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282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282B1
KR102643282B1 KR1020190005606A KR20190005606A KR102643282B1 KR 102643282 B1 KR102643282 B1 KR 102643282B1 KR 1020190005606 A KR1020190005606 A KR 1020190005606A KR 20190005606 A KR20190005606 A KR 20190005606A KR 102643282 B1 KR102643282 B1 KR 102643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 compensation
folding area
support plate
plate
ligh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358A (ko
Inventor
유재영
고용기
구본주
김윤하
박재춘
백남석
이타쿠라미키야
이형진
최대근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282B1/ko
Priority to EP19219269.8A priority patent/EP3684035B1/en
Priority to CN202010037233.4A priority patent/CN111445792B/zh
Priority to US16/743,900 priority patent/US10838457B2/en
Publication of KR2020008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358A/ko
Priority to US17/099,377 priority patent/US1130761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일부에 중첩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플레이트 결합막;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플레이트 결합막;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과 이격되며, 제1 차광층을 포함하는 제1 단차 보상 부재;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과 이격되며, 제2 차광층을 포함하는 제2 단차 보상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혀진 상태(folded state)와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간의 상태 전환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고정형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 등에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나 두께를 가지면서도 더 큰 표시 화면을 갖는 이동형 전자 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시에만 보다 대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 표시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딩 또는 벤딩되는 영역의 패턴 시인이 감소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명세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일부에 중첩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플레이트 결합막;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플레이트 결합막;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과 이격되며, 제1 차광층을 포함하는 제1 단차 보상 부재;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과 이격되며, 제2 차광층을 포함하는 제2 단차 보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폴딩 영역,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 사이에 배치된 하부 커버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은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상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하부 커버 패널과 분리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상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하부 커버 패널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과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 간의 이격 거리는 7mm 내지 8mm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을 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 간의 이격 거리는 300um 내지 800um이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을 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 간의 이격 거리는 300um 내지 800um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과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 간의 이격 거리는 0.2mm 내지 0.4mm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상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 사이의 제1 폭은 3.0mm 내지 3.3mm이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상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 사이의 제2 폭은 3.0mm 내지 3.3mm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그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그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는 제1 단차 보상 결합막과 제1 단차 보상 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는 제2 단차 보상 결합막과 제2 단차 보상 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와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의 일면에 직접 인쇄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와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의 상면에 직접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의 모듈러스는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모듈러스보다 크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의 모듈러스는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모듈러스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모듈러스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모듈러스는 각각 0.03Mpa 내지 0.06Mpa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차광층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제1 차광층과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차광층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제2 차광층과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1 차광층과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하부 커버 패널과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 직접 인쇄되며,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2 차광층과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하부 커버 패널과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직접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되, 내부에 상기 제1 차광층의 물질이 분산되어 있고,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과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되, 내부에 상기 제2 차광층의 물질이 분산되어 있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과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층과 상기 제2 차광층은 각각 블랙 잉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2 차광층은 각각 불투명 무기 물질 또는 불투명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 및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는 각각 블랙 단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일부에 중첩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플레이트 결합막;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플레이트 결합막;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일체로 형성된 단차 보상 부재로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과 이격되며, 차광층을 포함하는 단차 보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폴딩 영역,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 사이에 배치된 하부 커버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은 중첩 배치되되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상기 하부 커버 패널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평면상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의 경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경계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단차 보상 결합막과 단차 보상 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단차 보상 기재와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절개 패턴은 두께 방향으로 상기 차광층과 적어도 일부의 상기 단차 보상 기재를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을 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 간의 이격 거리는 300um 내지 800um이고, 상기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을 향하는 제2 측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 간의 이격 거리는 300um 내지 800um일 수 있다.
상기 차광층은 블랙 잉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광층은 불투명 무기 물질 또는 불투명 유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블랙 단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폴딩 또는 벤딩되는 영역에 대한 패턴 시인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의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표시 장치의 단차 보상 기능 및 패턴 시인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단차 보상 부재가 생략된 표시 장치의 평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단차 보상 부재가 포함된 표시 장치의 평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의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XXⅣ-XX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XXⅤ-XX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3은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의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는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장치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워치, 워치 폰,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이란, 플렉시블한 상태를 지칭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벤더블(badable), 롤러블(rollable) 등을 포함하여 지칭되는 용어이다. 나아가, 폴더블(foldable)은 "부분" 폴더블, "전체" 폴더블, "인" 폴더블, "아웃" 폴더블을 모두 포함하여 지칭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표시 장치(1)는 평면 시점에서 표시 장치의 상하측(예컨대, 제2 방향(DR2))으로 가로 지르는 폴딩축(AXIS_F)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평면상 모서리가 수직인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표시 장치는 4개의 에지(LS1, LS2, SS1, SS2)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장변 에지(LS1, LS2)과 단변 에지(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장변 에지(LS1, LS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각 단변 에지(SS1, SS2)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으로 정사각형이나 원형 등의 기타 다른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축(AXIS_F)이 각 장변 에지(LS1, LS2)을 가로지르는 방향, 예컨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경우 표시 장치(1)의 각 장변 에지(LS1, LS2)가 접힐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폴딩축(AXIS_F)이 각 단변 에지(SS1, SS2)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표시 장치(1)의 각 단변 에지(SS1, SS2)가 접힐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폴딩축(AXIS_F)이 각 장변 에지(LS1, LS2)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폴딩축(AXIS_F)은 각 장변 에지(LS1, LS2)의 중심 부위를 가로지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두께 방향 기준 "상부", "상면"은 표시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하면"은 표시 방향의 반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평면 시점에서의 "상(위)", "하(아래)", "좌(왼)", "우(오른)"는 표시면을 정위치에 두고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과 그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1)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접혀진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은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구분된 영역들이 서로 포개질 수 있으며, 다시 펴진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은 상기 각 영역들이 펼쳐진 상태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폴딩축(AXIS_F)과 만나는 표시 장치(1)의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 에지(LS2)와 인접한 영역에는 평면 상에서 각각 하측/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홈(예를 들어, 노치(notch))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상태 전환을 위한 힌지 부재(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폴딩 영역(FR)과 비폴딩 영역(NFR1, NFR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는, 중심 영역에 배치되고 폴딩축(AXIS_F)을 포함하는 폴딩 영역(FR),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비폴딩 영역(NFR1, NFR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R)은 표시 장치(1)가 폴딩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접혀지거나 휘어지는 영역이고, 비폴딩 영역(NFR1, NFR2)은 폴딩 영역(FR)과 달리 접히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R1, NFR2)은 각각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평탄면을 이룰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부 휘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10)을 포함한다. 표시 모듈(10)은 복수의 적층된 패널 및/또는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은 표시 패널(200),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커버 패널(100),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커버 부재(300), 및 상부 커버 부재(300)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의 저면에는 하부 커버 패널(100)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 패널(100)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완충 기능,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접지 기능, 강도 보강 기능, 지지 기능 압력 센싱 기능, 디지타이징 기능 등을 수행하는 층일 수 있다. 하부 커버 패널(100)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 다른 기능층이 적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커버 패널(100)은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외부(예를 들어, 하부 커버 패널(100)의 하부 방향)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표시 패널(2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폼(foam)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실리콘(Si),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polydimethylacrylamide, PDMA)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커버 패널(100)은 후술할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부재보다 낮은 광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즉, 표시 패널(200)의 상부 층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광투과도를 가지고, 표시 패널(200)의 표시 영역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상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반면, 하부 커버 패널(100)은 상대적으로 낮은 광투과도를 가져 표시 패널(200)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하부로 출사되는 광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하부 커버 패널(100) 상에는 표시 패널(200)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의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전기습윤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LED(Light emitting diode) 표시 패널 등이 표시 패널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20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되어 있다.
