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807B1 - 자동차용 배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807B1
KR100766807B1 KR1020040013721A KR20040013721A KR100766807B1 KR 100766807 B1 KR100766807 B1 KR 100766807B1 KR 1020040013721 A KR1020040013721 A KR 1020040013721A KR 20040013721 A KR20040013721 A KR 20040013721A KR 100766807 B1 KR100766807 B1 KR 10076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exhaust gas
tail pipe
silencer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795A (ko
Inventor
김수원
Original Assignee
김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원 filed Critical 김수원
Publication of KR20050045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01H2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에 이용되는 연소 가스 배출용 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배기 가스 배출 경로에 마련된 소음기 테일 파이프에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배기 가스를 빠르게 배출시켜 연비와 출력 향상에 유용한 자동차용 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소음기 테일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제트기류를 형성하여 배기 가스의 배출을 빠르게 이루고, 배기 가스의 배출은 빠르게 하면서 역류하는 배기가스를 테일파이프 중간에서 대기로 배출케하므로서 배기 가스가 기관으로 재 유입되는 오버랩을 방지하여 출력의 증대를 이룰 수 있고,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견고한 구조를 이룸으로 내구성이 현저하게 증대되며 기존 소음기의 구조 변경 없이 적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우수하며, 배기 가스의 역류를 극감시켜 카본 등의 연소 잔류물의 퇴적을 저감시키므로 엔진 수명 연장과 고가의 매연정화장치 등 배기 계통의 여러 부품을 청정하게 유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자동차용 배기구를 제공하고자, 자동차의 소음기 종단 테일 파이프(20)에 일단을 절개하여 내향 절곡한 제 1, 2 고정 베인(30, 40)을 유선형으로 마련하되 상호 일정거리 이격하고 대향하도록 이루어 소음기의 배기 종단에 빠름 공기 흐름을 유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배기 가스, 배출, 외기, 나팔관.

Description

자동차용 배기구{Exhaust for automobile}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외기 유입을 유도하는 배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로서 본 발명자의 자동차 배기구를 도시한 소음기 단면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로서 본 발명자의 또 다른 자동차 배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구성 단면도로서,
도 4a는 길이 방향의 단면 구성도.
도 4b는 A-A 선 단면도,
도 4c는 B-B 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구성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의 구성 단면도.
도 7∼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의 구성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소음기 20 : 테일 파이프
30 : 제 1 고정 베인 40 : 제 2 고정 베인
50 : 배기 파이프 52, 54 : 커버
56 : 와류 베인
본 발명은 내연 기관에 이용되는 연소 가스 배출용 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배기 가스 배출 경로에 마련된 소음기 테일 파이프에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배기 가스를 빠르게 배출시켜 연비와 출력 향상에 유용한 자동차용 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내연 기관을 이용하는 자동차에서는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에 의하여 동력이 얻어지게 된다.
상기 기관의 행정 중 공기(흡, 배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흡입 과정에서 에어크리너, 스로틀 밸브 등을 통과 할 때는 비교적 커다란 저항 없이 유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배기 과정에서는 배기 매니폴드, 촉매를 이용하는 공기 정화 장치 및 소음기 등을 거쳐 테일 파이프로 배기 되므로서 배기 흐름에 상당한 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기관의 실린더에서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까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기 매니폴드에서는 기관의 4행정중에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가 순간적으로 동시에 개방되는 이른바 밸브 오버랩이 발생되는 시기가 있고 이 과정에서 배출되던 가스가 실린더 내로 재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순간적으로 배기 매니폴드 내에는 진공 상태가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배기 가스 배출을 방해하는 1차 배기압이 형성된 다.
또한, 공기 정화기인 삼차원 촉매 장치에서는 하니콤 형태의 배기가스 정화기의 미세한 통기공을 경유하면서 배기 가스의 유속이 현저하게 줄어들게되어 2차적인 배기압이 형성되며, 소음기에 유입되면 다단으로 구획된 칸막이를 돌아 흠음될 때 3차 배기압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기 과정에서 배기 가스는 3∼5kg/㎠의 압력과 600℃ 정도의 온도로 배기되어 소음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소음기는 대개 배기량의 15∼20배 정도의 용적으로 설계되며 이러한 소음기는 공기 저항으로 인하여 기관의 연소 가스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므로서 출력의 5∼10%가 감소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 시키는 것만으로도 기관의 출력 향상과 연비를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기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자 종래에도 다양한 제안이 공지되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2000-56951호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한 자동차의 배기통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는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유선형의 배기구 몸통을 테일 파이프에 결합하여 유선형의 몸통을 스쳐 지나가는 공기의 유속에 따라 저압 지역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저압에 의하여 배기 가스가 급속하게 빨려나오면서 배기를 돕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선형의 배기구 몸통을 자동차에 부착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비대하고 복잡한 단점이 있으며 정지 또는 저속 주행시에는 빠른 공기 흐름을 유도 할 수 없어서 좁은 배기 통로만으로는 오히려 배기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어 실용화가 어렵다.
