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474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474B1
KR102511474B1 KR1020170116926A KR20170116926A KR102511474B1 KR 102511474 B1 KR102511474 B1 KR 102511474B1 KR 1020170116926 A KR1020170116926 A KR 1020170116926A KR 20170116926 A KR20170116926 A KR 20170116926A KR 102511474 B1 KR102511474 B1 KR 10251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isposed
window
layer
decorativ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243A (ko
Inventor
김동섭
오주석
이정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474B1/ko
Priority to US15/903,881 priority patent/US10852861B2/en
Priority to CN201810460348.7A priority patent/CN109493732B/zh
Publication of KR20190030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243A/ko
Priority to US17/098,507 priority patent/US11592916B2/en
Priority to KR1020230033223A priority patent/KR20230041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순차 배치되는 장식 인쇄 패턴 및 결합 보조층을 포함하되, 상기 장식 인쇄 패턴은 평면상 폐곡선 형상이며,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기 제1 개구와 중첩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의 가장자리를 노출시키는 제1 개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 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윈도우 및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아울러, 표시 장치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등의 기능을 가지며, 이를 위해 윈도우 하부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윈도우는 비표시 영역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시 장치에 심미감을 부여하는 장식 인쇄 패턴 및 브라켓과의 결합을 돕는 결합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장식 인쇄 패턴 및 결합 부재 등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카메라의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 화질 저하를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순차 배치되는 장식 인쇄 패턴 및 결합 보조층을 포함하되, 상기 장식 인쇄 패턴은 평면상 폐곡선 형상이며,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기 제1 개구와 중첩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의 가장자리를 노출시키는 제1 개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식 인쇄 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식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 인쇄 패턴은 평면상 폐곡선 형상이며,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는 제3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기 제3 개구와 중첩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는 제4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4 개구는 상기 제3 개구의 가장자리를 노출시키는 제2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3 개구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4 개구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과 상기 제4 개구의 내측벽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개방부와 상기 제2 개방부는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은 상기 장식 인쇄 패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 개구의 내측벽과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 사이의 최단 거리는 약 0.4mm 내지 0.8mm일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은 양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양 끝단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개방부를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대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의 중앙부에 인접 배치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 끝단은 각각 상기 결합 보조층의 내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보조층의 표면은 요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보조층은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파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보조층 상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요철 형상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 보조층의 표면과 직접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하부에 배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결합 부재에 의하여 상기 윈도우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에 중첩 배치되는 촬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평면상 폐곡선 형상의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장식 인쇄층,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되고, 평면상 폐곡선 형상의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장식 인쇄층, 및 상기 제2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되고, 제3 개구를 포함하는 결합 보조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개구 내지 상기 제3 개구는 서로 중첩 배치되고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상기 제3 개구는 상기 제2 개구의 가장자리를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개구의 내측벽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개구의 내측벽과 상기 제3 개구의 내측벽 사이의 최단 거리는 약 0.4mm 내지 약 0.8mm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개구 내지 상기 제3 개구에 중첩 배치되는 촬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상기 제2 장식 인쇄층 및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윈도우와 브라켓의 결합력을 개선하여 방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촬상 부재의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보조층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윈도우의 하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VII-V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보조층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보조층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100)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20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0)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상면"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 "하면"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서로 마주하는 양 장변(LS1, LS2)과 서로 마주하는 양 단변(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장변(LS1, LS2)과 단변(SS1, SS2)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곡면을 이룰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으로 구분된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 주위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이 직사각 형상인 경우,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4개의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평탄부(FA) 및 평탄부(FA)와 연결되고 평탄부(FA)의 주변에 위치하는 벤딩부(BA)를 포함할 수 있다. 대체로 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벤딩부(BA)는 평탄부(FA)와 동일 평면 상에 놓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벤딩부(BA)는 평탄부(FA)가 위치하는 평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꺾이거나 휘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벤딩부(BA)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굴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벤딩부(BA)는 평탄면을 갖되 벤딩부(BA)의 평탄면이 평탄부(FA)의 평면과 소정 각도를 갖는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벤딩부(BA)는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 장치(1)의 양 장변(LS1, LS2) 또는 일 장변(LS1 또는 LS2)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 장치(1)의 단변(SS1, SS2)도 벤딩될 수 있다.
상술한 표시 영역(DA)은 평탄부(FA) 및 벤딩부(BA)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표시 패널(100), 터치 부재(300), 윈도우(200) 및 브라켓(400)은 모두 평탄부(FA) 및 벤딩부(BA)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00)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액정 표시 장치, 전기 영동 장치 등 다른 종류의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은 기판(미도시)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리지드 기판일 수도 있고,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 폴리이미드 기판을 적용하는 경우, 표시 패널(100)은 휘거나 꺾이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는 윈도우(200)가 배치된다.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는 한편, 표시 패널(100)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킨다. 윈도우(200)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100)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의 양 단변(SS1, SS2)에서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양 장변(LS1, LS2)에서도 윈도우(200)가 표시 패널(100)로부터 돌출될 수 있지만, 돌출 거리는 양 단변(SS1, SS2)의 경우가 더 클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측면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에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과 윈도우(200) 사이에는 터치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부재(300)는 리지드 패널 타입 또는 플렉시블 패널 타입이거나 필름 타입일 수 있다. 터치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중첩 배치되고, 터치 부재(300)의 측면과 표시 패널(100)의 측면이 정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100)과 터치 부재(300), 터치 부재(300)와과 윈도우(200)는 각각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의 투명 결합 부재(30)에 의해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터치 부재(300)는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윈도우(200)와 터치 부재(300)가 직접 투명 결합 부재(3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은 그 내부에 터치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00)는 장식 인쇄 패턴(10) 및 결합 보조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 인쇄 패턴(10) 및 결합 보조층(20)은 윈도우(200)의 하면(200b)에 배치될 수 있다. 장식 인쇄 패턴(10) 및 결합 보조층(20)은 비표시 영역(NDA)에 중첩 배치되며, 표시 영역(DA)과는 비중첩한다.
