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473B1 -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473B1
KR100734473B1 KR1020050055665A KR20050055665A KR100734473B1 KR 100734473 B1 KR100734473 B1 KR 100734473B1 KR 1020050055665 A KR1020050055665 A KR 1020050055665A KR 20050055665 A KR20050055665 A KR 20050055665A KR 100734473 B1 KR100734473 B1 KR 100734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ring
wick
support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149A (ko
KR20060136119A (ko
Inventor
권윤회
Original Assignee
권윤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윤회 filed Critical 권윤회
Priority to KR102005005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473B1/ko
Publication of KR2007000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149A/ko
Publication of KR2006013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상부링과, 상기 상부링의 하단에 적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을 연결지지하는 하나이상의 지지대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는 나선 또는 스프링 형상, 수직 또는 대각선형상 중 어느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상부링의 상단으로 하나이상의 보조지지대와 보강링을 더 형성한 초심지 지지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초에 설치시 초심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심지가 쓰러지지 않고 곧게 서있는 상태에서 초를 연소하도록 하여 촛불의 밝기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촛농이 초의 외부로 흐르지 않고, 불필요한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소효율이 증대되는 에너지절약 절감효과를 갖는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초, 촛불, 초심지, 지지대, 지지부재, 링

Description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SUPPORTING TOOL FOR ENERGY-SAVING CANDLE WI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6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7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와 설명*
1: 초심지 지지부재 11: 상부링
12: 하부링 13: 지지대
14: 보강링 15: 보조지지대
2: 초 3: 초심지
본 발명은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상부링과, 상기 상부링의 하단에 적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을 연결지지하는 하나이상의 지지대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는 나선 또는 스프링 형상, 수직 또는 대각선형상 중 어느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상부링의 상단으로 하나이상의 보조지지대와 보강링을 더 형성한 초심지 지지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초에 설치시 초심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심지가 쓰러지지 않고 곧게 서있는 상태에서 초를 연소하도록 하여 촛불의 밝기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촛농이 초의 외부로 흐르지 않고, 불필요한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소효율이 증대되는 에너지절약 절감효과를 갖는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초는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정전시에나 조상의 얼을 기리는 제사 등에 사용되어 왔으나, 요즘 들어서는 산업이 발달하면서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하게 발생되어, 초의 성분에 실내공기에 포함된 불쾌한 냄새를 정화하는 성분 등의 향기를 추가하거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실례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모양 및 색채를 갖도록 하여 누구나 손쉽게 접하고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초의 경우에는 초의 심지가 연소하면서 초의 심지 주변이 녹으며 초의 외부면 일측부가 다른 외측면보다 먼저 녹아 촛농이 초의 외부로 흘러 내려 초의 용량에 상관없이 초가 너무 빨리 연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촛농이 초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초심지가 일정하게 타지 않을 경우가 발생하여 촛불의 밝기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과 함께 초심지가 촛농에 잠겨 꺼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초를 태울 때 발생하는 그을음이나 초심지가 연소하면서 일측으로 기울어져 초의 일측면이 먼저 녹아내려 촛농이 외부로 흘러내려, 초를 완전히 연소시키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심지가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지 못하여 촛불의 밝기가 변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촛불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촛농이 외부로 흘러내려 가지 않도록 하는 에너지절약형 초심지의 지지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 기술구성은,
상부에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상부링과, 상기 상부링의 하단에 적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을 연결지지하는 하나이상의 지지대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는 나선, 수직, 대각선 중 어느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며, 상기 상부링의 상단으로 하나이상의 보조지지대와 보강링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의 원지름의 크기를 4~8㎜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의 이격거리를 5~12㎜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6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의 제 7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심지 지지부재(1)는, 원형링 형상의 상부링(11)을 상부에 형성하고, 그 하부에 적정거리 이격하여 원형링 형상의 하부링(12)을 형성하며, 이를 스프링과 같은 나선형상의 지지대(3)를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대(13)의 개수는 하나이상 즉 1개, 2개, 3개, 4개 등과 같이 다수개까지 이용하여 상부링(11)과 하부링(12)을 연결할 수 있으나, 이는 지지대(13)의 형상 즉 나선, 스프링, 수직, 대각선, 꽃, 나비형상 등 다양한 형상에 따라 그 개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촛불이 밝혀지는 상부링(11)의 열이 하부링에 전달되는 전도율이 낮은 것이 바람직할 것임으로 나선형상으로 지지대(13)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3)의 형상은 초(2)의 크기(지름)나 높이, 또는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하여 사용자의 기호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심지 지지부재(1)의 상부링(11) 상단은 초심지(3)를 지지하는 곳이나 초심지(3)의 재질에 따라 초심지(3)가 적절히 타지 않거나, 초심지(3)가 넘어질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부링(11) 상단으로 초심지(3)가 지지되는 하나이상의 보조지지대(15)와 보강링(14)을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초심지 지지부재(1)의 상부링(11)과 하부링(12)의 형상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삼각, 사각, 다각, 별 형상 등 다양한 변형도 가능할 것이나, 초(2)가 연소되면서 초심지(3)가 어느 방향으로 넘어져 상부링(11)의 어느면에 지지될지 알 수 없으므로, 가장 적절하게는 원형상의 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링(11)과 하부링(21)의 원지름의 크기나 이격거리는 통상적인 초(2)의 크기에 따라 초심지(3)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이 초(3)의 외측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초심지(3)의 연소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초(2)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시길 수 있으나, 적절하게는 원지름의 크기를 3~12㎜로 하고, 이격거리를 4~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지름의 크기를 6㎜로 하고, 이격거리를 8㎜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링(11)과 하부링(12)을 지지대(13)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한 초심지 지지부재(1)의 재질은 초(2)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이 초심지 지지부재(1)를 타고 발열될 경우 초심지(3)를 감싸며 초(2)의 중심부를 먼저 녹여 초 심지(3)가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열전도율 및 온도 전도율이 알루미늄, 금, 은, 철, 구리, 등보다 낮은 스텐레스강재질을 이용하여 상부링(11)과, 하부링(12) 및 지지대(13)로 이루어진 초심지 지지부재(1)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초심지 지지부재(1)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초(2)의 상단부에 돌출부에 초심지 지지부재(1)가 초심지(3)를 감싸도록 설치함으로써, 초심지(3)에 불을 붙여 연소시키면 초심지(3)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여 연소되어 일정량의 촛농을 발생시켜 촛불의 밝기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촛불에서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초심지를 감싸도록 설치하여 심지가 쓰러지지않고 곧게 세워짐으로써, 촛불의 밝기가 향상될 뿐만아니라, 촛농이 초의 외부로 흐르지 않고, 불필요한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소효율이 증대되어 에너지절약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초심지가 바로 세워져 촛불이 타도록 하여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상부에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상부링(11)과;
    상기 상부링(11)의 하단에 적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하부링(12)과;
    상기 상부링(11)과 하부링(12)을 연결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13)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11)의 상단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지지대(15)와 보강링(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11)과 하부링(12)의 원지름의 크기를 4~8㎜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링(11)과 하부링(12)의 이격거리를 5~12㎜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KR1020050055665A 2005-06-27 2005-06-27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KR100734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665A KR100734473B1 (ko) 2005-06-27 2005-06-27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665A KR100734473B1 (ko) 2005-06-27 2005-06-27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149A KR20070000149A (ko) 2007-01-02
KR20060136119A KR20060136119A (ko) 2007-01-02
KR100734473B1 true KR100734473B1 (ko) 2007-07-12