공개 특허 제 1998-75223호의 와류 발생 장치를 갖는 메인 사일런서의 테일 파이프에 의하면 테일 파이프의 중간에 와류용 날개를 배기 가스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마련한 것으로서 배기 가스에 의하여 날개가 돌면서 와류가 발생하여 배기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오히려 배기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을 제공하므로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 등록 제 4888호의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 장치에 따르면 테일 파이프의 종단에 볼트로 취부되는 파이프를 마련하고 파이프의 내주연에 와류 형성용 날개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배기 가스를 와류시켜 배출효율을 개선하고자 제안되었으나 이와같이 단순히 배기 가스를 와류시키는 것만으로는 배기를 급속하고 원활하게 이루기에는 부족하며 결과적으로는 배기 압력으로 자연 배기되는 것에 더하여 유체의 와류가 배기를 부분적으로 돕는 정도의 미미한 효과를 얻는 것에 불과하여 효율이 극히 낮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허 등록 제 257874호의 와류를 이용한 배기가스 배출 장치에 의하면 배기 가스 경로에 형성되어 있는 소음기(4)의 앞쪽 파이프(2)에 외부 공기를 유입하며 와류를 형성하는 베인(7)을 갖는 와류 발생 덕트(5)를 형성하고 스로틀 밸브 열림량에 비례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밸브(9)가 내설되어 있는 서브 덕트(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배기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소음기의 전단 파이프(2)에 외기가 유입되는 덕트(5)를 형성하므로 배기 소음이 이 덕트로 새나가게 되어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며 가속시에는 밸브(9)가 많이 열리게되어 배기 소음이 더욱더 심하게 발생되는 폐단이 있으며 배기 가스가 소음기 내부에 비해 공기 저항이 약한 서브 덕트(8)로 배출되므로 유입 공기가 저항을 받아 실용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동시에 상기 종래 기술은 외기를 소음기의 유입구 측에 유입되게 하므로서 소음기 내부에서의 공기 저항은 그대로 존재하게 되므로 배기를 빠르게 하는데는 유용하지 못함과 함께 기관의 스로틀 밸브와 연동하는 외기 조절용 댐퍼를 구성하므로 설비 구조 및 시설이 복잡해지는 폐해가 발생되며, 외기가 유입되어 소음기를 경유하게 되므로 소음기 내부에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분진, 모래 등)이 침적되어 소음기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02-13963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 287763호로 자동차용 배기구를 선 출원 제안한 바 있다.
전자의 특허와 후자의 실용신안은 모두 자동차 주행에 따른 외기를 확개된 나팔관으로 모아 배기용 테일 파이프에 배기압을 높여 주도록하여 유속을 빠르게 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외부 공기를 나팔관으로 모아 작은 단면적을 통과하는 공기압이 증가하는 것에의해 배기파이프의 배출 가스가 빠르게 배출되도록 이루고 있다.
이러한 선원 발명들은 배기 유속의 증가를 실나하여 출력과 연비 향상에 다소간의 유익한 잇점이 있었으나 이 제안들 역시 정차 중이거나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다소 미흡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소음기 테일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제트기류를 형성하여 배기 가스의 배출을 빠르게 이룰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기 가스의 배출은 빠르게 하면서 역류하는 배기가스를 테일파이프 중간에서 대기로 배출케하므로서 배기 가스가 기관으로 재 유입되는 오버랩을 방지하여 출력의 증대를 이룰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이룸으로 내구성이 현저하게 증대되며 기존 소음기의 구조 변경 없이 적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기 가스의 역류를 극감시켜 카본 등의 연소 잔류물의 퇴적을 저감시켜 엔진 수명 연장과 고가의 매연정화장치 등 배기 계통의 여러 부품을 청정하게 유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자동차용 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기구의 종단에서 배기가스를 지면을 향해 하향 배출시키는 만곡 마감부를 엔드에 설치하여 마감부 외부는 광고, 안전표시 또는 각종 로고를 부착가능하도록 이루어 아웃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고자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소음기 종단 테일 파이프에 일단을 절개하여 내향 절곡한 제 1, 2 고정 베인을 유선형으로 마련하되 상호 일정거리 이격하고 대향하도록 이루어 소음기의 배기 종단에 빠름 공기 흐름을 유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 4에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자동차의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경로에 마련된 통상의 소음기(10) 후단에 형성된 테일 파이프(20)에 일단을 절개하여 내향 절곡한 제 1, 2 고정 베인(30, 40)을 유선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 1, 2 고정 베인(30, 40)은 상호 일정거리 이격시키고 상호 대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절개하여 내향 절곡한 제 1, 2 고정 베인(30, 40)은 절곡 각도를 최대 45도, 절곡 단부는 테일 파이프(20)의 중심선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도 4b, 4c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을 테일 파이프(20)에 구현하게되면 엔진 구동으로 통상의 면정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 가스가 소음기(10)로 유입되면 소음기 팽창실에서 소음이 이루어진 뒤 배출된다.
