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565Y1 -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 Google Patents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565Y1
KR200370565Y1 KR20-2004-0027579U KR20040027579U KR200370565Y1 KR 200370565 Y1 KR200370565 Y1 KR 200370565Y1 KR 20040027579 U KR20040027579 U KR 20040027579U KR 200370565 Y1 KR200370565 Y1 KR 200370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ground
ground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홍기
Original Assignee
신동아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아전기(주) filed Critical 신동아전기(주)
Priority to KR20-2004-0027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5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5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6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mounted on directly pluggable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전기기구의 플러그가 삽입가능한 다수의 콘센트(110)가 단부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원형의 결합통공(120)이 형성된 콘센트본체(100)와; 상기 콘센트본체의 결합통공(120)에 회동가능하도록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콘센트본체의 콘센트(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전플러그(200)와; 상기 콘센트(110)의 플러그삽입홈(111) 내측으로 돌출설치된 접지돌기(310)와, 이격된 상기 접지돌기(310) 다수에 함께 접속되는 접지연결편(320)이 구비된 콘센트접지구(300)와; 상기 회전플러그(200) 측부에 노출되게 설치된 접지돌기접속편(410)과, 상기 접지돌기접속편(410) 및 상기 콘센트접지구의 접지연결편(320)에 접속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플러그(200)의 회동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가능한 길이로 연장형성된 접지선(420)이 구비된 플러그접지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콘센트본체와 플러그부가 임의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콘센트 및 플러그가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형성 및 조정하는 동안에도 접속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정된 접지구조를 구현하여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Earthly and rotational T-type multitap}
본 고안은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콘센트가 단부에 형성된 콘센트본체와, 상기 콘센트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플러그와, 다수의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에 접속 및 연결되는 콘센트접지구와, 상기 콘센트접지구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플러그의 회전에도 유연하게 변형되어 안정되게 접속 및 연결유지되는 플러그접지구가 구비되어, 콘센트의 접속부가 임의로 회전 및 이동가능하며, 회전플러그 또는 콘센트의 회전에도 콘센트 및 회전플러그에 설치된 접지구가 안정되게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여러개의 플러그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구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삽입구를 갖는 플러그는 통상 벽면 매입형이거나 또는 멀티탭이라는 형태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에서 T형 멀티탭은 T자형으로 생겨 좌우방향과 상방 또는 전방에 콘센트를 형성하여 3개의 플러그를 연결시킬 수 있는 멀티탭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T형 멀티탭은 도1에 도시된 T형 멀티탭의 사시도와 같으며, 전원의 양극과 음극은 메인플러그로의 전극봉을 따라 입력되어 도전체로 연결된 각 콘센트로 전달되고, 각 콘센트는 전기기구의 플러그들이 삽입 및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전원에 3개의 전기기구를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T형 멀티탭은 일단 전원콘센트에 삽입되어 연결되면 회전이 불가능한 고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멀티탭이 삽입되는 콘센트가벽이나 가구 또는 가전제품 등에 가까이 있는 경우 플러그를 삽입하기가 곤란하거나, 심지어 불가능한 경우도 있어 멀티탭으로서의 기능이 약화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85298호, 제285299호와 같은 회전식 티자형 멀티탭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가 형성된 본체와, 플러그를 전극봉과 도전적으로 연결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수평안내홈을 대칭형성시키도록 구성시키고, 콘센트본체를 상기 플러그와 결합시 상기 수평안내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돌기를 형성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와 결합하는 콘센트본체의 외부면에 다수의 안내홈을 형성하고 도전띠를 감으며, 플러그에는 상기 안내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도전체 탄성편을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플러그부와 콘센트본체와의 접속이 안정되게 유지되지 못해 접속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높으며, 회동 및 접속구조를 구비하기 위해 플러그부의 크기가 비대해지고, 안정된 접지구조를 구현하기 어려워 단자간의 간섭이나 감전에 따른 안전상의위험이 따른다는 문제점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콘센트본체와 플러그부가 임의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콘센트 및 플러그가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형성 및 조정하는 동안에도 접속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정된 접지구조를 구현하여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 종래의 일반적인 T형멀티탭