표시 패널(200)은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 패널(200)은 휘어지거나, 꺾이건,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대체로 표시 장치(1)의 평면상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의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NA)에는 각 화소(PX)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배선이나 구동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PX)는 발광층과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회로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은 복수의 배선, 복수의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봉지막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봉지막은 발광층을 밀봉하여, 외부에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막은 무기막의 단일 또는 다층막이나, 무기막과 유기막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200) 상에는 상부 커버 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커버 부재(300)는 표시 패널(200)의 표시 영역(DA)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도록 표시 패널(200)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 부재(300)는 표시 패널(200)의 비표시 영역(NDA)을 커버할 수도 있고,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모두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부 커버 부재(300)는 다양한 기능성 부재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 부재(300)는 편광 기능을 갖는 편광판이나 편광 부재, 터치 센싱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모듈, 컬러 필터, 컬러 변환 필름, 광학 필름, 반사 방지 부재, 및/또는 지문 인식 센서 등과 같은 생체 정보 인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 부재(300) 상에는 윈도우(400)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400)는 하부에 배치된 구성(100, 200, 300)들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400)는 유리, 석영,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400)의 두께는 100㎛ 미만일 수 있다. 윈도우(400)의 두께가 얇으면, 접힘(folding) 시에 응력이 작아지고, 접힌 상태(folded state)와 펴진 상태(unfolded state)가 반복되어도 구조가 변형되는 정도가 미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윈도우(400)로서 플렉시블 윈도우가 적용되어 표시 장치(1)의 접힘(folding) 시에 표시 패널(100)과 함께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400)는 플렉시블한, 초박형 화학 강화된 유리(Ultra Thin Glass, UTG)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모듈(10)은 각 부재(100, 200, 300, 400) 사이에서 이들을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층(900, 910, 9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층(900)은 하부 커버 패널(100)과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키고, 제2 결합층(910)은 표시 패널(200)과 상부 커버 부재(3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키며, 제3 결합층(930)은 상부 커버 부재(300)와 윈도우(4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복수의 결합층(900, 910, 920)은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접착 특성을 가지는 막으로, 예를 들어, 압력 민감 점착제(press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광학 투명 수지(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각 결합층(900, 910, 920)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결합층(900, 910, 920)은 100% 내지 1,000%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하부 커버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501, 502), 결합막(931, 932) 및 단차 보상 부재(601, 6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01, 502)는 외력에 의해 표시 패널(200)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구부러지는 정도(예를 들어, 구부러지는 각도, 구부러지는 곡률 반경)를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지지 플레이트(501, 502)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표시 패널(200)을 상대적으로 평탄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01, 502)는 경성(rigid)을 가지거나 반-경성(semi-rigid)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501, 502)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은 금속 물질 또는 폴리메닐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PVA), 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crylonitir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 같은 고분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501, 502)는 150㎛ 내지 200㎛ 두께의 알루미늄 막이 적용된 메탈 플레이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 플레이트(501, 502)로서 150㎛ 내지 200㎛ 두께의 스테인리스 스틸막이 적용될 수도 있다.
지지 플레이트(501, 502)는 서로 이격된 제1 지지 플레이트(50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501)는 제1 비폴딩 영역(NFR1)과 중첩 배치되고, 폴딩 영역(FR)의 일부에까지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502)는 제2 비폴딩 영역(NFR2)과 중첩 배치되고 폴딩 영역(FR)의 일부에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50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502)는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501)와 제2 지지 플레이트(502) 사이의 이격 공간은 폴딩 영역(FR)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501)와 제2 지지 플레이트(502)의 이격 거리(d0)는 약 70um 내지 약 120u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플레이트(501)와 제2 지지 플레이트(502)의 이격 거리(d0)는 100um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은 각각 비폴딩 영역(NFR1, NFR2)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 결합막(931)은 제1 비폴딩 영역(NFR1)과 중첩하고,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2)은 제2 비폴딩 영역(NFR2)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결합막(931)과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2)은 폴딩 영역(FR)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내측면(931S, 932S)은 각각 비폴딩 영역(NFR1, NFR2)과 폴딩 영역(FR) 간의 경계에 정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은 제1 이격 거리(d1)만큼 이격되면서 각각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폴딩 영역(FR)을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격 거리(d1)는 약 7mm 내지 약 8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이격 거리(d1)는 약 7.5mm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은 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 각각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하부 커버 패널(100)을 결합한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은 상기한 결합층(900, 910, 920)으로 적용가능한 물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은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이 표시 모듈(10)과 구분되는 별도의 막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은 표시 모듈(10)에 포함되어 표시 모듈(10)의 저면에 배치된 구성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는 단차 보상 부재(601, 602)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이 노출하는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단차 보상 부재(601)는 폴딩 영역(FR)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501)와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단차 보상 부재(602)는 폴딩 영역(FR)에서 제2 지지 플레이트(502)와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폴딩 영역(FR)에서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하부 커버 패널(100) 간의 이격 공간을 채워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에 의한 단차를 보상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상의 패널 및/또는 부재들이 지지 플레이트(501, 502)에 의한 표면 단차없이 단순히 평탄하게 도시되었지만, 표시 장치(1)의 비폴딩 상태와 지지 플레이트(501, 502)가 표시 장치(1)의 저면에 위치하는 사용 환경에서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및/또는 부재들이 중력에 의해 하부 구조물(지지 플레이트(501, 502),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 및 단차 보상 부재(601, 602))에 의한 하부 단차를 반영하여 하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표면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복수의 적층된 막을 포함한다. 제1 단차 보상 부재(601)는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1), 제1 단차 보상 기재(631), 및 제1 차광층(6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차 보상 부재(602)는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2), 제2 단차 보상 기재(632), 및 제2 차광층(6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1), 제1 단차 보상 기재(631), 및 제1 차광층(651)은 각각 제1 플레이트 결합막(931)의 내측면(931S)과 마주보는 제1 내측면(611S1, 631S1, 651S1)을 갖고, 제1 내측면(611S1, 631S1, 651S1)과 대향하는 제2 내측면(611S2, 631S2, 651S2)을 가질 수 있다.