장식 인쇄 패턴(10)은 윈도우(200)의 상면(200a) 및/또는 하면(200b)에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고, 표시 장치(1)의 베젤에 색상을 부여한다. 장식 인쇄 패턴(10)은 비표시 영역(NDA)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장식 인쇄 패턴(10)은 표시 영역(DA)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장식 인쇄 패턴(10)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인쇄 패턴(10)은 딥씨 블루, 미드나잇 블랙, 오키드 그레이 또는 기타 색상을 띄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장식 인쇄 패턴(10)의 색(color)은 화면 외곽의 프레임 색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장식 인쇄 패턴(10)은 복수의 장식 인쇄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장식 인쇄 패턴(10)은 제1 장식 인쇄층(11) 및 제2 장식 인쇄층(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장식 인쇄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장식 인쇄층(11)과 제2 장식 인쇄층(12)은 동일한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색상의 제1 장식 인쇄층(11)과 제2 장식 인쇄층(12)이 적층될 경우, 더욱 명료한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2도 인쇄를 하는 경우 동일 색의 2개의 장식 인쇄층을 적층시키는데, 이것은 하나의 장식 인쇄층을 배치시키는 1도 인쇄보다 더욱 명료한 색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3도 인쇄를 하는 경우에는 동일 색의 3개의 장식 인쇄층을 적층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장식 인쇄층(11)과 제2 장식 인쇄층(12)은 서로 다른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식 인쇄층(11)이 채도가 낮은 계열의 색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장식 인쇄층(12)은 화이트로 형성하여 제1 장식 인쇄층(11)의 색이 더욱 명료하게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장식 인쇄 패턴(10) 하부에는 결합 보조층(20)이 배치된다. 결합 보조층(20)은 장식 인쇄 패턴(10)과 중첩 배치되되, 장식 인쇄 패턴(10)보다 작을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의 측면을 기준으로 장식 인쇄 패턴(10)이 돌출되어, 장식 인쇄 패턴(10)의 하면은 노출될 수 있다. 장식 인쇄 패턴(10)과 결합 보조층(20)은 직접 접할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은 장식 인쇄 패턴(10)과 후술하는 결합 부재(30)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결합 부재(30)가 장식 인쇄 패턴(10)의 하면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결합 부재(30)와 장식 인쇄 패턴(10) 사이에 결합 보조층(20)을 배치하는 경우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의 하면에 요철 형상을 배치하여 결합 부재(30)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에 요철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표면 거칠기(roughness)가 높아져 마찰 계수가 증가하고, 결합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결합 보조층(20)이 생략되는 경우 결합 부재(30)는 장식 인쇄 패턴(10)의 하면과 직접 결합하게 되는데, 장식 인쇄 패턴(10)의 하면은 결합 보조층(20)의 하면에 비하여 낮은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장식 인쇄 패턴(10)의 하면은 결합 부재(30)에 대하여 낮은 마찰 계수를 갖고, 결합 부재(30)와 접하는 장식 인쇄 패턴(10)의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30)와 장식 인쇄 패턴(10) 사이의 결합력은 비교적 낮을 수 있다. 반면, 결합 보조층(20)의 하면은 요철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높은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의 하면은 요철 형상을 포함함으로써 결합 부재(3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결합 보조층(20)과 결합 부재(30) 사이의 마찰 계수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30)는 결합 보조층(20)에 대하여 높은 결합력을 가지고,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의 표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이 참조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보조층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 보조층(20)은 1 종류 이상의 파티클(P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티클(PT)은 결합 보조층(20)을 이루는 바인더 수지에 골고루 퍼져, 결합 보조층(2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파티클(PT) 크기는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다양할 수도 있다. 파티클(PT)의 크기는 결합 보조층(20)의 두께와 유사하거나, 결합 보조층(2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파티클(PT)의 크기가 결합 보조층(20)의 두께에 비하여 지나치게 큰 경우, 오히려 결합 부재(30)와의 결합력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 보조층(20)의 표면을 후처리하여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는 결합 보조층(20)의 표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화학적으로 결합 보조층(20)의 표면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결합 보조층(20)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Polyester), 아크릴 폴리올(acrylpolyol), 폴리아미드(polyamide) 등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색 잉크를 포함하여 특정 색을 나타낼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이 유색을 띄는 경우 장식 인쇄 패턴(10)을 보조하여 장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장식 인쇄 패턴(10)과 결합 보조층(20)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50, 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5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등의 촬상 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부(60)에는 적외선 센서, 홍채 인식용 LED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장식 인쇄 패턴(10)과 결합 보조층(20)의 평면상 배치 및 구체적인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윈도우(200) 및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는 브라켓(400)이 배치된다. 브라켓(400)은 터치 부재(300), 표시 패널(100) 등의 전자 부품을 수납한다. 브라켓(400)은 내부에 수납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 박스 영상일 수 있다. 즉, 브라켓(400)은 바닥면(401)과 상기 바닥면(401)으로부터 연장된 4개의 측벽(402)을 포함하며, 바닥면(401)과 측벽(402)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표시 패널(1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400)의 측벽(402) 상에는 윈도우(200)가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40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00) 등의 전자 부품을 보호하고, 표시 장치(1)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여 외부 이물질이 표시 장치(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400)의 측벽(402)은 윈도우(200)와 들뜨는 공간 없이 밀착 결합되어, 외부 물질의 유입 통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이물질, 예컨대, 수분 등이 표시 장치(1) 내부의 전자 부품(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 터치 부재(300), 촬상 부재(500) 등)까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 기능이 개선될 수 있다.