도 2 - 종래기술1의 요부사시도
도 3 - 종래기술2의 분해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 도 4의 횡단면도
도 6 - 도 4의 측단면도
도 7 - 콘센트본체의 종단면도
도 8 - 회전플러그의 회전 및 멈춤을 도시한 요부정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콘센트본체 110 : 콘센트
111: 플러그삽입홈 120 : 결합통공
121 : 회전안내홈 122 : 회전각도고정홈
130 : 회전멈춤걸림턱 131 : 접지선걸림홈
200 : 회전플러그 221 : 회전돌기
222 : 회전각도고정돌기 223 : 회전멈춤돌기
300 : 콘센트접지구 310 : 접지돌기
320 : 접지연결편 400 : 플러그접지구
410 : 접지돌기접속편 420 : 접지선
421 : 접지볼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전기기구의 플러그가 삽입가능한 다수의 콘센트(110)가 단부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원형의 결합통공(120)이 형성된 콘센트본체(100)와; 상기 콘센트본체의 결합통공(120)에 회동가능하도록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콘센트본체의 콘센트(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전플러그(200)와; 상기 콘센트(110)의 플러그삽입홈(111) 내측으로 돌출설치된 접지돌기(310)와, 이격된 상기 접지돌기(310) 다수에 함께 접속되는 접지연결편(320)이 구비된 콘센트접지구(300)와; 상기 회전플러그(200) 측부에 노출되게 설치된 접지돌기접속편(410)과, 상기 접지돌기접속편(410) 및 상기 콘센트접지구의 접지연결편(320)에 접속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플러그(200)의 회동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가능한 길이로 연장형성된 접지선(420)이 구비된 플러그접지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본체(100)는, 상기 결합통공(120) 둘레에 회전안내홈(121)이 형성되며, 45°간격으로 다수의 회전각도고정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플러그(200)의 회전기준위치에 회전멈춤걸림턱(13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전플러그(200)는, 상기 콘센트본체(100)와의 결합단부 둘레에 상기 회전안내홈(121)에 삽입되는 회전돌기(221)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각도고정홈(122)에 끼워져 걸림되는 회전각도고정돌기(222) 한쌍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멈춤걸림턱(130)에 걸려 ±90°회전제한되도록 회전멈춤돌기(223)가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러그접지구의 접지선(420)은, 일측의 접속단부가 접지볼트(421)에 의해 상기 접지연결편(320)에 접속되고, 상기 접지연결편(320)과 함께 상기 콘센트본체(100)상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본체의 회전멈춤걸림턱(130)은, 상기 플러그접지구의 접지선(420)이 끼워져 통과되는 접지선걸림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접지선걸림홈(131)은 상기 접지선(420)의 이동 및 변형에도 지지가능하도록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센트본체와 플러그부가 임의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 및 플러그가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형성 및 조정하는 동안에도 접속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정된 접지구조를 구현하여 단자간의 간섭이나 감전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형성하는 콘센트 및 플러그구조에 안정되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접지구조에 비해 조립성이 향상되고, 본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접지구조를 다른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콘센트본체의 종단면도이며, 도 8은 회전플러그의 회전 및 멈춤을 도시한 요부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은 크게 콘센트본체(100), 회전플러그(200), 콘센트접지구(300), 플러그접지구(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센트본체(100)는 T자형으로 형성되며 그 단부마다 전기기구의 플러그가 삽입가능한 다수의 콘센트(11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플러그(200)는 원통형의 하우징이 상기 콘센트(11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콘센트접지구(300)는 상기 콘센트본체의 콘센트(110)마다 접지돌기(310)를 설치하고 상기 접지돌기(310)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며, 상기 플러그접지구(400)는 상기 회전플러그(200)에 노출되게 접지돌기접속편(410)을 설치하고 상기 접지돌기접속편(410)과 상기 콘센트접지구(300)에 양접속단부가 결합되는 접지선(420)을 구비한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본구성에 의해 상기 콘센트본체(100)와 회전플러그(200)의 상대적인 회전구조에 하나의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상기 콘센트본체(100)와 회전플러그(200)가 상대적으로 회전됨에도 불구하고 접지구간의 접속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접지구조에 다른 주안점을 두고 있다.
