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916B1 - 강화기판이 부착된 표시소자 - Google Patents

강화기판이 부착된 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916B1
KR102051916B1 KR1020130115561A KR20130115561A KR102051916B1 KR 102051916 B1 KR102051916 B1 KR 102051916B1 KR 1020130115561 A KR1020130115561 A KR 1020130115561A KR 20130115561 A KR20130115561 A KR 20130115561A KR 102051916 B1 KR102051916 B1 KR 102051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ayer
display device
bubbl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241A (ko
Inventor
윤남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5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916B1/ko
Priority to US14/498,078 priority patent/US9436223B2/en
Publication of KR2015003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패널; 접착제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기 표시패널과 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표시패널에 부착하는 접착층; 상기 패널의 표면에 형성되어 접착층이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인쇄층; 상기 인쇄층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에 형성되어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를 배출하는 복수의 기포배출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강화기판이 부착된 표시소자{DISPLAY DEVICE HAVING COVER CLASS SUBSTRATE}
본 발명은 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화기판의 합착시 투명 수지접착층에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여 기능성 패널의 합착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핸드폰(Mobile Phone), PDA, 노트북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와 대향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경박단소용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TV와 같은 대형 전자장치의 표시장치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핸드폰이나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에 사용되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표시소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패널의 전면에 강화유리기판를 부착한다.
이러한 강화유리기판의 부착은 투명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접착제에 의해 합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표시패널과 강화유리기판의 접착시 도포된 수지접착제에 기포가 포함되는 경우 표시패널과 강화유리기판의 합착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기포에 의해 수지접착제를 투과하는 광경로에 변경이 발생하여 컬러가 변이(shift)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포에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해 화면상에 얼룩이 발생하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또한, 근래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통신장치, 그 밖의 개인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발이 확대되면서, 키보드와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로는 휴대용 전자기기로의 입력이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손이나 펜 등으로 화면을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패널(Touch Panel)을 액정패널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정보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 단순한 2차원의 영상이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하여 실감있고 입체적으로 보고 느끼고 즐기는 초공간형 실감 3차원(3-Dimension)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서는 표시패널의 전면에 패러랙스배리어(parallax barrier) 또는 3D용 FPR(Film Patterned Retarder) 등을 부착하여,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을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으로 분리하여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다른 화상을 전달함으로써 입체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평판표시패널은 그 전면 등에 터치패널이나 패러랙스배리어 또는 3D용 FPR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패널을 부착하여 다양한 기능의 표시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성 패널 역시 투명 수지 등의 접착에 의해 표시패널에 접착되는데, 강화유리기판의 부착과 마찬가지로 합착력의 저하 및 광경로 변경에 의한 컬러변이, 이물질에 의한 불량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이 투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인쇄층에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배출구를 구비하여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표시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소자는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패널; 접착제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기 표시패널과 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표시패널에 부착하는 접착층; 상기 패널의 표면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인쇄층; 상기 인쇄층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에 형성되어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를 배출하는 복수의 기포배출구로 구성된다.
상기 인쇄층은 패널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인쇄층과 상기 제1인쇄층 위에 상기 패널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2인쇄층으로 구성되며, 기포배출구는 상기 제2인쇄층에 폭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제1인쇄층 위의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를 배출한다.
상기 인쇄층은 블랙수지로 이루어지거나 컬러수지로 이루어지며, 접착층은 OCR(Optically Clear Resin) 또는 OCA(Optical Clear Adhesive)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소자의 외곽영역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인쇄층에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배출구를 구비하여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포의 발생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포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탈포공정시 압력에 의해 부품이 영향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소자에서 접착층이 형성된 강화유리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는 기포배출구가 형성된 인쇄층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I-I'선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소자에서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가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소자는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패널(1)과 상기 표시패널(1)에 부착된 강화유리기판(5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강화유리기판(50)은 OCR(Optically Clear Resin)이나 OCA(Optical Clear Adhesive)와 같은 투명 수지접착제에 의해 표시패널(1)에 접착된다. 이때, 강화유리기판(50)의 4변을 따라 외곽영역에는 인쇄층(60)이 형성되며, 인쇄층으로 둘러싸인 강화유리기판(50) 위에 투명한 수지접착로 이루어진 접착층(52)이 위치하게 된다.
