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87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874A
KR20200078874A KR1020180168152A KR20180168152A KR20200078874A KR 20200078874 A KR20200078874 A KR 20200078874A KR 1020180168152 A KR1020180168152 A KR 1020180168152A KR 20180168152 A KR20180168152 A KR 20180168152A KR 20200078874 A KR20200078874 A KR 20200078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ouch
dispose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섭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8874A/ko
Priority to US16/707,470 priority patent/US11127929B2/en
Priority to CN201911282549.3A priority patent/CN111352522B/zh
Publication of KR20200078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874A/ko
Priority to US17/408,001 priority patent/US11611060B2/en
Priority to US18/166,843 priority patent/US11943967B2/en
Priority to US18/543,671 priority patent/US2024012198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01L51/528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01L27/323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31Nanoparticles used in non-emissive layers, e.g. in packag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봉지 유닛 상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와, 터치 센서의 비발광 영역에서 서로 중첩되는 블랙층 및 화이트층을 구비함으로써 외부광이 터치 센서 및 라우팅 라인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고가의 편광판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명세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평판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그리고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ED)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평판 표시 장치는 다수의 신호 라인과 다수의 구동 전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 라인 및 구동 전극에 의해 외부광이 반사되므로 외부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편광판을 이용하게 되면 외부광 반사는 최소화할 수 있지만, 투과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고가의 편광판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봉지 유닛 상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와, 터치 센서의 비발광 영역에서 서로 중첩되는 블랙층 및 화이트층을 구비함으로써 외부광이 터치 센서 및 라우팅 라인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고가의 편광판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랙층 및 흡수층을 통해 외부광이 터치 전극 및 캐소드 전극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광의 반사율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별도의 광학 필름(예, 편광판)없이도 외부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가의 편광판이 제거됨으로써 투과율, 휘도 및 수명이 향상되며 박형화 및 저소비전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선"I-I'"를 따라 절취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전극을 상세히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선"Ⅱ-Ⅱ'"를 따라 절취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블랙층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화이트층에 포함된 화이트 입자의 함량에 따른 반사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층 및 화이트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부광 반사 방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커버 기판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11)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서브 화소들(PXL)과, 다수의 서브 화소들(PXL) 상에 배치된 봉지 유닛(140)와, 봉지 유닛(140) 상에 배치된 상호 정전 용량(Cm)을 구비한다.
이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간 동안 발광 소자(120)를 포함하는 다수의 서브 화소들(PXL)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터치 기간 동안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Cm; 터치 센서)의 변화량 감지하여 터치 유무 및 터치 위치를 센싱한다.
이러한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는 각 서브 화소(PXL)들은 화소 구동 회로와, 화소 구동 회로와 접속되는 발광 소자(120)를 구비한다.
화소 구동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트랜지터(T1), 구동 트랜지스터(T2)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화소 구동 회로가 2개의 트랜지스터(T)와 1개의 커패시터(C)를 구비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3개 이상의 트랜지스터(T)와 1개 이상의 커패시터(C)를 구비하는 3T1C구조 또는 3T2C구조의 화소 구동 회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스캔 라인(SL)에 스캔 펄스가 공급되면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DL)에 공급된 데이터 신호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및 구동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으로 공급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그 구동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압(VDD) 공급 라인으로부터 발광 소자(120)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발광 소자(120)의 발광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턴-오프되더라도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2)는 다음 프레임의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때까지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여 발광 소자(120)가 발광을 유지하게 한다.
이를 위해, 구동 트랜지스터(T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층(112)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층(134)과, 게이트 절연막(102)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층(134)과 중첩되는 게이트 전극(132)과, 층간 절연막(114) 상에 형성되어 반도체층(134)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6,138)을 구비한다.