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2), 제2 단차 보상 기재(632), 및 제2 차광층(652)은 각각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2)의 내측면(932S)과 마주보는 제1 내측면(612S1, 632S1, 652S1)을 갖고, 제1 내측면(612S1, 632S1, 652S1)과 대향하는 제2 내측면(612S2, 632S2, 652S2)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단차 보상 부재(601)의 구성(611, 631, 651)들의 제1 내측면(611S1, 631S1, 651S1)은 서로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부 공정 편차에 의해 각 제1 내측면(611S1, 631S1, 651S1)은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고 일부 내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만입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내측면(611S2, 631S2, 651S2)은 서로 두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지만, 제한되지 않고 일부 내측면이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만입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단차 보상 부재(602)의 복수의 구성(612, 632, 65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각각 폴딩축(AXIS_F)의 연장 방향(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각각 표시 장치(1)의 양 장변 에지(도 1의 'LS1', 'LS2') 사이에서 이들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폴딩 영역(FR)에서 하부 커버 패널(100)과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분리 공간을 충분히 채워 단차 보상 기능을 원할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만 연장되고 표시 장치(1)의 상기 양 장변 에지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은 각각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FR)에서,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1)과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2)은 각각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상부에 배치된 구성(631, 632)을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1)과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2)은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은 각각 상기한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으로 적용 가능한 물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은 각각 압력 민감 점착제(press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의 모듈러스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모듈러스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모듈러스는 실온(약 23°C 내지 25°C)에서 약 0.04Mpa 내지 약 0.06Mpa일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의 모듈러스는 약 0.06Mpa보다 클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의 폴딩시에,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보다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작아 큰 모듈러스를 가지더라도 그 손상이 미비하다는 것에 기인한다. 통상적으로 결합막의 모듈러스가 작을수록 공정 비용이 증가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에 사용되는 결합막의 모듈러스를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에 사용되는 결합막의 모듈러스보다 크게 함으로써 전반적인 공정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의 모듈러스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모듈러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표시 장치(1)의 폴딩시 폴딩 영역(FR)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더욱 완화할 수 있다.
단차 보상 기재(631, 632)는 각각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FR)에서, 제1 단차 보상 기재(631)는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1)과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단차 보상 기재(632)는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2)과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차 보상 기재(631, 632)로는 통상적으로 기재로 적용될 수 있는 물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 보상 기재(631, 632)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차광층(651, 652)은 단차 보상 기재(631, 63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FR)에서, 제1 차광층(651)은 제1 단차 보상 기재(631)와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차광층(652)은 제2 단차 보상 기재(632)와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651, 652)은 단차 보상 기재(631, 632)의 상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651, 652)은 각각 광의 투과를 저지하여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과 단차 보상 부재(601, 602) 사이의 단차에 의한 패턴 및 제1 지지 플레이트(501)와 제2 지지 플레이트(502) 사이의 단차에 의한 패턴이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광층(651, 652)은 블랙 안료나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651, 652)은 블랙 잉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차광층(651, 652)은 단차 보상 기재(631, 632)의 상면에 코팅이나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651, 652)이 블랙 잉크를 포함하는 경우,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블랙 단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은 각각 제1 두께(t1)를 갖는다. 제1 두께(t1)는 약 16um 내지 약 25um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제1 두께(t1)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제2 두께(t2)를 갖는다.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제2 두께(t2)는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 단차 보상 기재(631, 632) 및 차광층(651, 652)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다.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제2 두께(t2)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이 노출하는 영역에서 하부 커버 패널(100)과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이격 공간을 채우기 위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제1 두께(t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제2 두께(t2)는 약 16um 내지 약 25u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의 제3 두께(t3)는 약 3um 내지 약 10um이고,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기재(631, 632)의 제4 두께(t4)는 약 10um 내지 약 20um이며, 제1 및 제2 차광층(651, 652)의 제5 두께(t5)는 약 2um 내지 약 6um일 수 있다.
그러나,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제2 두께(t2) 범위는 위의 예시된 두께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제2 두께(t2)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제1 두께(t1)보다 작더라도 약 3um 내지 약 5um 범위 내의 두께 범위를 가지면 실질적으로 단차 보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내측면(931S, 932S)과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내측면(501S, 502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단차 보상 부재(601)의 제1 내측면(601S1)은 제1 플레이트 결합막(931)의 내측면(931S)과 대향하며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가지고 이격되어 있고, 제2 내측면(601S2)은 제1 지지 플레이트(501)의 내측면(501S)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단차 보상 부재(602)의 제1 내측면(602S1)은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2)의 내측면(932S)과 대향하며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가지고 이격되어 있고, 제2 내측면(602S2)은 제2 지지 플레이트(502)의 내측면(502S)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평면상 제1 단차 보상 부재(601)의 제2 내측면(601S2)과 제1 지지 플레이트(501)의 내측면(501S)은 제2 이격 거리(d2)를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제2 이격 거리(d2)는 약 90um 내지 약 110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이격 거리(d2)는 약 100um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평면상 제2 단차 보상 부재(602)의 제2 내측면(602S2)과 제2 지지 플레이트(502)의 내측면(502S)은 제3 이격 거리(d3)를 가지고 이격되어 있으며, 그 이격 거리(d3)의 범위는 상기한 제2 이격 거리(d2)의 예시된 범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제2 내측면(601S2, 602S2)과 지지 플레이트(502)의 내측면(501S, 502S) 간에 이러한 이격 거리를 갖는 것은 단차 보상 부재(601, 602)를 지지 플레이트(501, 502) 상면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지지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배치 공간의 충분한 마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우,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제2 내측면(601S2, 602S2)이 각각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내측면(501S, 502S)보다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의 결합 물질이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내측면(501S, 502S)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결합막(931)과 제1 단차 보상 부재(601)는 제4 이격 거리(d4)를 갖고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2)과 제2 단차 보상 부재(602)는 제5 이격 거리(d5)를 갖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4 및 제5 이격 거리(d4, d5)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과 단차 보상 부재(601, 602) 사이의 단차 공간의 시인 방지 및 폴딩 불량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과 단차 보상 부재(601, 602) 사이의 거리(d4, d5)가 약 800um이하인 것이 외부에서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과 단차 보상 부재(601, 602) 사이의 단차 공간 시인 방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표시 장치(1)의 폴딩/비폴딩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에 스트레스가 인가되는데, 이러한 스트레스로 인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구성 물질 중 