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929B1 - 회전형 소켓 - Google Patents

회전형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929B1
KR102282929B1 KR1020200115165A KR20200115165A KR102282929B1 KR 102282929 B1 KR102282929 B1 KR 102282929B1 KR 1020200115165 A KR1020200115165 A KR 1020200115165A KR 20200115165 A KR20200115165 A KR 20200115165A KR 102282929 B1 KR102282929 B1 KR 10228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ositioning plate
plug
rotat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호 filed Critical 최정호
Priority to KR102020011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929B1/ko
Priority to EP20953449.4A priority patent/EP4207512A4/en
Priority to PCT/KR2020/095139 priority patent/WO202205504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22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멀티탭의 소켓이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멀티탭에 적용되는 회전형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소켓은 상부 케이스의 개구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하부에 체결되는 위치 조정판과, 상기 위치 조정판의 측면에 설치되는 위치 지정 핀을 포함하여, 상기 소켓이 회전할 때 상기 위치 조정판이 회전하고 상기 위치 조정판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홈에 상기 위치 지정 핀이 체결되어 상기 소켓이 일정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형 소켓{Rotation type socket}
본 발명은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멀티탭의 소켓이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멀티탭에 적용되는 회전형 소켓에 관한 것이다.
멀티탭은 다수 개의 소켓(콘센트)을 병렬로 연결시켜서 여러 개의 플러그를 동시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 장치가 많아짐에 따라 필요한 콘센트의 개수도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사무실이나 가정에 많은 수의 콘센트를 설치하는 것은 비용상으로 효율적이지 않고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실내 규모를 감안하여 적절한 개수의 매립형 콘센트를 구비하고 필요한 경우에 멀티탭을 콘센트에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러 개의 소켓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멀티탭에 복수의 플러그를 꽂아서 사용하다 보면 인접한 소켓에 꽂혀 있는 다른 플러그와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멀티탭을 구성하는 복수의 소켓 사이의 간격이 좁고 플러그의 크기가 서로 다르며, 플러그 단자의 폭이 소켓의 단자 삽입구의 크기보다 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멀티탭의 가장 바깥 쪽에 위치하는 소켓의 경우에는 플러그를 삽입하는 방향을 조절하여 어느 정도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소켓은 플러그를 어느 방향으로 꽂던지 상관없이 인접하는 소켓과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멀티탭의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멀티탭을 모듈 형태로 구성하고 모듈을 끼울 때 방향을 바꿔 끼움으로써 플러그의 삽입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는 멀티탭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모듈형 멀티탭의 경우 플러그 삽입 방향을 다르게 하기 위해 모듈을 뺏다 끼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무엇보다 모듈 자체를 끼우는 방식이라서 플러그의 회전 각도에 제한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85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탭의 소켓에 플러그를 삽입할 때 플러그 간 간섭이 없는 회전형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탭의 소켓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회전형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소켓은 상부 케이스의 개구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하부에 체결되는 위치 조정판과, 상기 위치 조정판의 측면에 설치되는 위치 지정 핀을 포함하여, 상기 소켓이 회전할 때 상기 위치 조정판이 회전하고 상기 위치 조정판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홈에 상기 위치 지정 핀이 체결되어 상기 소켓이 일정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의 하부에 플러그 핀 구멍에 대응하는 보호 마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소켓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핀 구멍을 통해 플러그 핀이 삽입되면 플러그 핀에 의해 상기 보호 마개가 밀려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고정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소켓의 회전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체결되는 하부 케이스에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의 중심에 상기 소켓의 접지 단자와 접속하는 접지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 전극을 중심으로 주변에 상기 소켓의 회전 간격에 대응하여 플러그 핀이 접속하는 복수의 플러그 핀 전극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소켓은 멀티탭에서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종래 모듈형 멀티탭과 같이 소켓 모듈을 뺏다 끼울 필요 없이 편리하게 소켓의 플러그 삽입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켓의 하부에 체결되는 위치 조정판의 홈 간격을 다르게 형성하여 소켓의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이 삽입되는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부를 형성하여 멀티탭에서 개별 소켓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되 플러그가 삽입되면 소켓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멀티탭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소켓을 구비한 멀티탭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드 모듈(회전형 소켓)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소켓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소켓의 위치 조정판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소켓에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소켓에 플러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 및 접지 단자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이나 "…부" 또는 "…부재"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성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소켓을 구비한 멀티탭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소켓을 구비한 멀티탭은 메인 모듈(10), 서브 모듈(20) 및 엔드 모듈(30)로 구성된다.
