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590B1 - 떡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떡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590B1
KR100777590B1 KR1020070005861A KR20070005861A KR100777590B1 KR 100777590 B1 KR100777590 B1 KR 100777590B1 KR 1020070005861 A KR1020070005861 A KR 1020070005861A KR 20070005861 A KR20070005861 A KR 20070005861A KR 100777590 B1 KR100777590 B1 KR 100777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haft
coupling
lid
rice 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항
Original Assignee
이준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항 filed Critical 이준항
Priority to KR102007000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시루에 수용된 물과 쌀가루의 반죽물을 가열부의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찜으로써, 가열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설치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떡 제조장치는
물이 혼합된 쌀가루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떡시루;
상기 떡시루에 수용된 쌀가루를 반죽물이 되게 교반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며,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연결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교반축이 돌출/형성된 교반구;
상기 교반구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떡시루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연결홈에 삽입/결합되는 제1 구동축이 구비된 제1 구동모터;
상기 교반구를 통해 혼합된 반죽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반죽물을 찌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떡시루의 개방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떡시루의 상부에 안착되며, 내측에 떡시루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이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떡시루, 마그네트론, 도파관, 구동모터, 뚜껑

Description

떡 제조장치{A rice cake ma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 중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떡시루 120 : 교반구
130 : 제1 구동모터 140 : 가열부
141 : 마그네트론 150 : 뚜껑
200 : 회동부 210 : 본체프레임
220 : 회전축 230 : 제2 구동모터
240 : 결합구 300 : 개폐부
310 : 연결바 320 : 연결축
C : 제어부
본 발명은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떡시루에 수용된 물과 쌀가루의 반죽물을 가열부의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찜으로써, 가열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설치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은 쌀(멥쌀과 찹쌀)을 주로 하고, 그 밖의 곡류로 만든 가공식품으로, 관혼상제의 의식 때에는 물론, 철에 따른 명절, 출산에 따르는 아기의 백일이나 돌, 또는 생일 ·회갑, 그 밖의 잔치에는 빼놓을 수 없는 고유의 전통음식이다.
이와 같은 떡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찹쌀가루, 소금, 설탕을 물과 일정 비율로 섞어 반죽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반죽물을 진공포장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 숙성된 반죽물을 떡시루에 담은 후, 뜨거운 증기를 이용하여 반죽물을 찌는 단계 → 증기로 쪄낸 성형물에 팥 또는 콩과 같이 각종 고물을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반죽물을 쪄서 떡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떡 제조장치는 반죽물이 담긴 떡시루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갖는 몸체와, 상기 떡시루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보일러와 상기 증기보일러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 한 물공급탱크 및 상기 증기보일러에 에너지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름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떡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떡 제조장치를 그 구성을 이루는 증기보일러, 물공급탱크 및 기름탱크가 대용량의 중량물일 뿐만 아니라 그 설치구조가 복잡하여 제한된 공간내에서 넓은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떡 제조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떡시루에 수용된 물과 쌀가루의 반죽물을 가열부의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통해 찜으로써, 가열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설치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떡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떡을 만들기 위한 떡시루의 내측에 별도의 교반축을 갖는 교반구를 설치함으로써, 떡시루에 수용된 물이 혼합된 쌀가루를 용이하게 반죽할 수 있도록 한 떡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떡 제조장치의 외측에 이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떡시루에 물이 혼합된 쌀가루의 투입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떡을 떡시루에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떡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혼합된 쌀가루를 반죽하여 이를 쪄서 떡을 만들기 위한 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물이 혼합된 쌀가루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 떡시루;
상기 떡시루에 수용된 쌀가루를 반죽물이 되게 혼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며,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연결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교반축이 돌출/형성된 교반구;
상기 교반구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떡시루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연결홈에 삽입/결합되는 제1 구동축이 구비된 제1 구동모터;
상기 교반구를 통해 혼합된 반죽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반죽물을 찌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떡시루의 개방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떡시루의 상부에 안착되며, 내측에 떡시루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이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열부는 그 내측에 외부 전원이 인가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론과 떡시루 사이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상기 떡시루의 공간부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파관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떡 제조장치에는 상기 떡시루에 수용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떡 제조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부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부는
받침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한 쌍의 설치박스가 구비된 본체프레임;
상기 한 쌍의 설치박스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의 설치박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교차축기어를 통해 연결된 제2 구동모터 및
상기 떡시루와 제1 구동모터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제1 구동축이 삽입/연결되는 결합공과 상기 회전축이 삽입/연결되는 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 상기 체결홈과 볼트체결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공을 갖는 연결편이 돌출/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뚜껑은 그 상부에 뚜껑을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부를 설치하되,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설치박스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그 자유단측에 체결공을 갖는 연결구가 고정/설치된 연결바 및
