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45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457A
KR20210148457A KR1020200064074A KR20200064074A KR20210148457A KR 20210148457 A KR20210148457 A KR 20210148457A KR 1020200064074 A KR1020200064074 A KR 1020200064074A KR 20200064074 A KR20200064074 A KR 20200064074A KR 20210148457 A KR20210148457 A KR 20210148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display device
flat portion
cover window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석
신정훈
변호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8457A/ko
Priority to US17/152,650 priority patent/US11799997B2/en
Priority to CN202110570729.2A priority patent/CN113744624A/zh
Publication of KR20210148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2Shear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일 평면에 위치한 평탄부, 및 평탄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고 평탄부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평탄부, 및 절곡부에 걸쳐 배치된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평탄부, 및 절곡부에 걸쳐 배치된 커버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모듈러스가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화면을 생성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커버하는 커버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를 합착하고나서, 결합 부재에는 기포가 남아있을 수 있고, 남아있는 기포들의 침투 깊이가 길어질수록 표시 장치의 디자인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 내의 기포 수가 줄어든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 평면에 위치한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평탄부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상기 평탄부, 및 상기 절곡부에 걸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평탄부, 및 상기 절곡부에 걸쳐 배치된 커버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모듈러스가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 부재는 60°C 이상 내지 80°C 이하, 및 6bar 내지 8bar이하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800 내지 1000kpa를 갖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150 내지 210kp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완료된 후의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600 내지 750kpa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60°C 이상 내지 80°C 이하, 및 6bar 내지 8bar이하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10%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20 내지 3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완료된 후의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12 내지 1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응력 완화(Stress relaxation)가 5000pa이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피착제로서,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2000gf/in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아래와 같은 화학식 1을 갖는 제1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결합 부재의 총 중량 대비 상기 제1 단량체의 중량비는 3wt% 내지 4wt%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의 겔 함량(wt%)은 57.43wt% 내지 62.47wt%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의 전단 응력(Shear stress)은 400 내지 1400p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평탄부의 제1 측, 및 상기 제1 측의 맞은 편인 제2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측은 상기 평탄부의 제1 장변과 인접하고, 상기 제2 측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장변과 대향하는 제2 장변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평탄부의 제3 측, 및 상기 제3 측의 맞은 편인 제4 측에 더 배치되고, 상기 제3 측은 상기 평탄부의 제1 단변과 인접하고, 상기 제4 측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단변과 대향하는 제2 단변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커버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인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패턴은 상기 커버 윈도우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인쇄 패턴의 일면, 및 측면과 직접 접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약 60°C 이상, 및 약 6bar 이상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800 내지 1000kpa를 갖는다.
상기 결합 부재는 아래와 같은 화학식 1을 갖는 제1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결합 부재의 총 중량 대비 상기 제1 단량체의 중량비는 3wt% 내지 4wt%를 갖고, 상기 결합 부재의 겔 함량(wt%)은 57.43wt% 내지 62.47wt%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150 내지 210kpa를 갖되, 상기 결합 부재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완료된 후의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600 내지 750kpa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60°C 이상 내지 80°C 이하, 및 6bar 내지 8bar이하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10%이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20 내지 30%를 갖되, 상기 결합 부재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완료된 후의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12 내지 1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응력 완화(Stress relaxation)가 5000pa이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 내의 기포 수가 줄어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절곡부, 및 평탄부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단량체의 함량에 따른 박리 응력, 및 전단 응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제1 단량체의 함량에 따른 전이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인덴터에 의한 점착층의 모듈러스와 크립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압입 깊이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최대하중 유지기간을 전후하여 시간에 따른 압입 깊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와 커버 윈도우의 하부 부재를 합착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와 커버 윈도우의 하부 부재가 합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제1 절곡부, 및 평탄부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결합 부재에 외부 기체의 침투가 방지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샘플별로, 시간에 따른 크립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샘플별로, 시간에 따른 응력 완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8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단변과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장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호 교차한다. 