일부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내측면(931S, 932S)의 내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일부 구성 물질은 단차 보상 부재(601, 602)와 일부 결합하여 표시 장치(1)의 폴딩시 하부 커버 패널(100)과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분리를 방해하여 폴딩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상술한 관점에서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과 단차 보상 부재(601, 602) 간의 이격 거리(d4, d5)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과 단차 보상 부재(601, 602)간의 결합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준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과 단차 보상 부재(601, 602) 간의 이격 거리(d4, d5)가 약 300um이상인 경우 이들 이 결합할 수 있는 확률은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관점을 고려할 때, 제4 및 제5 이격 거리(d4, d5)는 각각 약 300um 내지 800um일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의 비폴딩 동작시에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이 하부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과 단차 보상 기재(631, 632)를 결합하고, 제1 및 제2 차광층(651, 652)은 각각 단차 보상 기재(631, 632)의 상면에 직접 형성되어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하부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반면, 제1 및 제2 차광층(651, 652)은 상부의 하부 커버 패널(100)과 접촉하지만 완전히 부착되어 있지 않을 수 있어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상부의 하부 커버 패널(100)과 접촉할 수 있으나, 완전히 부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차광층(651, 652)이 상부의 하부 커버 패널(100)과 각각 일부가 결합(단차 보상 부재(601, 602)가 하부 커버 패널(100)과 일부 결합)되어 있더라도 이들 간의 결합력은 단차 보상 부재(601, 602)와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결합력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단차 보상 부재(601)와 제1 지지 플레이트(501) 간의 제1 결합력은 제1 단차 보상 부재(601)와 하부 커버 패널(100) 간의 제2 결합력보다 크고, 제2 단차 보상 부재(602)와 제2 지지 플레이트(502) 간의 제3 결합력은 제2 단차 보상 부재(602)와 하부 커버 패널(100) 간의 제4 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상기한 구성 간 결합력 차로 인해 표시 장치(1)의 폴딩 동작시에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각각 하부 커버 패널(100)이 아닌 지지 플레이트(501, 502) 상에 고정된 상태로 표시 장치(1)가 폴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10)의 비폴딩 영역(NFR1, NFR2)표시 모듈(10)은 폴딩 영역(FR)에서 외력에 의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접히지만 비폴딩 영역(NFR1, NFR2)에서는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접히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비폴딩 영역(NFR1)이 위치하는 평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R2)이 위치하는 평면이 서로 평행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들은 서로 소정의 예각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장치(1)의 일측(제2 비폴딩 영역(NFR2) 주변)에 폴딩 방향(도 1의 제3 방향(DR3))을 따라 외력이 가해지면, 폴딩 영역(FR)이 구부러지거나 접히게 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R2)은 상기 폴딩 방향을 따라 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제1 비폴딩 영역(NFR1)과 중첩하거나 대항할 수 있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501, 502)가 상기한 강성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강성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가 접힐 때에는 강한 벤딩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벤딩 스트레스는 상부의 표시 모듈(10)에 전달되어 불량을 야기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폴딩 영역(FR)에서는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표시 모듈(10)이 비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는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폴딩 영역(FR)에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이 배치되지 않고 폴딩시 지지 플레이트(501, 50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단차 보상 부재(601, 602)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폴딩 영역(FR)에서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표시 모듈(10)의 직접적인 결합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 보상 부재(601, 602)와 하부 커버 패널(100) 간의 결합력이 단차 보상 부재(601, 602)와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결합력보다 작아 표시 장치(1)가 접힌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여전히 지지 플레이트(501, 502)에 결합되어 있지만 상부의 하부 커버 패널(100)과는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장치(1)가 폴딩 동작시에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 단차 보상 기재(631, 632), 및 차광층(651, 652)은 각각 지지 플레이트(501, 502)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 하부 커버 패널(100)과는 분리된다.
이를 통해 벤딩시에 지지 플레이트(501, 502)가 표시 모듈(10)을 추종하여 함께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여 벤딩 스트레스로 인한 표시 모듈(10)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표시 장치의 단차 보상 기능 및 패턴 시인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단차 보상 부재가 생략된 표시 장치의 평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9는 단차 보상 부재가 포함된 표시 장치의 평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표시 장치(1)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가 표시 장치(1)의 저면에 위치한 비폴딩 상태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R)은 단차 구간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 사이의 이격 공간, 즉 폴딩 영역(FR)에서 단차 구간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단차 구간에서 상부의 패널 및 부재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패턴으로 시인되는 표면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커버 패널(100)이 낮은 광투과도를 가져 표시 패널(200)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하부로 출사되는 광을 차단시키더라도 일부의 광이 새어나가 단차 구간으로 입사하면 상기 광에 의해 상기 단차 구간이 외부에서 직접 패턴으로 시인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패턴 시인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단차 구간에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단차 보상 부재(601, 602)를 배치되어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상기한 단차 구간의 폭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폴딩 영역(FR)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이 노출하는 지지 플레이트(501, 502) 상에 단차 보상 부재(601, 602)가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의 단차 구간의 전반적인 폭이 줄어들어, 제1 내지 제3 단차 구간(STA1, STA2, STA3)만이 남는다.
제1 단차 구간(STA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보상 부재(601, 602)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서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이격 거리(d0), 제1 및 제2 이격 거리(d1, d2)의 합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예시로든 이들의 수치를 고려하면 제1 단차 구간(STA1)의 폭은 대략 0.2mm 내지 0.4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차 구간(STA1)의 폭은 대략 0.3mm일 수 있다.
제 2 및 제3 단차 구간(STA2, STA3)은 각각 제4 및 제5 이격 거리(d5)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예시로든 이들의 수치를 고려하면 제2 및 제3 단차 구간(STA2, STA3)의 폭은 대략 0.2mm 내지 0.4mm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단차 구간(STA2, STA3)의 폭은 대략 0.3mm일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1, 602)는 각각 소정의 폭을 갖는데, 이러한 폭이 단차 구간(STA, STA2, STA3)의 폭보다 월등히 크면 제1 내지 제3 단차 구간(STA1, STA2, STA3)에 의해 발생하는 상부 구성(100, 200, 300, 900, 910, 920)의 표면 단차에 의한 패턴 시인 가능성이 줄어든다.
구체적으로, 제1 단차 보상 부재(601)는 제1 폭(W1)을 갖고, 제2 단차 보상 부재(602)는 제2 폭(W2)을 가진다. 제1 폭(W1)과 제2 폭(W2)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폭일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폭(W1, W2)은 예를 들어, 약 3.0mm 내지 약 3.3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폭(W1, W2)은 약 3.2mm일 수 있다. 상기 예시한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폭(W1, W2)은 제1 내지 제3 단차 구간(STA1, STA2, STA3) 각각의 폭보다 약 8배 내지 약 12배 클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단차 보상 부재(601, 602)가 배치되더라도 여전히 제1 내지 제3 단차 구간(STA1, STA2, STA3)이 발생하지만 제1 내지 제3 단차 구간(STA1, STA2, STA3)의 폭이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폭(W1, W2) 대비 현격히 작기 때문에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과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상부에 배치된 구성(100, 200, 300, 900, 910, 920)이 표면 단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하더라도 그 정도가 미비하여 외부에서 패턴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또, 같은 이유로 상기 단차 구간이 외부에서 직접 패턴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차 보상 부재(601, 602)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외부에서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 사이의 이격 공간(폴딩 영역(FR))의 단차 구간이 패턴으로 시인될 수 있다.
