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610B1 -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610B1
KR102232610B1 KR1020190075040A KR20190075040A KR102232610B1 KR 102232610 B1 KR102232610 B1 KR 102232610B1 KR 1020190075040 A KR1020190075040 A KR 1020190075040A KR 20190075040 A KR20190075040 A KR 20190075040A KR 102232610 B1 KR102232610 B1 KR 10223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ocket
input terminal
connector
groun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136A (ko
Inventor
박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
Priority to KR102019007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6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을 복수개 구비하여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에 복수개가 일렬로 직렬 배치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 마다 개별적으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 인근에 각각 설치되고, 한 쌍의 전원 입력 단자와 한 쌍의 전원 출력 단자가 형성되는 소켓 스위치와, 상기 소켓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상기 전원 플러그의 접지 단자와 접촉되는 접지 커넥터와, 상기 접지 커넥터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커넥터와, 상기 소켓에 설치되어 일측에 상기 전원 플러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전기 단자가 삽입되는 전기 단자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소켓 스위치의 상기 전원 출력 단자가 삽입되는 출력 단자 삽입부가 형성되는 소켓 전원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와 복수의 상기 소켓 마다 설치된 상기 소켓 스위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소켓 스위치의 상기 전원 입력 단자가 삽입되는 입력 단자 삽입부가 형성되는 메인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단자 삽입부 및 상기 입력 단자 삽입부는, 내측으로 마주한 형상으로 동그랗게 말린 한 쌍의 컬링(Curling)부가 형성되어, 상기 컬링부에 의해 상기 전원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콘센트{Multi concent}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을 복수개 구비하여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멀티 콘센트(또는 멀티탭)는 전자기기 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수용하는 소켓을 복수개 구비하여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콘센트는 단순히 2개 내지 6개 정도의 소켓만 구비한 것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온/오프 스위치 기능을 갖는 스위치박스를 구비하여 이것의 조작으로 전기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 콘센트는, 내부에 접지 단자나 소켓 스위치의 전원 단자 등 복수개의 단자들과 각 단자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고, 이 단자들과 커넥터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야만 소정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과 커넥터들은, 연결하려는 단자와 커넥터 들을 서로 접촉시킨 다음 어느 하나의 단자를 접어서 접촉된 단자와 커넥터를 서로 결합하는 방식이나, 리벳팅(Riveting)이나,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멀티 콘센트는, 단자와 커넥터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접어야 하는 공정이나 리벳팅 공정이나, 용접 공정과 같은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멀티 콘센트를 제조하는 공정이 그 만큼 더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 구조는 단자와 커넥터들 간의 유격을 발생시키기 쉬워서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스파크가 일어나면 멀티 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단자와 커넥터들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된 단자와 커넥터들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 발생 등을 방지하여 화재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콘센트가 제공된다 상기 멀티 콘센트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에 복수개가 일렬로 직렬 배치되는 소켓; 상기 소켓 마다 개별적으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 인근에 각각 설치되고, 한 쌍의 전원 입력 단자와 한 쌍의 전원 출력 단자가 형성되는 소켓 스위치; 상기 소켓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상기 전원 플러그의 접지 단자와 접촉되는 접지 커넥터; 상기 접지 커넥터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커넥터; 상기 소켓에 설치되어 일측에 상기 전원 플러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전기 단자가 삽입되는 전기 단자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소켓 스위치의 상기 전원 출력 단자가 삽입되는 출력 단자 삽입부가 형성되는 소켓 전원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와 복수의 상기 소켓 마다 설치된 상기 소켓 스위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소켓 스위치의 상기 전원 입력 단자가 삽입되는 입력 단자 삽입부가 형성되는 메인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단자 삽입부 및 상기 입력 단자 삽입부는, 내측으로 마주한 형상으로 동그랗게 말린 한 쌍의 컬링(Curling)부가 형성되어, 상기 컬링부에 의해 상기 전원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컬링부는, 외주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터널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단부면이 상기 전원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되는 제 1 접속편; 및 상기 제 1 접속편과 마주한 형태로 외주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터널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단부면이 상기 전원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되는 제 2 접속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접속편과 상기 제 2 접속편은, 상기 전원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켓 스위치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의 중심축 상 및 상기 전원 출력 단자의 중심축 상에 관통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 단자 삽입부 및 상기 입력 단자 삽입부는, 상기 전원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가 일정 깊이 