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575B1 -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575B1
KR102522575B1 KR1020170116912A KR20170116912A KR102522575B1 KR 102522575 B1 KR102522575 B1 KR 102522575B1 KR 1020170116912 A KR1020170116912 A KR 1020170116912A KR 20170116912 A KR20170116912 A KR 20170116912A KR 102522575 B1 KR102522575 B1 KR 102522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dhesive layer
masking pattern
edge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241A (ko
Inventor
이정아
김동섭
오주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575B1/ko
Priority to US16/102,590 priority patent/US10525672B2/en
Priority to CN201811049334.2A priority patent/CN109493722B/zh
Publication of KR20190030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2Synchronisation of different clock signals provided by a plurality of clock gen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윈도우 부재는 베이스 기재, 및 베이스 기재의 일면 상에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인쇄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윈도우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1 필름층, 제1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제1 점착층, 및 제1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제1 점착층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Window memb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윈도우는 스마트폰 등 휴대 전자 기기에서 많이 적용된다.
윈도우는 운반되고 적재되는 과정 등에서 양면에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보호된다. 윈도우를 표시 패널에 부착할 때 보호 필름은 박리되어 제거된다. 보호 필름은 점착층을 포함하는데, 점착층이 윈도우 표면의 특정한 부위에 닿을 경우 이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또, 보호 필름이 박리된 후 윈도우 표면에 점착 물질이 잔류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이러한 잔류 물질이 표시 장치의 오동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호 필름의 점착 물질이 접촉이나 잔류에 따른 오염이 방지된 윈도우 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점착 물질이 접촉이나 잔류에 따른 오동작이 방지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윈도우용 보호 필름의 박리가 용이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베이스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는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 상에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인쇄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점착층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점착층은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은 상기 제1 점착층의 적어도 일 장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은 상기 제1 점착층의 양 단변의 테두리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의 외측면은 상기 제1 점착층의 측면에 정렬되거나 그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의 두께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의 폭은 0.5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은 UV 경화성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은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직접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이 노출하는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윈도우의 일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은 상기 윈도우의 일면과 결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인쇄 패턴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 패턴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개구부 마스킹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베이스 기재 및 상기 인쇄 패턴을 관통하는 윈도우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 홀을 덮는 윈도우 홀 마스킹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제2 필름층, 상기 제2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제2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점착층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2 테두리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제2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윈도우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0.1㎛ 내지 10㎛의 두께를 갖는 제1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는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 상에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인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킹 패턴은 상기 인쇄 패턴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개구부 마스킹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킹 패턴은 상기 제1 점착층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테두리 마스킹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는 제2 필름층, 상기 제2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제2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점착층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2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제2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윈도우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킹 패턴은 UV 경화성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킹 패턴은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직접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보호 필름이 윈도우의 일면에 부착된 윈도우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로부터 상기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필름은 필름층, 상기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층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테두리 마스킹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필름층의 전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층 상에 UV 경화성 잉크를 인쇄하여 상기 테두리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에 의하면, 테두리 마스킹 패턴이 보호 필름 점착층의 외측 테두리를 덮기 때문에 보호 필름을 윈도우에 부착시키더라도 윈도우 테두리에서는 점착 물질이 닿지 않는다. 따라서, 윈도우 측면으로 점착 물질이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윈도우 측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에 의하면, 개구부 마스킹 패턴이 카메라나 센세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점착 물질 잔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 카메라나 센서의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면서도 들뜸 현상을 최소화하고 윈도우 부재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윈도우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윈도우에 제1 보호 필름이 부착된 상태의 배치도이다.
도 7은 제2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윈도우에 제2 보호 필름이 부착된 상태의 배치도이다.
도 9a는 도 5의 IX-I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b 및 도 9c는 도 9a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도 6의 X-X'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XI-X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윈도우로부터 제1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마스킹 패턴의 두께에 따른 들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과 윈도우의 부착 상태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70)는 표시 패널(20) 및 표시 패널(20)의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30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20) 하부에 배치된 패널 하부 시트(10) 및 패널 하부 시트(10)의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70)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70)는 양 장변과 양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70)의 장변과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곡면을 이룰 수 있다. 표시 장치(70)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은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20)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액정 표시 장치, 전기 영동 장치 등 다른 종류의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은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리지드 기판일 수도 있고,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 폴리이미드 기판을 적용하는 경우, 표시 패널(20)은 휘거나 꺾이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대체로 중앙부에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은 표시 패널의 테두리 부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상부에는 윈도우(300)가 배치된다.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2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20)을 보호하는 한편, 표시 패널(20)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킨다.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20)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20)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대체로 표시 패널(20)과 평면상 유사한 형상을 가지지만, 그 크기는 표시 패널(20)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70)의 양 단변에서 윈도우(300)는 표시 패널(2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70)의 양 장변에서도 윈도우(300)가 표시 패널(20)로부터 돌출될 수 있지만, 돌출 거리는 양 단변의 경우가 더 클 수 있다. 윈도우(300)는 표시 장치(70)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게 양 장변과 양 단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윈도우(300)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한다. 윈도우(300)가 표시 장치(70)에 장착될 때, 윈도우(300)의 일면은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면이 되고, 윈도우(300)의 타면은 화면이 출사되는 면이 된다.