반도체층(134)은 비정질 반도체 물질, 다결정 반도체 물질 및 산화물 반도체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 반도체층(134)은 채널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를 구비한다. 채널 영역은 게이트 절연막(102)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132)과 중첩되어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6,138) 사이의 채널영역을 형성한다. 소스 영역은 층간 절연막(114)을 관통하는 소스 컨택홀을 통해 소스 전극(13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드레인 영역은 층간 절연막(114)을 관통하는 드레인 컨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13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게이트 전극(132)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게이트 전극(132)은 게이트 절연막(102)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층(134)의 채널 영역과 중첩된다. 이 때, 게이트 절연막(10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132)과 동일 선폭으로 형성되어 액티브층(134)의 측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되거나, 게이트 전극(132)보다 넓은 선폭으로 형성되어 액티브층(134)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6,138)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소스 전극(136)은 게이트 절연막(102) 및 층간 절연막(114)을 관통하거나 층간 절연막(114)만을 관통하는 소스 컨택홀을 통해 노출된 반도체층(134)의 소스 영역과 접속된다. 드레인 전극(138)은 소스 전극(136)과 마주하며, 게이트 절연막(102) 및 층간 절연막(114)을 관통하거나 층간 절연막(114)만을 관통하는 드레인 컨택홀을 통해 반도체층(134)의 드레인 영역과 접속된다.
발광 소자(120)는 애노드 전극(122)과, 애노드 전극(122)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스택(124)과, 발광 스택(124) 위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126)을 구비한다.
애노드 전극(122)은 구동 트랜지스터(T2) 상에 배치되는 보호막(108) 및 평탄화층(118)을 관통하는 화소 컨택홀(116)을 통해 노출된 구동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13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서브 화소의 애노드 전극(122)은 뱅크(128)에 의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뱅크(128)는 인접한 서브 화소 간 광 간섭을 방지하도록 불투명 재질(예를 들어, 블랙)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뱅크(128)는 칼라 안료, 유기 블랙 및 카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차광재질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스택(124)은 뱅크(128)에 의해 마련된 발광 영역의 애노드 전극(122) 상에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스택(124)은 애노드 전극(122) 상에 정공 관련층, 유기 발광층, 전자 관련층 순으로 또는 역순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외에도 발광 스택(124)은 전하 생성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및 제2 발광 스택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발광 스택 중 어느 하나의 유기 발광층은 청색광을 생성하고, 제1 및 제2 발광 스택 중 나머지 하나의 유기 발광층은 노란색-녹색광을 생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발광 스택을 통해 백색광이 생성된다. 이 발광스택(124)에서 생성된 백색광은 발광 스택(124)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에 입사되므로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별도의 컬러 필터 없이 각 발광 스택(124)에서 각 서브 화소에 해당하는 컬러광을 생성하여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적색(R) 서브 화소의 발광 스택(124)은 적색광을, 녹색(G) 서브 화소의 발광 스택(124)은 녹색광을, 청색(B) 서브 화소의 발광 스택(124)은 청색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캐소드 전극(126)은 발광 스택(124)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122)과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저전압(VSS) 공급 라인과 접속된다.
봉지 유닛(140)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에 취약한 발광 소자(120)로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봉지 유닛(140)은 적어도 1층의 무기 봉지층(142,146)과, 적어도 1층의 유기 봉지층(144)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무기 봉지층(142), 유기 봉지층(144) 및 제2 무기 봉지층(14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봉지 유닛(140)의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무기 봉지층(142)은 캐소드 전극(126)이 형성된 기판(111) 상에 형성된다. 제2 무기 봉지층(146)은 유기 봉지층(144)이 형성된 기판(111) 상에 형성되며, 제1 무기 봉지층(142)과 함께 유기 봉지층(144)의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 제1 및 제2 무기 봉지층(142,146)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발광 스택(124)으로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차단한다. 