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744B1 - 소켓조립체 - Google Patents

소켓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744B1
KR100709744B1 KR1020050011221A KR20050011221A KR100709744B1 KR 100709744 B1 KR100709744 B1 KR 100709744B1 KR 1020050011221 A KR1020050011221 A KR 1020050011221A KR 20050011221 A KR20050011221 A KR 20050011221A KR 100709744 B1 KR100709744 B1 KR 100709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assembly
main body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391A (ko
Inventor
이길순
배중근
Original Assignee
(주)에어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비타 filed Critical (주)에어비타
Priority to KR1020050011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74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8Lane delineators for physically separating traffic lanes and discouraging but not preventing cro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9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flexible sheets to other sheets or plates or to 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소켓조립체(100)는 본체부(110), 플러그부(120), 결합부(130), 오염방지판(140) 및 처짐방지판(150)을 포함한다. 공기청정기(10)는 본체부(110)에 장착되고, 본체부(110)와 결합부(130)는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플러그부(120)와 결합부(130)는 고정되게 결합되며, 오염방지판(140)은 플러그부(120)의 상단에 결합되며, 처짐방지판(150)은 플러그부(120)의 하단에 결합되며 그 일부가 비사용중인 콘센트가 노출되도록 개방된다. 플러그부(120)는 고정부(121)와 분리부(125)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며, 220V용 플러그(126)가 구비된 분리부(125)는 110V용 플러그(126')가 구비된 분리부(125')로 용이하게 교체된다. 또한, 분리부(125)는 고정부(121)에 대하여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단계적으로 회전된다.
소켓조립체, 공기청정기, 오염방지판, 처짐방지판, 플러그