도 1의 사시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방향(DR1)은 표시 장치(1)의 단변들의 연장 방향을, 제2 방향(DR2)은 표시 장치(1)의 장변들의 연장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는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부(MR)와 평탄부(MR)의 적어도 일측에서 연장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MR)의 평면 형상은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평탄부(MR)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단변들,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장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부는 복수개일 수 있다. 절곡부는 2개일 수 있다. 절곡부는 평탄부(MR)의 제1 장변(평탄부(MR)의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한 장변)으로부터 연장된 제1 절곡부(SR1), 및 평탄부(MR)의 제2 장변(평탄부(MR)의 제1 방향(DR1) 타측에 위치한 장변)으로부터 연장된 제2 절곡부(SR2)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MR)는 하나의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절곡부(SR1, SR2)는 평탄부(MR)로부터 두께 방향(제3 방향(DR3))으로 절곡될 수 있다. 각 절곡부(SR1, SR2)는 하나의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절곡부(SR1, SR2)가 평탄부(MR)로부터 절곡된 정도(또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직각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절곡부(SR1, SR2)는 하나의 평면에 위치하지 않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곡률은 일정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화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화면 표시 관점에서,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A)이 더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고, 비표시 영역(N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트랜지스터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고,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DA)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평탄부(MR)의 중앙부, 및 각 절곡부(SR1, SR2)의 평탄부(MR)의 장변들과 인접한 부분들과 표시 영역(DA)은 완전히 중첩 배치될 수 있고, 평탄부(MR)의 단변들측 엣지부, 각 절곡부(SR1, SR2)의 평탄부(MR)의 장변들과 인접한 부분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은 비표시 영역(NA)과 완전히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PN), 편광층(POL), 커버 윈도우(CW), 및 하부 커버 패널(CP)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PN)과 편광층(POL)의 사이에 배치된 제1 결합 부재(AM1), 편광층(POL)과 커버 윈도우(CW)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결합 부재(AM2), 및 표시 패널(PN)과 하부 커버 패널(CP)의 사이에 배치된 제3 결합 부재(AM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표시 패널(PN), 편광층(POL), 커버 윈도우(CW), 및 하부 커버 패널(CP)과 결합 부재(AM1~AM3)들은 표시 장치(1)의 평탄부(MR), 및 각 절곡부(SR1, SR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PN)은 기판 상에 배치된 회로 구동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동층은 화소의 발광층을 구동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동층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동층 상부에는 발광층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회로 구동층에서 전달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다양한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층 상부에는 봉지층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은 무기막 또는 무기막과 유기막의 적층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봉지층으로 글래스나 봉지 필름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봉지층 상부에는 터치층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층은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층으로서, 터치 부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층은 복수의 감지 영역과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PN) 상에 편광층(POL)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층(POL)은 외광 반사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편광층(POL)은 제1 결합 부재(AM1)를 통해 표시 패널(PN)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AM1)는 편광층(POL)과 표시 패널(PN)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AM1)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결합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AM1)는 광학 투명 점착제, 또는 광학 투명 수지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층(POL) 상에 커버 윈도우(CW)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PN)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PN)을 보호하는 한편, 표시 패널(PN)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유리, 또는 석영 등의 리지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CW)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PN)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PN)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대체로 표시 패널(PN)과 평면상 유사한 형상을 가지지만, 그 크기는 표시 패널(PN)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의 양 단변에서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PN)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양 장변에서도 커버 윈도우(CW)가 표시 패널(PN)로부터 돌출될 수 있지만, 돌출 거리는 양 단변의 경우가 더 클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게 양 장변과 양 단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의 표시 패널(PN)을 바라보는 일면(또는 하면)에는 인쇄 패턴(IL)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패턴(IL)은 표시 장치(1)의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패턴(IL)이 배치된 영역은 표시 장치(1)의 비표시 영역(N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인쇄 