제1 및 제2 무기 봉지층(142,146)은 질화실리콘(SiNx), 산화 실리콘(SiOx), 산화질화실리콘(SiON) 또는 산화 알루미늄(Al2O3)과 같은 저온 증착이 가능한 무기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무기 봉지층(142,146)은 저온 분위기에서 증착되므로, 제1 및 제2 무기 봉지층(142,146)의 증착 공정시 고온 분위기에 취약한 발광 스택(12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무기 봉지층(142,146)은 보호막(108)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취약하므로 벤딩 영역(BA)에 배치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유기 봉지층(144)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휘어짐에 따른 각 층들 간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역할을 하며, 평탄화 성능을 강화한다. 이 유기 봉지층(144)은 제1 무기 봉지층(142)이 형성된 기판(111) 상에 PCL,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또는 실리콘옥시카본(SiOC)과 같은 비감광성 유기 절연 재질 또는 포토아크릴과 같은 감광성 유기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기 봉지층(144)은 비액티브 영역(NA)을 제외한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다. 이 때, 댐(106)은 유기 봉지층(144)이 비액티브 영역(NA)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기판(111) 또는 보호막(108)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봉지 유닛(140)의 액티브 영역(AA)에는 터치 절연막(156)을 사이에 두고 터치 센싱 라인(154) 및 터치 구동 라인(152)이 교차되게 배치된다. 이 터치 센싱 라인(154)과 터치 구동 라인(152)의 교차부에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Cm)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호 정전 용량(Cm)은 터치 구동 라인(152)에 공급되는 터치 구동 펄스에 의해 전하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하를 터치 센싱 라인(154)으로 방전함으로써 터치 센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터치 구동 라인(152)은 다수의 제1 터치 전극들(152e)과, 다수의 제1 터치 전극들(152e)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브릿지들(152b)을 구비한다.
다수의 제1 터치 전극들(152e)은 터치 절연막(156) 상에서 제1 방향인 Y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다수의 제1 터치 전극들(152e) 각각은 제1 브릿지(152b)를 통해 인접한 제1 터치 전극(152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브릿지(152b)는 제1 터치 전극(152e)과 동일 평면인 터치 절연막(156) 상에 배치되어 별도의 컨택홀 없이 제1 터치 전극(152e)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제1 브릿지(152b)는 뱅크(128)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제1 브릿지(152b)에 의해 개구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 센싱 라인(154)은 다수의 제2 터치 전극들(154e)과, 다수의 제2 터치 전극들(154e)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브릿지들(154b)을 구비한다.
다수의 제2 터치 전극들(154e)은 터치 절연막(156) 상에서 제2 방향인 X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다수의 제2 터치 전극들(154e) 각각은 제2 브릿지(154b)를 통해 인접한 제2 터치 전극(154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브릿지(154b)는 터치 버퍼층(148) 상에 형성되며 터치 절연막(156)을 관통하는 터치 컨택홀(150)을 통해 제2 터치 전극(154e)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제2 브릿지(154b)는 제1 브릿지(152b)와 마찬가지로 뱅크(128)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제2 브릿지(154b)에 의해 개구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제2 브릿지(154b)가 터치 버퍼층(148) 상에서 터치 버퍼층(148)과 접촉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제1 및 제2 터치 전극(152e,154e)과 제1 브릿지(15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터치 버퍼층(148) 상에서 터치 버퍼층(148)과 접촉하고, 제2 브릿지(154b)는 터치 절연막(156)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 브릿지(152b), 제2 브릿지(154b), 제1 터치 전극(152e) 및 제2 터치 전극(154e)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제1 브릿지(152b), 제2 브릿지(154b), 제1 터치 전극(152e) 및 제2 터치 전극(154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터치 전극(152e) 및 제2 터치 전극(154e)이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도 4 및 도 5를 결부하여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메쉬 형태의 터치 전극들(152e,154e)은 각 서브 화소의 비발광 영역(NEA)에 배치되는 뱅크(128)와 대응되며, 메쉬 형태의 터치 전극들(152e,154e) 사이의 개구 영역은 각 서브 화소의 발광 영역(EA)과 대응된다. 