이때, 배기 가스는 제 1 고정 베인(30)의 절곡면에 의해 통과 기류가 하향되면서 좁은 단면적을 급속하게 이동하고, 재차 제 2 고정 베인(40)의 절곡면에 부딪히면서 상향 이동하면서 그 유속은 제트 기류를 형성하고 이때 제 2 고정 베인(40) 의 개방구를 통해 외기가 급속히 내기의 고압측으로 유입되면서 빨려들어와 가속이 이루어지면서 빠른 배기가 실현된다.
이때, 상기 제 1 고정 베인(30)의 개방구 측에는 저압이 발생하면서 엔진 오버랩시 발생되는 배기 가스의 역류 현상에 의한 역류 가스가 제 1 고정 베인(30)의 개방구를 통하여 외기로 배기되게되어 역류 가스가 소음기 측을 통한 배기 계통의 배기 장애를 제거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소음기 파이프에 배기 가스 배출은 급속하게 이루어지며 동시에 배기 가스의 역류는 상기 테일 파이프에서 곧바로 배출되므로 역류에 의한 배기 흐름의 방해가 방지되고,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출력이 증대되며 연료 절감의 효과와 함께 배기 계통에 잔존하는 연소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배기 계통의 고가 장비를 보호하며 수명을 길게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른 작용을 이루는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도 있다.
즉, 도 5 발명에 의하면 이는 전술한 제 1, 2 고정베인(30, 40)을 형성한 배기 파이프(50)를 테일 파이프(20) 내에 내장되도록 별도로 형성하되, 배기 가스 유입부 측을 확개하여 테일 파이프(20) 내부에 밀접하도록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6 발명은 상기 제 1, 2 고정 베인(30, 40)을 형성한 테일 파이프(20)의 외곽에 이격하여 관상체의 커버(52)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7 발명은 상기 제 1, 2 고정 베인(30, 40)을 형성한 테일 파이프(10)의 외곽에 이격하여 주행 방향으로 확개하고 반대측을 밀폐한 나팔관상체의 커버(54)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도 6, 7 발명의 커버(52, 54)에는 유입 공기를 와류로 형성하는 와류 베인(56)을 추가적으로 마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 발명은 제 1, 2 고정 베인(30, 40)을 형성한 테일파이프(20)의 종단 개구부에 배기 흐름을 지면으로 향하도록 만곡시킨 만곡부(62)를 갖는 만곡 마감부(60)를 일체화하여 구성한 것이고,
도 9 발명은 상기 제 1, 2 고정 베인(30, 40)을 형성한 테일 파이프(20)의 외곽에 이격하여 관상체의 커버(52)의 종단 개구부에 배기 흐름을 지면으로 향하도록 만곡시킨 만곡부(62)를 갖는 만곡 마감부(60)를 일체화하여 구성한 것이며,
도 10 발명은 상기 커버(52)에 외기와 연통을 돕는 개공(57a)을 다수 천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의 작용은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대동 소이하여 그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지 아니하여 이해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지, 만곡 마감부(60)는 만곡부(62)에 의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지면을 향해 하향 배출되므로 재차 빠른 기류를 형성하면서 배출되어 효과가 배가되는 잇점이 있고, 또한 외부에서 볼때 만곡 마감부(60)로서 배기구 구멍이 폐쇄되도록 이루어 그 표면에 광고, 단체로고, 반사체 등 여러 유형의 아웃테리어 개념의 부착물 장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소음기 테일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제트기류를 형성하여 배기 가스가 급속하게 유입되는 외기와 함께 그 배기 속도가 증가되어 배기 가스의 배출을 빠르게 이룰 수 있어 가속과 등판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배기 가스의 배출은 빠르게 하면서 역류하는 배기가스를 테일파이프 중간에서 대기로 배출케하므로서 배기 가스가 기관으로 재 유입되는 오버랩을 방지하여 출력의 증대를 이룰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견고한 구조를 이룸으로 내구성이 현저하게 증대되며 기존 소음기의 구조 변경 없이 적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와 함께, 배기 가스의 역류를 극감시켜 카본 등의 연소 잔류물의 퇴적을 저감시켜 엔진 수명연장과 고가의 매연정화장치 등 배기 계통의 여러 부품을 청정하게 유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는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주된 설명은 자동차의 배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모든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후술될 청구범위의 범주에 포함되는 극히 용이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에 귀속된다.