패턴(IL)은 커버 윈도우(CW)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표시 패널(PN)과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와 편광층(POL)의 사이에는 제2 결합 부재(AM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AM2)는 편광층(POL)과 커버 윈도우(CW)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AM2)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결합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부재(AM2)는 광학 투명 점착제, 또는 광학 투명 수지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 패턴(IL)은 커버 윈도우(CW)의 일면과 접하는 일면, 인쇄 패턴(IL)의 일면의 반대면(표시 패널(PN)을 바라보는 면)인 타면, 및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패턴(IL)의 측면들은 외측면과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패턴(IL)의 외측면은 커버 윈도우(CW)의 외측면과 정렬될 수 있고, 인쇄 패턴(IL)의 내측면은 비표시 영역(NA)과 표시 영역(DA)의 경계에 정렬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AM2)는 인쇄 패턴(IL)의 타면, 및 내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AM2)는 인쇄 패턴(IL)의 타면, 및 내측면과 직접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구성(편광층(POL), 및 표시 패널(PN) 등)과 커버 윈도우(CW)를 상호 합착시키는 공정 후에, 상호 합착된 커버 윈도우(CW)와 하부 구성의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제2 결합 부재(AM2)는 상기된 상호 합착 공정, 및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거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된 상호 합착 공정, 및 오토클레이브 공정 중에 제2 결합 부재(AM2)는 서로 다른 물성이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 패널(PN)의 하부 상에 하부 커버 패널(CP)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 패널(CP)은 표시 패널(PN)의 표시 영역(DA)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하부 커버 패널(CP)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층은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접지 기능, 완충 기능, 강도 보강 기능, 지지 기능 및/또는 디지타이징 기능 등을 수행하는 층일 수 있다. 기능층은 시트로 이루어진 시트층, 필름으로 필름층, 박막층, 코팅층, 패널, 플레이트 등일 수 있다. 하나의 기능층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적층된 복수의 박막이나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능층은 예를 들어, 지지 기재, 방열층, 전자파 차폐층, 충격 흡수층, 디지타이저 등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절곡부, 및 평탄부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인쇄 패턴(IL)은 커버 윈도우(CW)의 표시 패널(PN)을 바라보는 일면(또는 하면) 중,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비표시 영역(NA)에서 커버 윈도우(CW)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인쇄 패턴(IL)으로 인해, 단차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된 제2 결합 부재(AM2)는 비표시 영역(NA)에서 커버 윈도우(CW)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인쇄 패턴(IL)으로 인해, 발생된 단차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부재(AM2)는 표시 영역(DA)에서, 제1 두께(t1)를 갖는 제1 서브 결합 부재(AM21), 비표시 영역(NA)에서,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2 두께(t2)를 갖는 제2 서브 결합 부재(AM2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두께(t1)는 약 25 내지 250μm 수준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결합 부재(AM2)는 유리의 피착제에 대한 점착력이 약 2000gf/in이상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호 합착 공정, 및 오토클레이브 공정 중에 제2 결합 부재(AM2)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물성이 요구될 수 있다.
우선,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구성(편광층(POL), 및 표시 패널(PN) 등)과 커버 윈도우(CW)를 상호 합착시키는 공정에서, 제2 결합 부재(AM2)는 작은 모듈러스, 비교적 큰 크립 특성, 및 비교적 낮은 응력 완화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와 커버 윈도우의 하부 부재를 합착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와 커버 윈도우의 하부 부재가 합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제1 절곡부, 및 평탄부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CW)와 하부 부재 간 합착 공정에서,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장치(1)의 평탄부(MR), 및 절곡부(SR1, SR2)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반면, 하부 부재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직선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서는 커버 윈도우(CW)가 제3 방향(DR3)을 따라 하강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부 부재가 고정된 커버 윈도우(CW)를 향해 상승될 수도 있고, 커버 윈도우(CW)와 하부 부재가 각각 하강, 상승되어 합착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CW)와 하부 부재가 합착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된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직선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하부 부재는 커버 윈도우(CW)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합착 공정 시, 평탄부(MR), 및 절곡부(SR1, SR2)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구성(편광층(POL), 및 표시 패널(PN) 등)과 커버 윈도우(CW)를 상호 합착시키는 공정에서 제2 결합 부재(AM2)가 작은 모듈러스, 비교적 큰 크립 특성, 및 비교적 낮은 응력 완화 값을 가지면, 상기한 인쇄 패턴(IL)에 의해 발생된 단차의 제2 결합 부재(AM2)를 통한 흡수율이 우수하며, 표시 장치(1)의 절곡부(SR1, SR2)에서의 제2 결합 부재(AM2)에 의한 커버 윈도우(CW)와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부재들의 초기 접착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구성(편광층(POL), 및 표시 패널(PN) 등)과 커버 윈도우(CW)를 상호 합착시키는 공정에서 제2 결합 부재(AM2)가 작은 모듈러스, 비교적 큰 크립 특성, 및 비교적 낮은 응력 완화 값을 가지면, 표시 장치(1)의 절곡부(SR1, SR2)에서의 제2 결합 부재(AM2)에 의한 커버 윈도우(CW)와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부재들의 초기 접착할 때, 기포 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구성(편광층(POL), 및 표시 패널(PN) 등)과 커버 윈도우(CW)를 상호 합착시키는 공정은 상온, 및 상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온은 약 25°C 수준이고, 상압은 약 1기압(atm), 또는 약 1bar 수준일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AM2)는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구성(편광층(POL), 및 표시 패널(PN) 등)과 커버 윈도우(CW)를 상호 합착시키는 공정의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약 150 내지 210kpa일 수 있고, 크립 특성은 약 20 내지 30%일 수 있고, 응력 완화 값은 약 5000pa이하일 수 있다.