Description

소켓조립체{Socket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켓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소켓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플러그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및
도 4는 종래기술의 소켓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켓조립체 110 : 본체부
111 : 암소켓 113 : 수체결부
120 : 플러그부 121 : 고정부
125 : 분리부 130 : 결합부
140 : 오염방지판 150 : 처짐방지판
160 : 무드등
본 발명은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공기청정기 등을 장착하도록 특히 벽면플러그에 장착되는 소켓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소켓은 예전에 소형전구 등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사용하여 왔으나, 근래들어 대형의 공기청정기를 대신하는 소형공기청정기 등을 장착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공기청정기를 장착하는 소켓조립체의 일례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켓조립체(400)는 본체부(410), 플러그부(420) 및 결합부(430)로 구성된다.
본체부(4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원주형상을 하며, 상부에 암소켓(411)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410)에는 암소켓(411)과 결합되도록 점선으로 도시한 공기청정기(10)가 장착된다.
플러그부(420)는 플라스틱 재질로 통상의 플러그와 유사한 형상을 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421)와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422)를 갖는다.
결합부(430)는 본체부(410)와 플러그부(420)를 일체로 결합하며, 소정 위치에 암소켓(411)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431)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부(410), 플러그부(42) 및 결합부(430)는 상하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 필요한 전선 등을 장착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소켓조립체(400)는 공기청정기(10)를 장착하여 사용할 때 콘센트에 인접한 벽면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켓조립체(400)에 공기청정기(10)를 장착할 경우, 공기청정기(10)의 무게에 의해 소켓조립체(400)가 아래로 처지거나 심한 경우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탈락되어 감전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소켓조립체(400)는 본체부(410)이 결합부(430)에 고정되어 있어, 공기청정기(10)에서 발생하는 오존이나 음이온이 수직상향으로만 방출되어 실내에 골고루 분포되지 않았다.
또한, 소켓조립체(400)는 플러그부(420)에 220V용 플러그 하나만이 장착되기 때문에 110V용 콘센트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청정기와 인접하게 오염방지판을 구비함으로써 공기청정기 등의 작동시 벽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켓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부의 하부에 지지판을 구비함으로써 공기청정기 등의 장착시 아래로 처지거나 플러그가 탈락되지 않는 소켓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청정기 등이 장착되는 본체부와 결합부를 선회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본체부를 원하는 각도로 선회시킬 수 있는 소켓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부를 분리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조건에 따라 110V 또는 220V 플러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소켓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 등이 장착되는 본체부와, 콘센트에 장착되는 플러그부와, 본체부와 플러그부를 결합하는 결합부와, 공기청정기와 인접하도록 플러그부나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벽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켓조립체는 플러그부가 그 하부에 본체부와 결합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처짐방지부재는 비사용중인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일부를 개방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오염방지부재는 벽면과 대향하는 면에 무드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와 결합부는 서로 선회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단계적으로 선회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부는 110V용 플러그 및/또는 220V용 플러그가 교체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결합부와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플러그가 구비되며 고정부에 분리되게 결합되는 분리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분리부는 고정부에 대하여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분리부는 고정부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켓조립체 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조립체(100)는 본체부(110), 플러그부(120), 결합부(130), 오염방지판(140) 및 처짐방지판(150)을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원주형상을 하며, 상부에 암소켓(111)을 형성하며, 암소켓(111)에는 점선으로 도시한 공기청정기(10) 등이 장착된다.
암소켓(111)은 그 하면이 전선(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로 인해 암소켓(111)에 전기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그 하부 일측에 원형단면을 갖는 수체결부(113)를 형성하며, 수체결부(113)는 외면에 다수의 톱니모양의 돌기(113a)를 형성한다.
플러그부(120)는 플라스틱 재질로 통상의 플러그와 유사한 형상을 하며, 고정부(121)와 분리부(125)로 구성된다.
고정부(121)는 결합부(130)에 일체로 고정되게 결합하며, 그 중앙에 볼트홈(122)을 형성한다. 또한, 고정부(121)는 분리부(125)와 접하는 면에 서로 대칭하게 원호형상의 한 쌍의 금속판(123)을 형성한다. 또한, 금속판(123)의 주위에 원주를 따라 다수의 돌기(124)를 형성한다.
분리부(125)는 일면에 220V용 플러그(126)를 구비하며, 고정부(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분리부(125)가 고정부(121)에 대하여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볼트(30) 등의 결합수단을 분리부(125)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127)를 관통시켜 고정부(121)에 형성된 볼트홈(122)에 결합한다.
또한, 분리부(125)의 타면, 즉 고정부(121)와 접하는 면에 고정부(121)에 형 성된 금속판(123) 및 다수의 돌기(124)와 대응하는 한 쌍의 접속단자(128) 및 다수의 홈(129)을 형성한다.
한편, 분리부(125)와 교체되는 분리부(125')는 110V용 플러그(126')를 구비하며, 고정부(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분리부(125')가 고정부(121)에 대하여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볼트(30') 등의 결합수단을 분리부(125')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127')를 관통시켜 고정부(121')에 형성된 볼트홈(122)에 결합한다.
또한, 분리부(125')의 타면, 즉 고정부(121)와 접하는 면에 고정부(121)에 형성된 금속판(123) 및 다수의 돌기(124)와 대응하는 한 쌍의 접속단자(128') 및 다수의 홈(129')을 형성한다.
상술한 플러그부(120)의 구성에서 고정부(121)에 금속판(123)을 원호형상으로 길게 형성하기 때문에 분리부(125)가 회전하더라도 분리부(125)에 형성된 접속단자(128)가 금속판(123)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121)에 다수의 돌기(124)를 형성하고 분리부(125)에 이에 대응하는 다수의 홈(129)을 형성하기 때문에 분리부(125)가 고정부(121)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결합부(130)는 본체부(110)와 선회 가능하게, 플러그부(120)와 고정되게 결합하며, 소정 위치에 암소켓(111)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31)를 구비한다.
스위치(131)는 암소켓(111)에 연결된 전선(112)과 플러그부(120)의 고정부 (121)에 형성된 금속판(123)에 연결된 전선(1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전류의 인가를 제어한다.
또한, 결합부(130)는 본체부(110)와 결합하는 부위에 본체부(110)에 형성된 수체결부(113)와 대응하는 오목형상의 암체결부(132)를 형성하며, 암체결부(132)는 그 외면에 수체결부(113)의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13a)와 대응하는 다수의 홈(132a)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체부(110)와 결합부(130)는 수체결부(113)와 암체결부(132)가 접하도록 결합되며, 본체부(110)는 결합부(130)에 대해 단계적으로 선회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본체부(110), 플러그부(120) 및 결합부(130)는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염방지부재인 오염방지판(140)은 넓고 얇은 판형상을 하며, 플러그부(120)의 상단에 일체로 또는 분리되게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염방지판(140)을 플러그부(120)의 상단에 결합하였으나, 공기청정기(10)와 인접한 위치라면 결합부(130)에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오염방지판(140)은 그 상부에 만곡부(141)를 형성하며, 만곡부(141)에 의해 공기청정기(10)에서 방출되는 오존이나 음이온이 벽면의 반대쪽으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오염방지판(140)은 그 상부에 소정의 색상을 띠는 무드등(160)을 설치하여 야간에 은은함을 주도록 할 수 있다.
처짐방지판(150)은 플러그부(120)의 하단에 일체로 또는 분리되게 결합하며, 오염방지판(140)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처짐방지판(150)은 그 하부를 포크형상으로 형성하여, 즉 하부를 개방되게 형성하여 비사용중인 콘센트가 사용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처짐방지판(150)의 하부를 포크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콘센트의 크기와 대응한 개방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소켓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소켓조립체에 따르면, 공기청정기와 인접하게 오염방지판을 구비하기 때문에 공기청정기 작동시 벽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부의 하부에 지지판을 구비하기 때문에 공기청정기 등의 장착시 아래로 처지거나 플러그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 등이 장착되는 본체부와 결합부를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본체부를 원하는 각도로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플러그부를 분리가능하도록 구비하기 때문에 조건에 따라 110V용 플러그 또는 220V용 플러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Claims (12)

