(8)과 연결되고, 수평 방향(HD)와 직교하는 수직 방향(VD: Vertical Direction)을 따라 연장한다. 제1 배선(2)은 다수 형성된다. 제1 배선(2)은 발광 영역(500)과 중첩한다.
제2 배선(3)은 컨택(c1)을 통해서 제1 배선(2)과 연결되고, 수평 방향(HD)을 따라 연장한다. 제2 배선(3)은 다수 형성된다. 제2 배선(3)은 발광 영역(500)과 중첩한다.
제2 외부 버스 배선(9)은 제1 배선(2)의 제1 단부(2e-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단부(2e-2)와 연결된다. 제2 외부 버스 배선(9)는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과 반대측인 제2 측(25b)에 발광 영역(500)의 제2 측(500b)와 인근하게 위치한다. 제2 외부 버스 배선(9)은 수평 방향(HD)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존의 외곽이 화소 회로 존의 외곽 안쪽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외부 버스 배선(9)이 화소 회로 영역의 외곽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발광 존 및 하부 전극(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적어도 일부가 겹침으로써 제2 외부 버스 배선(9)을 화소 회로 영역에 최대한 근접시키면서 도 30의 발광 영역(300)의 면적 또는 도 31의 발광 영역(500)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다.
제2 외부 버스 배선(9)는 다수의 제1 배선(2)들로 이루어진 제1 그룹(G1)이 연결되는 제1 부분(9a) 및 다수의 제1 배선(2)들로 이루어진 제2 그룹(G2)이 연결되는 제2 부분(9b)를 포함한다. 제1 그룹(G1) 및 제2 그룹(G2) 사이에 다수의 제1 배선(2)들로 제3 그룹(G3)이 위치한다. 제3 그룹(G3)에 속하는 제1 배선(2)의 제2 단부(2e-2)는 광투과 부위(610)과 마주한다. 제3 그룹(G3)은 제2 외부 버스 배선(9)과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투과 부위(610) 근방에서 공간적 여유를 확보하여 다수의 배선들로 인한 신호 간섭을 줄이면서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광투과 부위(610)은 터미널 배선(1)이 연결된 제1 외부 버스 배선(8) 보다 제2 외부 버스 배선(9)에 더 가깝게 형성된다. 또한, 광투과 부위(610)은 터미널 배선(1)이 연결된 제1 외부 버스 배선(8) 및 제2 외부 버스 배선(9)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구동 전류를 발광 영역(500)의 제1 측(500a)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터미널 배선(1a) 및 터미널 배선(1b)는 광투과 부위(61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다. 따라서 광투과 부위(610)에 의해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 내에서 구동 전류가 균일하지 않게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 배선(1a) 및 터미널 배선(1b) 외에 다른 터미널 배선(1c)도 포함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터미널 배선(1c)는 생략되며 광투과 부위(610)는 수직 방향(VD)을 따라 연장하는 전계 발광 장치의 중심축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 배선(1)은 제1 외부 버스 배선(8) 보다 광투과 부위(610)와 더 가까운 제2 외부 버스 배선(9)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에 초기 구동 전류는 제2 방향(D2)을 따라 광투과 부위(610) 부근의 전계발광유닛들까지 상대적으로 단시간에 공급된다. 따라서, 광투과 부위(610) 부근에서 광투과 부위(610)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전류 공급 지연으로 인한 화질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계 발광 장치는 캐리어 글래스 기판 위에 형성된 고분자층에 형성된 후, 캐리어 유리 기판과 고분자층 사이의 접착력을 레이저 빔 조사 등을 통해 약화시킨 후 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탈착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부터 시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수행되어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은 마지막에 탈착될 수 있다. 따라서, 탈착이 광투과 부위(610)와 가까운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 부터 진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광투과 부위(610) 부근에서의 손상 또는 미탈착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탈착 방법은 도 1, 도 22, 및 도 28에서 이미 설명된 전계 발광 장치 또는 도 도 41, 도 45, 및 도 52에서 설명될 전계 발광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0 또는 도 3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를 참조하면, 도 32에 도시된 제1 부분(9a) 및 제2 부분(9b)을 포함하는 제2 외부 버스 배선(9)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외부 버스 배선(9)이 제거된 부분에 다른 회로적 구성을 설계할 수 있으므로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0 또는 도 3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을 참조하면, 도 32에 도시된 제2 외부 버스 배선(9)이 제3 그룹(G3)에 포함된 다수의 제1 배선(2)들과 연결되는 제3 부분(9c)를 더 포함한다. 제3 부분(9c)는 외부 비발광 영역(600)과 중첩하고 광투과 부위(610)과 발광 영역(500) 사이에 위치한다. 제3 부분(9c)는 수직 방향(VD)으로 연장하는 연장부(9c-1)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9c-1)와 제2 배선(3a)은 컨택(c2)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제2 배선(3a)은 연장부(9c-1)로부터 직접 전류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공급받기 위함이다. 이와 다르게, 제2 배선(3a)은 연장부(9c-1)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연장부(9c-1)의 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1 부분(9a), 제2 부분(9b), 및 제3 부분(9c)는 일체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부분들(9a, 9b)은 동일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고 제3 부분(9c)는 컨택을 통해 제1 및 제2 부분들(9a, 9b)과 연결되는 다른 막일 수 있다.
또한, 터미널 배선(1)들이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 위치하는 제2 외부 버스 배선(9)에 연결되는 경우, 터미널 배선(1) 중 적어도 하나는 제3 부분(9c)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0 또는 도 3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2 외부 버스 배선(9)의 제3 부분(9c)은 제1 부분(9a) 및 제2 부분(9b)와 이격한다. 제3 부분(9c)은 제2 배선(3a)과 컨택(c2)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6의 제1 광투과 부위(610a) 및 제2 광투과 부위(610b)에서 배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6 및 33을 참조하면, 전계 발광 장치는 발광 영역(500) 및 외부 비발광 영역(600)을 갖는다. 외부 비발광 영역(600)은 발광 영역(500)을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620), 발광 영역(500)과 외부 무기 표면부(620)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버퍼 영역(630), 외부 무기 표면부(620)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발광 영역(500)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제1 광투과 부위(610a) 및 제2 광투과 부위(610b)를 포함한다.
복수의 광투과 부위를 갖는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은 도 1, 도 22, 도 28, 도 30 및 도 31에 설명된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광투과 부위(610a)는 홀을 가질 수 있고, 제2 광투과 부위(610b)도 홀을 가질 수 있다. 제1 배선(41a) 또는 제2 배선(41b)이 연장하는 방향을 수평 방향(HD)이라고 하는 경우, 제2 광투과 부위(610b)는 제1 광투과 부위(610a)로부터 사선 방향(OD: oblique direction)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광투과 부위(610a) 및 제2 광투과 부위(610b) 주위의 화소들이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 및 상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신호를 효과적으로 받기 위함이다.