만큼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접속편의 내측 단부면과 상기 제 2 접속편의 내측 단부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관통 홀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는, 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접속편과 상기 제 2 접속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대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지 커넥터는,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상기 접지 커넥터의 상기 걸림고리가 삽입된 후 회전하여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날개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 및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날개부의 일측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 상기 걸림고리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지 커넥터는,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의 상기 삽입 홈부를 통과하여 상기 날개부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날개부에 상기 걸림고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날개부에 삽입된 후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한 후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와의 접촉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삽입 홈부의 제 1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제 2 중심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접지 커넥터는,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와 안정적으로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걸림고리 사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상기 회전 축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의 중심부에 상기 커넥터 몸체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회전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단자와 커넥터들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된 단자와 커넥터들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 발생 등을 방지하여 화재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멀티 콘센트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멀티 콘센트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멀티 콘센트의 내부에서 소켓 스위치의 각 단자와 커넥터들이 접속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멀티 콘센트의 메인 전원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메인 전원 커넥터가 소켓 스위치의 전원 입력 단자와 접속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멀티 콘센트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멀티 콘센트 내부에서 접지 커넥터와 그라운드 커넥터가 접속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접지 커넥터와 그라운드 커넥터가 접속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멀티 콘센트(10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멀티 콘센트(100)의 내부에서 소켓 스위치(50)의 각 단자(51, 52)와 커넥터(30, 40)들이 접속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멀티 콘센트(100)의 메인 전원 커넥터(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메인 전원 커넥터(40)가 소켓 스위치(50)의 전원 입력 단자(51)와 접속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100)는, 크게, 접지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와, 소켓 전원 커넥터(30)와, 메인 전원 커넥터(40)와, 소켓 스위치(50), 메인 스위치(60), 컬링부(70) 및 하우징(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소켓(S)이 일렬로 직렬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80)과, 하우징(80)의 일측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소켓(S)에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조절하는 메인 스위치(60) 및 각 소켓(S) 마다 개별적으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소켓(S) 인근에 각각 설치되고, 한 쌍의 전원 입력 단자(51)와 한 쌍의 전원 출력 단자(52)가 형성되는 소켓 스위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멀티 콘센트(100)는, 다수의 상기 전원 플러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소켓(S1), 제 2 소켓(S2), 제 3 소켓(S3), 제 4 소켓(S4), 제 5 소켓(S5) 및 제 6 소켓(S6)이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80)에 일렬로 직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소켓 스위치(50-1), 제 2 소켓 스위치(50-2), 제 3 소켓 스위치(50-3), 제 4 소켓 스위치(50-4), 제 5 소켓 스위치(50-5) 및 제 6 소켓 스위치(50-6)가 제 1 소켓(S1), 제 2 소켓(S2), 제 3 소켓(S3), 제 4 소켓(S4), 제 5 소켓(S5) 및 제 6 소켓(S6)을 따라 일렬로 직렬 배치되어 각 소켓(S)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전원 커넥터(30)는, 소켓(S)의 하방에 설치되어 일측에 상기 전원 플러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전기 단자가 삽입되는 전기 단자 삽입부(32)가 형성되고, 타측에 소켓 스위치(50)의 전원 출력 단자(52)가 삽입되는 출력 단자 삽입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전원 커넥터(40)는, 하우징(80)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60)와 복수의 소켓(S) 마다 설치된 소켓 스위치(5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일측에 소켓 스위치(50)의 전원 입력 단자(51)가 삽입되는 입력 단자 삽입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소켓 전원 커넥터(30)는, 상기 전원 플러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전기 단자와 소켓 스위치(50)의 한 쌍의 전원 출력 단자(52)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 1 소켓 전원 커넥터(30-1) 및 제 2 소켓 전원 커넥터(30-2)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전원 커넥터(40)는, 메인 스위치(60)에 형성된 한 쌍의 전원 단자와 소켓 스위치(50)의 한 쌍의 전원 입력 단자(51)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 1 메인 전원 커넥터(40-1) 및 제 2 메인 전원 커넥터(40-2)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켓 전원 커넥터(30)의 출력 단자 삽입부(31) 및 메인 전원 커넥터(40)의 