터치 전극들(152e,154e)은 ITO 또는 IZO와 같은 투명 도전막과, 그 투명 도전막의 상부 또는 하부에 메쉬 형태로 형성된 메쉬 금속막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터치 전극(152e,154e)은 투명 도전막없이 메쉬 금속막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메쉬 금속막은 투명 도전막보다 전도성이 좋은 Ti, Al, Mo, MoTi, Cu, Ta 및 ITO 중 적어도 한 층의 도전층을 이용하여 메쉬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쉬 금속막은 Ti/Al/Ti, MoTi/Cu/MoTi 또는 Ti/Al/Mo와 같이 적층된 3층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터치 전극(152e,154e) 자체의 저항과 커패시턴스가 감소되어 RC 시정수가 감소되어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터치 전극(152e,154e) 각각의 메쉬 금속막의 선폭이 매우 얇아 메쉬 금속막으로 인해 개구율 및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비액티브 영역(NA)에는 데이터 라인(DL), 스캔 라인(SL), 저전압(VSS) 공급 라인 및 고전압(VDD) 공급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속된 표시 패드(168)와, 터치 패드(160)가 배치된다. 이 표시 패드(168) 및 터치 패드(160)는 기판(111)의 일측 및 타측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배치되는 비액티브 영역(NA)에 배치되거나, 터치 패드(160) 및 표시 패드(168)가 서로 다른 비액티브 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드(160) 및 표시 패드(168)는 도 2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의 설계사항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터치 패드(160) 및 표시 패드(168)는 발광 소자(120) 하부에 배치되는 절연막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160)는 표시 패드(168)와 함께 기판(111) 상에 배치된다. 이 터치 패드(160) 및 표시 패드(168)는 터치 보호막(158)에 의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터치 패드(160)는 터치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실장된 신호 전송 필름과 접속되며, 표시 패드(168)는 스캔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실장된 신호 전송 필름과 접속된다. 한편, 터치 구동 회로는 데이터 구동부 및 타이밍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6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및 제2 패드 전극(162,164)으로 이루어진다.
제1 패드 전극(162)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6,138)과 동일 재질로 기판(111) 상에 배치된다. 한편, 제1 패드 전극(162)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6,138)과 동일 재질로,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6,138)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패드 전극(164)은 라우팅 라인(170)과 동일 재질로, 터치 절연막(156) 상에 배치된다. 이 제2 패드 전극(164)은 터치 절연막(156) 및 터치 버퍼막(148)을 관통하는 패드 컨택홀(166)을 통해 노출된 제1 패드 전극(162)과 접속된다. 한편, 제2 패드 전극(164)과 접속된 라우팅 라인(170)은 터치 전극들(152e,154e)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봉지 유닛(14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 때, 라우팅 라인(170)은 적어도 하나의 댐(106)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라우팅 라인(170)는 터치 전극(152e,154e)과 동일 재질로 터치 절연막(156) 상에 형성된다. 이 라우팅 라인(170)은 터치 보호막(158) 상에 배치되는 블랙층(184) 및 화이트층(182)과 중첩됨으로써 라우팅 라인(170)에 의해 외부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 보호막(158)은 터치 전극(152e,154e) 및 브릿지(152b,154b)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를 덮도록 형성되어 터치 센서가 외부의 수분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터치 보호막(158)은 에폭시 또는 아크릴과 같은 유기 절연 재질로 박막 또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거나, SiNx 또는 SiOx와 같은 무기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터치 보호막(158) 상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이트층(182) 및 블랙층(184)을 포함하는 반사 방지막(180)이 배치된다.
블랙층(184)은 발광 소자(120)로부터 생성된 내부광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흡수한다. 이 블랙층(184)은 메쉬 형태의 제1 및 제2 터치 전극(152e,154e) 및 뱅크(128)와 중첩되도록 메쉬(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즉, 블랙층(184)은 발광 영역(EA)에 형성되고 비발광 영역(NEA)에는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블랙층(18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이트층(182) 상에 화이트층(182)과 동일 선폭으로 형성되어 화이트층(182)의 측면을 노출시키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이트층(182)보다 넓은 선폭으로 화이트층(182)의 양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블랙층(184)은 블랙 나노 입자, 바인더 및 감광제를 포함한다. 블랙 나노 입자로는 카본 블랙 계열, 금속 산화물 계열 및 유기 계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금속 산화물 계열로는 TiNxOy 또는 CuMnFeOx가 이용되며, 유기 계열로는 Lactam Black 또는 Perylene Black이 이용된다.