도 3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8를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은 발광 영역(700) 및 외부 비발광 영역(800)을 포함한다. 외부 비발광 영역(800)은 발광 영역(700)을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820), 발광 영역(700)과 외부 무기 표면부(82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외부 버퍼 영역(800a), 외부 무기 표면부(820)의 외부에 위치하고 발광 영역(700)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제2 외부 버퍼 영역(800b), 제2 외부 버퍼 영역(800b)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발광 영역(500)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광투과 부위(810) 및 제2 외부 버퍼 영역(800b)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무기 표면 섬(7)을 포함한다.
광투과 부위(810)는 발광 영역(700) 또는 제2 외부 버퍼 영역(800b)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광투과율을 갖는다. 광투과 부위(810)은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광투과 부위(810)은 비 관통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외부 버퍼 영역(800b)의 표면은 유기물로만 이루어지는 경우 무기 표면 섬(7)은 제2 외부 버퍼 영역(800b)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무기 표면 섬(7)은 정전기 방지 구조물의 일 표면, 점등 회로 구조의 일 표면, 테스트 회로의 컨택 패드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무기 표면 섬(7)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배선(41a)의 적어도 일부, 제2 배선(41b)의 적어도 일부, 연결 부재(43)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은 도 38에 도시된 외부 무기 표면부(8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배선(41a)의 적어도 일부, 제2 배선(41b)의 적어도 일부, 연결 부재(43)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38에 도시된 외부 무기 표면부(820)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8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서 배선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광투과 부위(810)의 상측 및 하측으로 모두 연결 부재(43)들이 광투과 부위(810)을 우회하여 지나간다. 제6 배선(47)은 광투과 부위(810)를 통과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연결 부재(43)을 갖지 않는다. 제1 배선(41a), 제2 배선(41b) 및 제6 배선(47)은 외부 무기 표면부(820)을 통과하는 통과부(5)의 측부에 위치한 요철(4)를 갖는다. 요철(4)은 수분 및 산소의 침투 경로로의 길이를 늘리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통과부(5)는 외부 무기 표면부(820)에 포함되거나 외부 무기 표면부(82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철(4)은 도 31 및 32에 설명된 전계 발광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철(4)은 도 24의 연결 부재(43d, 43e, 43f), 도 25의 연결 부재(43d, 43e), 도 26의 연결 부재(43d, 43e, 43f), 도 27의 연결 부재(43d, 43e), 및 도 29의 연결 부재(43a, 43b-1, 43b-2)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9을 다시 참조하면, 제6 배선(47)이 발광 영역(700), 제1 외부 버퍼 영역(800a), 외부 무기 표면부(820), 제2 외부 버퍼 영역(800b), 외부 무기 표면부(820), 제1 외부 버퍼 영역(800a), 및 발광 영역(700)으로 순차적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2개의 통과부(5)를 가지나, 이와 다르게 발광 영역(700), 제1 외부 버퍼 영역(800a), 외부 무기 표면부(820), 및 제2 외부 버퍼 영역(800b)으로 순차적으로 연장한 후 제2 외부 버퍼 영역(800b)에서 드라이버 등과 연결되는 경우라면 단일의 통과부(5)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8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를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은 발광 영역(500) 및 외부 비발광 영역(600)을 갖는다. 외부 비발광 영역(600)은 발광 영역(500)을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820), 외부 무기 표면부(820)와 발광 영역(50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외부 버퍼 영역(600a) 및 외부 무기 표면부(820)의 외부에 위치하고 발광 영역(500)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제2 외부 버퍼 영역(600b), 및 제2 외부 버퍼 영역(600b)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발광 영역(500)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광투과 부위(810)를 갖는다. 광투과 부위(810)은 홀을 가질 수 있다.
외부 무기 표면부(820)는 발광 영역(500) 및 광투과 부위(810) 사이에서 연장하는 연장부(820a)를 갖는다. 광투과 부위(810)은 외부 무기 표면부(820)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제2 외부 버스 배선(9)의 제1 및 제2 부분들(9a, 9b)은 제3 부분(9d)에 의해서 연결된다. 제2 외부 버스 배선(9)은 제1 외부 버퍼 영역(600a), 외부 무기 표면부(820), 제2 외부 버퍼 영역(600b), 외부 무기 표면부(820) 및 제1 외부 버퍼 영역(600a)을 순차적으로 지나도록 제1 방향(D1)으로 연장한다.
여기서, 제2 외부 버스 배선(9)이 갖는 외부 무기 표면부(820)을 지나는 통과부(5a)의 측벽은 요철(4a)을 갖는다. 또한, 제2 외부 버스 배선(9)의 통과부(5a)는 외부 무기 표면부(820)에 포함되거나 외부 무기 표면부(82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그룹(G2)에 포함된 제1 배선(2a)는 발광 영역(500), 제1 외부 버퍼 영역(600a), 외부 무기 표면부(820), 제2 외부 버퍼 영역(600b)를 순차적으로 지나도록 제2 방향(D2)로 연장한다. 제1 배선(2a)는 제2 외부 버퍼 영역(600b)에서 제2 외부 버스 배선(9)의 제3 부분(9d)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배선(2a)이 갖는 외부 무기 표면부(820)을 지나는 통과부(5c)의 측벽은 요철(4c)을 갖는다. 또한, 제1 배선(2a)의 통과부(5c)는 외부 무기 표면부(820)에 포함되거나 외부 무기 표면부(82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배선(2a)는 광투과 부위(810)을 우회하는 우회부(2a-1)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배선(2a)의 연장 방향에 광투과 부위(810)가 위치하지 않아 우회가 불필요한 경우라면 우회부(2a-1)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제2 그룹(G2)에 포함된 제1 배선(2b)은 제1 배선(2a)와 달리 외부 무기 표면부(820)을 지나지 않으므로 제2 외부 버스 배선(9)의 제3 부분(9d)과 연결되지 않는다. 제2 그룹(G2)는 제1 배선(2a)들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그룹(G2)은 제1 배선(2b)들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또 다르게, 제2 그룹(G2)은 제1 배선(2a) 및 제1 배선(2b)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선(3b)은 발광 영역(500), 제1 외부 버퍼 영역(600a), 외부 무기 표면부(820), 제2 외부 버퍼 영역(600b), 외부 무기 표면부(820) 및 제1 외부 버퍼 영역(600a)을 순차적으로 지나도록 제1 방향(D1)으로 연장한다. 여기서, 제2 배선(3b)이 갖는 외부 무기 표면부(820)을 지나는 통과부(5b)의 측벽은 요철(4b)을 갖는다. 또한, 제2 배선(3b)의 통과부(5b)는 외부 무기 표면부(820)에 포함되거나 외부 무기 표면부(82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배선(2a) 및 제2 배선(3b)은 제2 외부 버퍼 영역(600b)에서 컨택(c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선(3c)은 제2 배선(3b)와 달리 외부 무기 표면부(820)을 지나지 않는다. 하부 구조물(25)은 제2 배선(3b)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하부 구조물(25)은 제2 배선(3c)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또 다르게, 하부 구조물(25)은 제2 배선(3b) 및 제2 배선(3c)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은 발광 영역(900) 및 외부 비발광 영역(1000)을 포함한다. 외부 비발광 영역(1000)은 발광 영역(900)을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1020), 및 발광 영역(900)과 외부 무기 표면부(1020) 사이에 위치하는 외부 버퍼 영역(1030)을 포함한다. 윈도우로 사용되는 노치(1010)는 하부 구조물(25)의 일측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발광 영역(900)의 일측은 노치(1010)을 따라 형성된다.