입력 단자 삽입부(41)는, 내측으로 마주한 형상으로 동그랗게 말린 한 쌍의 컬링(Curling)부(70)가 형성되어, 컬링부(70)에 의해 전원 출력 단자(52) 또는 전원 입력 단자(51)와 접속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메인 전원 커넥터(4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소켓 스위치(5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소켓 스위치(5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입력 단자 삽입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소켓 스위치(50)를 연결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메인 전원 커넥터(4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메인 전원 커넥터(40)에는 복수의 리브부(L)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전원 커넥터(40)의 입력 단자 삽입부(41)는, 컬링부(70)가 형성되어 소켓 스위치(50)의 전원 입력 단자(51)와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링부(70)는, 외주면(71a)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터널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단부면(71b)이 상기 전원 출력 단자(52)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51)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되는 제 1 접속편(71) 및 제 1 접속편(71)과 마주한 형태로 외주면(72a)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터널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단부면(72b)이 전원 출력 단자(52) 또는 전원 입력 단자(51)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되는 제 2 접속편(7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컬링부(70)의 제 1 접속편(71) 및 제 2 접속편(72)은, 외주면(71a, 72a)이 원호 형상을 이루는 터널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접속편(71)의 내측 단부면(71b)과 제 2 접속편(72)의 내측 단부면(72b)이 입력 단자 삽입부(41)의 대향면(41a)을 향해서 오므라드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커넥터(40)의 입력 단자 삽입부(41)에 전원 입력 단자(51)를 접속 시, 전원 입력 단자(51)가 제 1 접속편(71)의 내측 단부면(71b) 및 제 2 접속편(72)의 내측 단부면(72b)과 입력 단자 삽입부(41)의 대향면(41a) 사이로 삽입되고, 컬링부(70)의 탄성력으로 제 1 접속편(71)의 내측 단부면(71b) 및 제 2 접속편(72)의 내측 단부면(72b)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입력 단자 삽입부(41)와 전원 입력 단자(51)가 컬링부(70)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컬링부(70)의 제 1 접속편(71)과 제 2 접속편(72)은, 전원 출력 단자(52) 또는 전원 입력 단자(51)가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접속편(71)이 제 2 접속편(72) 보다 길게 형성되어, 전원 입력 단자(51)가 삽입 시, 길이가 긴 제 1 접속편(71)이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함으로써, 전원 입력 단자(51)의 삽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소켓 스위치(50)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51)의 중심축 상 및 상기 전원 출력 단자(52)의 중심축 상에 관통 홀부(H)가 형성되고, 출력 단자 삽입부(31) 및 입력 단자 삽입부(41)는, 전원 출력 단자(52) 또는 전원 입력 단자(51)가 일정 깊이 만큼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제 1 접속편(71)의 내측 단부면(71b)과 제 2 접속편(72)의 내측 단부면(72b)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 홀부(H)에 삽입되는 돌출부(E)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전원 커넥터(40)의 입력 단자 삽입부(41)의 대향면(40a)에, 제 1 접속편(71)과 제 2 접속편(71) 사이에 위치하고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E)가 형성되어, 입력 단자 삽입부(41)에 전원 입력 단자(51)가 삽입 시 돌출부(E)가 관통 홀부(H)에 삽입됨으로써, 입력 단자 삽입부(41)와 전원 입력 단자(51)의 접속 위치를 가이드하고 접속을 더욱 견고하게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100)는, 메인 전원 커넥터(40)의 입력 단자 삽입부(41)에 컬링부(70)가 형성되어, 제 1 접속편(71)의 내측 단부면(71b) 및 제 2 접속편(72)의 내측 단부면(72b)과 전원 입력 단자(51)와의 선 접촉으로 인해 접속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전원 입력 단자(51)를 입력 단자 삽입부(41)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입력 단자 삽입부(41)와 전원 입력 단자(51)를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 단자 삽입부(41)와 전원 입력 단자(51)의 접속 후에도 컬링부(70)의 탄성력으로 인해, 입력 단자 삽입부(41)와 전원 입력 단자(51)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한 접속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소켓 전원 커넥터(30)의 출력 단자 삽입부(31)도 메인 전원 커넥터(40)의 입력 단자 삽입부(41)와 동일한 구성으로 컬링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1의 멀티 콘센트(10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멀티 콘센트(100) 내부에서 접지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가 접속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접지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가 접속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100)는, 소켓(S)에 설치되어 소켓(S)에 삽입되는 상기 전원 플러그의 접지 단자와 접촉되는 접지 커넥터(10) 및 접지 커넥터(10)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커넥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접지 커넥터(10)는,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고리(11a)가 형성되는 단자 몸체(11) 및 단자 몸체(11)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에 접촉되는 접촉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커넥터(20)는, 접지 단자(10)의 걸림고리(11a)가 삽입된 후 회전하여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날개부(21a)가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21) 및 걸림고리(11a)가 날개부(21a)의 일측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날개부(21a)의 일측에 걸림고리(11a)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 홈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 커넥터(10)는, 걸림고리(11a)가 그라운드 커넥터(20)의 삽입 홈부(22)를 통과하여 날개부(21a)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a) 