윈도우(300)는 베이스 기재(310) 및 인쇄 패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패턴(320)은 베이스 기재(3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그에 따라 윈도우(300)의 일면은 베이스 기재(310) 및 인쇄 패턴(3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윈도우(300)의 타면은 인쇄 패턴(320) 없이 베이스 기재(310)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기재(310)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기재(310)는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기재(310)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경우, 베이스 기재(310)는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기재(310)에 적용 가능한 플라스틱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difluoride, PVDF), 폴리스티렌(polystyren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등을 들 수 있다. 베이스 기재(310)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경우 플라스틱의 상하면에 배치된 코팅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유기층 및/또는 유무기 복합층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무기 복합층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같은 유기 물질에 실리콘 옥사이드, 지르코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탄탈륨 옥사이드, 나이오븀 옥사이드, 글래스 비드 등의 무기 물질이 분산된 층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은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층은 타이타늄, 알루미늄, 몰리브덴, 탄탈륨, 구리, 인듐, 주석, 텅스텐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 패턴(320)은 베이스 기재(31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인쇄 패턴(320)은 베이스 기재(3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패턴(320)은 표시 패널(20)의 비표시 영역에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표시 패널(20)의 비표시 영역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인쇄 패턴(320)은 흰색(white), 회색(gray), 검정색(black)의 무채색 계열 또는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 등의 유채색 계열의 색상을 갖고, 기타 다양한 색상이나 무늬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인쇄 패턴(320)은 염료나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스크린 인쇄, 잉크젯 프린트,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 패턴(320)은 단층 인쇄인 1도 인쇄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다층 인쇄인 2도, 3도 인쇄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변 테두리에 배치된 인쇄 패턴(320)의 폭은 장변 테두리에 배치된 인쇄 패턴(32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인쇄 패턴(320)은 그 내부에 카메라, 홍채 인식 카메라, 적외선 센서 등을 노출하는 개구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패턴(320)의 개구부(321)는 평면상 원형, 타원형, 선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부(321)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단변 테두리의 인쇄 패턴(3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측 단변 테두리의 인쇄 패턴(320)에 개구부(321)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하측 단변 테두리의 인쇄 패턴(320)에도 개구부가 배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장변 테두리의 인쇄 패턴(320)에도 개구부가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321)에서는 인쇄 패턴(320)의 잉크 물질이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베이스 기재(310)의 일면이 인쇄 패턴(320)에 의해 덮이지 않고 직접 노출되며, 이를 통해 카메라나 센서 등이 입력 정보를 잘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윈도우(300)는 베이스 기재(310) 및 인쇄 패턴(320)을 관통하는 윈도우 홀(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홀(311)에는 예를 들어, 스피커, 수신기, 카메라, 통신 모듈, 칩 또는 센서 등이 탑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 홀(311)의 단면 구조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20)과 윈도우(300) 사이에는 터치 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 부재(30)는 리지드 패널 타입 또는 플렉시블 패널 타입이거나 필름 타입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과 터치 부재(30), 터치 부재(30)와 윈도우(300)는 각각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과 같은 투명 결합층(52, 53)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터치 부재(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20)과 윈도우(300)가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20)은 그 내부에 터치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하부에는 패널 하부 시트(10)가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10)는 최상부에 탑 결합층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표시 패널(2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10)는 표시 패널(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중첩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10)는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패턴 시인 방지 기능, 접지 기능, 완충 기능, 강도 보강 기능 및/또는 디지타이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10)는 상술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은 층, 막, 필름, 시트, 플레이트, 패널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패널 하부 시트(10)의 하부에는 브라켓(60)이 배치되어, 윈도우(300), 터치 부재(30), 표시 패널(20), 패널 하부 시트(10)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70)는 평탄부(FA) 및 평탄부(FA)와 연결되고 평탄부(FA)의 주변에 위치하는 벤딩부(BA)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FA)는 대체로 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벤딩부(BA)는 평탄부(FA)와 동일 평면 상에 놓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벤딩부(BA)는 평탄부(FA)가 위치하는 평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꺾이거나 휘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벤딩부(BA)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굴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벤딩부(BA)는 평탄면을 갖되, 벤딩부(BA)의 평탄면이 평탄부(FA)의 평면과 소정 각도를 갖는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벤딩부(BA)는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 장치(70)의 양 장변 또는 일 장변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 장치(70)의 단변도 벤딩될 수 있다.