도 41의 실시예에 포함된 봉지 구조물(도 2 등의 31 참고)은 연성을 갖는 다층막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봉지 구조물(31)은 무기 실런트 및 무기 유리 기판으로 구성되는 경성 봉지 구조물일 수도 있다. 도 22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서는 봉지 구조물(31)이 경성 봉지 구조물 보다 연성 다층막인 것이 상대적으로 유리하였으나, 도 4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는 노치(1010)가 하부 구조물(25)의 일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노치(1010) 주변에 무기 실런트를 형성하고 무기 실런트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 또는 무기 유리 기판 중 노치(1010)에 대응하는 영역을 레이저 등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광 영역(900)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가 덜하기 때문에 경성 봉지 구조물도 비교적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 사용되는 신호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을 참조하면, 노치(1010)는 이전 실시예들의 광투과 부위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구조물(25)은 발광 영역(900)으로부터 노치(1010)의 제1 측(1010a)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41a) 및 노치(1010)의 제1 측(1010a)을 마주보는 제2 측(1010b)으로부터 멀어져 발광 영역(9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41b)을 포함한다. 노치(1010)는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은 같은 층에 위치한다. 제1 배선(41a)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배선(41b)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은 외부 무기 표면부(1020)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드라이버들(42a, 42b)은 각각 제1 및 제2 데이터 드라이버들이고, 제1 및 제2 배선들(41a, 41b)은 각각 화소 회로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제1 및 제2 데이터 배선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데이터 드라이버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에 위치하고, 제2 데이터 드라이버는 하부 구조물(25)의 상기 제1 측과 다른 제2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배선 구조들도 도 41의 전계 발광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치(1010)가 장변인 제3측(25c)에 형성되고, 장변 방향으로 연장하는 데이터 배선이 노치(1010) 부근을 우회하여 지나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배선(41a)의 적어도 일부, 제2 배선(41b)의 적어도 일부, 연결 부재(43)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은 도 41에 도시된 외부 무기 표면부(10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배선(41a)의 적어도 일부, 제2 배선(41b)의 적어도 일부, 연결 부재(43)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41에 도시된 외부 무기 표면부(1020)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0에 설명된 터치 패널들은 도 41에 설명된 전계 발광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의 제1 감지 전극(51a-1) 및 더미 전극(53a), 도 15의 제1 감지 전극(51a-4) 또는 제2 감지 전극(52a-4), 도 16의 감지 전극(54a-1), 도 19의 상부 더미 전극(63a), 하부 더미 전극(83a), 수직 감지 영역(70a), 하부 수평 감지 전극(82a), 및 상부 수평 감지 전극(62a)은 도 41의 외부 무기 표면부(1020)와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의 제1 연결 부재(51d) 및 제2 연결 부재(52d)는 도 41의 외부 비발광 영역(1000)과 겹칠 수 있다.
도 43는 도 4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I-II’선 및 III-III’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43를 참조하면, 연결 부재(43)은 외부 무기 표면부(1020)의 아래에 위치한다. 따라서, 다수의 연결 부재(43)이 요구되는 경우, 다수의 연결 부재(43)이 차지하는 면적을 외부 무기 표면부(1020) 아래에 둠으로써 발광 영역(900)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발광 영역(9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수의 연결 부재(43)으로 인한 신호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연결 부재(43)는 외부 무기 표면부(10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3의 II-II’선을 자른 단면 및 III-III’선을 자른 단면 모두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와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가 일치한다. 이는, 도 43의 II-II’선 부근 및 III-III’선 부근 형성시, 레이저 식각 또는 식각액 식각 등을 통해서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과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이 동일 공정에서 식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1의 II-II’선 및 III-III’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도 44의 II-II’선을 자른 단면에서는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와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가 일치한다. 그러나, 도 44의 III-III’선을 자른 단면에서는 봉지 구조물(31)에 의해서 덮이지 않는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1021)이 위치하기 때문에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이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 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형상을 갖는다. 이는 도 44의 II-II’선 부근 형성시 레이저 식각 또는 식각액 식각 등을 통해서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과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이 동일 공정에서 식각될 수 있으나, 그 외의 부분에서는 동일 공정에서의 동시 식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광 영역(900)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이 층간 절연막(17) 위에 위치한다.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은 소스/드레인 전극(18)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상부 연결 배선(81-1)은 평탄화막(19)위에 위치하고, 상부 전극(23) 및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과 접한다. 외부 상부 연결 배선(81-1)은 하부 전극(20)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은 발광 영역(900)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전극(23)이 음극인 경우, 전자는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 및 외부 상부 연결 배선(81-1)을 순차적으로 통하여 상부 전극(23)에 전달된다.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은 전계 발광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4에 도시된 III-III’선을 자른 단면에서, 외부 상부 연결 배선(81-1)이 형성되지 않고, 상부 전극(23)이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4에 도시된 III-III’선을 자른 단면에서,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4에 도시된 III-III’선을 자른 단면에서, 외부 하부 연결 배선(83-1) 및 외부 상부 연결 배선(81-1)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1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는 도 32, 도 33,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5을 참조하면, 제2 방향(D2)을 따라 안쪽으로 들어간 노치(1010)는 경사진 측벽(1010s)을 갖는다. 노치(1010)가 경사진 측벽(1010s)을 갖도록 하여 노치(1010)의 각진 부분(Y)을 직각 또는 예각이 아닌 둔각으로 구현할 수 있어 각진 부분(Y) 형성시 생길 수 있는 공정 불량 또는 각진 부분(Y) 때문에 발행할 수 있는 진행성 불량을 줄일 수 있다. 경사진 측벽(1010s)은 직선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곡선형일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0에 설명된 터치 패널들은 도 45에 설명된 전계 발광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의 제1 감지 전극(51a-1) 및 더미 전극(53a), 도 15의 제1 감지 전극(51a-4) 또는 제2 감지 전극(52a-4), 도 16의 감지 전극(54a-1), 도 19의 상부 더미 전극(63a), 하부 더미 전극(83a), 수직 감지 영역(70a), 하부 수평 감지 전극(82a), 및 상부 수평 감지 전극(62a)은 도 45의 외부 무기 표면부(1020)와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의 제1 연결 부재(51d) 및 제2 연결 부재(52d)는 도 45의 외부 비발광 영역(1000)과 겹칠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제2 외부 버스 배선(9)의 제1 부분(9a) 및 제3 부분(9c) 사이에 경사부(9e)가 위치한다. 경사부(9e)는 제1 부분(9a) 및 제3 부분(9c)에 대하여 경사진 바(bar)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경사부(9e)는 직선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곡선형일 수 있다. 경사부(9e)에는 제1 배선(2c)가 연결되며, 제1 부분(9a) 및 제3 부분(9c)에는 제1 배선(2)이 연결된다. 제2 외부 버스 배선(9)과 제1 배선(2c)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선(2c)는 발광 영역(900)과 겹치면서 제2 방향(D2)를 따라 연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존의 외곽이 화소 회로 존의 외곽 안쪽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외부 버스 배선(9)이 화소 회로 영역의 외곽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발광 존 및 하부 전극(도 2 등의 20 참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적어도 일부가 겹침으로써 제2 외부 버스 배선(9)을 화소 회로 영역에 최대한 근접시키면서 발광 영역(900)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다.