표시패널(1)은 평판표시패널로서, 액정표시패널이나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패널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패널이 액정패널인 경우, 제1기판(10)에는 종횡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화소영역에는 스위칭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화소영역 위에는 형성된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라인과 접속되는 게이트전극, 상기 게이트전극 위에 비정질실리콘 등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고 데이터라인 및 화소전극에 연결되는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제2기판(20)은 적(Red; R), 녹(Green; G) 및 청(Blue; B)의 색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서브-컬러필터로 구성된 컬러필터, 상기 서브-컬러필터 사이를 구분하고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기판(10) 및 제2기판(20)은 화상표시 영역의 외곽에 형성된 실런트(sealant)(미도시)에 의해 대향하도록 합착되어 액정패널을 구성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패널(1)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액정표시패널의 상하면(또는 전후면)에는 제1편광판 및 제2편광판이 부착되어 액정표시패널로 입력되고 출력되는 광의 편광상태를 변경한다.
표시패널(1)이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인 경우, 제1기판(10) 또는 제2기판(20)에는 유기발광층이 형성되어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유기발광층으로부터 광이 발광되어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투과형 액정표시패널과는 달리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은 자체발광 표시패널이므로, 표시패널에 편광판이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1)은 플라즈마평판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패널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강화유리기판(50)은 상기 표시패널(1)의 전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표시패널(1)을 보호한다. 이러한 강화기판으로는 유리 대신에 투명한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강화유리기판(50)의 외곽영역에는 강화유리기판(50)을 둘레를 따라 인쇄층(60)이 형성된다. 상기 인쇄층(60)은 강화유리기판(50)을 합착했을 때 강화유리기판(50)의 외곽영역을 통해 광이 투과하는 것을 차단하여, 이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어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인쇄층(60)이 형성되고 접착층(52)이 도포된 강화유리기판(5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층(60)은 제1인쇄층(61) 및 상기 제1인쇄층(61) 위에 형성된 제2인쇄층(6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인쇄층(61)은 제1폭으로 형성되고 제2인쇄층(62)은 제1인쇄층(61) 위에 제1폭 보다 작은 제2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인쇄층(61)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어 투명 수지접착제(52)가 도포될 때 상기 노출된 영역 위에 접착층(52)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인쇄층(60)은 제1인쇄층(61) 및 제2인쇄층(62)으로 이루어진 2중의 층으로 형성되거나 그 이상의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인쇄층(60)을 얇게 형성하는 경우 강화유리기판(50)을 표시패널(1)에 합착했을 때, 상기 인쇄층(60)을 통해 일부의 광이 투과하여 해당 영역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게 된다. 인쇄층(60)을 광이 전혀 투과하지 않을 정도로 두껍게 1회의 공정으로 형성하는 경우, 균일한 두께의 인쇄층(60)을 형성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정 두께의 인쇄층(60)을 복수의 층으로 형성함으로써 광차단효과를 향상시키고 균일한 두께의 인쇄층(6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인쇄층(61) 및 제2인쇄층(62)은 블랙수지로 이루어져 외곽영역의 광을 완전히 차단하지만, 상기 제1인쇄층(61) 및 제2인쇄층(62)은 컬러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인쇄층(61) 및 제2인쇄층(62)을 특정 컬러의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표시소자의 테두리영역에 원하는 컬러를 표시하는 액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인쇄층(62)에는 복수의 기포배출구(64)가 형성된다. 상기 기포배출구(64)는 제2인쇄층(62)의 폭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입구가 강화유리기판(50)의 중앙으로 향하고 출구가 강화유리기판(50)의 외부로 향하기 때문에, 투명 수지접착제의 도포시 접착층(52)에 발생하는 기포를 외부로 배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배출구(64)는 제2인쇄층(62)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기포배출구(64)의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러한 기포배출구(64)의 단면은 U자 형상이나 사각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2인쇄층(62)에 기포배출구(64)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기포배출구(64)를 형성하는 이유를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인쇄층이 형성된 강화유리기판의 부분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기판(50)의 외곽영역을 따라 제1인쇄층(61)이 형성되고 그 위에 제2인쇄층(62)이 상기 제1인쇄층(61)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인쇄층(61) 및 제2인쇄층(62)에는 강화유리기판(50)의 중앙영역을 향해 단차가 형성된다.