상술한 표시 패널(20), 터치 부재(30), 윈도우(300), 패널 하부 시트(10) 및 브라켓(60)은 모두 평탄부(FA) 및 벤딩부(BA)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는 달리, 표시 장치는 벤딩부 없이 평탄부만으로 이루어진 평면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벤딩된 표시 장치나 평면 표시 장치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평면 표시 장치의 형상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들이 평면 표시 장치 뿐만 아니라, 벤딩된 표시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플렉시블 표시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윈도우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윈도우 부재(500)는 윈도우(300), 제1 보호 필름(100) 및 제2 보호 필름(200)을 포함한다.
제1 보호 필름(100)은 윈도우(30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2 보호 필름(200)은 윈도우(300)의 타면 상에 배치된다. 제1 보호 필름(100) 및 제2 보호 필름(200)은 윈도우(300)가 운반되고 적재되는 과정 등에서는 윈도우(300)에 부착되어 그 양면을 보호하지만, 윈도우(300)가 표시 패널이나 터치 부재에 장착되는 과정에서는 박리되어 제거된다. 제1 보호 필름(100)과 제2 보호 필름(200)의 전반적인 평면 형상은 윈도우(300)의 평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100)은 제1 필름층(110), 제1 점착층(120) 및 제1 마스킹 패턴(130)을 포함하고, 제2 보호 필름(200)은 제2 필름층(210), 제2 점착층(220), 및 제2 마스킹 패턴(230)을 포함한다.
제1 필름층(110)과 제2 필름층(210)은 각각 윈도우(300)의 일면과 타면을 커버한다. 제1 필름층(110)과 및 제2 필름층(210)은 각각 윈도우(300)와 중첩 배치된 커버부 및 커버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풀탭(pull tab)부(PT1, P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름층(110)과 제2 필름층(210)은 풀탭부(PT1, PT2)를 제외하고 각각 윈도우(300)와 동일하거나 대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윈도우(300)와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윈도우(300)를 대체로 커버할 수 있다(커버부). 제1 필름층(110)의 제1 풀탭부(PT1)와 제2 필름층(210)의 제2 풀탭부(PT2)는 윈도우(300)를 기준으로 평면상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필름층(110)과 제2 필름층(210)을 박리할 때 제1 풀탭부(PT1)와 제2 풀탭부(PT2)를 통해 제1 보호 필름(100)과 제2 보호 필름(200)을 잡기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보호 필름(100, 200)의 박리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은 제1 풀탭부(PT1)와 제2 풀탭부(PT2)가 아래쪽 단변에 하나씩 배치된 경우이지만, 제1 풀탭부(PT1)와 제2 풀탭부(PT2)의 개수 및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또, 제1 풀탭부(PT1)와 제2 풀탭부(PT2)의 개수와 위치가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킹 패턴(130, 230)에 의해 제1 보호 필름(100)이나 제2 보호 필름(200)의 테두리 부위가 윈도우(300)에 부착되지 않아 이를 통한 박리가 가능한 경우 풀탭부(PT1, PT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필름층(110)과 제2 필름층(210)은 각각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PU),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점착층(120)은 제1 필름층(110)의 타면에 배치되어 제1 필름층(110)을 베이스 기재(310)의 일면에 결합(점착)시킨다. 즉, 제1 필름층(110)은 제1 점착층(120)을 통해 베이스 기재(310)의 일면에 부착된다. 제2 점착층(220)은 제2 필름층(210)의 일면에 배치되어 제2 필름층(210)을 베이스 기재(310)의 타면에 결합시킨다. 즉, 제2 필름층(210)은 제2 점착층(220)을 통해 베이스 기재(310)의 타면에 부착된다. 베이스 기재(310)와의 결합이 불필요한 제1 풀탭부(PT1)와 제2 풀탭부(PT2) 상에는 제1 점착층(120)과 제2 점착층(220)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 기재(310)에 대한 제1 점착층(120)과 제2 점착층(220)의 점착력 또는 결합력은 보관이나 운반시에 베이스 기재(310)에 제1 필름층(110)과 제2 필름층(210)이 분리되지 않고 부착되어 있을 수 있는 정도만 되면 충분하다. 