상기 체결공과 볼트체결을 이루어 하부가 상기 뚜껑에 고정/설치되며,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연결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떡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떡 제조장치(100)는 떡시루(110), 교반구(120), 제1 구동모터(130), 가열부(140) 및 뚜껑(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떡시루(110)는 그 내측에 물이 혼합된 쌀가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설치공(1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떡시루(110)는 그 내부의 온도를 보온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구(120)는 상기 떡시루(110)에 수용된 물이 함유된 쌀가루를 반죽물이 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111) 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구(120)는 그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연결홈(12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교반축(123)이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구동모터(130)는 상기 교반구(12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떡시루(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구동모터(130)에 구비된 제1 구동축(131)은 상기 설치공(113)을 통해 교반구(120)의 연결홈(121)에 삽입/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구동모터(130)에 외부 전원이 인가시 제1 구동모터(130)에서는 회전력이 발생하며, 그 회전력은 제1 구동축(131)을 통해 교반 구(120)로 전달되어 교반구(120)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가열부(140)는 상기 교반구(120)를 통해 혼합된 반죽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반죽물을 찔 수 있도록 상기 떡시루(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열부(140)는 그 내측에 외부 전원이 인가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141)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론(141)과 떡시루(110) 사이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마그네트론(141)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상기 떡시루(110)의 공간부(111)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파관(14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뚜껑(150)은 상기 떡시루(110)의 개방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떡시루(110)의 상부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뚜껑(150)은 그 내측에 떡시루(110)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15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떡 제조장치(100)에는 상기 떡시루(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떡 제조장치(100)를 내용물을 빼기 편리한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200)는 본체프레임(210), 회전축(220), 제2 구동모터(230) 및 결합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프레임(210)은 판상체의 받침플레이트(213)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공간을 갖는 설치박스(21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설치박스(211) 사이에는 회전축(2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20)은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체결홈(221)이 형성된 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설치박스(211) 중 일측의 설치박스(211) 내에는 상기 회전축(22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2 구동모터(23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20)과 제2 구동모터(230) 사이에는 상기 제2 구동모터(230)의 수직방향 회전력을 수평방향 회전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교차축기어(23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구(240)는 상기 떡시루(110)와 제1 구동모터(130)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240)는 그 내측에 상기 제1 구동축(131)이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구된 결합공(241)과 상기 회전축(220)이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좌/우로 개구된 통공(243)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결합구(240)의 상부 양측에 연결편(245)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각 연결편(245)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홈(221)과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홈(221)과 연통관계를 갖는 연결공(24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뚜껑(150)은 그 상부에 뚜껑(150)을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부(3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300)는 연결바(310) 및 연결축(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바(310)는 상기 설치박스(211)의 상부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그 자유단측에 연결구(311)가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311)는 그 내측에 나선을 갖는 체결공(3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축(320)은 상기 체결공(313)과 볼트체결을 이룬다. 이때, 상 기 연결축(320)은 그 하부가 상기 뚜껑(15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부에 손잡이(3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140)의 외주면에는 마그네트론(141), 제1 구동모터(130) 및 제2 구동모터(230)의 작동관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C)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떡 제조장치는 떡시루에 수용된 물과 쌀가루의 반죽물을 가열부의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통해 찜으로써, 가열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설치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 중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321)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축(320)을 연결구(311)에서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구(311)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결축(320)의 하부에 설치된 뚜껑(15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떡시루(110)를 개방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C)를 통해 상기 제2 구동모터(2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구동모터(230)와 교차축기어(231)를 통해 연결된 회전축(220) 및 결합구(240)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220)과 결합구(240)의 회전각도는 상기 떡시루(110)에 물이 혼합된 쌀가루를 떡시루(110)의 내부에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합구(240)가 회전하면, 상기 떡시루(110)와 제1 구동모터(130)가 회전하여 상기 떡시루(110)에 내용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C)를 통해 제2 구동모터(2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떡시루(110)가 직립의 각도가 되도록 한 후, 상기 손잡이(32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뚜껑(150)이 떡시루(110)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C)를 통해 가열부(140)의 마그네트론(141) 및 제1 구동모터(130)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마그네트론(141)이 작동하면, 상기 마그네트론(141)을 통해 발생한 마이크로파는 도파관(143)을 통해 상기 떡시루(110) 내부로 조사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물이 혼합된 쌀가루의 반죽물을 찌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반죽물은 상기 제1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교반구(120)의 교반축(123)에 의해 용이하게 반죽 된다.