메인 모듈(10)에는 코드(11)가 연결되어 있어서 메인 모듈(10)은 콘센트에 연결된다. 메인 모듈(10)은 서브 모듈(20)과 연결되고 서브 모듈(20)은 엔드 모듈(30)과 연결되어 있다. 서브 모듈(20) 및 서버 모듈(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소켓이 적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소켓이 적용된 엔드 모듈(30)에 플러그(40)가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엔드 모듈(30)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엔드 모듈(3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소켓(100)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소켓(100)은 하부 케이스(101)와 상부 케이스(102)가 체결되어 외관을 이루고 있으며, 상부 케이스(102)의 개구(103)에 소켓(104)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구조이다. 소켓(104)의 상부 둘레에는 걸림 턱(104a)이 형성되어, 소켓(104)이 상부 케이스(102)의 개구(103)에 삽입될 때 걸림 턱(104a)에 의해 소켓(104)이 상부 케이스(102)의 상면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용자가 걸림 턱(104a) 자체 또는 걸림 턱(104)에 연장된 돌기(1)에 손가락을 접촉시켜 회전시키면 소켓(104)이 상부 케이스(102)의 상면에 걸린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켓(104)에 플러그를 삽입하지 않아도 소켓(10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먼저 소켓(104)을 회전시켜 플러그 삽입 방향(위치)을 결정한 후에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다.
소켓(104)의 하부는 위치 조정판(105)과 체결되어 있다. 소켓(104)이 회전하면 소켓(104)과 체결된 위치 조정판(105)이 회전한다. 위치 조정판(105)의 외주연(둘레)에는 45도 간격으로 홈(10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정판(105)이 회전할 때 위치 지정 핀(108)에 홈(105a)이 걸리면서 소켓(104)이 고정된다. 위치 지정 핀(108)은 위치 지정 프레임(107)에 삽입되어 있으며 위치 지정 핀(108)의 후면에 스프링(109)이 설치되어 있다.
소켓(104)은 45도씩 위치가 변경되면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위치 조정판(105)이 회전할 때 위치 지정 핀(108)이 스프링(109)을 압축하게 되고, 홈(105a)이 위치 지정 핀(108)과 만날 때 압축된 스프링(109)이 복원되면서 스프링(109)의 복원력에 의해 위치 지정 핀(108)이 홈(105a)으로 들어간다. 위치 지정 핀(108)이 홈(105a)에 체결되면서, 회전하던 소켓(104)이 회전을 멈추고 고정된다.
즉, 소켓(104)이 회전할 때 위치 조정판(105)이 회전하고 위치 조정판(105)의 홈(105a)에 위치 지정 핀(108)이 체결되어 소켓(104)이 45도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켓(104)의 회전 각도가 45도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105a)의 간격을 변경하여 소켓(104)의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소켓에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소켓에 플러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소켓(104)의 하부에는 플러그 핀 구멍(112)에 대응하는 보호 마개(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02)의 내부에는 소켓(104)의 회전을 가이드하면서 차단하기 위한 고정부(106)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106)의 외주연(둘레)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 홈(106a)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핀 구멍(112)을 통해 플러그 핀(41)이 삽입되면, 플러그 핀(41)에 의해 보호 마개(110)가 밀리면서 고정 홈(106a)에 삽입된다. 보호 마개(110)가 고정 홈(106a)에 걸리게 되면, 소켓(104)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플러그 핀(41)이 삽입되어 보호 마개(110)가 밀릴 때 보호 마개(110)에 설치된 스프링(111)이 압축되고, 이후 플러그 핀(41)을 뽑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111)이 복원되면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보호 마개(110)가 원 위치로 돌아온다. 보호 마개(110)가 원 위치로 돌아오면 다시 소켓(104)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 및 접지 단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PCB)(115)이 부착되어 있고, PCB(115) 상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116)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전극(116)은 중앙의 접지 전극(116a)와 주변의 플러그 핀 전극(11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지 전극(116a)에는 접지 단자(120)의 하부 단자(122)가 접속하고, 플러그 핀 전극(116b)에는 플러그 핀(41)이 접속된다.
플러그 핀 전극(116b)은 접지 전극(116a)의 주변에서 45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소켓(104)이 45도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어떤 각도에 있더라도 플러그(40)가 회전형 소켓(10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접지 단자(120)는 소켓(104)에 설치된다. 접지 단자(120)의 상부 단자(121)는 소켓(104) 하부의 접지 구멍(114)에 삽입되어 소켓(104) 내벽에 안착되고, 하부 단자(122)는 위치 조정판(105)에 형성된 접지 구멍(113)에 삽입되어 하부 케이스(101)의 접지 전극(116a)에 접속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메인 모듈 20: 서브 모듈
30: 엔드 모듈 40: 플러그
100: 회전형 소켓 101: 하부 케이스
102: 상부 케이스 104: 소켓
105; 위치 조정판 106: 고정부
107: 위치 지정 프레임 108: 위치 지정 핀
109: 위치 지정 핀 스프링 110: 보호마개
111: 보호마개 스프링 112: 플러그 핀 구멍
113: 하부 단자 접지 구멍 114: 상부 단자 접지 구멍
115: PCB 116: 전극
120: 접지 단자

Claims (4)