도 15는 샘플별로, 시간에 따른 크립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샘플별로, 시간에 따른 응력 완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의 가로축은 시간(s)을, 세로축은 크립 특성(%)을 나타낸다. 도 16의 가로축은 시간(s)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응력(kpa)을 나타낸다.
우선, 도 15를 참조하면,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약 400 내지 600s에서 크립 특성이 20 내지 30인 샘플의 경우, 기포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도 16을 참조하면,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초기에 약 15000kpa를 갖고, 약 20s이후에, 5000kpa이하의 응력 완화값을 갖는 샘플의 경우, 기포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응력 완화값 측정은 샘플에 약 25% 수준의 변형율(전단 응력)을 600s 동안 유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결합 부재(AM2) 내에 몇몇 기포(AR)가 발생될 수 있다. 합착 공정 시 발생된 몇몇 기포(AR)를 없애기 위해, 아래의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3,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구성(편광층(POL), 및 표시 패널(PN) 등)과 커버 윈도우(CW)를 상호 합착시키는 공정 후에, 제2 결합 부재(AM2)의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 공정은 상온보다 높은 온도, 및 상압보다 높은 압력 수준을 유지시키는 챔버(CH)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 공정은 약 60°C 이상의 온도 조건, 및 약 6bar 이상의 압력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을 갖는 오토클레이브 공정은 설비 상 약 80°C 이하의 온도 조건, 및 약 8bar 이하의 압력 조건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 공정은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 공정은 약 10분간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된 오토클레이브 공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온도, 압력, 및 시간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 공정은 표시 장치(1)의 절곡부(SR1, SR2)에서의 제2 결합 부재(AM2)에 의한 커버 윈도우(CW)와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부재들의 초기 접착할 때, 발생된 기포의 수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온, 및 상압 대비 고온, 및 고압 상태에서, 제2 결합 부재(AM2) 내의 기포가 수축하고, 분자수가 증가되어 기포 자체가 제2 결합 부재(AM2) 내에 용해되어, 기포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오토클레이브 공정의 고온, 및 고압 상태에서, 외기가 제2 결합 부재(AM2)의 단부들을 통해 침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상온, 및 상압 상태에서 고온, 및 고압 상태가 되면, 점착층들은 모듈러스가 낮아져, 소프트(Soft)해지는 특성을 갖게되어, 외기의 침투가 용이할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 공정 중, 제 결합 부재(AM2)의 단부들을 통해 침투한 외기들은 다시,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완료된 후, 상온, 및 상압 상태가 되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단부들에 기포로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결합 부재(AM2)는 온도 및/또는 압력이 커지면, 모듈러스가 커지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제2 결합 부재(AM2)는 비교적 높은 모듈러스, 및 작은 크립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제2 결합 부재(AM2)는 비교적 높은 모듈러스, 및 작은 크립 특성을 가지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 부재(AM2)의 단부들로부터 외기(OA)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침투 기포의 수, 및 침투 기포의 확산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침투 기포가 발생되고, 침투 기포가 비표시 영역(NA)까지 확산되면, 인쇄 패턴(IL)에 의해 시인이 차단될 수 있지만, 만약 침투 기포가 표시 영역(DA)까지 확산되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제2 결합 부재(AM2)는 비교적 높은 모듈러스, 및 작은 크립 특성을 가지면 제2 결합 부재(AM2)로의 기포의 침투 공간 자체가 감소하며, 기포가 침투하더라도 침투된 기포의 성장 및 분산이 제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절곡부의 곡률 반경이 작아질수록 커버 윈도우(CW)와 하부 부재 간 합착 공정에서, 기포 발생이 잘 생기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오토클레이브 공정 시 더 높은 온도, 및 압력이 요구되는데,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결합 부재(AM2)는 합착 공정(상온, 및 상압)에서, 낮은 모듈러스, 및 큰 크립 특성을 가짐으로써 기포 발생이 줄어들뿐만 아니라, 오토클레이브 공정 시 더 높은 온도, 및 압력 조건으로 진행되더라도 제2 결합 부재(AM2)의 모듈러스가 크므로, 단부를 통한 기포 침투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절곡부의 곡률 반경을 더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투된 기포의 확산 거리가 줄어, 베젤 영역(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A)) 축소도 가능할 수 있다.