먼저 콘센트본체(100)와 회전플러그(200)의 상대적인 회전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콘센트본체(100)의 측면에는 원형의 결합통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공(120) 둘레에는 회전안내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플러그(200)는 원통형 하우징의 단부둘레에 회전돌기(221)를 구비하여 상기 콘센트본체의 회전안내홈(121)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콘센트본체(100)와 회전플러그(200)가 상호결속되고, 상기 회전안내홈(121) 및 회전돌기(221)의 감합구조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플러그(2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콘센트(110)와 회전플러그(200)에 설치된 전극을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유지시키고, 접지구간에도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플러그(200)의 상대적인 회전범위를 한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플러그(200)가 상기 콘센트본체와 회전각도를 형성한 상태에서도 플러그 및 전선의 무게 등에 따른 소정의 하중은 지탱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상기 회전플러그(200)가 45°간격으로 ±90°이내의 범위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구조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a)는 초기상태, (b)는 -45°회전된 상태, (c)는 -90°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콘센트본체의 결합통공(110) 둘레에는 45°간격으로 다수의 회전각도고정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플러그(200)가 ±90°회전되는 기준위치에는 회전멈춤걸림턱(130)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회전플러그(200)에는 상기 콘센트본체(100)의 회전각도고정홈(122)에 끼워져 걸림되는 회전각도고정돌기(222) 한쌍이 상기 회전멈춤걸림턱(13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측에 45°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플러그(200)가 ±90°까지 회전되었을 시에는 상기 회전멈춤걸림턱(130)에 걸려 회전제한될 수 있는 위치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회전멈춤돌기(223)가 형성된다.
도 8에서 a--선은 상기 회전멈춤돌기(223)의 단부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b--선은 상기 회전각도고정돌기(222)의 위치 및 상대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회전플러그(200)를 반시계방향으로 45°회전시키면 상기 회전각도고정돌기(222)가 초기위치에서 45°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상기 회전각도고정홈(122)상에 걸려 소정이상이나 해제가능한 특정가압이 주어지지 않으면 정지상태를 지속하게 되며,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45°더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각도고정돌기(222)가 상기 회전각도고정홈(122)의 유연한 측면부를 타고 내측단부를 따라 이동하다가 초기위치에서 90°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상기 회전각도고정홈(122)에 걸려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90°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멈춤돌기(223)의 단부는 상기 회전멈춤걸림턱(130)의 측면에 밀접하게되어 더이상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그로부터 반대방향(시계방향)으로는 상기와 같은 회전 및 멈춤구조로 180°회전가능하고 정지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회전구조상에서도 상기 콘센트(110)와 회전플러그(200) 접지단자간의 접속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접지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콘센트접지구(300)로는 접지돌기(310)와 접지연결편(320)이 구비되며, 상기 접지돌기(310)는 상기 콘센트본체(100)의 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콘센트(110)에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될 시 측면을 감싸게 되는 플러그삽입홈(111) 내측으로 돌출설치되어 삽입된 플러그의 측면에 형성된 접지편에 접촉하게되며, 상기 접지연결편(320)은 각각의 콘센트(110)마다 설치되어 이격된 상기 접지돌기(310) 다수에 함께 접속됨에 따라 다수의 상기 접지돌기(3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플러그접지구(400)로는 접지돌기접속편(410)과 접지선(420)이 구비되며, 상기 접지돌기접속편(410)은 상기 회전플러그(200)가 벽부 등에 설치된 콘센트에 삽입될 시 콘센트에 형성된 접지편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플러그(200) 측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접지선(420)은 상기 접지돌기접속편(410)과 상기 콘센트접지구의 접지연결편(320)에 양접속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플러그(200)에 고정설치된 접지편과 상기 콘센트(110)에 고정설치된 접지편을 유연하게 상호 접속시키게 된다.
상기 플러그접지구의 접지선(420)은 상기 회전플러그(20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플러그의 접지돌기접속편(410)과의 접속단부가 이동되므로, 상기 회전플러그(200)의 회전시에도 상기 콘센트접지구의 접지연결편(320)에 접속된 단부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유연하게 변형가능한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한다.