회전시켜 날개부(21a)에 걸림고리(11a)가 체결됨으로써 그라운드 커넥터(20)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고리(11a)는, 그라운드 커넥터(20)의 날개부(21a)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단자 몸체(11)의 중간 부분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고리(11a)는, 날개부(21a)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a) 만큼 회전한 후 체결될 수 있도록, 날개부(21a)와의 접촉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1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21a)는, 삽입 홈부(22)의 제 1 중심축(A1)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a) 만큼 경사진 제 2 중심축(A2) 상에 형성되어, 걸림부(11b)가 삽입되는 걸림 홀부(21b)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부(11b)는,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돔형상의 일부분이 걸림 홀부(21b)에 삽입됨으로써, 걸림부(11b)가 걸림 홀부(21b)에 걸리고, 이에 따라, 걸림고리(11a)가 날개부(21a)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a) 만큼만 회전된 후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1b)는, 반드시 도 2의 상기 돔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걸림부(11b)가 걸림 홀부(21b)에 걸림 고정될 수 있는 원통 형상, 육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지 커넥터(10)는, 그라운드 커넥터(20)와 안정적으로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고리(11a) 사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축부(13)가 형성되고, 그라운드 커넥터(20)는, 회전 축부(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날개부(21a)의 중심부에 커넥터 몸체(21)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회전 홀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의 회전 결합 시, 그라운드 커넥터(20)의 날개부(21a)에 형성된 삽입 홀부(22)를 접지 커넥터(10)의 걸림고리(11a)가 통과하여, 접지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가 임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그라운드 커넥터(20)의 회전 홀부(23)에 접지 커넥터(10)의 회전 축부(13)도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축부(13)와 회전 홀부(23)에 의해 동축으로 그라운드 커넥터(20)와 임시 결합된 접지 커넥터(10)를 회전 시키면, 그라운드 커넥터(20)의 날개부(21a)가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접지 커넥터(10)의 걸림고리(11a)로 삽입되면서, 접지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의 체결이 시작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1a)가 걸림고리(11a)로 회전 삽입 된 후, 일정 각도(a) 만큼 회전 되면, 걸림고리(11a)에 돔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부(11b)가 날개부(21a)에 형성된 걸림 홀부(21b)에 걸리면서 접지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가 최종적으로 회전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100)는, 접지 커넥터(10)의 걸림고리(11a)를 그라운드 커넥터(20)의 날개부(21a)에 삽입한 후 일정 각도(a) 회전시켜 날개부(21a)에 걸림고리(11a)가 체결됨으로써, 접지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를 회전 결합만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접지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의 회전 결합 시 'ㄱ'자 형상으로 꺾인 걸림고리(11a)에 날개부(21a)가 삽입되면서 걸림고리(11a)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력에 의해 걸림고리(11a)가 날개부(21a)를 누르는 힘이 강하게 발생하면서 접지 커넥터(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 간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지 커넥터(10)를 포함하는 단자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된 단자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 발생 등을 방지하여 화재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접지 커넥터
20: 그라운드 커넥터
30: 소켓 전원 커넥터
40: 메인 전원 커넥터
50: 소켓 스위치
60: 메인 스위치
70: 컬링부
80: 하우징
S: 소켓
H: 관통 홀부
E: 돌출부
100: 멀티 콘센트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에 복수개가 일렬로 직렬 배치되는 소켓;
    상기 소켓 마다 개별적으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 인근에 각각 설치되고, 한 쌍의 전원 입력 단자와 한 쌍의 전원 출력 단자가 형성되는 소켓 스위치;
    상기 소켓에 설치되어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상기 전원 플러그의 접지 단자와 접촉되는 접지 커넥터;
    상기 접지 커넥터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커넥터;
    상기 소켓에 설치되어 일측에 상기 전원 플러그에 형성된 한 쌍의 전기 단자가 삽입되는 전기 단자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소켓 스위치의 상기 전원 출력 단자가 삽입되는 출력 단자 삽입부가 형성되는 소켓 전원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와 복수의 상기 소켓 마다 설치된 상기 소켓 스위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일측에 상기 소켓 스위치의 상기 전원 입력 단자가 삽입되는 입력 단자 삽입부가 형성되는 메인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단자 삽입부 및 상기 입력 단자 삽입부는,
    내측으로 마주한 형상으로 동그랗게 말린 한 쌍의 컬링(Curling)부가 형성되어, 상기 컬링부에 의해 상기 전원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접지 커넥터는,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상기 접지 커넥터의 상기 걸림고리가 삽입된 후 회전하여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날개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 및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날개부의 일측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 상기 걸림고리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커넥터는,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의 상기 삽입 홈부를 통과하여 상기 날개부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날개부에 상기 걸림고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와 회전 결합되고,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의 상기 날개부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몸체의 중간 부분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에 삽입된 후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한 후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와의 접촉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삽입 홈부의 제 1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제 2 중심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 홀부가 형성되는, 멀티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부는,