온도 및/또는 압력이 커지면, 모듈러스가 커지는 성질, 및 크립 특성이 낮아지는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 제2 결합 부재(AM2)는 아래와 같은 화학식 1을 갖는 제1 단량체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제2 결합 부재(AM2)는 모듈러스가 약 800 내지 1000kpa일 수 있고, 크립 특성은 약 10 이하일 수 있다.
나아가, 제2 결합 부재(AM2)는 제1 단량체를 포함하여, 온도 및/또는 압력이 커지면, 모듈러스가 커지는 성질, 및 크립 특성이 낮아지는 특성을 만족하기 때문에, 오토클레이브 공정 후에, 별도의 후경화를 거치지 않더라도, 제2 결합 부재(AM2)가 우수하게 경화되기 때문에,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설비가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오토클레이브 공정 만으로도, 제2 결합 부재(AM2)가 우수한 수준으로 경화되기 때문에, 상기한 인쇄 패턴(IL)에 의해 발생된 단차부, 및 절곡부(SR1, SR2)에서의 제2 결합 부재(AM2)의 부착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결합 부재(AM2)는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구성(편광층(POL), 및 표시 패널(PN) 등)과 커버 윈도우(CW)를 상호 합착시키는 공정에서 갖는 응력 완화 값보다 더 작아질 수 있다.
이외에도,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제2 결합 부재(AM2)의 단부들로부터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결합 부재(AM2)의 가교도 및/또는 분자량 증가에 의해 내부의 공극 감소를 유도하여, 침투 기포를 차단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 공정 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제2 결합 부재(AM2)는 비교적 고 모듈러스, 및 낮은 크립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한 인쇄 패턴(IL)에 의해 발생된 단차부, 및 절곡부(SR1, SR2)에서의 제2 결합 부재(AM2)의 부착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 공정 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제2 결합 부재(AM2)의 모듈러스는 600kpa 내지 750kpa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고, 크립 특성은 약 12 내지 15%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된 제1 단량체의 함량에 따라, 제2 결합 부재(AM2)의 경화도 또는 겔 함량(wt%)이 상이할 수 있다.
도 4는 제1 단량체의 함량에 따른 박리 응력, 및 전단 응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제1 단량체의 함량에 따른 전이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또한, 아래와 같이 제1 단량체의 함량에 따른 겔 함량을 나타낸 표 1을 함께 참조한다.
[표 1]
Figure pat00004
우선, 표 1을 참조하면, 제1 단량체의 함량(wt%)이 커질수록 겔 함량(wt%)이 점차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겔 함량(wt%)은 제2 결합 부재(AM2)의 경화도와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증가될수록 제2 결합 부재(AM2)의 단부들을 통한 외기의 침투가 감소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량체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박리 응력(N/25mm)이 감소하며, 전단 응력(min, 또는 최소값)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 때, 전단 응력의 단위는 pa이다. 제1 단량체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전단 응력이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기 때문에, 제1 단량체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겔 함량(wt%)이 증가된 것이 입증될 수 있다. 특히, 제1 단량체의 함량이 3wt% 미만까지는 전단 응력이 약 400 수준으로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가지지만, 제1 단량체의 함량이 3wt%이상에서는 증가 폭이 확연히 증가되어 4wt%에서는 약 1300 수준의 전단 응력이 확인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량체 함량은 약 3wt% 내지 약 4wt%일 수 있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3wt% 내지 약 4wt%의 제1 단량체 함량을 가지면, 겔 함량은 약 57.43wt% 내지 62.47wt%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량체 함량에 따라 전이 온도(Tg(°C))도 변함을 알 수 있다. 도 5의 가로축은 온도(°C)고, 세로축은 열 유입량(mW/mg)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량체 함량이 증가될수록 제2 결합 부재(AM2)의 전이 온도가 증가(O%에서 -35.4, 2%에서 -33.5, 4%에서 -30.6)됨이 확인되었다.