윈도우(200)와 브라켓(400) 사이에는 결합 부재(30)이 배치된다. 결합 부재(30)는 윈도우(200)와 브라켓(400)을 결합시켜, 윈도우(200)와 브라켓(400)이 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결합 부재(30)는 방수 테이프일 수 있다. 즉, 결합 부재(30)는 윈도우(200)와 브라켓(400)을 들뜨는 공간 없이 밀착 결합시키고 수분의 이동 통로를 차단함으로써, 상술한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부재(30)는 표시 장치(1)의 양 장변(LS1, LS2) 및 양 단변(SS1, SS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양 장변(LS1, LS2)측에 배치된 결합 부재(30)는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양 단변(SS1, SS2)측에 배치된 결합 부재(30)는 윈도우(200)의 결합 보조층(20)과 중첩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30)는 결합 보조층(20)의 하면과 직접 접할 수 있다. 결합 부재(30)는 결합 보조층(20)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서로 완전히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30)의 측면은 결합 보조층(20)의 측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결합 부재(30) 역시 결합 보조층(20)의 개구와 중첩하는 영역에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30)는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면 테이프는 기재(미도시), 및 기재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되는 점착층(미도시)을 포함한다.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층은 실리콘계, 우레탄계, 실리콘-우레탄 하이브리드 구조의 SU폴리머, 아크릴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젤라틴계, 비닐계, 라텍스계, 폴리에스테르계,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으로 분류되는 고분자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는 촬상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부재(500)는 기판(501) 및 기판(501) 상에 배치된 촬상 센서(5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센서(502)는 동영상, 사진 등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 또는 홍채 인식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촬상 부재(500)는 장식 인쇄 패턴(10)과 결합 보조층(20)의 개구부(5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촬상 센서(502)는 장식 인쇄 패턴(10) 및 결합 보조층(20)과 비중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평면상에서 촬상 센서(502)는 장식 인쇄 패턴(10) 및/또는 결합 보조층(20)과 중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실제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센서 영역은 장식 인쇄 패턴(10) 및/또는 결합 보조층(20)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피사체(미도시)로부터 반사되어 윈도우(200), 장식 인쇄 패턴(10)과 결합 보조층(20)의 개구를 통과한 광은 촬상 센서(502)로 입사할 수 있다. 만약, 피사체와 촬상 센서(502) 사이에 방해물, 예컨대 장식 인쇄 패턴(10) 및/또는 결합 보조층(20)이 배치된 경우 촬영물에는 얼룩 등이 생겨 피사체를 온전히 담지 못하고, 카메라의 화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센서(502)와 윈도우(200) 사이에 장식 인쇄 패턴(10) 및 결합 보조층(20) 등이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화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상 부재(500)는 브라켓(40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홀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501)은 브라켓(400) 하부에 배치되고, 촬상 센서(502)는 브라켓(400)의 관통 홀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은 장식 인쇄 부재와 결합 보조층(20)의 개구부(50)와 중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브라켓(400)은 관통 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촬상 부재(500)는 브라켓(40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장식 인쇄 패턴(10) 및 결합 보조층(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윈도우의 하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VII-V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윈도우(200)의 하면(200b)에는 제1 장식 인쇄층(11), 제2 장식 인쇄층(12) 및 결합 보조층(20)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장식 인쇄 패턴(10)은 양 장변(LS1, LS2) 및 양 단변(SS1, SS2)을 따라 연속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11)은 제2 장식 인쇄층(12)보다 클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11)의 내측면(11IS)은 제2 장식 인쇄층(12)의 내측면(12IS)을 기준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11)의 내측면(11IS)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에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2 장식 인쇄층(12)의 내측면(12IS)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로부터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장식 인쇄층(12)의 내측면(12IS)은 제1 장식 인쇄층(11)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장식층은 실크 인쇄, 패드 인쇄 등의 방법으로 유색 잉크층을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장식 인쇄층(11)을 형성한 후 제2 장식 인쇄층(12)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유색 잉크층이 인쇄 영역 밖으로 튀거나 넘쳐 흐르는 현상으로 인하여 표시 영역(DA)에 얼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2 장식 인쇄층(12)의 내측면(12IS)과 제1 장식 인쇄층(11)의 내측면(11IS) 사이에 단차(offset)를 둠으로써, 제2 장식 인쇄층(12)이 표시 영역(DA) 측으로 침범하여 인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11)과 제2 장식 인쇄층(12)의 외측면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장식 인쇄층(11)의 외측면은 제2 장식 인쇄층(12)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장식 인쇄층(12)의 외측면은 제1 장식 인쇄층(11)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은 단변(SS1, SS2)측에만 배치되고, 장변(LS1, LS2)측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결합 보조층(20)은 장식 인쇄 패턴(10)과 결합 부재(30)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장식 인쇄 패턴(10)과 결합 부재(30)가 중첩 배치되지 않는 장변(LS1, LS2)측에서는 결합 보조층(20)의 배치를 생략할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은 일 단변(SS1, SS2)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되, 일 장변(LS1, LS2)을 따라 타 단변(SS1, SS2)측으로 일부 연장되어, 표시 영역(DA)의 모서리 부위를 감싸듯이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은 평면상 제2 장식 인쇄층(12)보다 그 크기가 작을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의 내측면(20IS)을 기준으로 제2 장식 인쇄층(12)의 내측면(12IS)은 돌출될 수 있다. 즉, 결합 보조층(20)의 내측면(20IS)은 제2 장식 인쇄층(12)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11)의 내측면(11IS)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제2 장식 인쇄층(12)의 내측면(12IS) 및 결합 보조층(20)의 내측면(20IS)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의 내측면(20IS) 역시 제1 장식 인쇄층(11) 및 제2 장식 인쇄층(12)의 내측면(11IS, 12IS)으로부터 일정 단차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결합 보조층(20)이 표시 영역(DA) 측으로 침범하여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 보조층(20)의 외측면은 제2 장식 인쇄층(12)의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 보조층(20)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제2 장식 인쇄층(12)의 외측면은 돌출될 수 있다.