보호 필름(100, 200)의 박리시 제1 점착층(120)과 제2 점착층(220)은 각각 제1 필름층(110)과 제2 필름층(210)에 붙어있는 상태로 베이스 기재(3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좋으며, 베이스 기재(310)의 표면에는 잔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베이스 기재(310)에 대한 제1 및 제2 점착층(130, 230)의 결합력은 제1 필름층(110)과 제2 필름층(210)에 대한 제1 및 제2 점착층(130, 230)의 결합력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점착층(120)과 제2 점착층(220)은 저점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점착층(120)과 제2 점착층(220)은 각각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점착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마스킹 패턴(130)은 제1 점착층(120)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제2 마스킹 패턴(230)은 제2 점착층(22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제1 마스킹 패턴(130)과 제2 마스킹 패턴(230)은 제1 점착층(120)과 제2 점착층(220)의 점착 표면을 덮어 해당 부위에서 제1 점착층(210)과 제2 점착층(220)의 점착 물질이 윈도우(300)의 표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 제1 보호 필름(100)과 제2 보호 필름(200)의 박리시 윈도우(30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제1 점착층(120)과 제2 점착층(220)의 점착 물질이 일부 잔류할 수 있는데, 제1 마스킹 패턴(130)과 제2 마스킹 패턴(230)에 닿은 윈도우(300) 표면은 점착 물질과의 접촉 자체가 차단되므로, 해당 부위에서 점착 물질의 잔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보호 필름(100)과 제2 보호 필름(200)은 제1 및 제2 마스킹 패턴(130, 230)이 배치된 부위에서 윈도우(300)와 부분적으로 결합하지 않지만, 제1 및 제2 마스킹 패턴(130, 230)이 배치되지 않은 부위에서 제1 점착층(120)과 제2 점착층(220)에 의해 윈도우(300)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윈도우(300)의 양면에 부착되므로, 박리 전까지 윈도우(300)의 양면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1 마스킹 패턴(130)과 제2 마스킹 패턴(230)은 각각 무점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보호 필름(100)과 제2 보호 필름(200)은 해당 부위에서 무점착 영역(도 12의 'NAR' 참조)을 확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마스킹 패턴(130)과 제2 마스킹 패턴(230)이 매우 낮은 수준의 점착력을 가질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그 점착력이 제1 점착층(120)이나 제2 점착층(220)의 점착력보다 작고 박리시 윈도우(300) 표면에 실질적으로 잔류하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마스킹 패턴(130, 230)은 예를 들어 UV 경화성 잉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마스킹 패턴(130, 230)은 안료나 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무점착 물질이 제1 및 제2 마스킹 패턴(130, 230)의 재료로 적용가능하다.
제1 및 제2 마스킹 패턴(130, 230)은 스크린 인쇄, 잉크젯 프린트,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방법으로 제1 및 제2 점착층(120, 220)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스킹 패턴(130)과 제2 마스킹 패턴(230)이 제1 및 제2 점착층(120, 220) 상에 지나치게 넓은 면적으로 배치될 경우, 전체 결합력 약화로 인하여 박리 공정 전인 보관이나 이송 중에 윈도우(300)로부터 제1 보호 필름(100)이나 제2 보호 필름(200)이 탈락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1 마스킹 패턴(130)과 제2 마스킹 패턴(230)은 무점착이 필요한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와 관련한 제1 마스킹 패턴(130)과 제2 마스킹 패턴(230)의 예시적인 배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제1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윈도우에 제1 보호 필름이 부착된 상태의 배치도이다. 도 7은 제2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고, 도 8은 윈도우에 제2 보호 필름이 부착된 상태의 배치도이다. 도 9a는 도 5의 IX-I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b 및 도 9c는 도 9a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도 6의 X-X'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XI-X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윈도우로부터 제1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마스킹 패턴(130)은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을 포함하고, 제2 마스킹 패턴(230)은 제2 테두리 마스킹 패턴(231)을 포함한다.