도 4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를 참조하면,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은 제2 방향(D2)와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3a)을 포함한다. 제2 배선(3a)은 외부 버퍼 영역(1030)까지 연장하지 않기 때문에, 경사부(9e)에는 제2 배선(3a)이 연결되지 않는다. 제2 배선(3a)은 제1 배선(2, 2c)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컨택(c1)을 통해 제1 배선(2, 2c)과 연결된다. 제1 배선(2, 2c) 및 제2 배선(3a)는 발광 영역(900)과 겹친다. 그리고 제2 배선(3a)은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선(3a)은 제1 화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 및 상기 제1 화소 회로에 인접한 제2 회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으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배선(3a)이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화소 회로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제2 배선(3a)이 경사부(9e)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경사부(9e)에 제2 배선(3a)과의 연결을 위한 컨택 형성 부위를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경사부(9e)의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가져가서 외부 무기 표면부(1020) 및 외부 버퍼 영역(1030)에서 배선 설계의 자유도 및 주변 회로 설계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선(3a)이 외부 버퍼 영역(1030)까지 연장하지 않기 때문에, 제2 배선(3a)이 외부 버퍼 영역(1030)까지 연장하는 경우, 외부 버퍼 영역(103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2 배선(3a)과 외부 버퍼 영역(1030)에 형성될 수 있는 주변 회로 구조물과의 신호 간섭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주변 회로의 예들은 점등 회로, 정전기 방지 회로 등일 수 있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을 참조하면, 도 47에서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제2 배선(3a)은 외부 버퍼 영역(1030)까지 연장하고, 컨택(c2)를 통해서 경사부(9e)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배선(3a)도 경사부(9e)로부터 직접 구동 전류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공급 받을 수 있다. 제1 배선(2, 2c) 및 제2 배선(3a)는 발광 영역(900)과 겹친다. 그리고 제2 배선(3a)은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선(3a)은 제1 화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 및 상기 제1 화소 회로에 인접한 제2 회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으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배선(3a)이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화소 회로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을 참조하면, 경사부(9e)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하는 제1 부위(9e-1) 및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제2 부위(9e-2)를 갖는다. 제1 부위(9e-1) 및 제2 부위(9e-2)는 번갈아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경사부(9e)는 계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계단 형태의 경사부(9e)는 사각형 외곽을 갖는 화소 회로 존이 다수 모여 형성되는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회로 영역의 외곽과 상대적으로 밀착되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배선 설계를 위한 공간적 여유도 확보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단 형태의 경사부(9e)를 상기 화소 회로 영역의 외곽과 더 밀착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제1 부위(9e-1)들을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계단 형태의 경사부(9e)를 상기 화소 회로 영역의 외곽과 더 밀착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적어도 둘의 제1 부위(9e-1)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부위(9e-2)에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배선(2c)가 연결된다. 제1 배선(2c)는 제2 외부 버스 배선(9)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9에서는 모든 제2 부위(9e-2)에 단일의 제1 배선(2c)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위(9e-2) 중 어느 하나에는 “n”개의 전류 배선이 연결되고, 제2 부위(9e-2) 중 다른 하나에는 “m”개의 전류 배선이 연결되고, “n” 및 “m”은 서로 다른 자연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2 부위(9e-2)에는 2개의 제1 배선(2c)들이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제2 부위(9e-2)에는 3개의 제1 배선(2c)들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3개의 제1 배선(2c)들이 연결되는 제2 부위(9e-2)의 길이는 2 개의 제1 배선(2c)들이 연결되는 제2 부위(9e-2)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제2 부위(9e-2)에 연결되는 제1 배선(2c)의 수를 달리 가져감으로써, 경사진 측벽(1010s)이 직선형인 경우뿐만 아니라 적어도 일부가 곡선형일 경우에도, 경사부(9e)의 형태를 경사진 측벽(1010s)과 대응되게 가져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둘의 제2 부위(9e-2)들의 길이를 다르게 가져감으로써, 계단 형태의 경사부(9e)를 상기 화소 회로 영역의 외곽과 더 밀착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를 참조하면,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은 제2 방향(D2)와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고 제1 배선(2c)와 다른 층에 위치하는 제2 배선(3a)을 포함한다. 제2 배선(3a)은 외부 버퍼 영역(1030)까지 연장하지 않기 때문에, 제2 부위(9e-2)에는 제2 배선(3a)이 연결되지 않는다. 제1 배선(2, 2c) 및 제2 배선(3a)은 컨택(c1)을 통해 연결된다. 제1 배선(2, 2c) 및 제2 배선(3a)는 발광 영역(900)과 겹친다. 그리고 제2 배선(3a)은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선(3a)은 제1 화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 및 상기 제1 화소 회로에 인접한 제2 회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으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배선(3a)이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화소 회로의 집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5의 ‘E’영역에 포함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도 50에서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제2 배선(3a)은 외부 버퍼 영역(1030)까지 연장하고, 컨택(c2)를 통해서 제1 부위(9e-1)와 연결된다. 제1 배선(2, 2c) 및 제2 배선(3a)는 발광 영역(900)과 겹친다. 그리고 제2 배선(3a)은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선(3a)은 제1 화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 및 상기 제1 화소 회로에 인접한 제2 회소 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전극으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배선(3a)이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화소 회로의 커패시터에 포함되는 전극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화소 회로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둘의 제2 부위(9e-2)들을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부위(9e-2)들에 연결되는 제2 배선(3a)의 개수들을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46 내지 도 51에 도시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은 도 30, 도 31, 도 36 또는 도 38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2에 도시된 II-II’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52 및 도 53를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은 발광 영역(2010) 및 외부 비발광 영역(2020)을 포함한다. 외부 비발광 영역(2020)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 외부 유기 표면부(2023),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024), 및 외부 버퍼 영역(2025)을 포함한다. 윈도우로 사용되는 노치(2000)는 하부 구조물(25)의 일측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발광 영역(2010)의 일측은 노치(2000)을 따라 형성된다.