화이트층(182)은 블랙층(184)과 터치 센서 사이에서 블랙층(184)과 중첩됨과 아울러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화이트층(182)은 터치 보호막(158) 상에 메쉬 형태의 제1 및 제2 터치 전극(152e,154e) 및 뱅크(128)와 중첩되도록 메쉬(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즉, 화이트층(182)은 발광 영역(EA)에 형성되고 비발광 영역(NEA)에는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지 않는다. 이 화이트층(182)은 화이트 나노 입자, 바인더 및 감광제를 포함한다. 화이트 나노 입자로는 Ti계열, 실리카(Silica) 계열, 금속 산화물 계열 및 코어-쉘 계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Ti계열로는 TiO2가 이용되며, 실리카 계열로는 구상 SiO2, 중공(Hollow) SiO2, 흄드(Fumed) SiO2, 또는 콜로이달(Collodial) SiO2가 이용되며, 금속 산화물로 ZrO2, Al2O3 또는 CeO2가 이용되며, 코어-쉘 계열로는 실리카 계열로 이루어진 코어와 Tir계열로 이루어진 쉘이 이용된다. 이러한 화이트 나노 입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이트층(182)에 포함된 함량이 높을수록 반사율도 높아진다. 따라서, 화이트 나노 입자는 화이트층(182)에 90~97%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이트층(18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스택(124)에서 생성되어 비발광 영역(NEA)으로 출사되는 내부광(IL)의 경로를 발광 영역(EA)으로 변경시킨다. 즉, 화이트(182)층은 비발광 영역(NEA)으로 진행하는 내부광(IL)을 발광 영역(EA)으로 반사시켜 발광 영역(EA)을 통해 출사되는 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층(184) 및 화이트층(182)을 이용하여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과정을 도 8을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광(OL)의 대부분은 블랙층(184)에 흡수되어 소멸된다. 그러나, 외부광(OL)의 일부는 블랙층(184)에 흡수되지 못하고 블랙층(184)에서 제1 반사광(L1)으로 반사된다. 그리고, 블랙층(184)에 흡수된 외부광의 일부는 블랙층(184)을 투과하여 화이트층(184)에서 제2 반사광(L2)으로 반사된다. 이 때, 제1 및 제2 반사광(L1,L2)은 서로 반대 위상을 가지게 되므로, 제1 및 제2 반사광(L1,L2)은 서로 상쇄간섭되어 소멸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블랙층(184)을 이용하여 외부광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블랙층(184) 및 화이트층(182)을 이용한 상쇄 간섭을 통해 외부광을 소멸시키므로,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반사 금속을 이용하는 비교예 1의 경우, 외부광의 반사율이 6.5%이고, 블랙층을 이용하는 비교예 2의 경우, 외부광의 반사율이 5.3%인 반면에, 블랙층(184) 및 화이트층(182)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경우, 외부광의 반사율이 5%이하, 즉 1.6%로서 비교예 1 및 2에 비해 반사율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
반사율 6.5% 5.3% 1.6%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블랙층(184) 및 흡수층(182)을 통해 외부광이 터치 센서 및 라우팅 라인(170)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광의 반사율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외부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가의 편광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가의 편광판이 제거됨으로써 투과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소비 전력이 감소되고 수명이 향상된다.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랙층(184) 및 화이트층(182)이 형성된 기판(111)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필름(186)을 통해 커버 기판(101)과 합착된다. 접착 필름(186)은 블랙층(184)과 커버 기판(101) 사이에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ly Clear Resin)로 형성된다. 접착 필름(186)과 블랙층(184)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되거나, 접착 필름(186)과 블랙층(184) 사이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필름(188)이 배치될 수도 있다. 광학 필름(188)으로는 반투과 필름 또는 휘도 향상 필름(OTF; Oled Transmittance Controllable Film)이 이용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20: 발광 소자 128 : 뱅크
140: 봉지 유닛 150: 터치 컨택홀
160 : 터치 패드 170 : 라우팅 라인
180 : 반사 방지막 182 : 화이트층
184 : 블랙층

Claims (8)

  1.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무기 봉지층을 포함하는 봉지 유닛과;
    상기 봉지 유닛 상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 소자가 배치된 발광 영역 이외의 비발광 영역에 배치되는 블랙층과;
    상기 블랙층과 상기 터치 센서 사이에서 상기 블랙층과 중첩되는 화이트층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층은 상기 화이트층과 동일 선폭으로 상기 화이트층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층은 상기 화이트층보다 큰 선폭으로 상기 화이트층의 상부면 및 측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봉지 유닛 상에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제1 브릿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터치 전극들과;
    상기 봉지 유닛 상에서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제2 브릿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2 터치 전극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은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층 및 화이트층은 상기 메쉬 형태의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과 중첩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 전극을 노출시키며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배치되는 뱅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블랙층 및 화이트층은 상기 뱅크와 중첩되는 표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브릿지와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전극 상에 배치되는 터치 보호막을 더 구비하며,
    상기 블랙층 및 화이트층은 상기 터치 보호막 상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와 접속되는 라우팅 라인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블랙층 및 화이트층은 상기 라우팅 라인과 중첩되는 표시 장치.