    외주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터널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단부면이 상기 전원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되는 제 1 접속편; 및
    상기 제 1 접속편과 마주한 형태로 외주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터널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단부면이 상기 전원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되는 제 2 접속편;
    을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편과 상기 제 2 접속편은, 상기 전원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멀티 콘센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스위치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의 중심축 상 및 상기 전원 출력 단자의 중심축 상에 관통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 단자 삽입부 및 상기 입력 단자 삽입부는,
    상기 전원 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전원 입력 단자가 일정 깊이 만큼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접속편의 내측 단부면과 상기 제 2 접속편의 내측 단부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관통 홀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멀티 콘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멀티 콘센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접속편과 상기 제 2 접속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대향면에 형성되는, 멀티 콘센트.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커넥터는,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와 안정적으로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걸림고리 사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상기 회전 축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의 중심부에 상기 커넥터 몸체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회전 홀부가 형성되는, 멀티 콘센트.
KR1020190075040A 2019-06-24 2019-06-24 멀티 콘센트 KR102232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040A KR102232610B1 (ko) 2019-06-24 2019-06-24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040A KR102232610B1 (ko) 2019-06-24 2019-06-24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36A KR20210000136A (ko) 2021-01-04
KR102232610B1 true KR102232610B1 (ko) 2021-04-19

Family

ID=7412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040A KR102232610B1 (ko) 2019-06-24 2019-06-24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518A (ko) * 2022-03-07 2023-09-14 조경제 콘센트용 스위치의 단자 접속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416Y1 (ko) * 2005-11-03 2006-01-20 강상원 2극 차단 접속콘센트의 개량구조
KR200428109Y1 (ko) * 2006-06-16 2006-10-09 주식회사 일신전기산업 220볼트 콘센트의 접지 단자 접속 구조
KR101844025B1 (ko) * 2016-11-07 2018-03-30 (주)에스와이폴리텍 연결단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962Y1 (ko) * 1998-08-04 2001-01-15 윤종용 커넥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416Y1 (ko) * 2005-11-03 2006-01-20 강상원 2극 차단 접속콘센트의 개량구조
KR200428109Y1 (ko) * 2006-06-16 2006-10-09 주식회사 일신전기산업 220볼트 콘센트의 접지 단자 접속 구조
KR101844025B1 (ko) * 2016-11-07 2018-03-30 (주)에스와이폴리텍 연결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518A (ko) * 2022-03-07 2023-09-14 조경제 콘센트용 스위치의 단자 접속구조
KR102615843B1 (ko) 2022-03-07 2023-12-19 조경제 콘센트용 스위치의 단자 접속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36A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931B2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A2801815C (en) Rotatable plug-type connector
JP6422940B2 (ja) コネクタ組立体
CN108496281B (zh) 自闭式接触套筒
US8079877B1 (en) Power adapter connecting in a surface to surface contact
US10270196B2 (en) High current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thereof
US7601028B2 (en) Housing and electrical plug for transmitting electrical drive power
US8512069B2 (en) Flat plug electrical connector
JP6148409B2 (ja) プッシュロック電気コネクタ
JP2020077490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2017208303A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8018730A (ja) コネクタ
KR102232610B1 (ko) 멀티 콘센트
JP2024516280A (ja) Pcb基板との柔軟な接続用の基板端コネクタ
KR102048559B1 (ko)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
KR102284391B1 (ko) 고압 전력용 커넥터
US1129644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dentical electrical connectors
JP2013539154A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JP5357563B2 (ja) 高電圧対応多極プラグコネクター
JP6530163B2 (ja) プラグに対する高電流差込みコネクタ用のブッシュ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US7819701B2 (en) Rotatable electrical plug connector
US11394153B2 (en) Connector and terminal
KR20180092343A (ko) 더미 플러그를 갖는 콘센트 직접 고정형 멀티탭
US20220302646A1 (en) Rotary device for plug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