이때, 상기 반죽물이 쪄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상기 뚜껑(150)에 내설된 송풍팬(1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떡을 떡시루(110)에서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321)를 회전시켜 떡시루(110)를 개방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C)를 통해 상기 제2 구동모터(2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구동모터(230)와 교차축기어(231)를 통해 연결된 회전축(220) 및 결합구(240)가 회전하여 상기 떡시루(110)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그 내부에 있는 떡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떡 제조장치(100)는 떡시루에 수용된 물과 쌀가루의 반죽물을 가열부의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통해 찜으로써, 가열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떡시루에 수용된 물과 쌀가루의 반죽물을 가열부의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찜으로써, 가열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설치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떡을 만들기 위한 떡시루의 내측에 별도의 교반축을 갖는 교반구를 설치함으로써, 떡시루에 수용된 물이 혼합된 쌀가루를 용이하게 반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떡 제조장치의 외측에 이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떡시루에 물이 혼합된 쌀가루의 투입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떡을 떡시루에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물이 혼합된 쌀가루를 반죽하여 이를 쪄서 떡을 만들기 위한 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물이 혼합된 쌀가루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부(111)를 갖는 떡시루(110);
    상기 떡시루(110)에 수용된 쌀가루를 반죽물이 되게 혼합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111) 내에 설치되며, 내측에 하방으로 개구된 연결홈(12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개의 교반축(123)이 돌출/형성된 교반구(120);
    상기 교반구(12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떡시루(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연결홈(121)에 삽입/결합되는 제1 구동축(131)이 구비된 제1 구동모터(130);
    상기 교반구(120)를 통해 혼합된 반죽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반죽물을 찌기 위한 가열부(140) 및
    상기 떡시루(110)의 개방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떡시루(110)의 상부에 안착되며, 내측에 떡시루(110)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151)이 설치된 뚜껑(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140)는 그 내측에 외부 전원이 인가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141)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론(141)과 떡시루(110) 사이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마그네트론(141)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상기 떡시루(110)의 공간부(111)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파관(14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떡 제조장치(100)에는 상기 떡시루(1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떡 제조장치(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부(200)를 설치하되,
    상기 회동부(200)는
    받침플레이트(213)의 상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한 쌍의 설치박스(211)가 구비된 본체프레임(210);
    상기 한 쌍의 설치박스(211)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체결홈(221)이 형성된 회전축(220);
    상기 회전축(22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의 설치박스(211) 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20)과 교차축기어(231)를 통해 연결된 제2 구동모터(230) 및