먼저,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을 설명하면, 제1 마스킹 패턴(130)은 제1 보호 필름(100)의 테두리에 위치한다. 제1 마스킹 패턴(130)은 제1 점착층(120)의 적어도 일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은 제1 점착층(120)의 외측 테두리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외측면은 제1 점착층(120)의 측면에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은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점착층(120)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덮거나,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점착층(120)의 측면을 완전히 덮을 수도 있다. 즉,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외측면은 제1 점착층(120)의 측면에 정렬되거나 그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300) 테두리에까지 점착 물질이 접할 경우 점착 물질이 외측으로 빠져나와 윈도우(300)의 측면을 오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500)를 가압하거나, 복수의 윈도우 부재(500)를 적층하거나, 고온 처리 등을 거치면서 점착 물질은 외측으로 더 잘 흘러내릴 수 있다. 윈도우(300)의 측면에 점착 물질이 닿으면 그 자체로 오염으로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이물질이 윈도우(300)의 측면에 부착하는 등 오염이 심화될 수 있다. 윈도우(300)를 표시 패널(도 2의 '20')에 부착할 때 윈도우(300) 측면의 오염 물질이 유입되면 화질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경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이 제1 점착층(120)의 외측 테두리를 덮기 때문에 제1 보호 필름(100)을 윈도우(300)에 부착시키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윈도우(300) 테두리에서는 점착 물질이 닿지 않는다. 따라서, 윈도우(300) 측면으로 점착 물질이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윈도우(300) 측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이 있는 부위에서는 윈도우(300)와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를 통해 제1 보호 필름(100)의 박리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외측면이 제1 점착층(120)의 측면보다 내측에 있어 제1 점착층(120)의 테두리 일부를 노출하더라도 그 노출 폭이 매우 작은 경우에는 제1 점착층(120)의 테두리가 윈도우(300)에 닿지 않거나 윈도우(300)에 닿는 점착 물질의 양이 미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윈도우(300) 측면 오염이 방지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부재(500) 상에서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은 윈도우(300)의 인쇄 패턴(320)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폭(d1)은 윈도우(300)의 인쇄 패턴(320)의 폭(d2)보다 작아,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내측면이 윈도우(300)의 인쇄 패턴(320) 상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모든 면은 윈도우(300)의 인쇄 패턴(320)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윈도우(300)의 인쇄 패턴(320)이 생략되거나 그 폭(d2)이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폭(d1)보다 좁더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일부 또는 모든 표면은 윈도우(300)의 베이스 기재(310)에 접할 수 있다.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폭(d1)은 0.5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폭(d1)이 0.5mm 이상이면 윈도우(300)의 테두리에 실효적인 무점착 영역이 확보되어 윈도우(300) 측면으로 점착 물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폭(d2)이 1.5mm 이하이면 제1 보호 필름(100)이 테두리로부터 들뜨거나 제1 보호 필름(100)과 윈도우(300)간 결합력 약화로 제1 보호 필름(100)이 박리 공정 중에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은 측면 이물 오염에 취약한 윈도우(300)의 장변 측을 점착 물질 흘러내림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제1 점착층(120)의 장변 테두리 전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은 제1 점착층(120) 상에서 장변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모서리를 거쳐 상하 단변 테두리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양 장변 측에 위치하는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은 상대적으로 측면 이물 오염 빈도가 낮은 단변에 이르러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이 분리된 상하 단변 테두리에서는 제1 점착층(120)이 윈도우(30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어, 제1 보호 필름(100)과 윈도우(300) 간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제2 테두리 마스킹 패턴(231)은 제2 보호 필름(200)의 테두리에 위치한다. 제2 테두리 마스킹 패턴(231)과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테두리 마스킹 패턴(231)과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의 형상이나 배치가 상이할 수도 있다. 제2 테두리 마스킹 패턴(231)은 윈도우(300)의 인쇄 패턴(320)이 형성된 일면이 아닌 타면에 접하므로,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과는 달리 윈도우(300)의 인쇄 패턴(320)과는 접하지 않는다. 이 점을 제외하고 그 밖의 제2 테두리 마스킹 패턴(231)의 기능, 위치, 폭 등은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마스킹 패턴(130)은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은 인쇄 패턴(320)의 내부에 배치된 개구부(321)를 덮는다.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은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과 동일한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이 인접 배치된 복수의 인쇄 패턴(320) 개구부(321)를 덮을 수 있다.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은 개구부(321)를 완전히 덮도록 충분히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은 인쇄 패턴(320)의 개구부(321) 내에 점착 물질(RA)이 잔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에 의해 개구부(321)를 통해 노출된 윈도우(300)의 베이스 기재(3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점착층(120)과 직접 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300)로부터 제1 보호 필름(100)을 박리할 때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이 없는 부분은 윈도우(300)의 표면에 일부의 점착 잔류 물질(RA)이 있을 수 있지만,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에 덮여 있던 인쇄 패턴(320)의 개구부(321)에는 점착 물질(RA)이 잔류할 여지가 없다. 