장식 인쇄 패턴(10)과 결합 보조층(20)은 각각 윈도우(200)를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50, 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인쇄 패턴(10)과 결합 보조층(20)은 촬상 부재(500)가 배치되는 개구부(50)와 촬상 부재(500) 이외의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개구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 부재(500)가 배치되는 제1 개구부(51), 제2 개구부(52) 및 촬상 부재 이외의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제3 개구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부재(500)의 특성상 피사체와 촬상 부재(500) 사이에 배치되는 방해물에 의해 화질이 저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및 제2 개구부(51, 52)와 제3 개구부(53)는 그 형상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먼저 제1 개구부(5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개구부(51)는 단변(SS1, SS2)측의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51)에는 상술한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촬상 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51)는 제1 장식 인쇄층(11)에 배치된 제1-1 개구(51H_1), 제2 장식 인쇄층(12)에 배치된 제1-2 개구(51H_2) 및 결합 보조층(20)에 배치된 제1-3 개구(51H_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개구 내지 제1-3 개구(51H_1, 51H_2, 51H_3)는 서로 중첩 배치되어, 공간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1 개구 내지 제1-3 개구(51H_1, 51H_2, 51H_3)의 연결 통로에 의하여 윈도우(200)의 하면(200b)이 노출될 수 있다.
제1-1 개구(51H_1)는 제1 장식 인쇄층(1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hole) 형상일 수 있다. 제1-1 개구(51H_1)는 폐곡선으로 연속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1 개구(51H_1)의 평면상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원 형상일 수 있다. 제1-1 개구(51H_1)가 평면상 원 형상을 갖는 경우, 제1-1 개구(51H_1)의 내측벽(51H_1W)은 제1 장식 인쇄층(11)의 어느 일면에 대하여 수직하며, 제1-1 개구(51H_1)는 전체로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2 개구(51H_2)는 제1-1 개구(51H_1)와 중첩 배치된다. 제1-2 개구(51H_2)는 제1-1 개구(51H_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2 개구(51H_2)는 제1-1 개구(51H_1)와 마찬가지로 연속하는 폐곡선 형상일 수 있다. 제1-2 개구(51H_2)의 평면상 형상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원 형상일 수 있다. 제1-2 개구(51H_2)의 평면상 형상이 원형인 경우, 제1-2 개구(51H_2)의 내측벽(51H_2W)은 제2 장식 인쇄층(12)의 어느 일면에 대하여 수직하며, 제1-2 개구(51H_2)는 전체로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2 개구(51H_2)는 제1-1 개구(51H_1)보다 크기가 크며, 제1-2 개구(51H_2)는 제1-1 개구(51H_1)의 가장자리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제1-2 개구(51H_2)의 지름은 제1-1 개구(51H_1)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2 개구(51H_2)의 평면상 넓이는 제1-1 개구(51H_1)보다 넓을 수 있다. 제1-1 개구(51H_1) 및 제1-2 개구(51H_2)는 윈도우(200)의 하면(200b)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직경이 증가하는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1 개구(51H_1)의 내측벽(51H_1W)을 기준으로 제1-2 개구(51H_2)의 내측벽(51H_2W)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2 개구(51H_2)의 내측벽(51H_2W)은 제1 장식 인쇄층(11)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제1 장식 인쇄층(11)과 제2 장식 인쇄층(12)의 내측면(11IS, 12IS)의 배치 관계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1 개구(51H_1)의 내측벽(51H_1W)과 제1-2 개구(51H_2)의 내측벽(51H_2W) 사이에 단차를 둠으로써 제2 장식 인쇄층(12)이 제1-1 개구(51H_1) 내부로 침범하여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1-1 개구(51H_1)의 내측벽(51H_1W)과 제1-2 개구(51H_2)의 내측벽(51H_2W) 사이의 최단 거리(d1)는 약 0.2mm 이상일 수 있다.