    상기 떡시루(110)와 제1 구동모터(130)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제1 구동축(131)이 삽입/연결되는 결합공(241)과 상기 회전축(220)이 삽입/연결되는 통 공(243)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 상기 체결홈(221)과 볼트체결을 이룰 수 있도록 연결공(247)을 갖는 연결편(245)이 돌출/형성된 결합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50)은 그 상부에 뚜껑(150)을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개폐부(300)를 설치하되,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설치박스(211)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그 자유단측에 체결공(313)을 갖는 연결구(311)가 고정/설치된 연결바(310) 및
    상기 체결공(313)과 볼트체결을 이루어 하부가 상기 뚜껑(150)에 고정/설치되며, 상부에 손잡이(321)가 구비된 연결축(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KR1020070005861A 2007-01-19 2007-01-19 떡 제조장치 KR100777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861A KR100777590B1 (ko) 2007-01-19 2007-01-19 떡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861A KR100777590B1 (ko) 2007-01-19 2007-01-19 떡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590B1 true KR100777590B1 (ko) 2007-11-28

Family

ID=3908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861A KR100777590B1 (ko) 2007-01-19 2007-01-19 떡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5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65B1 (ko) * 2015-04-22 2017-05-23 농업회사법인 (주) 남양식품 반조리 곡물의 제조 방법
KR102043634B1 (ko) 2019-03-25 2019-11-12 (주)아크 마이크로웨이브 스팀 반죽 가공 방법
KR102047243B1 (ko) 2019-03-25 2019-11-21 (주)아크 마이크로웨이브 스팀 반죽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641A (ja) * 1992-12-14 1994-06-28 Iida Seisakusho:Yugen 真空冷却式蒸練機
KR19980027588U (ko) * 1996-11-18 1998-08-05 임생규 떡 제조기용 반죽물 회전노즐 개선 구조
JP2005253422A (ja) * 2004-03-15 2005-09-22 Iida Seisakusho:Kk 蒸練機
KR20070006298A (ko) * 2005-07-08 2007-01-11 조연식 전동식 떡 제조기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641A (ja) * 1992-12-14 1994-06-28 Iida Seisakusho:Yugen 真空冷却式蒸練機
KR19980027588U (ko) * 1996-11-18 1998-08-05 임생규 떡 제조기용 반죽물 회전노즐 개선 구조
JP2005253422A (ja) * 2004-03-15 2005-09-22 Iida Seisakusho:Kk 蒸練機
KR20070006298A (ko) * 2005-07-08 2007-01-11 조연식 전동식 떡 제조기
KR20190000910A (ko) * 2009-08-03 2019-01-03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T 조절 세포의 생체 내 확장 방법
KR20190000960A (ko)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65B1 (ko) * 2015-04-22 2017-05-23 농업회사법인 (주) 남양식품 반조리 곡물의 제조 방법
KR102043634B1 (ko) 2019-03-25 2019-11-12 (주)아크 마이크로웨이브 스팀 반죽 가공 방법
KR102047243B1 (ko) 2019-03-25 2019-11-21 (주)아크 마이크로웨이브 스팀 반죽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727B1 (en) Popcorn kettle with integrated agitator
WO200612405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dehydrated powedered food
US6718867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ingredients of foods/beverages
US9924825B2 (en) Cooking appliance
CN108201331B (zh) 一种具有炒菜装置的微波炉
KR100777590B1 (ko) 떡 제조장치
CN102481071A (zh) 自动制面包机
CN206603590U (zh) 用于微波炉的炒菜装置及具有该炒菜装置的微波炉
KR20160025837A (ko) 배출 증기를 이용한 음식물 교반장치
CN212589992U (zh) 一种新型挂面生产用面粉熟化装置
KR101809381B1 (ko) 알밥 성형장치
CN108209644A (zh) 烹饪设备及烹饪设备的控制方法
JP3282574B2 (ja) 餅搗き兼用パン焼き器
JP2000342951A (ja) 食品攪拌装置
CN207492550U (zh) 烹饪器具
KR101318563B1 (ko) 죽 제조장치
CN209202951U (zh) 料理装置
KR20180065006A (ko) 알밥 성형장치
KR101162968B1 (ko) 자동 조리기
CN111820777A (zh) 搅拌装置与烹饪设备
KR200371366Y1 (ko) 음식물 제조를 위한 교반 장치
CN219479844U (zh) 一种食品加工机
CN217312844U (zh) 一种膨化食品加工用搅拌装置
TWI835490B (zh) 煮鍋落料裝置
CN218854305U (zh) 一种l-硒-甲基硒代半胱氨酸合成用搅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