외부 비발광 영역(2020)의 최외각에는 발광 영역(2010)을 둘러싸는 형상인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가 위치하고,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보다 안쪽으로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와 연결되며 발광 영역(2010)을 둘러싸는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가 위치하고,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 보다 안쪽으로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와 연결되며 발광 영역(2010)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유기 표면부(2023)가 위치하고, 외부 유기 표면부(2023) 보다 안쪽으로 외부 유기 표면부(2023)와 연결되며 발광 영역(2010)을 둘러싸는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024)가 위치하고,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024)의 안쪽으로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024)와 연결되고 발광 영역(2010)을 둘러싸는 외부 버퍼 영역(2025)가 위치한다.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는 위에 봉지 구조물(31)으로 덮이지 않는다.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 및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024)는 봉지 구조물(31)과 직접 접한다.
하부 구조물(25)은 외부 유기 댐(7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외부 유기 댐(71)의 표면이 하부 구조물(25)의 외부 유기 표면부(2023)에 대응한다. 도 52에서는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와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024)가 연통하지 않는 구조를 도시하였는데,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와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024)는 일부 구간에서 연통할 수도 있다.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과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이 일치하지 않고,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이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 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하부 구조물(25)의 측벽(25f)와 봉지 구조물(31)의 측벽(31f)과의 거리 때문에 상대적으로 발광 영역(2010)을 좁게 구현해야 하므로, 발광 영역(2010)에 포함되는 배선들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연결 부재(43a)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의 아래에 위치하거나, 연결 부재(43b)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에 포함되거나, 연결 부재(43b)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하부 구조물(25)은 제1 측(25a), 제1 측(25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측(25b), 제1 측(25a) 및 제2 측(25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25c) 및 제3 측(25c)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4 측(25d)을 갖는다.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으로는 전계 발광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가 제공된다. 노치(2000)는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 형성된다. 도 52에서는 노치(2000)가 하부 구조물(25)의 제4 측(25d) 보다 제3 측(25c)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노치(2000)은 하부 구조물(25)의 제4 측(25d) 및 제3 측(25c)과 동일한 거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및 제2 측(25b)에서 외부 비발광 영역(2020)의 폭은 다르나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외부 비발광 영역(2020)의 폭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외부 비발광 영역(2020)의 폭은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서 외부 비발광 영역(2020)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전계 발광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 측(25a)에 구동 전류 인입을 위한 배선 설계의 공간적 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및 제2 측(25b)에서 외부 버퍼 영역(2025)의 폭은 다르나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외부 버퍼 영역(2025)의 폭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서 외부 버퍼 영역(2025)의 폭은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또는 제4 측(25d)에서 외부 버퍼 영역(2025)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는 스캔 드라이버, 에미션 드라이버 등 주변 회로가 외부 버퍼 영역(2025)에 집적되므로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 보다 제3 측(25c) 또는 제4 측(25d)에서 외부 버퍼 영역(2025)의 폭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외부 버퍼 영역(2025)의 폭은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서 외부 버퍼 영역(2025)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전계 발광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 측(25a)에 구동 전류 인입을 위한 배선 설계의 공간적 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및 제2 측(25b)에서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024)의 폭은 다르나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024)의 폭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024)의 폭은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서 제2 외부 무기 표면부(2024)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전계 발광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 측(25a)에 구동 전류 인입을 위한 배선 설계의 공간적 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및 제2 측(25b)에서 외부 유기 표면부(2023)의 폭은 다르나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외부 유기 표면부(2023)의 폭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외부 유기 표면부(2023)의 폭은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서 외부 유기 표면부(2023)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전계 발광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 측(25a)에 구동 전류 인입을 위한 배선 설계의 공간적 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외부 유기 표면부(2023)는 제1 폭을 갖고,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외부 유기 표면부(2023)은 상기 제1 폭과 다른 제2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제2 측(25b),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외부 유기 표면부(2023)은 같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및 제2 측(25b)에서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의 폭은 다르나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의 폭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의 폭은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서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전계 발광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 측(25a)에 구동 전류 인입을 위한 배선 설계의 공간적 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및 제2 측(25b)에서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의 폭은 다르나 하부 구조물(25)의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의 폭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의 폭은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에서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전계 발광 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가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 측(25a)에 구동 전류 인입을 위한 배선 설계의 공간적 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2 측(25b),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는 제1 폭을 갖고,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은 상기 제1 폭과 다른 제2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 제2 측(25b), 제3 측(25c), 및 제4 측(25d)에서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은 같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0에 설명된 터치 패널들은 도 52에 설명된 전계 발광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의 제1 감지 전극(51a-1) 및 더미 전극(53a), 도 15의 제1 감지 전극(51a-4) 또는 제2 감지 전극(52a-4), 도 16의 감지 전극(54a-1), 도 19의 상부 더미 전극(63a), 하부 더미 전극(83a), 수직 감지 영역(70a), 하부 수평 감지 전극(82a), 및 상부 수평 감지 전극(62a)은 도 52의 외부 무기 표면부(1020)와 겹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의 제1 연결 부재(51d) 및 제2 연결 부재(52d)는 도 52의 외부 비발광 영역(2020)과 겹칠 수 있다.
도 52에 도시된 전계 발광 장치는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도 46, 도 47, 도 48, 도 49, 도 50, 또는 도 51에 도시된 구동 전류 공급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2에 도시된 IV-IV’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54을 참조하면,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는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2021)와 제1 외부 무기 표면부(2022) 사이에 외부 유기 구조물(71a)가 위치한다. 외부 유기 구조물(71a)은 개방형 외부 유기 표면부(2023a)를 갖는다. 개방형 외부 유기 표면부(2023a)는 봉지 구조물(31)에 대해서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개방형 외부 유기 표면부(2023a)는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에 의해서 덮이지 않는 적어도 일부를 가진다. 개방형 외부 유기 표면부(2023a)는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에 의해서 전부 덮이지는 않지만 봉지 구조물(31) 형성 후 다른 부재에 의해서 전부 덮일 수는 있다.