다만, 도 9를 참조하면, 단차 보상 부재(601, 602)를 패턴 시인 방지를 위한 유의한 폭을 갖도록 폴딩 영역(FR)에 배치함으로써 폴딩 영역(FR) 내의 단차 구간들의 패턴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개선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차광층(651, 652)이 각각 외부에서 입사된 광이 제1 내지 제3 단차 구간(STA1, STA2, STA3)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하부 커버 패널(100)의 하부로 누설되는 광에 의한 단차 구간 자체에 의한 패턴 시인 가능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차광층(651, 652)이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하부 커버 패널(100)을 바라보는 일면 기준으로 높은 위치에 있으면 그 만큼 각 단차 구간(STA1, STA2, STA3)으로 진행하는 광을 더욱 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차광층(651, 652)이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최상면에 위치함으로써 인접한 단차 구간(STA1, STA2, STA3)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줄여 단차 구간이 패턴으로 인식될 가능성을 줄여준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는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제2 내측면(601S2, 602S2)들이 각각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내측면(501S, 502S)들과 두께 방향으로 정렬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제2 내측면(601S2, 602S2)들은 각각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내측면(501S, 502S)들과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고 단차 보상 부재(601, 602)의 제2 내측면(601S2, 602S2)들은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내측면(501S, 502S)들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크기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상의 패널 및/또는 부재들이 지지 플레이트(501, 502)에 의한 표면 단차없이 단순히 평탄하게 도시되었지만, 상술한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에 따라 상기 패널 및/또는 부재들이 하부 방향으로 쳐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단차 보상 부재(601_1, 602_1)의 차광층(651_1, 652_1)이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과 단차 보상 기재(631_1, 651_1) 사이에 배치된다는 점이 도 3의 단차 보상 부재(601, 602)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차광층(651_1)은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1)과 제1 단차 보상 기재(631_1)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1)에 의해 제1 지지 플레이트(501)에 부착되고, 제2 차광층(652_1)은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2)과 제2 단차 보상 기재(632_1)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2)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502)에 부착될 수 있다. 또, 제1 단차 보상 기재(631_1)는 제1 차광층(651_1)과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단차 보상 기재(632_1)는 제2 차광층(652_1)과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651_1, 652_1)은 각각 단차 보상 기재(631_1, 632_1)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를 바라보는 일면에 직접 형성되어 있어 단차 보상 기재(631_1, 632_1)와 차광층(651_1, 652_1) 간의 결합력이 단차 보상 기재(631_1, 632_1)와 하부 커버 패널(100) 간의 결합력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의 하부 커버 패널(100)을 바라보는 일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단차 보상 부재(601_1, 602_1)는 폴딩시 지지 플레이트(501, 502)에 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단차 보상 기재(631_1, 632_1)와 차광층(651_1, 652_1) 간의 결합력이 단차 보상 기재(631_1, 632_1)와 하부 커버 패널(100) 간의 결합력보다 크도록 단차 보상 기재(631_1, 632_1)의 각 면이 상/하부에 다른 부착 특성을 갖도록 표면 처리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단차 보상 부재(601_2, 602_2)의 차광층(651_2, 652_2)이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_1, 612_1) 사이에 배치된다는 점이 도 3의 단차 보상 부재(601, 602)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차광층(651_2)은 제1 지지 플레이트(501)와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1_1)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차광층(652_2)은 제2 지지 플레이트(502)와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2_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1_1)은 제1 차광층(651_2)과 제1 단차 보상 기재(631_1)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차광층(651_2)과 제1 단차 보상 기재(631_1)를 상호 결합하고,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2_1)은 제2 차광층(652_2)과 제2 단차 보상 기재(632_1)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차광층(652_2)과 제2 단차 보상 기재(632_1)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차 보상 기재(631_1)는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1_1)과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단차 보상 기재(632_1)는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2_1)과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651_2, 652_2)은 각각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하부 커버 패널(100)을 바라보는 일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 612)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를 바라보는 일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표시 장치(3)의 폴딩시에 단차 보상 부재(601_2, 602_2)가 지지 플레이트(501, 502)에 부착되고 하부 커버 패널(100)과는 분리되어야 하므로 차광층(651_2, 652_2)이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_1, 612_1)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를 바라보는 일면에 직접 형성된 경우라도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표면에 표면 처리 등을 통해 차광층(651_2, 652_2)을 강하게 부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는 단차 보상 부재(601_3, 602_3)의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_2. 612_2)이 차광층을 이루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도 3의 단차 보상 부재(601, 602)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및 제2 단차 보상 결합막(611_2, 612_2)은 각각 단차 보상 기재(631_2, 632_2)와 지지 플레이트(501, 5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층을 이루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차광층을 이루는 물질로는 상술한 광 흡수 물질일 수 있다.