따라서, 개구부(321) 이물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개구부(321)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카메라나 센서의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제2 보호 필름(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보호 필름(200)의 경우 베이스 기재(310)의 타면에 부착되는데, 베이스 기재(310)의 타면은 인쇄 패턴(320)이 형성되지 않고, 표시 패널 등과 부착되는 부위도 아니므로 보다 자유로운 세척이 가능하다. 따라서, 개구부(321)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이 없어 박리 후 점착 물질이 베이스 기재(310)의 타면에 일부 잔류한다고 할지라도 세척 공정을 통해 쉽게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개구부 마스킹 패턴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그러나, 도시예와는 달리 제2 보호 필름(200)의 제2 마스킹 패턴(230)이 윈도우(300) 인쇄 패턴(320)의 개구부(321)와 중첩하는 위치에 개구부 마스킹 패턴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마스킹 패턴(130)의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과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마스킹 패턴(130)과 제2 마스킹 패턴(230)의 두께도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의 두께(t1)을 예로하여 마스킹 패턴의 두께에 대해 설명하면, 마스킹 패턴(130, 230)의 두께(t1)는 약 0.1㎛ 이상일 수 있다. 마스킹 패턴(130, 230)의 두께(t1)를 0.1㎛ 미만으로 하는 것은 공정 안정성 및 패턴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마스킹 패턴(130, 230)의 두께(t1)는 약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스킹 패턴(130, 230)의 두께(t1)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13이 참조된다.
도 13은 마스킹 패턴의 두께에 따른 들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의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의 두께(t2)는 도 12의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의 두께(t1)보다 훨씬 크다. 도 13에서는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의 과도한 두께(t2)로 인해 그에 중첩된 제1 점착층(120)과 제1 필름층(110)이 두께 방향으로 돌출한다. 그러면서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 주변에는 제1 점착층(120)이 윈도우(300)의 표면과 결합하지 못하고 빈 공간(VD)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빈 공간(VD)이 지나치게 커지면 전반적으로 제1 보호 필름(100)이 윈도우(300)로부터 들뜨게 되어 박리 공정 전에 탈락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두께 방향으로 제1 점착층(120)과 제1 필름층(110)이 돌출함으로써, 윈도우 부재(500)를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표면 단차로 인하여 윈도우 부재(500)가 낙하할 우려가 있다. 필름 타입의 마스킹 패턴을 부착하는 경우, 그 두께가 대략 50㎛ 이상 되는데, 이와 같은 두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들뜸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뜸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마스킹 패턴(130, 230)의 두께(t1)가 약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관점에서 마스킹 패턴(130, 230)의 두께(t1)는 0.1㎛ 내지 10㎛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킹 패턴(130, 230)의 두께(t1)는 1㎛ 내지 4㎛일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101)은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_1)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점에서 도 9a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_1)은 제1층(131a), 제2층(131b), 및 제3층(131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도 인쇄를 하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개의 층(131a, 131b, 131c)으로 이루어진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_1)을 형성할 수 있다.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_1)의 전체 두께는 앞서 논의한 마스킹 패턴의 두께(t1)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층(131a), 제2층(131b), 및 제3층(131c)의 폭은 각각 동일할 수 있지만,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에서는 3개의 층이 적층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2개층이나 4개 이상의 층으로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_1)이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개구부 마스킹 패턴 또한 동일하게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것임은 자명하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과 윈도우의 부착 상태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의 제1 마스킹 패턴(130_1)은 윈도우 홀(311)을 덮는 윈도우 홀 마스킹 패턴(133)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6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윈도우 홀 마스킹 패턴(133)은 윈도우 홀(311)을 덮음으로써, 제1 점착층(120)의 점착 물질이 윈도우 홀(311)의 내벽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윈도우 홀(311) 내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102)은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_2)이 양 장변을 따라 연장되고 모서리를 거쳐 상하 단변까지 연장되는 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지만, 상하 단변을 따라서도 더욱 연장되어 하나의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_2)을 이루는 점에서 도 5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처럼,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_2)이 양 장변 뿐만 아니라, 양 단변을 모두 마스킹하게 되면 모든 테두리에서 윈도우의 측면 이물 오염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103)은 제1 마스킹 패턴(130_3)이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과 개구부 마스킹 패턴의 구분없이 일체화되어 있는 점에서 도 17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7과 비교할 때,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의 상측 단변 테두리에 부분과 개구부 마스킹 패턴 사이 공간을 마스킹 패턴으로 채워 이들을 일체로 연결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윈도우 부재의 상측 단변에서 상당한 폭의 무점착 영역이 확보되기 때문에 해당 부위가 풀탭부로도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7과 도 18에서는 마스킹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제1 보호 필름(102, 103)과 윈도우간 결합력은 다소 희생될 수 있지만, 이들간 결합력이 크게 문제되지 않고 이물 불량 이슈가 더 큰 경우에 고려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호 