Claims (8)

  1. 자동차의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에 마련되어 배기 가스의 배출을 돕는 배기구에 있어서,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경로에 마련된 통상의 소음기(10) 후단에 형성된 테일 파이프(20)에 일단을 절개하여 내향 절곡한 제 1, 2 고정 베인(30, 40)을 유선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 1, 2 고정 베인(30, 40)은 상호 일정거리 이격시키고 상호 대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하여 내향 절곡한 제 1, 2 고정 베인(30, 40)은 절곡 각도를 최대 45도, 절곡 단부는 테일 파이프(20)의 중심선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10)에 형성한 제 1, 2 고정베인(30, 40)을 배기 파이프(50)에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테일 파이프(20) 내에 내장하되, 배기 가스 유입부 측을 확개하여 테일 파이프(20) 내부에 밀접하도록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고정 베인(30, 40)을 형성한 테일 파이프(20)의 외곽에 이격하여 관상체의 커버(52)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고정 베인(30, 40)을 형성한 테일 파이프(10)의 외곽에 이격하여 주행 방향으로 확개하고 반대측을 밀폐한 나팔관상체의 커버(54)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구.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2, 54)에는 유입 공기를 와류로 형성하는 와류 베인(56)을 추가적으로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20)의 종단 개구부에 배기 흐름을 지면으로 향하도록 만곡시킨 만곡부(62)를 갖는 만곡 마감부(60)를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구.
  8. 청구항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체의 커버(52)의 종단 개구부에 배기 흐름을 지면으로 향하도록 만곡시킨 만곡부(62)를 갖는 만곡 마감부(60)를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기구.
KR1020040013721A 2003-11-12 2004-02-27 자동차용 배기구 KR100766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9974 2003-11-12
KR1020030079974 2003-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795A KR20050045795A (ko) 2005-05-17
KR100766807B1 true KR100766807B1 (ko) 2007-10-17

Family

ID=3724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721A KR100766807B1 (ko) 2003-11-12 2004-02-27 자동차용 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39017A1 (en) * 2020-02-03 2021-08-05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Exhaust system compon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354986A1 (en) * 2007-06-15 2008-12-18 Hyun Soon Park Apparatus for removing exhaust gas pressure and preventing backflow of exhaust g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7819U (ko) 1976-05-04 1977-11-09
JPH1178546A (ja) 1997-09-10 1999-03-2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排気装置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7819U (ko) 1976-05-04 1977-11-09
JPH1178546A (ja) 1997-09-10 1999-03-2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排気装置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39017A1 (en) * 2020-02-03 2021-08-05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Exhaust system component
US11603781B2 (en) * 2020-02-03 2023-03-14 Faurecia Emissions Control Technologies, Usa, Llc Exhaust system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795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8157A (ja) 車両用排気装置
KR100766806B1 (ko) 자동차용 배기구
KR101942753B1 (ko) 자동차 내연기관의 와류발생기
US20060260869A1 (en) Muffler having fluid swirling vanes
US20130239557A1 (en) Apparatus for removing exhaust gas pressure and preventing backflow of exhaust gas
KR100769700B1 (ko) 배압제거 역류방지 장치
KR100766807B1 (ko) 자동차용 배기구
KR20080071839A (ko) 배기증가수단
KR100464711B1 (ko) 자동차용 배기구
KR200374553Y1 (ko) 자동차용 배기구
JP5478920B2 (ja) 省エネ型排気マフラー用スパイラルテール及びスパイラルテールの使用方法
KR200287763Y1 (ko) 자동차용 배기구
US11326502B2 (en) Exhaust fumes redu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37021Y1 (ko) 자동차용 배기구
KR102319070B1 (ko) 자동차 내연기관용 매연저감장치
KR102127140B1 (ko) 내연기관용 매연저감장치
KR20090035311A (ko) 내연기관 및 보일러의 배기가스 역류방지 장치
KR20190002911A (ko) 자동차 흡기량 증가 장치
KR20210001060A (ko) 자동차 내연기관용 매연저감장치
KR200288308Y1 (ko) 자동차의 배기장치
JP3010940U (ja) 自動車用消音器
CN201496127U (zh) 改进的汽车消声器
KR20200111336A (ko) 선박 내연기관용 매연저감장치
WO2002084083A1 (en) A muffler for automobile
KR20180090440A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