상술한 도 11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와 단차 보상 부재가 포함하는 구성(결합막, 단차 보상 기재, 광 흡수 물질)은 동일하되, 그 적층 구조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을 예시한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는 지지 플레이트(501_1, 502_1)가 하부 커버 패널(10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차광층(651_3, 652_3)와 함께 단차 보상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차이가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 플레이트(501_1, 502_1)는 하부 커버 패널(10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501_1, 502_1)의 각 돌출부의 두께와 그 위에 배치된 차광층(651_3, 652_4)의 두께의 총합은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501_1, 502_1)의 각 돌출부들이 실질적인 단차 보상 기능을 수행하면 상기한 단차 보상 부재의 정렬 오차를 고려한 공차가 생략되어 폴딩 영역(FR)의 단차 구간의 폭이 전반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 플레이트(501_1, 502_1)는 사출 공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상태로의 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는 단차 보상 부재(603)가 일 실시예와 달리, 폴딩시에 하부 커버 패널(100)로 전사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는 단차 보상 부재(603)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는 폴딩 영역(FR)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 보상 부재(603)는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에 의해 노출된 영역뿐만 아니라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내측면(501S, 502S) 간의 이격 공간과도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3)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적층된 막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 단차 보상 기재(630), 및 차광층(6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 단차 보상 기재(630), 및 차광층(650)들의 제1 내측면(610S1, 630S1, 650S1)은 서로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고, 제2 내측면(610S2, 630S2, 650S2)은 서로 두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차 보상 부재(603)의 내측면(603S1, 603S2)들은 각각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내측면(931S, 932S)과 대향하며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단차 보상 부재(603)의 내측면(603S1, 603S2)과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내측면(931S, 932S) 간의 이격 거리는 약 100um 내지 300um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보상 부재(603)는 폴딩축(AXIS_F)의 연장 방향(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3)는 각각 표시 장치(6)의 양 장변 에지 사이에서 이들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폴딩 영역(FR)에서 하부 커버 패널(100)과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분리 공간을 충분히 채워 단차 보상 기능을 원할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만 연장되고 표시 장치(6)의 상기 양 장변 에지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3)의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은 하부 커버 패널(100)과 지지 플레이트(501, 50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은 하부 커버 패널(100)과 하부에 배치된 단차 보상 부재(603)의 단차 보상 기재(63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은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은 압력 민감 점착제(press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의 모듈러스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모듈러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의 모듈러스는 실온(약 23°C 내지 25°C)에서 약 0.04Mpa 내지 약 0.06Mpa일 수 있다. 폴딩시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영역(FR)에서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뿐만 아니라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과 결합된 단차 보상 기재(630)도 함께 벤딩되는데 단차 보상 기재(630)는 모듈러스(또는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폴딩 영역(FR)에서의 단차 보상 부재(603)의 전반적인 스트레스가 클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의 모듈러스를 약 0.04Mpa보다 작도록 형성하여 단차 보상 부재(603) 전반적인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단차 보상 기재(630)는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과 차광층(650) 사이에 배치되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상술한 단차 보상 기재(631, 632)에서 예로든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차광층(650)은 단차 보상 기재(630)와 지지 플레이트(501, 5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651, 652)은 단차 보상 기재(631, 632)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를 바라보는 일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650)은 도 2에서 상술한 차광층(651, 652)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막(931, 932)의 두께와 단차 보상 부재(603)의 두께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603)의 각 구성(610, 630, 650)은 도 3에서 설명한 두께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단차 보상 부재(603)와 상부의 하부 커버 패널(100) 간의 결합력은 단차 보상 부재(603)와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즉, 단차 보상 부재(603)와 하부 커버 패널(100) 간의 제5 결합력은 단차 보상 부재(603)와 제1 지지 플레이트(501) 간의 제6 결합력과 단차 보상 부재(603)와 제2 지지 플레이트(502) 간의 제7 결합력의 합보다 클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은 단차 보상 기재(630)와 상부의 하부 커버 패널(100)을 상호 결합하고, 차광층(650)은 단차 보상 기재(630)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를 바라보는 일면에 직접 형성되므로 단차 보상 부재(603)는 전반적으로 하부 커버 패널(100) 간의 결합력이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의 결합력보다 강하다. 상기한 구성 간 결합력 차로 인해 표시 장치(6)의 폴딩 동작시에 단차 보상 부재(603)는 지지 플레이트(501, 502)가 아닌, 하부 커버 패널(100)로 전사되어 작동한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앞서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딩 영역(FR)에서는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표시 모듈(10_1)이 비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는 지지 플레이트(501, 502)의 폴딩 영역(FR)에는 폴딩시 하부 커버 패널(100)로 전사되는 단차 보상 부재(60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폴딩 영역(FR)에서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표시 모듈(10_1)의 직접적인 결합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 보상 부재(603)와 하부 커버 패널(100) 간의 결합력이 단차 보상 부재(603)와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결합력보다 작아 표시 장치(6)가 접힌 상태에서 단차 보상 부재(603)는 여전히 하부 커버 패널(100)에 부착되어 있지만, 하부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과는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장치(6)가 폴딩 동작시에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 단차 보상 기재(630), 및 차광층(650)은 하부 커버 패널(100)에 결합되어 있지만,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는 상호 분리될 수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는 단차 보상 부재(603_1)의 차광층(650_1)이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과 단차 보상 기재(630_1) 사이에 배치된다는 점이 도 16의 단차 보상 부재(603)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광층(650_1)은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과 단차 보상 기재(630_1)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에 의해 하부 커버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단차 보상 기재(630_1)는 차광층(650_1)과 지지 플레이트(501, 50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차광층(650_1)은 단차 보상 기재(630_1)의 하부 커버 패널(100)을 바라보는 일면에 직접 형성되어 있어 단차 보상 기재(630_1)와 차광층(650_1) 간의 결합력이 단차 보상 기재(630_1)와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결합력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를 바라보는 일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단차 보상 부재(603_1)는 폴딩시 지지 플레이트(501, 502)에 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단차 보상 기재(630_1)와 차광층(650_1) 간의 결합력이 단차 보상 기재(630)와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결합력보다 크도록 단차 보상 기재(630_1)의 각 면이 상/하부에 다른 부착 특성을 갖도록 표면 처리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는 단차 보상 부재(603_2)의 차광층(650_2)이 하부 커버 패널(100)과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_1) 사이에 배치된다는 점이 도 16의 단차 보상 부재(603)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광층(650_2)은 하부 커버 패널(100)과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_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_1)은 차광층(650_2)과 단차 보상 기재(630_2) 사이에 배치되어 차광층(650_2)과 단차 보상 기재(630_2)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단차 보상 기재(630_2)는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_1)과 지지 플레이트(501, 5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650_2, 652_2)은 하부 커버 패널(100)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를 바라보는 일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_1)의 하부 커버 패널(100)을 바라보는 일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표시 장치(8)의 폴딩시에 단차 보상 부재(603_2) 가 하부 커버 패널(100)에 부착되고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는 분리되어야 하므로 차광층(650_2)이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_1)에 직접 형성된 경우라도 하부 커버 패널(100)의 표면에 부착성을 높이는 표면 처리 등을 통해 차광층(650_2)이 폴딩시에 하부 커버 패널(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강하게 부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는 단차 보상 부재(603_3)의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_2)이 차광층을 이루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도 16의 단차 보상 부재(603)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_2)은 단차 보상 기재(630_3)와 하부 커버 패널(1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층을 이루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차광층을 이루는 물질로는 상술한 광 흡수 물질일 수 있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XXⅣ-XX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23의 XXⅤ-XX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7의 단차 보상 부재(603)의 변형 가능한 평면 형상을 예시한다. 도 24 및 도 25는 편의를 위해 단차 보상 부재(603_1)의 적층 구조가 반대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단차 보상 부재(603)의 평면 형상이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양 장변 및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양 단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차 보상 부재(603_1)는 단차 보상 부재(603_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절개 패턴(CP)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폴딩시에 단차 보상 부재(603_1)가 양 단변의 중심선(예컨대, 폴딩축(AXIS_F))을 기준으로 접히는데 각 절개 패턴(CP)은 단차 보상 부재(603_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Lc)를 갖고 단차 보상 부재(603_1)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분리시킨다. 이를 통해 단차 보상 부재(603_1)의 유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각 절개 패턴(CP)은 상기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도 연장되어 소정의 폭(Wc)을 갖는다. 각 절개 패턴(CP)의 폭(Wc)이 클수록 길이(Lc)와 마찬가지로 단차 보상 부재(603_1)의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지만, 절개 패턴(CP)의 길이(Lc)가 유연성 확보에 더욱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개 패턴(CP)의 길이(Lc)는 폭(Wc)보다 클 수 있다.