필름(104)은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131_3)과 개구부 마스킹 패턴(132_3)이 각각 서로 분리된 복수개의 마스킹 패턴 단위(MKU)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5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웃하는 마스킹 패턴 단위(MKU)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고, 그 공간을 통해 제1 점착층(120)의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들간 간격이 넓을 경우 마스킹 효과가 줄어들지만, 좁은 간격으로 배치하면 실질적인 마스킹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노출된 제1 점착층(120)의 표면은 윈도우 표면으로부터 떨어지거나 약한 결합력을 가지며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 물질 잔류를 차단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마스킹 패턴 단위(MKU)는 1열로 배열되거나 복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마스킹 패턴 단위(MKU)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술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먼저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이 윈도우의 일면에 부착된 윈도우 부재를 준비한다(S1).
윈도우 부재를 준비하는 방법은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준비하고, 윈도우의 일면에 상기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으로 제1 보호 필름과 제2 보호 필름이 마련되어 윈도우의 양면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보호 필름과 제2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은 각각 필름층의 전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필름을 준비하고, 상기 점착층 상에 UV 경화성 잉크를 스크린 인쇄, 잉크젯 프린트,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방법으로 인쇄하여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윈도우 부재의 보호 필름을 박리한다(S2). 제1 보호 필름과 제2 보호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윈도우의 표면이 드러난다. 윈도우의 표면에는 일부 점착 물질이 잔류할 수 있지만, 마스킹 패턴이 형성된 위치에서는 점착 물질이 잔류하지 않는다.
이어, 윈도우의 일면 상에 표시 패널을 부착한다(S3). 표시 패널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액정 표시 패널 등일 수 있다. 표시 패널은 광 투과성 접착제나 수지 등을 통해 윈도우의 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터치 패널과 같은 다른 패널이나, 편광 필름 등과 같은 광학 필름이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다양한 구조나 제조 방법들은 본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1 보호 필름
200: 제2 보호 필름
300: 윈도우

Claims (20)

  1.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 상에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인쇄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고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점착층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은 상기 제1 점착층의 적어도 일 장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윈도우 부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은 상기 제1 점착층의 양 단변의 테두리에까지 연장되는 윈도우 부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의 외측면은 상기 제1 점착층의 측면에 정렬되거나 그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윈도우 부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의 두께는 0.1㎛ 내지 10㎛인 윈도우 부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의 폭은 0.5mm 내지 1.5mm인 윈도우 부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은 UV 경화성 잉크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은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직접 인쇄되어 형성되는 윈도우 부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이 노출하는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윈도우의 일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1 테두리 마스킹 패턴은 상기 윈도우의 일면과 결합하지 않는 윈도우 부재.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패턴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 패턴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개구부 마스킹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베이스 기재 및 상기 인쇄 패턴을 관통하는 윈도우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 홀을 덮는 윈도우 홀 마스킹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12. 제1 항에 있어서,
    제2 필름층,
    상기 제2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제2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점착층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2 테두리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제2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윈도우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13.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고 접촉하도록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0.1㎛ 내지 10㎛의 두께를 갖는 제1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 상에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인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패턴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킹 패턴은 상기 인쇄 패턴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개구부 마스킹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킹 패턴은 상기 제1 점착층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테두리 마스킹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16. 제13 항에 있어서,
    제2 필름층,
    상기 제2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제2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점착층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2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제2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윈도우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킹 패턴은 UV 경화성 잉크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킹 패턴은 상기 제1 점착층 상에 직접 인쇄되어 형성되는 윈도우 부재.