이하, 인덴터에 의한 모듈러스와 크립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인덴터에 의한 점착층의 모듈러스와 크립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이오 인덴터는 압입자(RBL)를 포함한다. 압입자(RBL)의 형상은 볼 형상(Ruby ball)이거나 볼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압입자(RBL)의 상기 볼 형상의 지름(D)은 0.5mm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측정 대상이 되는 점착층(PSA)은 2cm X 2cm의 크기로 재단된다. 점착층(PSA)에 이형 필름이 부착된 경우 이를 제거한 후 편평한 홀더(HDR)에 붙인 후, 이를 플레이트(PLT) 상에 위치시킨다. 이어, 압입자(RBL)로 최대 하중 0.5mN의 힘으로 압입자(RBL)를 점착층(PSA) 표면을 가압하고 가압한 상태로 60초동안 유지한다. 여기서, 압입자(RBL)의 로딩(loading)/언로딩(unloading) 속도, 다시 말해 가압 속도는 1.2mN/min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 동안의 압입 깊이를 측정한다. 바이오 인덴터의 압입자(RBL)에 의한 압입 시험은 하나의 시료에 대해 복수의 지점, 예컨대 15개의 지점에서 수행하고, 상기 압입 깊이는 상기 복수회 테스트 결과의 평균치로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압입 깊이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최대하중 유지기간을 전후하여 시간에 따른 압입 깊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h1은 최대 하중 도달 시점에서의 압입 깊이를, h2는 최대 하중 유지 기간 만료 시점에서의 압입 깊이를 각각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압입자(RBL)의 압입 하중이 커지면서 압입자(RBL)의 압입 깊이가 커진다. 점착층의 모듈러스가 작을수록 응력에 대한 변형률이 커지므로, 압입 하중 대비 압입 깊이가 증가하는 정도는 모듈러스가 작을수록 커진다. 점착층(PSA)의 점성으로 인해 압입자(RBL)가 최대 하중으로 유지되는 동안에도 압입 깊이는 계속 증가한다. 크립 특성이 클수록 대체로 최대 하중 유지 기간 동안 압입 깊이는 더 커지는 경향을 갖는다. 최대 하중 유지 기간 압입 깊이가 커지는 속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로 줄어들며(도 8에서 기울기가 감소함), 유지 기간이 길어지면 어느 시점에서 더 이상 압입 깊이가 커지지 않고 특정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압입자(RBL)를 언로딩하면 압입 깊이가 감소하며, 복원력이 클수록 압입자(RBL) 언로딩 완료 후의 압입 깊이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압입 깊이가 측정되면 아래의 식 1을 통해 모듈러스(E*)가 계산될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5
상기 식 1에서, P는 최대 하중이고, R은 압입자(RBL)의 반지름이고, h는 압입 깊이를 나타낸다. 여기서, 압입 깊이는 최대하중 도달 깊이(h1)를 의미한다. 한편, 바이오 인덴터가 소정의 오프셋 깊이(hoffset)를 갖는 경우, 상기 식 1의 압입 깊이는 바이오 인덴터에 의해 측정된 최대하중 도달 깊이(h1)에서 오프셋 깊이(hoffset)를 뺀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오프셋 깊이(hoffset)는 바이오 인덴터가 압입 깊이를 측정할 때 압입자(RBL)가 근접한 상태에서 실제로 압입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점착층 표면에서의 반데르 발스 힘에 의해 압입이 이루어진 것처럼 인식되는 구간으로, 실제 압입된 깊이는 바이오 인덴터에 의해 측정된 압입 깊이에서 오프셋 깊이(hoffset)를 제한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오프셋 깊이(hoffset)에 의한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해 압입깊이-하중 그래프에서 로딩 기울기 범위를 최대 하중의 30~98%(0.06mN~0.196mN)로 지정하여 모듈러스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식 2를 통해 크립 특성(CIT)이 계산될 수 있다.
<식 2>
Figure pat00006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표시 장치(1)의 제2 결합 부재(AM2)의 모듈러스와 크립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험예를 통해 실시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표 2는 샘플별로의 점착 물성을 나타낸다. 이하, 도 2, 도 3, 및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2]
Figure pat00007
<제조예 1: 표시 장치의 제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 샘플을 복수개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점착제 시료의 추출>
각 표시 장치 샘플로부터 커버 윈도우(CW)를 분리하여 제2 결합 부재(AM2)의 시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점착제 #A 내지 점착제 #E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진다. 각 점착제(#A~#E)는 상온(약 25°C), 고온(60°C), 및 상온 원복 시에 각각 모듈러스, 및 크립 특성이 측정된다.