  1. 공기청정기 등이 장착되는 본체부;
    콘센트에 장착되는 플러그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공기청정기와 인접하도록 상기 플러그부나 상기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벽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그 하부에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부재는 비사용중인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일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부재는 벽면과 대향하는 면에 무드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5. 공기청정기 등이 장착되는 본체부;
    콘센트에 장착되는 플러그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플러그부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콘센트와 인접하게 상기 플러그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부재는 비사용중인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일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부는 서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부는 단계적으로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110V용 플러그 및/또는 220V용 플러그가 교체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결합부와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플러그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에 분리되게 결합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조립체.
KR1020050011221A 2005-02-07 2005-02-07 소켓조립체 KR100709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221A KR100709744B1 (ko) 2005-02-07 2005-02-07 소켓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221A KR100709744B1 (ko) 2005-02-07 2005-02-07 소켓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658U Division KR200382859Y1 (ko) 2005-02-07 2005-02-07 소켓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391A KR20060090391A (ko) 2006-08-10
KR100709744B1 true KR100709744B1 (ko) 2007-04-25

Family

ID=3757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221A KR100709744B1 (ko) 2005-02-07 2005-02-07 소켓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422B1 (ko) 2016-05-09 2016-12-08 참빛파워텍 주식회사 서로 다른 구경의 소켓의 조합이 가능한 소켓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960B1 (ko) * 2017-09-12 2019-07-03 주식회사 리즈텍시스템 휴대용 공기청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250A (en) 1984-10-30 1985-10-22 Donald Spector Night light assembly
KR20010028991A (ko) * 1999-09-28 2001-04-06 신현우 액체 가열 휘발식 전기 발향기
JP2004283236A (ja) 2003-03-19 2004-10-14 Sachiyo Kuboshima 発火防止用香炉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250A (en) 1984-10-30 1985-10-22 Donald Spector Night light assembly
KR20010028991A (ko) * 1999-09-28 2001-04-06 신현우 액체 가열 휘발식 전기 발향기
JP2004283236A (ja) 2003-03-19 2004-10-14 Sachiyo Kuboshima 発火防止用香炉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422B1 (ko) 2016-05-09 2016-12-08 참빛파워텍 주식회사 서로 다른 구경의 소켓의 조합이 가능한 소켓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391A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386B2 (en) Lighting device
KR101927805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선 트레이
US6013885A (en) Rocker switch with lamp module
US6158451A (en) Lamp means detachably securable on umbrella top
US20100136897A1 (en) ventilation cover with a light source
US5428515A (en) Electric lighting assembly
KR100709744B1 (ko) 소켓조립체
US6984054B2 (en) Articulated portable lamp fixture
JP3657160B2 (ja) ブレーカ装置
KR200382859Y1 (ko) 소켓조립체
US6579333B2 (en) Air purifier with a rotatable plug
WO2007031010A1 (en) Waterproof universal lamp
US7603743B2 (en) Structure for connecting a dust collecting hose of a central vacuum cleaning system
WO2017020154A1 (zh) 翻转灯
US2349924A (en) Electrical fixture
US1255910A (en) Electric fixture.
JP2008521177A (ja) 電源接続器具
JP6205672B2 (ja) 照明器具
AU2021200711A1 (en) Balloon Lamp
USD522973S1 (en) Lighting control faceplate
CN215816576U (zh) 一种户外防水插座
KR200421982Y1 (ko) 천장등의 커버체결구조
US20050157507A1 (en) Desk lamp with microswitch
KR102262767B1 (ko) 레일 조명등 고정장치
CN210073676U (zh) 一种一体式结构开关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