강화유리기판(50)의 상면에 투명 수지접착제가 도포될 때, 상기 수지접착제는 인쇄층의 단차, 즉 제1인쇄층(61)의 일부 영역 위에도 수지접착제가 도포된다. 이때, 제1인쇄층(61)에 의한 단차, 즉 제1인쇄층(61)과 강화유리기판(50) 사이의 단차에 의해 제1인쇄층(61) 근처 강화유리기판(50)에 기포(68a)가 발생하며, 제1인쇄층(61) 및 제2인쇄층(62)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에 의해 제1인쇄층(61) 위에 기포(68b)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포(68a,68b)는 접착층(52)의 접착력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표시패널의 화상이 강화유리기판(50)을 투과할 때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화상을 구현할 때 컬러가 변이(shift)되는 불량을 야기하다. 또한, 상기 기포(68a,68b)에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해 화면상에 얼룩이 발생하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포(68a,68b)를 제거하기 위해, 투명 수지접착제를 강화유리기판(50)에 도포한 후, 압력을 감압 또는 가압한 상태의 챔버에 수지접합제가 도포된 강화유리기판(50)을 일정 시간 배치하거나 대기중에서 수지접착제가 도포된 강화유리기판(50)을 일정 시간 방치하는 탈포공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탈포공정에 의해 접착층(52)에 포함된 기포(68a,68b)가 제거된다.
탈포공정중 작업자는 육안으로 기포제거상태를 파악하여 탈포공정을 계속 진행할지 탈포공정을 중지할지를 결정한다. 작업자의 육안확인시 강화유리기판(50)에 존재하는 기포(68a)는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기포(68a)가 제거될 때까지 탈포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제1인쇄층(61) 위에 발생한 기포(68b)의 경우, 블랙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제1인쇄층(61)에 의해 작업자가 기포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탈포공정에서는 강화유리기판(50) 위의 기포(68a)가 제거되면 제1인쇄층(61) 위의 기포(68b)도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탈포공정을 종료하거나 강화유리기판(50) 위의 기포(68a)가 종료된 후 일정 기간 탈포공정을 진행함으로써 가능한한 제1인쇄층(61) 위의 기포(68b)가 제거되도록 한다.
그러나, 강화유리기판(50) 위의 기포(68a)가 제거되었음을 판단함과 동시에 탈포공정을 종료하는 경우, 제1인쇄층(61) 위의 기포(68b)가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는 경우 합착력 저하 및 컬러변이라는 불량이 계속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강화유리기판(50) 위의 기포(68a)가 종료된 후 일정 기간 탈포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공정이 지연되어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압력을 감압하거나 가압한 상태에서 탈포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장시간의 압력인가에 따라 부품에 지속적인 충격이 인가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제2인쇄층(62)을 기포배출구(6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포공정시 외부의 압력을 감압하거나 대기 상태에서 일정 기간 방치하면, 제1인쇄층(61) 위에 존재하는 기포(68b)가 상기 기포배출구(64)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탈포공정시 제1인쇄층(61) 위에 존재하는 기포(68b)는 기포배출구(64)를 통해 배출되고 강화유리기판(50) 위의 기포(68a)는 기포배출구(64)를 통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기포배출구(64)를 통한 기포(68b)의 배출이 기포배출구를 통하지 않은 기포(68a)의 배출보다 빠르게 된다. 따라서, 탈포공정중 강화유리기판(50) 위의 기포(68a)가 제거되면, 이미 제1인쇄층(61) 위에 존재하는 기포(68b) 역시 모두 제거되므로, 작업자가 강화유리기판(50) 위의 기포(68a)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여 탈포공정을 종료하면, 제1인쇄층(61) 위에 존재하는 기포(68b) 역시 제거된다.
즉, 탈포공정의 계속 및 종료를 제1인쇄층(61) 위의 기포(68b)와는 무관하게 강화유리기판(50) 위의 기포(68a)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결정하면 된다.