<실험예 1: 모듈러스와 크립 특성의 측정>
각 점착제 시료를 2cm X 2cm의 크기로 재단한 후, 인덴터 평가법에 의해 모듈러스와 크립 특성을 측정하였다. 인덴터 평가법은 지름 0.5mm인 루비 재질의 볼 압입자를 이용하여 각 시료별로 최대 하중 0.5mN으로 압입하고, 60초동안 유지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로딩(loading)/언로딩(unloading) 속도는 1.2mN/min로 유지되었다. 각 지점별 압입 깊이를 측정하고 이를 평균한 값을 이용하여 모듈러스와 크립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6의 표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침투기포 수 측정>
도 2와 같이, 각 샘플(#A~#E)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적층 구조 상에서, 각 샘플(#A~#E)들의 침포 기포 수를 측정하였다. 각 샘플(#A~#E)의 단부(도 2의 제2 결합 부재(AM2)의 단부)로부터 100mm가 되는 지점까지의 침포 기포수를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6의 표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각 샘플(#A~#E)들 중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약 181+-1.7kpa, 크립 특성이 약 28+-0.2고, 오토클레이브 공정 시, 모듈러스가 약 944+-132kpa, 크립 특성이 약 7+-1.4이며, 오토클레이브 공정 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765+-110kpa이고, 크립 특성이 약 12+-1.5인 샘플 #E의 경우 발생된 침투 기포 수가 0임이 확인되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8의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도 1, 및 도 2의 절곡부(SR1, SR2)를 포함하지 않고 평탄부(MR)만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도 1, 및 도 2의 절곡부(SR1, SR2)를 포함하지 않고 평탄부(MR)만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설명은 도 1 내지 도 16에서 상술된 바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절곡부가 4개라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절곡부가 4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곡부들은 평탄부(MR)의 제1 장변(평탄부(MR)의 제2 방향(DR2) 일측에 위치한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3 절곡부(SR3), 및 평탄부(MR)의 제2 단변(평탄부(MR)의 제2 방향(DR2) 타측에 위치한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4 절곡부(SR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SR3, SR4)는 평탄부(MR)로부터 두께 방향(제3 방향(DR3))으로 절곡될 수 있다. 각 절곡부(SR3, SR4)는 하나의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절곡부(SR3, SR4)가 평탄부(MR)로부터 절곡된 정도(또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직각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절곡부(SR3, SR4)는 하나의 평면에 위치하지 않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곡률은 일정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화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인접한 절곡부(SR1~SR4)가 서로 중첩하는 지점, 예컨대, 제1 절곡부(SR1)와 제3 절곡부(SR3)가 만나는 지점, 제1 절곡부(SR1)와 제4 절곡부(SR4)가 만나는 지점, 제2 절곡부(SR2)와 제3 절곡부(SR3)가 만나는 지점, 및 제2 절곡부(SR2)와 제4 절곡부(SR4)가 만나는 지점에는 복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곡부에서, 제2 결합 부재(도 2의 AM2 참조) 내에는 커버 윈도우(도 2의 CW 참조)와 커버 윈도우(CW)의 하부 부재들의 초기 접착할 때, 기포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의한 제2 결합 부재는 도 1 내지 도 16에서 상술된 제2 결합 부재(AM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표시 장치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PN: 표시 패널
CW: 커버 윈도우
CP: 하부 커버 패널

Claims (20)

  1. 일 평면에 위치한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평탄부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상기 평탄부, 및 상기 절곡부에 걸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평탄부, 및 상기 절곡부에 걸쳐 배치된 커버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모듈러스가 증가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60°C 이상 내지 80°C 이하, 및 6bar 내지 8bar이하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800 내지 1000kpa를 갖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150 내지 210kpa를 갖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완료된 후의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600 내지 750kpa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60°C 이상 내지 80°C 이하, 및 6bar 내지 8bar이하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10%이하인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20 내지 30%를 갖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완료된 후의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12 내지 15%를 갖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응력 완화(Stress relaxation)가 5000pa이하를 갖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피착제로서,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2000gf/in이상인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아래와 같은 화학식 1을 갖는 제1 단량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화학식 1>
    Figure pat00008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총 중량 대비 상기 제1 단량체의 중량비는 3wt% 내지 4wt%를 갖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겔 함량(wt%)은 57.43wt% 내지 62.47wt%를 갖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전단 응력(Shear stress)은 400 내지 1400pa를 갖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평탄부의 제1 측, 및 상기 제1 측의 맞은 편인 제2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측은 상기 평탄부의 제1 장변과 인접하고,
    상기 제2 측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장변과 대향하는 제2 장변에 인접한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평탄부의 제3 측, 및 상기 제3 측의 맞은 편인 제4 측에 더 배치되고,
    상기 제3 측은 상기 평탄부의 제1 단변과 인접하고, 상기 제4 측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단변과 대향하는 제2 단변에 인접한 표시 장치.