외부 유기 구조물(71a)은 봉지 구조물(31)의 무기 하부 표면(31d)에 의해서 덮이지 않는 배선 등 도전성 구조물을 보호하는 역할과 동시에 하부 구조물(25)의 제1 측(25a)에서 외부 비발광 영역(2020)의 폭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300, 500, 700, 900, 2010: 발광 영역
200: 비발광 영역
200a, 400, 600, 800, 1000, 2020: 외부 비발광 영역
200b: 내부 비발광 영역
201, 340, 600a, 600b, 630, 800a, 800b, 1030, 2025: 외부 버퍼 영역
202: 내부 버퍼 영역
220, 221, 420, 620, 820, 1020, 1021, 2021, 2022, 2024: 외부 무기 표면부
2023, 2023a: 외부 유기 표면부
222, 222a, 222b, 222c, 222d: 내부 무기 표면부
210, 410, 610, 610a, 610b, 810: 광투과 부위
10: 광학 부재 11: 버퍼막
12: 액티브막 12c: 채널 영역
12d: 드레인 영역 12s: 소스 영역
13: 제1 게이트 절연막 14: 제1 게이트 전극
15: 제2 게이트 절연막 16: 제2 게이트 전극
17: 층간 절연막 18: 소스/드레인 전극
19: 평탄화막 20: 하부 전극
21: 화소 정의막 22: 중간막
22a: 전공 수송층 22b: 발광층
22c: 전자 수송층 23: 상부 전극
24: 보호막 25: 하부 구조물
31: 봉지 구조물 31a: 제1 무기막
31b: 유기막 31c: 제2 무기막
31d: 무기 하부 표면 25f, 31f, 1010s: 측벽
39: 편광 필름 42a, 42b: 드라이버
50: 절연막 4, 4a, 4b, 4c: 요철
5, 5a, 5b, 5c: 통과부 6: 유기 표면 섬
7: 무기 표면 섬
43, 43a, 43b, 43b-1, 43b-2, 43d, 43e, 43f: 연결 부재
51c, 52c, 64a, 64b, 84a, 1010, 2000: 노치
70, 70a, 70b, 70c, 70d, 70e: 수직 감지 영역
71: 외부 유기 댐 71a: 외부 유기 구조물
72: 내부 유기 댐 77: 내부 버스 배선
820a: 연장부
51, 52, 54, 60, 60a, 60b, 80, 80a: 터치 전극
51a, 52a, 54a: 감지 전극 51b 52b: 브릿지 전극
51d, 52d: 제1 연결 부재 54b: 터치 배선
53, 53a, 53b, 63, 63a, 63b, 83, 83a, 83b: 더미 전극
61, 81: 수직 감지 전극
62, 62a, 62b, 82, 82a, 82b: 수평 감지 전극
1, 1a, 1b, 1c: 터미널 배선
8, 9, 9a, 9b, 9c, 9c-1, 9d, 9e: 외부 버스 배선
81-1, 82-1: 상부 연결 배선 83-1, 84-1: 하부 연결 배선

Claims (57)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발광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봉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과 이격하며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 평면적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광투과 부위 및 상기 하부 구조물의 일측에 형성되고 평면적으로 안으로 들어가서 상기 발광 영역의 일측을 따라서 형성되게 하는 노치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윈도우를 가지며,
    상기 윈도우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홀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이는 내부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이고,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에 형성되는 홀인 상기 광투과 부위이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 및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홀 사이에서 상기 홀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내부 무기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는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 전체 및 상기 내부 무기 표면부 전체와 접하는 무기 하부 표면을 갖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홀의 제1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 및 상기 홀의 상기 제1 측을 마주보는 제2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동일 신호 상태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홀을 평면적으로 우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는 전계 발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발광 영역의 일측을 따라서 형성된 상기 노치이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노치의 제1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 및 상기 노치의 상기 제1 측을 마주보는 제2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동일 구동 전류 상태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노치를 평면적으로 우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과 다른 층에 위치하는 제3 배선 및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과 같은 층에 위치하는 제4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배선들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치는 전계 발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발광 영역의 일측을 따라서 형성된 상기 노치이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노치의 제1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 및 상기 노치의 상기 제1 측을 마주보는 제2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 및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는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 전체와 접하는 무기 하부 표면을 갖는 전계 발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노치를 평면적으로 우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에 위치하는 전계 발광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구조물은 연성 다층막인 전계 발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이는 상기 광투과 부위이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막을 갖는 전계발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광투과 부위의 제1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 및 상기 광투과 부위의 상기 제1 측을 마주보는 제2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부위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같은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은 동일 구동 전류 상태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광투과 부위를 평면적으로 우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과 다른 층에 위치하는 제3 배선 및 상기 제1 및 제2 배선들과 같은 층에 위치하는 제4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배선들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치는 전계 발광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윈도우에 인근하는 제1 감지 전극 및 상기 윈도우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전극 보다 멀리 위치하는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 전극의 면적은 상기 제2 감지 전극의 면적보다 작은 전계 발광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윈도우에 인근하는 제1 더미 전극 및 상기 윈도우로부터 상기 제1 더미 전극 보다 멀리 위치하는 제2 더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 전극의 면적은 상기 제2 더미 전극의 면적보다 작은 전계 발광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구조물 위에 위치하고, 제1 터치 전극을 갖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전극은 상기 윈도우에 의해서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윈도우의 제1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 측을 마주보는 제2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윈도우를 평면적으로 우회하고 상기 제1 터치 전극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사이에서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1 터치 전극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사이에 위치하는 전계 발광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 평면적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상기 광투과 부위이고,
    상기 터치 패널은 제2 터치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전극은 상기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윈도우의 제3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3 측을 마주보는 제4 측으로부터 멀어져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윈도우를 평면적으로 우회하고, 상기 제2 터치 전극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사이에서 연결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2 터치 전극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들은 서로 겹치지 않는 전계 발광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의 제1 측에 인근하는 외부 버스 배선,
    상기 외부 버스 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구동 전류를 상기 외부 버스 배선에 제공하는 제1 및 제2 터미널 배선들, 및
    상기 발광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연장하며 상기 외부 버스 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버스 배선으로부터 상기 구동 전류를 공급 받는 전류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영역의 상기 제1 측으로부터 상기 윈도우까지의 거리는 상기 발광 영역의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측으로부터 상기 윈도우까지의 거리 이상이고,
    상기 제1 터미널 배선과 상기 윈도우와의 거리는 상기 제2 터미널 배선과 상기 윈도우와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 전체와 접하는 무기 하부 표면을 갖는 전계 발광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를 갖고,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는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봉지 구조물의 상기 무기 하부 표면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접하지 않는 전계 발광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구조물은 연성 다층막인 전계 발광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를 갖고,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는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봉지 구조물의 상기 무기 하부 표면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접하지 않는 전계 발광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발광 영역의 일측을 따라서 형성된 상기 노치이고,
    상기 노치는 제1 방향을 따라 평면적으로 안으로 들어가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전류 배선 및 상기 노치의 경사진 측벽과 대응하는 경사부를 갖는 외부 버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 배선은 상기 외부 버스 배선의 상기 경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버스 배선의 상기 경사부로부터 상기 발광 영역을 향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외부 버스 배선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류 배선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치는 전계 발광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위들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위들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가 계단 형태를 갖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위들은 번갈아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 배선은 상기 외부 버스 배선의 상기 경사부의 상기 제1 부위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을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 전체와 접하는 무기 하부 표면을 갖는 전계 발광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서로 다른 개수들의 상기 전류 배선과 연결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1 부위들 및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2 부위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를 갖고,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는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접하지 않는 전계 발광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구조물은 연성 다층막인 전계 발광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서로 다른 개수들의 상기 전류 배선과 연결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1 부위들 및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2 부위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를 갖고,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는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를 갖고,
    상기 봉지 구조물은 상기 개방형 외부 무기 표면부와 접하지 않는 전계 발광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서로 다른 개수들의 상기 전류 배선과 연결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1 부위들 및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2 부위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 장치.