물론, 제1인쇄층(61) 위의 기포(68b)가 강화유리기판(50) 위의 기포(68a)보다 훨씬 많은 경우, 제1인쇄층(61) 위의 기포(68b)의 배출속도가 훨씬 빨라도 탈포공정중에 제1인쇄층(61) 위의 기포(68b)가 모두 제거되지 않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강화유리기판(50)과 제1인쇄층(61) 위의 접착제에 발생하는 기포의 양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강화유리기판(50) 위의 기포(68a)의 제거여부에 따라 탈포공정을 종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포배출구(68)는 강화유리기판(5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인쇄층(61)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기포배출구(68)의 폭과 간격은 제1인쇄층(61)의 폭과 두께 등에 따라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기포배출구(68)를 통해 투명 수지접착제가 외부로 배출되지는 않는다. 상기 기포배출구(68)는 공기가 배출되는 홈이므로, 매우 미세하게 형성되므로, 수지분자가 배출될 정도로 크게 형성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수지접착제는 점도가 크기 때문에, 상기 기포배출구(68)를 통해 접착제는 배출되지 않고 그 안에 포함된 기포(68b)만이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2인쇄층(62)에 복수의 기포배출구(68)를 형성함으로서 탈포공정시 제1인쇄층(61) 상에 발생하는 기포(68b)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인쇄층이 2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에서 상층에 기포배출구가 형성되지만, 상기 인쇄층이 3층 이상으로 형성되고 그중 일층 또는 그 이상의 층에 기포배출구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쇄층(60)을 제1인쇄층(61) 및 제2인쇄층(62)으로 형성하는 또 다른 이유가상기와 같이, 제2인쇄층(62)에 기포배출구(64)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인쇄층(60)을 광을 완전히 차단할 정도로 충분한 두께로 1회의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1회의 공정에 의해 인쇄층(60)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인쇄층(60)에는 단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1회의 공정에 의해 형성된 인쇄층(60)에 기포배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인쇄층(60) 전체에 걸쳐서 기포배출구를 형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기포배출구의 형성이 어려워질뿐만 아니라 기포배출구이 입구를 기포가 발생하는 단차에 정확하게 일치시키기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쇄층(60)을 복수의 층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층(예를 들면, 제2인쇄층(62))에 기포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층에 의한 단차에 발생한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표시패널 및 강화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진 표시소자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의 표시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표시소자는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패널(101)과, 상기 표시패널(101)에 부착된 기능성 패널(170)과, 상기 기능성 패널(170)에 부착된 강화유리기판(150)으로 구성된다.
표시패널(101)은 평판 표시패널로서, 액정표시패널이나 유기전계 발광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패널을 포함하며, 기능성 패널(170)은 입체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3D용 FPR(Film Patterned Retarder)이나 패럴래스배리어(parallax barrier) 패널, 정보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터치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패널(170) 및 강화유리기판(150)은 각각 OCR(Optically Clear Resin)이나 OCA(Optical Clear Adhesive)와 같은 투명 수지접착제로 이루어진 제1접착층(172)와 제2접착층(152)에 의해 각각 표시패널(101) 및 기능성 패널(170)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강화유리기판(150)도 표시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기능성 패널이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강화유리기판과 기능성 패널을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 강화유리기판을 강화패널이라는 기능성 패널로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기능성패널(170) 및 강화유리기판(150)에는 각각 인쇄층(160,180)이 형성되어 기능성패널(170) 및 강화유리기판(150)가 표시패널에 부착되었을 때 기능성패널(170) 및 강화유리기판(150)의 외곽영역을 통해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기능성 패널용 인쇄층(180)은 제1인쇄층(181) 및 상기 제1인쇄층(181) 위에 형성되는 제2인쇄층(182)으로 구성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인쇄층(182)에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기포배출구가 형성되어, 탈포공정시 제1인쇄층(181) 상면의 접착층(172)에 포함된 기포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기포배출구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강화유리기판용 인쇄층(160)은 제1인쇄층(161) 및 상기 제1인쇄층(161) 위에 형성되는 제2인쇄층(162)으로 구성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인쇄층(162)에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기포배출구가 형성되어, 탈포공정시 제1인쇄층(161) 상면의 접착층(152)에 포함된 기포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표시패널에 강화유리기판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패널이 부착될 때, 접착제가 도포되는 강화유리기판이나 기능성 패널의 상면에 2층의 인쇄층을 형성하고 2층의 인쇄층중 상층의 인쇄층에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접착제 도포시 발생하는 기포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기포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표시패널에 강화유리기판이 부착되는 구조, 표시패널에 기능성패널 및 강화유리기판이 부착되는 구조만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표시소자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표시패널 위에 3D용 FPR(Film Patterned Retarder)이나 패럴래스배리어(parallax barrier) 패널과 같은 기능성 패널이 부착되고 그 위에 다시 터치패널과 같은 기능성 패널이 부착될 수 있으며, 그 위에 강화유리기판이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필요한 다양한 기능성 패널이 표시패널 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들 패널의 부착시 접착제를 담기 위한 복수의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층에 접착제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표시패널에 다양한 기능성 패널을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고 이 접착제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서 접착제를 담는 인쇄층에 기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즉, 다양한 구조의 표시패널과 기능성 패널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 표시패널 50: 강화유리기판
52: 접착층 61,62: 인쇄층
64: 기포배출구

Claims (13)

  1.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패널;
    접착제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기 표시패널과 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표시패널에 부착하는 접착층;
    상기 패널의 표면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인쇄층 및 상기 제1인쇄층 위에 상기 패널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2인쇄층으로 구성된 복수의 인쇄층; 및
