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559B1 -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559B1
KR102048559B1 KR1020180059701A KR20180059701A KR102048559B1 KR 102048559 B1 KR102048559 B1 KR 102048559B1 KR 1020180059701 A KR1020180059701 A KR 1020180059701A KR 20180059701 A KR20180059701 A KR 20180059701A KR 102048559 B1 KR102048559 B1 KR 102048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nnector
terminal
ground terminal
s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
Priority to KR1020180059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접지 단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 플러그를 접지시킬 수 있도록 소켓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와 접촉되는 접지 단자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커넥터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는,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걸림고리가 삽입된 후 회전하여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날개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 및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날개부의 일측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 상기 걸림고리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의 상기 삽입 홈부를 통과하여 상기 날개부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날개부에 상기 걸림고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Ground terminal assembling structure of multi-concent, and Multi-concent}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접지 단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멀티 콘센트(또는 멀티탭)는 전자기기 또는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수용하는 콘센트를 복수개 구비하여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콘센트는 단순히 2개 내지 6개 정도의 콘센트만 구비한 것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온/오프 스위치 기능을 갖는 스위치박스를 구비하여 이것의 조작으로 전기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 콘센트는, 내부에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여러 개의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고, 이 단자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야만 소정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은, 연결하려는 단자들을 서로 접촉시킨 다음 어느 하나의 단자를 접어서 접촉된 단자들을 서로 결합하는 방식이나, 리벳팅(Riveting)이나,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멀티 콘센트의 단자 결합 구조는, 단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접어야 하는 공정이나 리벳팅 공정이나, 용접 공정과 같은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멀티 콘센트를 제조하는 공정이 그 만큼 더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 구조는 단자들 간의 유격을 발생시키기 쉬워서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스파크가 일어나면 멀티 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된 단자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 발생 등을 방지하여 화재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는, 전원 플러그를 접지시킬 수 있도록 소켓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와 접촉되는 접지 단자;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커넥터;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는,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걸림고리가 삽입된 후 회전하여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날개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 및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날개부의 일측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 상기 걸림고리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의 상기 삽입 홈부를 통과하여 상기 날개부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날개부에 상기 걸림고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에서,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날개부에 삽입된 후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한 후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와의 접촉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삽입 홈부의 제 1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제 2 중심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에서, 상기 걸림부는, 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에서,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와 안정적으로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걸림고리 사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상기 회전 축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의 중심부에 상기 커넥터 몸체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회전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에서,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의 상기 날개부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몸체의 중간 부분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멀티 콘센트가 제공된다. 상기 멀티 콘센트는, 상기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기 소켓이 방사선상으로 등각 배치되는 돔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상기 소켓에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조절하는 메인 스위치; 다수의 상기 소켓 각각과 상기 메인 스위치를 연결하는 전원 공급 단자;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소켓 각각의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 콘센트에서, 상기 그라운드 연결 단자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소켓 중 일부의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단자; 및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연결되고, 다수의 상기 소켓 중 나머지 일부의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멀티 콘센트가 제공된다. 상기 멀티 콘센트는,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기 소켓이 일렬로 직렬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상기 소켓에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조절하는 메인 스위치; 및 다수의 상기 소켓 각각과 상기 메인 스위치를 연결하는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접지 단자가 직렬로 배치되어 각각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멀티 콘센트에서,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소켓 중 일부의 상기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 1 커넥터; 및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커넥터와 연결되고, 다수의 상기 소켓 중 나머지 일부의 상기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에 따르면, 접지 단자의 걸림고리를 그라운드 커넥터의 날개부에 삽입한 후 일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날개부에 상기 걸림고리가 체결됨으로써, 접지 단자와 그라운드 커넥터를 회전 결합만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접지 단자와 그라운드 커넥터의 회전 결합 시 'ㄱ'자 형상으로 꺾인 상기 걸림고리에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걸림고리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날개부를 누르는 힘이 강하게 발생하면서 상기 접지 단자와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 간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된 단자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 발생 등을 방지하여 화재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의 접지 단자 결합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가 적용된 멀티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멀티 콘센트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가 적용된 멀티 콘센트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멀티 콘센트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가 적용된 멀티 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는, 크게, 전원 플러그를 접지시킬 수 있도록 소켓(S)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와 접촉되는 접지 단자(10) 및 접지 단자(10)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커넥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단자(10)는,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고리(11a)가 형성되는 단자 몸체(11) 및 단자 몸체(11)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에 접촉되는 