  1. 상부 케이스의 개구에 삽입되되 그 상부 둘레에 형성된 걸림 턱에 의해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걸려 플러그 삽입 없이도 상기 걸림 턱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하부에 체결되는 위치 조정판과,
    상기 위치 조정판의 측면에 설치되는 위치 지정 핀을 포함하여,
    상기 소켓이 회전할 때 상기 위치 조정판이 회전하고 상기 위치 조정판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홈에 상기 위치 지정 핀이 체결되어 상기 소켓이 일정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소켓.
  2. 상부 케이스의 개구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하부에 체결되는 위치 조정판과,
    상기 위치 조정판의 측면에 설치되는 위치 지정 핀을 포함하여,
    상기 소켓이 회전할 때 상기 위치 조정판이 회전하고 상기 위치 조정판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홈에 상기 위치 지정 핀이 체결되어 상기 소켓이 일정 간격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되고,
    상기 소켓의 하부에 플러그 핀 구멍에 대응하는 보호 마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소켓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핀 구멍을 통해 플러그 핀이 삽입되면 플러그 핀에 의해 상기 보호 마개가 밀려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고정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소켓의 회전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체결되는 하부 케이스에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의 중심에 상기 소켓의 접지 단자와 접속하는 접지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을 중심으로 주변에 상기 소켓의 회전 간격에 대응하여 플러그 핀이 접속하는 복수의 플러그 핀 전극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소켓.
KR1020200115165A 2020-09-09 2020-09-09 회전형 소켓 KR102282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165A KR102282929B1 (ko) 2020-09-09 2020-09-09 회전형 소켓
EP20953449.4A EP4207512A4 (en) 2020-09-09 2020-11-11 ROTARY SOCKET
PCT/KR2020/095139 WO2022055048A1 (ko) 2020-09-09 2020-11-11 회전형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165A KR102282929B1 (ko) 2020-09-09 2020-09-09 회전형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929B1 true KR102282929B1 (ko) 2021-07-27

Family

ID=7712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165A KR102282929B1 (ko) 2020-09-09 2020-09-09 회전형 소켓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207512A4 (ko)
KR (1) KR102282929B1 (ko)
WO (1) WO202205504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515Y1 (ko) 2000-04-07 2000-10-02 이학범 회전형 멀티탭
KR20010084128A (ko) * 2000-02-24 2001-09-06 이장우 콘센트
KR20150084459A (ko) * 2014-01-14 2015-07-22 김선무 회전식 멀티탭
KR20150089861A (ko) * 2014-01-28 2015-08-05 이재룡 멀티 탭 콘센트
KR20160109123A (ko) * 2015-03-10 2016-09-21 변은기 고정밴드가 구비되는 전기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65Y1 (ko) * 2004-09-24 2004-12-14 신동아전기(주)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GB201310129D0 (en) * 2013-06-07 2013-07-24 Four Power Solution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socke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128A (ko) * 2000-02-24 2001-09-06 이장우 콘센트
KR200198515Y1 (ko) 2000-04-07 2000-10-02 이학범 회전형 멀티탭
KR20150084459A (ko) * 2014-01-14 2015-07-22 김선무 회전식 멀티탭
KR20150089861A (ko) * 2014-01-28 2015-08-05 이재룡 멀티 탭 콘센트
KR20160109123A (ko) * 2015-03-10 2016-09-21 변은기 고정밴드가 구비되는 전기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7512A4 (en) 2024-02-14
EP4207512A1 (en) 2023-07-05
WO2022055048A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4427B1 (en) Power and communications grommet
US7238028B2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US6364716B1 (en) Adaptor with rotary plug
US20170264059A1 (en) Powered wall plate system for an electrical outlet
US5902140A (en) Child-safe power strip
US6234812B1 (en) Retractable power and communication outlet arrangements
GB2447515A (en) Foldable power supply device
US20100279525A1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US7695293B1 (en) Childproof electrical outlet covering system
US20030045143A1 (en) Rotable plug applied in electronic equipment
CA2167016A1 (en) Outlet adapter
EP3208895B1 (en) Adjustable rotary socket assembly
US20170141505A1 (en) Retractable recessed electrical outlet and data port assembly
US10063051B2 (en) Electrical sockets
US20180034220A1 (en) Retractable Recessed Electrical Outlet and Data Port Assembly
KR102282929B1 (ko) 회전형 소켓
US6780038B1 (en) Multiple socket having rotatable receptacles
US20040026103A1 (en) Cable management device
KR102293721B1 (ko) 전극 마운트 구조를 가진 회전형 소켓
US9929480B1 (en) Shielded keystone jack structure
ZA201001464B (en) Power supply structure having sockets into which plugs can be inserted
KR101717237B1 (ko) 회전형 멀티탭
KR100322278B1 (ko) 콘센트
CN215896871U (zh) 可旋转usb装置
KR0122976Y1 (ko) 110v/220v 겸용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