제1-3 개구(51H_3)는 제1-1 개구(51H_1) 및 제1-2 개구(51H_2)와 중첩 배치된다. 제1-3 개구(51H_3)는 제1-1 개구(51H_1) 및 제1-2 개구(51H_2)보다 크기가 더 크며, 제1-1 개구(51H_1) 및 제1-2 개구(51H_2)는 제1-3 개구(51H_3)에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제1-3 개구(51H_3)에 의하여 윈도우(200) 하면, 제1-1 개구(51H_1) 및 제1-2 개구(51H_2)가 노출될 수 있다.
제1-3 개구(51H_3)는 제1-1 개구(51H_1) 및 제1-2 개구(51H_2)와 달리 폐곡선 형상이 아니며, 개방부(OP)를 포함하는 곡선 형상일 수 있다. 제1-3 개구(51H_3)의 양 끝단은 각각 결합 보조층(20)의 내측면(20IS)과 연결되어, 개방부(OP)를 형성할 수 있다. 개방부(OP)는 표시 영역(DA)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3 개구(51H_3)는 결합 보조층(20)의 내측면(20IS)으로부터 외측면 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만(灣)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3 개구(51H_3)는 제1-1 개구(51H_1) 및 제1-2 개구(51H_2)의 가장자리를 완전히 둘러싸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3 개구(51H_3)는 제1-1 개구(51H_1) 및 제1-2 개구(51H_2)의 가장자리를 대체로 둘러싸되, 개방부(OP)에서 제1-1 개구(51H_1) 및 제1-2 개구(51H_2)를 둘러싸지 않고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3 개구(51H_3)에 의하여 표시 영역(DA)과 인접한 측의 제2 장식 인쇄층(12)의 하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제1-3 개구(51H_3)는 개방부(OP)를 포함하여 표시 영역(DA)과 인접한 영역에서 결합 보조층(20)을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영역(DA)과 인접한 측에 결합 보조층(20)이 배치되지 않더라도 앞서 설명한 방수 기능은 유지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의 외곽에는 결합 보조층(20)이 여전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윈도우(200)와 결합 부재(30), 결합 부재(30)와 브라켓(400)은 이격 공간 없이 밀착 결합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3 개구(51H_3)가 개방부(OP)를 포함함으로써, 결합 보조층(20)이 제1 개구부(51)에 의하여 노출된 윈도우(200) 측으로 침범할 확률을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 보조층(20)은 패드 인쇄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 인쇄 방법에 따르면, 패턴을 포함하는 결합 보조 조성물을 패드 상에 전사하고, 이를 다시 윈도우(200) 상에 전사함으로써 결합 보조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장식 인쇄 패턴(10) 상에 패드를 밀착하였다가 분리함으로써 결합 보조 조성물을 전사하여 결합 보조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패드 인쇄 방법의 경우, 장식 인쇄 패턴(10)으로부터 패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정전기가 발생하여 결합 보조 조성물이 제1 개구부(51)에 의해 노출된 윈도우(200)의 하면(200b)측으로 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51) 상에 배치되는 촬상 부재(500)의 촬영 경로 상에 결합 보조층(20)이 배치되어, 촬영물에 얼룩이 생기는 등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제1-3 개구(51H_3)가 개방부(OP)를 포함하여 제1-1 개구(51H_1) 및 제1-2 개구(51H_2)의 가장자리를 개방하게 되면, 제1 개구부(51) 주변에 결합 보조층이 배치되는 면적이 감소하여 윈도우(200) 하면으로 결합 보조층(20)이 침범할 확률이 감소한다.
제1-3 개구(51H_3)의 내측벽(51H_3W)은 제2 장식 인쇄층(12)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1 개구(51H_1)의 내측벽(51H_1W)과 제1-3 개구(51H_3)의 내측벽(51H_3W)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약 0.4mm 내지 약 0.8mm 일 수 있다. 제1-1 개구(51H_1)의 내측벽(51H_1W)과 제1-3 개구(51H_3)의 내측벽(51H_3W) 사이의 단차가 0.4mm 이상인 경우 결합 보조층(20)이 제1 개구부(51)에 의해 노출된 윈도우(200)의 하면(200b) 측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데에 효과적이다. 결합 부재(30)의 결합력은 결합 보조층(20)이 배치되는 넓이에 비례하는데, 상기 제1-1 개구(51H_1)의 내측벽(51H_1W)과 제1-3 개구(51H_3)의 내측벽(51H_3W) 사이의 단차가 0.8mm 이하인 경우 결합 부재(30)의 결합력을 높이기에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개구부(52)는 제1 개구부(51)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개구부(52)의 위치는 제1 개구부(51)의 위치와 무관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제2 개구부(52)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어야 한다. 제2 개구부(52)에는 상술한 홍채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촬상 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식 인쇄층(11)에 배치되는 제2-1 개구(52H_1), 제2 장식 인쇄층(12)에 배치되는 제2-2 개구(52H_2) 및 결합 보조층(20)에 배치되는 제2-3 개구(52H_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1 개구(52H_1), 제2-2 개구(52H_2) 및 제2-3 개구(52H_3)는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윈도우(200) 하면(200b)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2-1 개구(52H_1)는 제1-1 개구(51H_1)에 대응되고, 제2-2 개구(52H_2)는 제1-2 개구(51H_2)에 대응되고, 제2-3 개구(52H_3)는 제 1-3 개구(51H_3)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2-1 개구(52H_1) 및 제2-2 개구(52H_2)는 연속하는 폐곡선 형상으로, 예를 들어 평면상 원형인 홀 형상일 수 있다. 제2-1 개구(52H_1)의 가장자리는 제2-2 개구(52H_2)에 의하여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제2-3 개구(52H_3)는 제1-3 개구(51H_3)와 마찬가지로 폐곡선이 아닌, 개방부(OP) 갖는 곡선 형상일 수 있다. 