Family

ID=3786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665A KR100734473B1 (ko) 2005-06-27 2005-06-27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4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491Y1 (ko) 1999-12-10 2000-05-15 전용성 양초용 점등구
KR200182528Y1 (ko) 1999-12-28 2000-05-15 김남설 심지 지지대가 형성된 초
KR200224294Y1 (ko) 1998-12-01 2001-06-01 이수훈 장식용 캔들의 심지지지용 팁
KR200373678Y1 (ko) 2004-11-08 2005-01-21 장계선 양초용 캡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294Y1 (ko) 1998-12-01 2001-06-01 이수훈 장식용 캔들의 심지지지용 팁
KR200182491Y1 (ko) 1999-12-10 2000-05-15 전용성 양초용 점등구
KR200182528Y1 (ko) 1999-12-28 2000-05-15 김남설 심지 지지대가 형성된 초
KR200373678Y1 (ko) 2004-11-08 2005-01-21 장계선 양초용 캡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149A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2987B2 (en) Heater
CN104913303B (zh) 燃烧器及具有其的燃气灶
WO2002088595A3 (en) Knit candle wick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6428311B1 (en) Candle device for burning candle without a cotton wick
KR100734473B1 (ko)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KR20060136119A (ko) 에너지절약형 초심지 지지부재
CN201103904Y (zh) 一种用于燃气灶燃烧器上的分火器
DE59404981D1 (de) Kerzenträger
ES2210978T3 (es) Placa de quemador.
CN208871624U (zh) 中心火盖
KR200436960Y1 (ko) 적층형 양초
CN101012944B (zh) 直身锥形锅用节能活变护锅组合炉具
EP0579315A1 (en) Burner
CN203215762U (zh) 一种燃气灶的节能装置
CN207152405U (zh) 一种倒流香插香座
CN2249247Y (zh) 多芯蜡烛
JPS6041451Y2 (ja) コンロ用燃焼補助具
CN216448153U (zh) 一种助燃芯支架
CN206831489U (zh) 一种燃气灶具及其新型燃烧器
KR200296153Y1 (ko) 보일러의 열효율 증가용 연도 삽입부재
KR100449413B1 (ko) 고부하 예혼합 버너를 갖는 콘덴싱 가스보일러
CN2482020Y (zh) 多次燃烧锅炉
CN2211553Y (zh) 一种电热节能煤气灶辅助装置
PL6336S2 (pl) Swieczka urodzinowa
CN2396296Y (zh) 新型家用燃气灶燃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