  15.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커버 윈도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와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인쇄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패턴은 상기 커버 윈도우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인쇄 패턴의 일면, 및 측면과 직접 접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60°C 이상 내지 80°C 이하, 및 6bar 내지 8bar이하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800 내지 1000kpa를 갖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아래와 같은 화학식 1을 갖는 제1 단량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화학식 1>
    Figure pat00009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총 중량 대비 상기 제1 단량체의 중량비는 3wt% 내지 4wt%를 갖고,
    상기 결합 부재의 겔 함량(wt%)은 57.43wt% 내지 62.47wt%를 갖는 표시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150 내지 210kpa를 갖되,
    상기 결합 부재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완료된 후의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모듈러스가 600 내지 750kpa가 유지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60°C 이상 내지 80°C 이하, 및 6bar 내지 8bar이하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10%이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20 내지 30%를 갖되,
    상기 결합 부재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완료된 후의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크립 특성이 12 내지 15%를 갖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응력 완화(Stress relaxation)가 5000pa이하를 갖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KR1020200064074A 2020-05-28 2020-05-28 표시 장치 KR20210148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074A KR20210148457A (ko) 2020-05-28 2020-05-28 표시 장치
US17/152,650 US11799997B2 (en) 2020-05-28 2021-01-19 Display device
CN202110570729.2A CN113744624A (zh) 2020-05-28 2021-05-25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074A KR20210148457A (ko) 2020-05-28 2020-05-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457A true KR20210148457A (ko) 2021-12-08

Family

ID=7870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074A KR20210148457A (ko) 2020-05-28 2020-05-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99997B2 (ko)
KR (1) KR20210148457A (ko)
CN (1) CN113744624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16B1 (ko) 2013-09-27 2019-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강화기판이 부착된 표시소자
JP6727786B2 (ja) 2015-10-16 2020-07-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102467216B1 (ko) 2015-12-31 2022-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복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04974B1 (ko) * 2017-09-12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22575B1 (ko) * 2017-09-13 2023-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90107213A (ko) 2018-03-06 2019-09-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분해 및 재조립이 용이한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032504A1 (en) * 2018-03-29 2021-02-0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dhesive sheet, laminated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KR102024081B1 (ko) 2018-11-27 2019-09-24 주식회사 테이팩스 광 경화형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99997B2 (en) 2023-10-24
US20210377376A1 (en) 2021-12-02
CN113744624A (zh)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2458B (zh) 光学层叠体和包括该光学层叠体的图像显示装置
US1184426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onding member
CN106530973B (zh) 一种曲面显示装置
JP2021185412A (ja) 光硬化型樹脂組成物
KR10224320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JP608002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18400B1 (ko) 투명 적층체, 펜 입력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JPWO2009078195A1 (ja) 粘着シート及び表示装置
KR102167961B1 (ko) 점착 시트 및 적층체
KR20140102132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KR20150002459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KR20100009574A (ko) 투명 점착 시트 및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JP2009227826A (ja)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画像表示モジュール
KR20150002458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KR20150002460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KR20170018768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20190039918A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광학 필름용 점착 필름
KR20170072371A (ko) 점착 시트 및 적층체
US11258043B2 (en) Flexible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JP4479692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WO2014061478A1 (ja) 粘着層付き透明面材および表示装置
US2022029154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241314A1 (ja) タッチセンサ及び入力装置
KR20210148457A (ko) 표시 장치
KR1014746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