제2-3 개구(52H_3)의 양 끝단은 각각 결합 보조층(20)의 내측면(20IS)과 연결되며, 제2-3 개구(52H_3)는 평면상 만(灣)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3 개구(52H_3)는 제2-1 개구(52H_1) 및 제2-2 개구(52H_2)의 가장자리를 에워싸지 않고 개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개방부(OP)를 포함하는 제2-3 개구(52H_3) 에 의해 표시 영역(DA)과 인접한 측에서 결합 보조층(20)은 배치되지 않으므로, 제2 개구부(52)에 의하여 노출된 윈도우(200)의 하면(200b)에 결합 보조층(20)이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개구부(52)의 평면상 크기는 제1 개구부(51)의 평면상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개구(51H_1)의 지름은 제2-1 개구(52H_1)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제1-2 개구(51H_2)의 지름은 제 2-2 개구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개구부(51)와 제2 개구부(52)에 배치되는 촬상 부재(50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제2-1 개구(52H_1)의 내측벽(52H_1W)과 제2-2 개구(52H_2)의 내측벽(52H_2W) 사이의 최단 거리(d3)는 제1-1 개구(51H_1)의 내측벽(51H_1W)과 제1-2 개구(51H_2)의 내측벽(51H_2W) 사이의 최단 거리(d1)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1 개구(52H_1)의 내측벽(52H_1W)과 제2-2 개구(52H_2)의 내측벽(52H_2W) 사이의 최단 거리(d3)는 약 0.2mm 이상일 수 있다. 제2-1 개구(52H_1)의 내측벽(52H_1W)과 제2-3 개구(52H_3)의 내측벽(52H_3W) 사이의 최단 거리(d4)는 제1-1 개구(51H_1)의 내측벽(51H_1W)과 제1-2 개구(51H_2)의 내측벽(512H_2W) 사이의 최단 거리(d2)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1 개구(52H_1)의 내측벽(52H_1W)과 제2-3 개구(52H_3)의 내측벽(52H_3W) 사이의 최단 거리(d4)는 약 0.4mm 내지 약 0.8mm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제3 개구부(60)는 제1 개구부(51)와 다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 개구부(60)는 제1 개구부(51)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제3 개구부(60)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다. 제3 개구부(60)에는 제1 개구부(51) 및 제2 개구부(52)와 달리 촬상 부재(50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개구부(60)에 대응하여서는 홍채 인식용 LED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개구부(60)는 제1 장식 인쇄층(11)에 배치되는 제3-1 개구(60H_1), 제2 장식 인쇄층(12)에 배치되는 제3-2 개구(60H_2) 및 결합 보조층(20)에 배치되는 제3-3 개구(60H_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1 개구(60H_1) 및 제3-2 개구(60H_2)는 각각 앞서 설명한 제1-1개구, 제2-1 개구(52H_1) 및 제1-2 개구(51H_2), 제2-2 개구(52H_2)와 마찬가지로 연속적인 폐곡선 형상일 수 있다. 제3-2 개구(60H_2)는 평면상 제3-1 개구(60H_1)보다 크기가 크며, 제3-1 개구(60H_1)의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다. 제3-2 개구(60H_2)의 내측벽(60H_2W)은 제1 장식 인쇄층(11)의 하면 상에 배치되며, 제3-2 개구(60H_2)의 내측벽(60H_2W)은 제3-1 개구(60H_1)의 내측벽(60H_1W)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3 개구(60H_3)는 제1-3 개구(51H_3) 및 제2-3 개구(52H_3)와 달리 연속하는 폐곡선 형상일 수 있다. 즉, 제3-3 개구(60H_3)는 개방부(OP)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3-3 개구(60H_3)는 평면상 제3-2 개구(60H_2) 보다 크기가 크며, 제3-2 개구(60H_2)의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다. 제3-3 개구(60H_3)의 내측벽(60H_3W)은 제2 장식 인쇄층(12)의 하면 상에 배치되며, 제3-3 개구(60H_3)의 내측벽(60H_3W)은 제3-2 개구(60H_2)의 내측벽(60H_2W)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개구부(60)는 윈도우(200) 하면(200b)로부터 멀어지면서 직경이 증가하는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30)와 장식 인쇄 패턴(10) 사이에 결합 보조층(20)을 배치함으로써 결합 부재(30)와 장식 인쇄 패턴(1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수 있다. 장식 인쇄 패턴(10)과 결합 부재(30), 결합 부재(30)와 브라켓(400)이 서로 밀착 결합되어, 수분과 같은 외부 이물질이 표시 장치(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촬상 부재(500)가 배치되는 개구부(50)에 있어서, 결합 보조층에 배치되는 제1-3 개구(51H_3) 및 제2-3 개구(52H_3)가 개방부(OP)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윈도우(200)의 하면(200b)으로 결합 보조층(20)이 튀거나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개방부(OP)를 표시 영역(DA)측으로 배치하여, 개구부(50)를 기준으로 표시 장치(1)의 외곽 측에는 결합 보조층(20)을 배치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방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결합 보조층에 관한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보조층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윈도우(201)에 배치되는 결합 보조층(21)의 제1-3 개구(51H_3)와 제2-3 개구(52H_3)가 서로 연결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4의 실시예는 윈도우(200)에 배치되는 결합 보조층 (20)의 제1-3 개구(51H_3)와 제2-3 개구(52H_3)는 서로 이격되며, 제1 개구부(51)와 제2 개구부(52) 사이에 결합 보조층(20)이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8의 결합 보조층 (21)과 차이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결합 보조층(21)은 제1-3 개구(51H_3), 제2-3 개구(52H_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3 개구(51H_3) 및 제2-3 개구(52H_3)는 각각 양 끝단을 포함하는 곡선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3 개구(51H_3) 및 제2-3 개구(52H_3)는 개방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3 개구(51H_3)와 제2-3 개구(52H_3)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3 개구(51H_3)의 양 끝단 중 일 끝단은 제2-3 개구(52H_3)의 일 끝단과 연결되고, 나머지 타 끝단은 결합 보조층(21)의 내측면(21IS)과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3 개구(52H_3)의 양 끝단 중 일 끝단은 제1-3 개구(51H_3)의 상기 일 끝단과 연결되고, 나머지 타 끝단은 결합 보조층(21)의 내측면(21IS)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개구(51H_2) 및 제2-2 개구(52H_2) 사이에 배치된 제2 장식 인쇄층(12)은 노출될 수 있다.