각 절개 패턴(CP)의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길이(Lc)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폭(Wc)은 단차 보상 부재(603_1)에 충분한 유연성이 확보될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평면상 각 절개 패턴(CP)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보상 부재(603_1)의 구성 물질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즉, 단차 보상 부재(603_1)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3에서는 절개 패턴(CP)이 5개임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절개 패턴(CP)은 1 내지 4개이거나 5개보다 클 수 있다.
절개 패턴(CP)은 단차 보상 부재(603_1)의 지지 플레이트(501, 502)와 마주보는 일면(또는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상이다.
절개 패턴(CP)은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층(650_1)의 표면으로부터 차광층(650_1)을 완전히 가로지르고 단차 보상 기재(630)를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며 단차 보상 기재(630)의 내부에서 종지할 수 있다. 즉, 절개 패턴(CP)의 저면은 단차 보상 기재(630)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단차 보상 부재(603_2)는 절개 패턴(CP_1)이 차광층(650_1)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차광층(650_1) 및 단차 보상 기재(630_1)를 완전히 가로지른다는 점에서 도 23 내지 도 25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1)와 차이가 있다.
즉, 절개 패턴(CP_1)의 저면은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에 있을 수 있다. 도 26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2)는 도 23 내지 도 25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1)보다 폴딩시 유연성 확보에 유리하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단차 보상 부재(603_3)는 절개 패턴(CP_2)이 차광층(650_1)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차광층(650_1) 및 단차 보상 기재(630_1)를 완전히 가로지르고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_1)을 부분적으로 가로지른다는 점에서 도 23 내지 도 25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1)와 차이가 있다.
즉, 절개 패턴(CP_1)의 저면은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도 27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3)는 도 26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2)보다 폴딩시 유연성 확보에 유리하다.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단차 보상 부재(603_4)는 절개 패턴(CP_3)이 차광층(650_1)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차광층(650_1), 단차 보상 기재(630_1), 및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_2)을 완전히 가로지른다는 점에서 도 23 내지 도 25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1)와 차이가 있다.
즉, 절개 패턴(CP_1)의 저면은 제1 단차 보상 결합막(610)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도 28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4)는 도 27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3)보다 폴딩시 유연성 확보에 유리하지만 단차 보상 부재(603_4)의 부착시 취급성이 불리해질 수 있다.
도 2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단차 보상 부재(603_5)는 절개 패턴(CP_4)이 차광층(650_1)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차광층(650_1)을 부분적으로 가로지른다는 점에서 도 23 내지 도 25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1)와 차이가 있다.
도 3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단차 보상 부재(603_6)의 절개 패턴(CP_5)이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되는 절개 패턴(CP_5)들이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열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3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1)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6)는 복수의 열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폴딩시 단차 보상 부재(603_6)의 유연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3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단차 보상 부재(603_7)의 절개 패턴(CP_6)이 제2 방향(DR2)을 따라 지그재그(zigzag) 배열 방식으로 배열된다는 점에서 도 23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603_1)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절개 패턴(CP_6)의 일단과 단차 보상 부재(603_7)의 폭 방향 일 에지(EG)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단차 보상 부재(603_7)의 표면 일체화를 담보하면서도 표시 장치의 폴딩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평면상 단차 보상 부재(603_8)의 절개 패턴(CP_7)의 적어도 일단이 단차 보상 부재(603_8)의 폭 방향 에지(EG)까지 연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절개 패턴(CP_7)의 일단이 단차 보상 부재(603_8)의 폭 방향 에지(EG)까지 연장될 경우, 해당 에지(EG)에서 단차 보상 부재(603_8) 표면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분리된 단차 보상 부재(603_8)의 유동성이 증가할 수 있다. 절개 패턴(CP_7)의 양단 모두 단차 보상 부재(603_8)의 폭 방향 에지(EG)까지 연장될 경우, 다시 말하면 절개 패턴(CP_7)이 평면상 단차 보상 부재(603_8)의 표면을 완전히 가로지르는 경우 단차 보상 부재(603_8)의 유동성이 더욱 증가할 것임은 물론이다. 취급성을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도 22, 도 26, 도 27 등과 같이 단차 보상 부재(603_8)의 하부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단면 구조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501_2, 502_2)의 하부 커버 패널(100)을 바라보는 일면에 표면 처리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6과 상이하다.
상기 표면 처리는 지지 플레이트(501_2, 502_2)의 상기 일면의 표면 거칠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의 예로서 용사 코팅을 들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로 지지 플레이트(501_2, 502_2)와 차광층(650) 사이에는 에어갭 영역(AS)이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650)과 지지 플레이트(501, 502) 간의 부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의 폴딩 동작시에 차광층(650)이 지지 플레이트(501, 502)로부터 더욱 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하면(또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501_3, 502_3)의 하부 커버 패널(100)을 바라보는 일면에 상부 차광층(650)과의 박리성을 높이기 위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는 제한되지 않지만, 올레핀 처리, 실리콘계 처리, 장쇄 알킬계 처리, 불소계 처리 등의 박리 처리 등이 있다. 상기 표면 처리로, 지지 플레이트(501_3, 502_3)의 표면은 올레핀계,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분자를 포함하여, 상부 차광층(650)을 포함한 단차 보상 부재(603)와의 접착성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처리는 지문 비시인 표면 처리(Invisible Fingerprint, IF)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표면 처리 등이 더 이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0: 하부 커버 패널
200: 표시 패널
300: 상부 커버 부재
400: 윈도우
501, 502: 지지 플레이트
601, 602: 단차 보상 부재

Claims (31)

  1.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일부에 중첩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플레이트 결합막;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일부에 중첩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플레이트 결합막;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과 이격되며, 제1 차광층을 포함하는 제1 단차 보상 부재;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과 이격되며, 제2 차광층을 포함하는 제2 단차 보상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 사이에 배치된 하부 커버 패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은 중첩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상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하부 커버 패널과 분리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상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하부 커버 패널과 분리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과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 간의 이격 거리는 7mm 내지 8mm인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을 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 간의 이격 거리는 300um 내지 800um이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을 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 간의 이격 거리는 300um 내지 800um인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과,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 간의 이격 거리는 0.2mm 내지 0.4mm인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상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 사이의 제1 폭은 3.0mm 내지 3.3mm이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의 평면상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 사이의 제2 폭은 3.0mm 내지 3.3mm인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그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두께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그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는 제1 단차 보상 결합막과 제1 단차 보상 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는 제2 단차 보상 결합막과 제2 단차 보상 기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와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의 일면에 직접 인쇄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와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의 상면에 직접 인쇄된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의 모듈러스는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모듈러스보다 크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의 모듈러스는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모듈러스보다 큰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모듈러스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모듈러스는 각각 0.03Mpa 내지 0.06Mpa 이내인 표시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차광층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제1 차광층과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차광층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제2 차광층과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1 차광층과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하부 커버 패널과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 직접 인쇄되며,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2 차광층과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하부 커버 패널과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직접 인쇄된 표시 장치.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되, 내부에 상기 제1 차광층의 물질이 분산되어 있고,
    상기 제1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제1 단차 보상 결합막과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직접 결합하되, 내부에 상기 제2 차광층의 물질이 분산되어 있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기재는 상기 제2 단차 보상 결합막과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과 상기 제2 차광층은 각각 블랙 잉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2 차광층은 각각 불투명 무기 물질 또는 불투명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 및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는 각각 블랙 단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두께보다 작은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보상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두께보다 3um 내지 5um이 작고,
    상기 제2 단차 보상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두께보다 3um 내지 5um이 작은 표시 장치.