  27.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비발광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위치하고 무기 하부 표면을 갖는 봉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면서 상기 무기 하부 표면과 직접 접하여 무기-무기 접합 영역을 형성하는 외부 무기 표면부를 갖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는 광투과 영역을 가지며,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홀 구조를 갖는 전계발광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면서 상기 광투과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 외부 버퍼 영역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보다 바깥쪽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영역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면서 상기 광투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제2 외부 버퍼 영역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제1 외부 버퍼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외부 버퍼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을 통과하는 통과부를 갖는 배선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부의 측벽은 요철을 갖는 전계발광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부의 표면은 상기 외부 무기 표면부에 포함되는 전계발광장치.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제2 외부 버퍼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무기 표면 섬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장치.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이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면서 상기 광투과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부 버퍼 영역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유기 표면 섬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장치.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이고,
    상기 외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광투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버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무기 접합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과 상기 광투과 영역 사이에서는 연장하지 않는 전계발광장치.
  4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이는 내부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내부 비발광 영역은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이는 내부 버퍼 영역을 갖고,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내부 버퍼 영역에 의해서 완전히 둘러싸이는 전계발광장치.
  43. 삭제
  44. 삭제
  45.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무기물을 포함하는 버퍼막을 포함하는 하부 다층막;
    상기 하부 다층막 위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다층막 위에 상기 하부 전극의 측부를 덮도록 위치하는 화소 정의막;
    상기 하부 전극 위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능막을 포함하는 중간 다층막; 및
    상기 중간 다층막 위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을 갖는 하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는 비-관통홀 구조의 광투과 영역을 갖고,
    상기 기능막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 공통막 패턴이고,
    상기 버퍼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비-관통홀 구조의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전계발광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상부 전극 위에 상기 상부 전극과 직접 접하도록 위치하고, 도전성 또는 반도체성을 갖고,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갖는 공통막 패턴인 유기 보호막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장치.
  47.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위에 위치하는 중간 다층막, 및 상기 중간 다층막 위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을 갖는 전계발광유닛을 포함하는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는 비-관통홀 구조의 광투과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상부 전극 위에 상기 상부 전극과 직접 접하도록 위치하고, 도전성 또는 반도체성을 갖고,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 공통막 패턴인 유기 보호막을 포함하며,
    상기 비-관통홀 구조의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전계발광장치.
  48.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무기물을 포함하는 버퍼막을 포함하는 무기 구조물;
    상기 무기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평탄화막;
    상기 평탄화막 위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
    상기 평탄화막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전극의 측부를 덮는 화소 정의막;
    상기 하부 전극 위에 위치하는 중간 다층막; 및
    상기 중간 다층막 위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을 갖는 하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는 비-관통홀 구조의 광투과 영역을 갖고,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완전히 제거된 형상을 갖고,
    상기 버퍼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비-관통홀 구조의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전계발광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 전계발광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무기 하부 표면을 갖는 봉지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영역에서 상기 무기 하부 표면은 상기 무기 구조물과 직접 접하는 전계발광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상부 전극 위에 상기 상부 전극과 직접 접하도록 위치하고, 도전성 또는 반도체성을 갖고,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 공통막 패턴인 유기 보호막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장치.
  52.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평탄화막;
    상기 평탄화막 위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
    상기 평탄화막 위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전극의 측부를 덮는 화소 정의막;
    상기 하부 전극 위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능막을 포함하는 중간 다층막; 및
    상기 중간 다층막 위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을 갖는 하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은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둘러싸이는 비-관통홀 구조의 광투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의 중앙부와 겹치도록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갖고,
    상기 평탄화 막은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비-관통홀 구조의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전계발광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막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투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 공통막 패턴인 전계발광장치.
  54. 삭제
  55.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광투과 영역 및 상기 광투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는 발광 영역을 갖는 하부 구조물; 및
    상기 하부 구조물 위에 위치하는 봉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은 상기 발광 영역과 겹치는 전류 배선 및 상기 전류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광투과 영역과 상기 발광 영역 사이에서 상기 광투과 영역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내부 버스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버스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위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위들을 포함하며,
    상기 광투과 영역은 상기 기판을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홀 구조를 갖는 전계발광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위들은 번갈아 서로 연결되는 전계발광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버스 배선은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1 부위들 및/또는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는 적어도 둘의 상기 제2 부위들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장치.