도 5, 6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 상기 플러그접지구의 접지선(420)은 상기 콘센트접지구의 접지연결편(320)과의 접속단부가 접지볼트(421)에 의해 접속 및 고정결합되고, 상기 접지볼트(421)는 상기 접지선(420)의 접속단부 및 접지연결편(320)을 관통하여 상기 콘센트본체(100)의 하우징에 형성된 볼트결합부상에 단부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접지선(420) 및 접지연결편(320)을 상호접속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콘센트본체(100)상에 견고하게 고정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접지돌기접속편(410)에 상기 접지선(420)의 일측접속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콘센트접지구의 접지연결편(320)에 상기 접지볼트(421)에 의해 조립결합시키고 상기 콘센트본체(100)상에 결합고정시키면 기본에 이루어지던 용접에 의한 접합만을 적용시키던 기존에 비해 조립성과 견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상기 콘센트본체의 회전멈춤걸림턱(130)에는 상기 플러그접지구의 접지선(420)이 끼워져 통과될 수 있는 접지선걸림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접지선걸림홈(131)은 상기 회전플러그(200)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접지선(420)의 일측접속단부가 이동 및 변형되어도 지지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상기 결합통공(120) 중앙측까지 연장된 경로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콘센트본체와 플러그부가 임의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전기적인 접속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센트 및 플러그가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형성 및 조정하는 동안에도 접속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정된 접지구조를 구현하여 단자간의 간섭이나 감전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대적인 회전각도를 형성하는 콘센트 및 플러그구조에 안정되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접지구조에 비해 조립성이 향상되고, 본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접지구조를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기기구의 플러그가 삽입가능한 다수의 콘센트(110)가 단부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원형의 결합통공(120)이 형성된 콘센트본체(100)와;
    상기 콘센트본체의 결합통공(120)에 회동가능하도록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콘센트본체의 콘센트(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전플러그(200)와;
    상기 콘센트(110)의 플러그삽입홈(111) 내측으로 돌출설치된 접지돌기(310)와, 이격된 상기 접지돌기(310) 다수에 함께 접속되는 접지연결편(320)이 구비된 콘센트접지구(300)와;
    상기 회전플러그(200) 측부에 노출되게 설치된 접지돌기접속편(410)과, 상기 접지돌기접속편(410) 및 상기 콘센트접지구의 접지연결편(320)에 접속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플러그(200)의 회동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가능한 길이로 연장형성된 접지선(420)이 구비된 플러그접지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본체(100)는,
    상기 결합통공(120) 둘레에 회전안내홈(121)이 형성되며, 45°간격으로 다수의 회전각도고정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플러그(200)의 회전기준위치에 회전멈춤걸림턱(13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전플러그(200)는,
    상기 콘센트본체(100)와의 결합단부 둘레에 상기 회전안내홈(121)에 삽입되는 회전돌기(221)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각도고정홈(122)에 끼워져 걸림되는 회전각도고정돌기(222) 한쌍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멈춤걸림턱(130)에 걸려 ±90°회전제한되도록 회전멈춤돌기(223)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접지구의 접지선(420)은,
    일측의 접속단부가 접지볼트(421)에 의해 상기 접지연결편(320)에 접속되고, 상기 접지연결편(320)과 함께 상기 콘센트본체(100)상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본체의 회전멈춤걸림턱(130)은,
    상기 플러그접지구의 접지선(420)이 끼워져 통과되는 접지선걸림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접지선걸림홈(131)은 상기 접지선(420)의 이동 및 변형에도 지지가능하도록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KR20-2004-0027579U 2004-09-24 2004-09-24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KR200370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79U KR200370565Y1 (ko) 2004-09-24 2004-09-24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79U KR200370565Y1 (ko) 2004-09-24 2004-09-24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565Y1 true KR200370565Y1 (ko) 2004-12-14

Family

ID=4944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579U KR200370565Y1 (ko) 2004-09-24 2004-09-24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5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189U (ko) 2015-05-29 2016-12-07 정재성 공간확장 멀티탭
WO2022055048A1 (ko) * 2020-09-09 2022-03-17 최정호 회전형 소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189U (ko) 2015-05-29 2016-12-07 정재성 공간확장 멀티탭
WO2022055048A1 (ko) * 2020-09-09 2022-03-17 최정호 회전형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716B1 (en) Adaptor with rotary plug
DK2366211T3 (en) Højstrømsstikforbindelse
JP6116751B2 (ja) 可変角度emi遮蔽アセンブリ
JP7005507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TW201125235A (en) Electrical plug and jack assembly
RU2603424C1 (ru) Кабель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JP2013541821A (ja) 接地部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EP3642909A1 (en) Electrical plug with a protective conductor contact and protective conductor connector element formed integrally therewith for grounding exterior parts
CA2914660A1 (en) Plug-in connector
JP2018514917A (ja) プラグ接続およびプラグ接続セット
US5232381A (en) Multi-way multiple plug
KR200370565Y1 (ko) 접지형 회전식 티자멀티탭
TWM512225U (zh) 電源供應器連接器及其導電端子
US7329131B1 (en) Electrical track and connector assembly
KR20120053400A (ko) 회전 멀티탭
KR200185381Y1 (ko)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1263113B1 (ko) 안전 콘센트
KR100664415B1 (ko) 회전식 조립 모듈 콘센트
KR200394084Y1 (ko) 건축물의 배전용 내설관
JP2013539154A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AU2020203596A1 (en) Electrical Socket
KR200285298Y1 (ko) 회전식 티자형 멀티탭
KR102232610B1 (ko) 멀티 콘센트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JP3218716U (ja) 個別に回転可能な電源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