  22. 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일부에 중첩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일부에 중첩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1 플레이트 결합막;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2 플레이트 결합막;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일체로 형성된 단차 보상 부재로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과 이격되며, 차광층을 포함하는 단차 보상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 사이에 배치된 하부 커버 패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시에,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은 중첩 배치되되,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상기 하부 커버 패널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분리되는 표시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평면상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의 경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된 표시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경계 방향을 따라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단차 보상 결합막과 단차 보상 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 보상 결합막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단차 보상 기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단차 보상 기재와 상기 하부 커버 패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절개 패턴은 두께 방향으로 상기 차광층과 적어도 일부의 상기 단차 보상 기재를 가로지르는 표시 장치.
  28.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을 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제1 플레이트 결합막 간의 이격 거리는 300um 내지 800um이고,
    상기 단차 보상 부재의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의 내측면을 향하는 제2 측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 결합막 간의 이격 거리는 300um 내지 800um인 표시 장치.
  29.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블랙 잉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30.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불투명 무기 물질 또는 불투명 유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31.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블랙 단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005606A 2019-01-16 2019-01-16 표시 장치 KR102643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06A KR102643282B1 (ko) 2019-01-16 2019-01-16 표시 장치
EP19219269.8A EP3684035B1 (en) 2019-01-16 2019-12-23 Display device
CN202010037233.4A CN111445792B (zh) 2019-01-16 2020-01-14 显示装置
US16/743,900 US10838457B2 (en) 2019-01-16 2020-01-15 Display device
US17/099,377 US11307613B2 (en) 2019-01-16 2020-11-16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606A KR102643282B1 (ko) 2019-01-16 2019-01-16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358A KR20200089358A (ko) 2020-07-27
KR102643282B1 true KR102643282B1 (ko) 2024-03-05

Family

ID=6900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606A KR102643282B1 (ko) 2019-01-16 2019-01-1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838457B2 (ko)
EP (1) EP3684035B1 (ko)
KR (1) KR102643282B1 (ko)
CN (1) CN1114457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197B1 (ko) 2016-10-19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00113073A (ko) * 2019-03-21 2020-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024224B2 (en) 2019-08-02 2021-06-0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operating condi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US11586243B2 (en) 2019-08-02 2023-02-2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rotational orient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US11243578B2 (en) 2019-08-02 2022-02-08 Dell Products L.P. Gear synchronized dual axis pivot hinge
US11294431B2 (en) 2019-08-02 2022-04-05 Dell Products L.P. Synchronized dual axis pivot hinge
KR20210030535A (ko) * 2019-09-09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JP6884189B2 (ja) * 2019-10-29 2021-06-09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55843A (ko) * 2019-11-07 2021-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02562A (ko) * 2020-02-11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42022A (ko) * 2020-09-25 2022-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365802B (zh) * 2020-11-24 2022-05-17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12562514B (zh) * 2020-12-15 2023-03-1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弯折结构、显示装置及弯折治具
CN112489567B (zh) * 2020-12-29 2022-05-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493794B2 (en) * 2021-01-11 2022-11-08 Tpk Advanced Solution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1HE same
US11647645B2 (en) 2021-01-13 2023-05-09 Tpk Advanced Solutions Inc. Cover plate used i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 plate
KR20220108846A (ko) * 2021-01-27 2022-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025598A (ko) * 2021-08-13 2023-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047276A (ko) * 2021-09-30 2023-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5019639B (zh) * 2021-12-16 2024-03-01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241913B (zh) * 2021-12-21 2023-06-16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可弯折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30113438A (ko) * 2022-01-21 2023-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102578050B1 (ko) * 2022-05-19 2023-09-14 주식회사 엠알케이 옵티컬 본딩된 v형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55287A1 (en) 2013-08-26 2015-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US20160007441A1 (en) 2014-07-02 2016-01-07 Nlt Technologies, Ltd. Folding type 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 equipment
US20160172623A1 (en) 2014-12-15 2016-06-16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support layer with rounded edge
US20170098796A1 (en) 2015-10-01 2017-04-06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US20180102496A1 (en) 2016-10-12 2018-04-12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8359B2 (en) * 2014-02-21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791892B2 (en) * 2014-06-27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2322377B1 (ko) * 2014-12-31 2021-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6990808B (zh) * 2016-01-20 2023-10-24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保护盖板及其制作方法
KR102636648B1 (ko) * 2016-09-13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KR20180036323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28024B1 (ko) * 2016-10-07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42197B1 (ko) * 2016-10-19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80047603A (ko)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06652802B (zh) * 2017-02-27 2020-03-1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KR102410542B1 (ko) * 2017-05-29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함몰 영역이 형성된 레이어에 실장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834793B1 (ko) * 2017-07-28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23192B1 (ko) * 2017-09-06 2022-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57059B1 (ko) * 2018-05-11 2022-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2238B1 (ko) * 2018-05-11 2022-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40815B1 (ko) * 2018-06-01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49716B1 (ko) * 2018-07-16 2023-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38741B1 (ko) * 2018-08-14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922406B (zh) * 2018-08-22 2020-11-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盖板、有机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作方法
KR102636972B1 (ko) * 2018-10-25 2024-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36265B1 (ko) * 2018-12-21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55287A1 (en) 2013-08-26 2015-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element
US20160007441A1 (en) 2014-07-02 2016-01-07 Nlt Technologies, Ltd. Folding type 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 equipment
US20160172623A1 (en) 2014-12-15 2016-06-16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support layer with rounded edge
US20170098796A1 (en) 2015-10-01 2017-04-06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US20180102496A1 (en) 2016-10-12 2018-04-12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38457B2 (en) 2020-11-17
US11307613B2 (en) 2022-04-19
CN111445792B (zh) 2023-07-14
EP3684035B1 (en) 2021-10-27
US20200225699A1 (en) 2020-07-16
CN111445792A (zh) 2020-07-24
US20210072791A1 (en) 2021-03-11
KR20200089358A (ko) 2020-07-27
EP3684035A1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282B1 (ko) 표시 장치
KR102494409B1 (ko) 표시 장치
KR102452238B1 (ko) 표시 장치
US1157626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36972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436854B2 (en) Display device
US1192798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115877A (ko) 표시 장치
US111774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shock absorbing layer
US11581505B2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107858A1 (en) Display device
KR2023006161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7789597A (zh) 显示模块以及用于将显示模块和窗构件附接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