KR1020180002480A 2018-01-08 2018-01-08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KR10257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80A KR102572136B1 (ko) 2018-01-08 2018-01-08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US15/976,210 US10978666B2 (en) 2018-01-08 2018-05-10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CN201810952281.9A CN110021625A (zh) 2018-01-08 2018-08-21 具有窗的电致发光装置
US16/131,550 US20190214596A1 (en) 2018-01-08 2018-09-14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CN201910004791.8A CN110021640A (zh) 2018-01-08 2019-01-03 电致发光装置
US16/241,907 US10818874B2 (en) 2018-01-08 2019-01-07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US16/836,933 US10910600B2 (en) 2018-01-08 2020-04-01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US17/112,211 US11444261B2 (en) 2018-01-08 2020-12-04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US17/139,476 US11251404B2 (en) 2018-01-08 2020-12-31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US17/203,549 US11127920B2 (en) 2018-01-08 2021-03-16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US17/406,606 US20210384460A1 (en) 2018-01-08 2021-08-19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US17/579,544 US11515507B2 (en) 2018-01-08 2022-01-19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US17/885,016 US11864408B2 (en) 2018-01-08 2022-08-10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US17/976,845 US11793029B2 (en) 2018-01-08 2022-10-30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US18/241,169 US20230413602A1 (en) 2018-01-08 2023-08-31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80A KR102572136B1 (ko) 2018-01-08 2018-01-08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202A KR20190085202A (ko) 2019-07-18
KR102572136B1 true KR102572136B1 (ko) 2023-08-29

Family

ID=6713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80A KR102572136B1 (ko) 2018-01-08 2018-01-08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6) US10978666B2 (ko)
KR (1) KR102572136B1 (ko)
CN (1) CN1100216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136B1 (ko) * 2018-01-08 2023-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CN110021640A (zh) 2018-01-08 2019-07-16 三星显示有限公司 电致发光装置
KR102547854B1 (ko) 2018-05-04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33131B1 (ko) * 2018-05-08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102546667B1 (ko) 2018-05-15 2023-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49692B1 (ko) * 2018-05-25 2023-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공백 영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주사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211933A (ja) * 2018-06-01 2019-1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近接検出方法
KR102592652B1 (ko) * 2018-06-11 2023-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782832B2 (en) * 2018-07-09 2020-09-22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Mobile terminal and touch screen with a notch area
CN109064904B (zh) * 2018-09-21 2021-01-0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0066011A1 (ja) * 2018-09-28 2020-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
CN109494241B (zh) * 2018-10-08 2020-11-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102653262B1 (ko) 2018-10-16 2024-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개구부가 형성된 터치 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03119A1 (zh) * 2018-11-23 2020-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627937B1 (ko) * 2018-11-27 2024-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102517734B1 (ko) * 2018-12-17 2023-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패키지 모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078874A (ko) * 2018-12-24 2020-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725771B (zh) * 2018-12-28 2022-05-1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09904342B (zh) * 2019-02-19 2021-04-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0034128B (zh) * 2019-03-27 2021-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200116577A (ko) * 2019-04-01 2020-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36548A (ko) * 2019-05-27 2020-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0323259B (zh) * 2019-06-28 2022-04-1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像素结构、掩膜板及显示面板
CN110459693B (zh) * 2019-07-29 2022-06-1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10556404A (zh) * 2019-08-09 2019-12-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11974472B2 (en) * 2019-08-27 2024-04-3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11430853B2 (en) 2019-08-27 2022-08-3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having connection electrode pattern surround first electrode pattern and including at least two of plural of connecting electrodes which are block shapes separated from each oth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210037299A (ko) * 2019-09-27 2021-04-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40230A (ko) * 2019-10-02 2021-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79792A (ko) * 2019-12-20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카메라 투과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79816A (ko) * 2019-12-20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카메라 투과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79614A (ko) * 2019-12-20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10084879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930435B (zh) * 2020-01-20 2023-08-22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US20230062563A1 (en) * 2020-01-30 2023-03-02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111243524A (zh) * 2020-02-17 2020-06-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WO2021176506A1 (ja) * 2020-03-02 2021-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19618A (ko) 2020-03-24 2021-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508410B (zh) * 2020-03-31 2022-12-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211743161U (zh) * 2020-04-24 2020-10-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13924653A (zh) * 2020-05-11 2022-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10155844A (ko) 2020-06-16 2021-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00013A (ko) * 2020-06-24 2022-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09545A (ko) 2020-07-15 2022-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25990A (ko) * 2020-08-24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20051901A (ko) * 2020-10-19 2022-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72956A (ko) * 2020-11-25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435588B (zh) * 2020-12-09 2022-05-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2599701B (zh) * 2020-12-14 2022-05-1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基板
KR20220096033A (ko) * 2020-12-30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CN112909024B (zh) * 2021-02-03 2022-08-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11901314B2 (en) * 2021-05-21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0591B2 (en) 2006-11-20 2010-11-09 Seiko Epson Corporation Active-matrix circuit board and display
US7969638B2 (en) 2008-04-10 2011-06-2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vice having thin black mask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031654B1 (ko) 2012-05-23 2019-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구조물, 그 제조 방법,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카메라가 탑재된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885608B2 (ja) 2012-07-23 2016-03-15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KR101978783B1 (ko) * 2012-11-09 2019-05-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473309B1 (ko) 2012-11-29 2014-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E102013210668A1 (de) 2013-06-07 2014-12-11 Würth Elektronik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ischen Moduls
JP5964807B2 (ja) * 2013-08-30 2016-08-03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レキシブル有機電界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116217A1 (en) 2014-01-31 2015-08-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mera included in display
KR20160053001A (ko) 2014-10-30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기판, 투명 표시 장치 및 투명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56841B1 (ko) * 2014-11-21 2022-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9919B1 (ko) * 2014-12-12 2021-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75229B1 (ko) 2015-02-04 2022-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45004B1 (ko) 2015-02-26 2021-1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6966B1 (ko) 2015-08-11 2022-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30819B1 (ko) * 2015-08-19 2022-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09060B1 (ko) 2015-09-11 2022-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205122B2 (en) 2015-11-20 2019-02-1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6563B1 (ko) 2015-12-01 2022-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65379B1 (ko) * 2015-12-02 2022-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0891B1 (ko) 2015-12-04 2023-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01111B1 (ko) 2015-12-28 2023-0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9288B1 (ko) 2016-01-08 2023-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65377B1 (ko) 2016-02-12 2022-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7869B1 (ko) * 2016-02-16 2022-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11827A (ko) * 2016-03-29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01285B1 (ko) 2016-04-01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26110B1 (ko) * 2016-04-12 2023-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21254B1 (ko) * 2016-06-01 2023-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67001B1 (ko) * 2016-11-15 2023-08-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20938B1 (ko) 2017-03-20 2021-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021640A (zh) 2018-01-08 2019-07-16 三星显示有限公司 电致发光装置
KR102572136B1 (ko) * 2018-01-08 2023-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78666B2 (en) 2021-04-13
US20210119172A1 (en) 2021-04-22
CN110021625A (zh) 2019-07-16
US11864408B2 (en) 2024-01-02
US20210384460A1 (en) 2021-12-09
US11444261B2 (en) 2022-09-13
US20190214595A1 (en) 2019-07-11
US20220393133A1 (en) 2022-12-08
US11127920B2 (en) 2021-09-21
US20190214596A1 (en) 2019-07-11
KR20190085202A (ko) 2019-07-18
US20210210716A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136B1 (ko)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US11793029B2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JP6639462B2 (ja) 発光ダイオードチップ及びこれを含む発光ダイオード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72719B1 (ko) 표시 장치
US10504976B2 (en) O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875367A (zh) 显示装置和用于制造该显示装置的方法
US20180165996A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20160130921A (ko) 표시 장치
US20210066642A1 (en) Display device
KR20160149355A (ko) 표시 장치
KR20220110381A (ko) 표시 장치
KR20200013819A (ko) 전계 발광 장치
KR20220027350A (ko) 표시 장치
KR202200375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38488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63790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52963B1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220097671A (ko)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52959B1 (ko) 광차단막을 내포하는 기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사용하는 평판 표시 장치
US11513652B2 (en) Display device
EP4216694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2023099329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20056301A (ko) 표시 장치
KR202200638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02583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