제1-2 개구(51H_2)의 가장자리 중 제1-3 개구(51H_3)에 둘러싸인 영역이 개방된 영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2 개구(52H_2)의 가장자리 중 제2-3 개구(52H_3)에 둘러싸인 영역이 개방된 영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결합 보조층(21)은 제1-2 개구(51H_2) 및 제2-2 개구(52H_2) 사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개구부(51) 및 제2 개구부(52) 주변에 배치되는 결합 보조층(21)의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개구부(50) 주변에 배치되는 결합 보조층(21) 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개구부(50)에 의해 노출된 윈도우(201)의 하면에 결합 보조층(21)이 배치될 확률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개구부(50) 상에 배치되는 촬상 부재(500)의 촬영 경로 상에 결합 보조층(21)이 배치되지 않아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보조층(21)은 여전히 표시 장치(2)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므로, 표시 장치(2)의 외곽에서 윈도우(201)와 브라켓(400)은 들뜨는 공간 없이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2)의 방수 기능은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보조층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윈도우(202)에 배치되는 결합 보조층(22)의 내측면(22IS)이 대체로 일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4의 실시예는 일 단변(SS1, SS2)측에 배치되는 결합 보조층(20)의 내측면(20IS)이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를 따라 대체로 일 직선 상에 배치되되, 양 장변(LS1, LS2)측에서 타 단변(SS1, SS2)측으로 굽어져 표시 영역(DA)의 모서리 부위를 커버한다는 점에서 도 9와 상이하다.
도 9를 참조하면, 결합 보조층(22)의 내측면(22IS)은 제1 개구부(51)와 제2 개구부(51)의 개방부(OP)가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대체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를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단변(SS1, SS2)측에 배치되는 결합 보조층(22)의 내측면(22IS)은 양 장변(LS1, LS2)측에서도 타 단변(SS1, SS2)측으로 굽어지지 않고, 양 장변(LS1, LS2)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모서리는 결합 보조층(22)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 상에 결합 보조층(22)이 배치되는 경우, 표시 패널(100)로부터 나온 빛이 결합 보조층(22)에 의해 굴절되어 화질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표시 영역(DA)의 모서리 부근에서 결합 보조층(22)의 배치를 생략함으로써, 결합 보조층(22)이 표시 영역(DA)으로 넘치거나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표시 패널
200: 윈도우
300: 터치 부재
400: 브라켓
500: 촬상 부재
10: 장식 인쇄 패턴
20: 결합 보조층
30: 결합 부재
51: 제1 개구부
52: 제2 개구부
60: 제3 개구부

Claims (32)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일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윈도우와 마주보는 센서;
    상기 윈도우의 상기 일면 상에 순차 배치되는 장식 인쇄 패턴 및 결합 보조층을 포함하되,
    상기 장식 인쇄 패턴은 평면상 폐곡선 형상이며,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기 제1 개구와 중첩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의 가장자리를 노출시키는 제1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기 윈도우의 상기 일면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결합 보조층 사이에 정의된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결합 보조층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센서는 이미지 센서인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인쇄 패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식 인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인쇄 패턴은 평면상 폐곡선 형상이며,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는 제3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기 제3 개구와 중첩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는 제4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4 개구는 상기 제3 개구의 가장자리를 노출시키는 제2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3 개구는 서로 이격 배치된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4 개구는 서로 이격 배치된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과 상기 제4 개구의 내측벽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개방부와 상기 제2 개방부는 공간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은 상기 장식 인쇄 패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내측벽과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 사이의 최단 거리는 0.4mm 내지 0.8mm인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은 양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양 끝단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개방부를 형성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대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의 중앙부에 인접 배치되는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 끝단은 각각 상기 결합 보조층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기 장식 인쇄 패턴과 마주보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보조층의 상기 제2면은 요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보조층은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파티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보조층 상에 배치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요철을 포함하는 상기 결합 보조층의 표면과 직접 접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하부에 배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결합 부재에 의하여 상기 윈도우에 고정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와 중첩 배치되는 표시 장치.