    상기 제2인쇄층에 형성되어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를 배출하고, 단면이 V자 형상인 복수의 기포배출구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기포배출구는 상기 제2인쇄층에 폭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제1인쇄층 위의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블랙수지로 이루어져 해당 영역으로 투과되는 광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컬러수지로 이루어져 해당 영역으로 해당 컬러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OCR(Optically Clear Resin) 또는 OCA(Optical Clear Adhesiv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강화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기판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기능성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표시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패널은 3D용 FPR, 패럴렉스배리어 패널,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강화기판; 및
    기능성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기판과 기능성 패널은 접착층에 의해 합착되며 상기 강화기판과 기능성 패널 사이의 외곽영역에는 복수의 인쇄층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에는 복수의 기포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13. 제1항에 있어서, 접착층에 포함된 기포는 탈포공정에 의해 기포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
KR1020130115561A 2013-09-27 2013-09-27 강화기판이 부착된 표시소자 KR102051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561A KR102051916B1 (ko) 2013-09-27 2013-09-27 강화기판이 부착된 표시소자
US14/498,078 US9436223B2 (en) 2013-09-27 2014-09-26 Display device having cover glass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561A KR102051916B1 (ko) 2013-09-27 2013-09-27 강화기판이 부착된 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241A KR20150035241A (ko) 2015-04-06
KR102051916B1 true KR102051916B1 (ko) 2019-12-04

Family

ID=5273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561A KR102051916B1 (ko) 2013-09-27 2013-09-27 강화기판이 부착된 표시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36223B2 (ko)
KR (1) KR102051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4215A (zh) * 2013-12-31 2014-04-2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2246292B1 (ko) * 2014-07-29 2021-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장치
US20160342177A1 (en) * 2015-05-20 2016-11-24 Motorola Mobility Llc Screen Attachment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5384625U (zh) 2015-06-05 2016-07-13 旭硝子株式会社 玻璃基板、保护玻璃、以及便携式信息终端
CN105717687B (zh) * 2016-04-21 2019-07-1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封装方法
KR102601719B1 (ko) 2016-08-26 2023-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유닛 및 표시 장치
KR102558922B1 (ko) 2016-08-29 2023-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전자 회로 및 표시 장치
KR102303805B1 (ko) * 2017-06-07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JP6907778B2 (ja) * 2017-07-20 2021-07-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カバー部材及び情報機器
KR102337341B1 (ko) * 2017-07-28 2021-1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3948B1 (ko) * 2017-08-01 2021-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866443B2 (en) * 2017-12-20 2020-12-15 AGC Inc. Adhesive layer-equipped transparent plate and display device
CN108549172A (zh) * 2018-04-19 2018-09-18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JP2020024289A (ja) * 2018-08-07 2020-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制御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9062460B (zh) * 2018-09-30 2021-11-05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显示屏盖板、显示组件及该显示组件的制备方法
KR102089351B1 (ko) * 2018-12-21 2020-03-16 세메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210148457A (ko) 2020-05-28 2021-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6552A1 (en) * 2007-07-17 2009-07-23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100321621A1 (en) * 2007-11-29 2010-12-23 Ryo Kikuchi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910A (ko) * 2005-05-11 200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7518664B2 (en) * 2005-09-12 2009-04-14 Sharp Kabushiki Kaisha Multiple-view directional display having parallax optic disposed within an image display element that has an image display layer sandwiched between TFT and color filter substra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6552A1 (en) * 2007-07-17 2009-07-23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100321621A1 (en) * 2007-11-29 2010-12-23 Ryo Kikuchi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36223B2 (en) 2016-09-06
KR20150035241A (ko) 2015-04-06
US20150092122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916B1 (ko) 강화기판이 부착된 표시소자
US20240288722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P2690614B1 (en) Display device
US20110199348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46292B1 (ko) 휴대용 전자장치
JP2013190808A (ja) 表示素子
KR102135935B1 (ko)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KR20120090846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049909B1 (ko) 영상 표시 장치
KR102272046B1 (ko)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40102946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6557492B2 (ja) 表示装置
WO2013161686A1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WO2017081940A1 (ja) 表示装置、表示ユニットおよび透明板ユニット
US20140078423A1 (en) Liquid crystal element and display device
JP200510716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0079006A (ja) 保護板一体型液晶表示パネル
KR102214631B1 (ko)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소자
KR102189011B1 (ko) 곡면 표시장치
US1171997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cklight unit
KR20100082439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349784B1 (ko) 기능성 패널 합착용 지지부재, 이를 구비한 표시소자 및 표시소자 제조방법
TWI548915B (zh) 顯示面板
KR20170003244A (ko) 표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014022B1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