  19. 보호 필름이 윈도우의 일면에 부착된 윈도우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로부터 상기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필름은 필름층,
    상기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고 접촉하도록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층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테두리 마스킹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윈도우의 일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필름층의 전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층 상에 UV 경화성 잉크를 인쇄하여 상기 테두리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70116912A 2017-09-13 2017-09-13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22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912A KR102522575B1 (ko) 2017-09-13 2017-09-13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6/102,590 US10525672B2 (en) 2017-09-13 2018-08-13 Window memb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
CN201811049334.2A CN109493722B (zh) 2017-09-13 2018-09-10 窗构件和制造显示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912A KR102522575B1 (ko) 2017-09-13 2017-09-13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241A KR20190030241A (ko) 2019-03-22
KR102522575B1 true KR102522575B1 (ko) 2023-04-17

Family

ID=6563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912A KR102522575B1 (ko) 2017-09-13 2017-09-13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25672B2 (ko)
KR (1) KR102522575B1 (ko)
CN (1) CN1094937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1376S1 (en) * 2015-10-02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14041078B (zh) * 2019-03-28 2023-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光学透镜系统和包括所述光学透镜系统的电子设备
CN110149425B (zh) * 2019-04-17 2020-09-18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盖板、显示组件
KR20200129225A (ko) 2019-05-07 2020-1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결합 부재,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133288A (ko) * 2019-05-16 2020-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분자 수지,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09720B1 (ko) * 2019-09-11 2021-10-07 (주)세경하이테크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210148457A (ko) * 2020-05-28 2021-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61803A (ko) * 2021-05-31 2022-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적층체와 폴더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5057067A (zh) * 2022-07-07 2022-09-16 丝艾产品标识(重庆)有限公司 一种摄像头镜片保护膜的剥离解决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091B2 (ja) * 1995-09-29 2001-09-10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自動伴奏装置
KR101329049B1 (ko) * 2013-01-09 2013-11-13 장경순 곡면처리된 액정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3207091U (ja) 2016-07-19 2016-10-20 ホワイトストー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Whitestone Co., Ltd. 曲面カバーガラス保護フィルムおよびこれの付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82719B (zh) * 2003-10-24 2012-04-04 伊英克公司 电光显示器
KR20070071811A (ko) * 2005-12-30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용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156880B1 (ko) * 2010-02-26 2012-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US20120229808A1 (en) * 2011-03-11 2012-09-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iochip identification apparatus, biochip and method of identifying biochip using the same
KR20140016562A (ko) * 2012-07-30 2014-02-10 (주)발품 휴대용단말기의 보호커버
KR20140092138A (ko) 2013-01-15 2014-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부재
KR101459564B1 (ko) * 2013-02-22 2014-11-07 주식회사 씨엘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235703B1 (ko) * 2014-02-12 2021-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124310A (ko) * 2015-04-16 2016-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KR102642398B1 (ko) * 2015-06-22 2024-0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12304B1 (ko) * 2015-06-22 2021-10-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760701B1 (ko) 2015-12-02 2017-07-24 (주)타라테크 휴대단말기용 전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71565B1 (ko) * 2016-01-19 2018-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05862691U (zh) * 2016-07-29 2017-01-04 山东泰宝防伪技术产品有限公司 双信息安全线防伪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091B2 (ja) * 1995-09-29 2001-09-10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自動伴奏装置
KR101329049B1 (ko) * 2013-01-09 2013-11-13 장경순 곡면처리된 액정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3207091U (ja) 2016-07-19 2016-10-20 ホワイトストー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Whitestone Co., Ltd. 曲面カバーガラス保護フィルムおよびこれの付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77121A1 (en) 2019-03-14
CN109493722B (zh) 2022-07-01
CN109493722A (zh) 2019-03-19
KR20190030241A (ko) 2019-03-22
US10525672B2 (en)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575B1 (ko)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43282B1 (ko) 표시 장치
TWI580270B (zh) 視窗結構、製造視窗結構之方法、裝備有包含視窗結構之相機之電子裝置及其製造方法
CN105785632B (zh) 显示装置
US985751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7850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832890B2 (en) Cover window,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ver window
US10347864B2 (en) Display device
JP7269061B2 (ja) カバーウィンドウ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US11592916B2 (en) Display device
US1157626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40332342A1 (en) Electronic device
US11214859B2 (en)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29225A (ko) 결합 부재,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090227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US11991848B2 (en)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
CN217655639U (zh) 显示设备
TWI658942B (zh) 用以保護遮蓋玻璃的光學孔的保護膜
KR20240126810A (ko) 전자 장치
CN117789597A (zh) 显示模块以及用于将显示模块和窗构件附接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