  15.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마주보는 일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윈도우와 마주보는 센서;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평면상 폐곡선 형상의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장식 인쇄층;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되고, 평면상 폐곡선 형상의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장식 인쇄층; 및
    상기 제2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되고, 제3 개구를 포함하는 결합 보조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개구 내지 상기 제3 개구는 서로 중첩 배치되고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윈도우를 노출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상기 제3 개구는 상기 제2 개구의 가장자리를 노출시키는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기 윈도우의 상기 일면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과 비중첩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결합 보조층 사이에 정의된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결합 보조층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센서는 이미지 센서인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내측벽은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의 내측벽은 상기 제2 장식 인쇄층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내측벽과 상기 제3 개구의 내측벽 사이의 최단 거리는 0.4mm 내지 0.8mm인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개구 내지 상기 제3 개구와 중첩 배치되는 표시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식 인쇄층, 상기 제2 장식 인쇄층 및 상기 결합 보조층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 인접 배치된 표시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70116926A 2017-09-13 2017-09-13 표시 장치 KR10251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926A KR102511474B1 (ko) 2017-09-13 2017-09-13 표시 장치
US15/903,881 US10852861B2 (en) 2017-09-13 2018-02-23 Display device with decorative print pattern and attachment assisting layer comprising overlapping openings in a non-display area
CN201810460348.7A CN109493732B (zh) 2017-09-13 2018-05-15 显示装置
US17/098,507 US11592916B2 (en) 2017-09-13 2020-11-16 Display device
KR1020230033223A KR20230041986A (ko) 2017-09-13 2023-03-14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926A KR102511474B1 (ko) 2017-09-13 2017-09-13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223A Division KR20230041986A (ko) 2017-09-13 2023-03-14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243A KR20190030243A (ko) 2019-03-22
KR102511474B1 true KR102511474B1 (ko) 2023-03-17

Family

ID=656311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926A KR102511474B1 (ko) 2017-09-13 2017-09-13 표시 장치
KR1020230033223A KR20230041986A (ko) 2017-09-13 2023-03-14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223A KR20230041986A (ko) 2017-09-13 2023-03-1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852861B2 (ko)
KR (2) KR102511474B1 (ko)
CN (1) CN1094937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7448B2 (en) * 2018-06-11 2022-04-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632916B1 (ko) * 2019-02-19 2024-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치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20845A (ko) *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289840B (zh) * 2020-10-30 2022-12-13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20073234A (ko) 2020-11-26 2022-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914B1 (ko) 2009-04-20 2015-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배면 인쇄구조
CN201722805U (zh) * 2010-04-14 2011-01-26 郑州忠恒建材有限公司 防滑型保温挤塑板
US8467177B2 (en) *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20113236A1 (en) * 2010-11-10 2012-05-10 Joynes Matthew Portable Auto-Stereoscopic Media Displaying and Recording Device
KR101353270B1 (ko) * 2011-03-17 2014-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11089443B4 (de) * 2011-02-14 2016-12-01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KR101813459B1 (ko) * 2011-06-24 2018-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62252B1 (ko) * 2011-10-18 2013-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31654B1 (ko) 2012-05-23 2019-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구조물, 그 제조 방법,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카메라가 탑재된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8096B1 (ko) * 2012-09-03 2019-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9806219B2 (en) * 2013-02-14 2017-10-31 Apple Inc. Displays with camera window openings
CN106304848A (zh) * 2014-07-07 2017-01-04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集成触摸屏和指纹传感器组件
KR101516766B1 (ko) *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60085037A (ko) * 2015-01-07 2016-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204451799U (zh) * 2015-02-10 2015-07-08 刘文英 新型钻石画结构
KR102524754B1 (ko) * 2015-09-09 2023-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4068B1 (ko) * 2015-09-11 2022-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534107B1 (ko) * 2016-03-24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180131908A1 (en) * 2016-11-10 2018-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isor assembly for a vehicle
CN206179440U (zh) * 2016-11-11 2017-05-17 刘继华 一种显示模组摄像头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243A (ko) 2019-03-22
KR20230041986A (ko) 2023-03-27
CN109493732A (zh) 2019-03-19
US20210064158A1 (en) 2021-03-04
US11592916B2 (en) 2023-02-28
US10852861B2 (en) 2020-12-01
US20190079604A1 (en) 2019-03-14
CN109493732B (zh)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1474B1 (ko) 표시 장치
KR102407406B1 (ko)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5785632B (zh) 显示装置
KR102522575B1 (ko)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0804486B2 (en) Display device
CN110888261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180147810A1 (en) Decorative film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67498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EP3355556A1 (en) Display module and eletronic device
KR102606924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US20150187282A1 (en) Display module
KR102049909B1 (ko) 영상 표시 장치
KR20160095250A (ko) 표시장치
US9612475B2 (en) Front light module and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13630486B (zh) 电子设备及显示屏
KR102501537B1 (ko)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443605B1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CN114078377A (zh) 显示设备
US20130342746A1 (en) Display system and image pickup system
KR20160090227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KR102528525B1 (ko) 표시 장치
KR102586063B1 (ko)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CN217655639U (zh) 显示设备
CN220570916U (zh) 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