KR1020180168152A 2018-12-24 2018-12-24 표시 장치 KR20200078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152A KR20200078874A (ko) 2018-12-24 2018-12-24 표시 장치
US16/707,470 US11127929B2 (en) 2018-12-24 2019-12-09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201911282549.3A CN111352522B (zh) 2018-12-24 2019-12-13 显示面板和包括显示面板的显示装置
US17/408,001 US11611060B2 (en) 2018-12-24 2021-08-20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8/166,843 US11943967B2 (en) 2018-12-24 2023-02-09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8/543,671 US20240121981A1 (en) 2018-12-24 2023-12-18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152A KR20200078874A (ko) 2018-12-24 2018-12-2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874A true KR20200078874A (ko) 2020-07-02

Family

ID=7109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152A KR20200078874A (ko) 2018-12-24 2018-12-2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11127929B2 (ko)
KR (1) KR20200078874A (ko)
CN (1) CN1113525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874A (ko) * 2018-12-24 2020-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76293A (ko) * 2019-12-13 2021-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3327964A (zh) * 2021-05-28 2021-08-3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
EP4138139A1 (en) * 2021-08-17 2023-02-2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41133U (en) * 2012-05-10 2012-11-11 Mortech Corp A reflecting film preventing light leakage, and a led light bar and a LCD's backlight using the same
CN205553478U (zh) * 2016-04-22 2016-09-07 东莞市光志光电有限公司 一种均光防漏光的光反射膜
KR20180057942A (ko) 2016-11-23 2018-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330863B1 (ko) 2017-05-12 2021-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2136B1 (ko) * 2018-01-08 2023-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CN208060755U (zh) 2018-05-10 2018-11-06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扩散片、背光模组、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00057142A (ko) * 2018-11-15 2020-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78874A (ko) * 2018-12-24 2020-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11060B2 (en) 2023-03-21
US20230189561A1 (en) 2023-06-15
CN111352522B (zh) 2023-11-28
US11943967B2 (en) 2024-03-26
US20200203669A1 (en) 2020-06-25
CN111352522A (zh) 2020-06-30
US11127929B2 (en) 2021-09-21
US20210384477A1 (en) 2021-12-09
US20240121981A1 (en)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1311B2 (en) Display device
JP6462839B2 (ja) 表示装置
KR102482495B1 (ko)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US10809829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KR20200053991A (ko) 표시 장치
KR20180076006A (ko) 표시 장치
KR20180124607A (ko) 표시 장치
KR102353362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07981A (ko)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KR20180124613A (ko) 표시 장치
US1194396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226695B2 (en) Display device
KR20190023866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90078989A (ko)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22537B1 (ko) 표시 장치
KR102009331B1 (ko) 표시 장치
KR10251563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80753A (ko) 표시 장치
KR102037851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3607B1 (ko) 표시 장치
KR102320593B1 (ko) 표시 장치
KR20210078931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