접촉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커넥터(20)는, 접지 단자(10)의 걸림고리(11a)가 삽입된 후 회전하여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날개부(21a)가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21) 및 걸림고리(11a)가 날개부(21a)의 일측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날개부(21a)의 일측에 걸림고리(11a)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 홈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 단자(10)는, 걸림고리(11a)가 그라운드 커넥터(20)의 삽입 홈부(22)를 통과하여 날개부(21a)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a) 회전시켜 날개부(21a)에 걸림고리(11a)가 체결됨으로써 그라운드 커넥터(20)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고리(11a)는, 그라운드 커넥터(20)의 날개부(21a)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단자 몸체(11)의 중간 부분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고리(11a)는, 날개부(21a)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a) 만큼 회전한 후 체결될 수 있도록, 날개부(21a)와의 접촉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1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21a)는, 삽입 홈부(22)의 제 1 중심축(A1)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a) 만큼 경사진 제 2 중심축(A2) 상에 형성되어, 걸림부(11b)가 삽입되는 걸림 홀부(21b)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부(11b)는,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돔형상의 일부분이 걸림 홀부(21b)에 삽입됨으로써, 걸림부(11b)가 걸림 홀부(21b)에 걸리고, 이에 따라, 걸림고리(11a)가 날개부(21a)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a) 만큼만 회전된 후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1b)는, 반드시 도 2의 상기 돔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걸림부(11b)가 걸림 홀부(21b)에 걸림 고정될 수 있는 원통 형상, 육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지 단자(10)는, 그라운드 커넥터(20)와 안정적으로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고리(11a) 사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축부(13)가 형성되고, 그라운드 커넥터(20)는, 회전 축부(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날개부(21a)의 중심부에 커넥터 몸체(21)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회전 홀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단자(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의 회전 결합 시, 그라운드 커넥터(20)의 날개부(21a)에 형성된 삽입 홀부(22)를 접지 단자(10)의 걸림고리(11a)가 통과하여, 접지 단자(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가 임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그라운드 커넥터(20)의 회전 홀부(23)에 접지 단자(10)의 회전 축부(13)도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축부(13)와 회전 홀부(23)에 의해 동축으로 그라운드 커넥터(20)와 임시 결합된 접지 단자(10)를 회전 시키면, 그라운드 커넥터(20)의 날개부(21a)가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접지 단자(10)의 걸림고리(11a)로 삽입되면서, 접지 단자(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의 체결이 시작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1a)가 걸림고리(11a)로 회전 삽입 된 후, 일정 각도(a) 만큼 회전 되면, 걸림고리(11a)에 돔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부(11b)가 날개부(21a)에 형성된 걸림 홀부(21b)에 걸리면서 접지 단자(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가 최종적으로 회전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는, 접지 단자(10)의 걸림고리(11a)를 그라운드 커넥터(20)의 날개부(21a)에 삽입한 후 일정 각도(a) 회전시켜 날개부(21a)에 걸림고리(11a)가 체결됨으로써, 접지 단자(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를 회전 결합만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접지 단자(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의 회전 결합 시 'ㄱ'자 형상으로 꺾인 걸림고리(11a)에 날개부(21a)가 삽입되면서 걸림고리(11a)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력에 의해 걸림고리(11a)가 날개부(21a)를 누르는 힘이 강하게 발생하면서 접지 단자(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 간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지 단자(10)를 포함하는 단자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된 단자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 발생 등을 방지하여 화재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가 적용된 멀티 콘센트(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멀티 콘센트(100)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100)는,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멀티 콘센트(100)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다수의 소켓(S)이 방사선상으로 등각 배치되는 돔 형상의 하우징(30)과, 하우징(3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소켓(S)에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조절하는 메인 스위치(40)와, 다수의 소켓(S) 각각과 메인 스위치(40)를 연결하는 전원 공급 단자(50) 및 하우징(30) 내부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소켓(S) 각각의 그라운드 커넥터(20)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 단자(6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멀티 콘센트(100)는, 다수의 전원 플러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소켓(S1), 제 2 소켓(S2), 제 3 소켓(S3), 제 4 소켓(S4) 및 제 5 소켓(S5)이 돔 형상의 하우징(30)에 방사선상으로 등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소켓(S1), 제 2 소켓(S2), 제 3 소켓(S3), 제 4 소켓(S4) 및 제 5 소켓(S5)의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 스위치(41), 제 2 스위치(42), 제 3 스위치(43), 제 4 스위치(44) 및 제 5 스위치(45)가 각 소켓(S)을 따라 돔 형상의 하우징(30)에 방사선상으로 등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연결 단자(60)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소켓(S) 중 일부의 그라운드 커넥터(20)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단자(61) 및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연결 단자(61)와 연결되고, 다수의 소켓(S) 중 나머지 일부의 그라운드 커넥터(20)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단자(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소켓(S) 각각의 그라운드 커넥터(20)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 단자(60)를 반원호 형상의 제 1 연결 단자(61)와 제 2 연결 단자(62)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그라운드 연결 단자(60)를 프레스 가공 등으로 제작 시 소재의 로스(Loss)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100)는, 접지 단자(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를 회전 결합만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적용하여, 접지 단자(10)를 포함하는 단자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된 단자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 발생 등을 방지하여 화재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면서, 멀리 콘센트(100)의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이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소켓(S)이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다수의 전원 플러그를 연결 시 이웃하는 전원 플러그 간에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돔 형상의 멀티 콘센트(100)에서 심미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가 적용된 멀티 콘센트(20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멀티 콘센트(200)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5의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가 적용된 멀티 콘센트(300)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는, 다수의 소켓(S)이 일렬로 직렬 배치되는 멀티 콘센트(200)에 적용될 수 있도록, 그라운드 커넥터(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지 단자(10)가 직렬로 배치되어 각각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200)는, 상술한 도 5에 도시된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다수의 소켓(S)이 일렬로 직렬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70)과, 하우징(3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소켓(S)에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조절하는 메인 스위치(40) 및 다수의 소켓(S) 각각과 메인 스위치(40)를 연결하는 전원 공급 단자(5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멀티 콘센트(200)는, 다수의 전원 플러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소켓(S1), 제 2 소켓(S2), 제 3 소켓(S3), 제 4 소켓(S4), 제 5 소켓(S5) 및 제 6 소켓(S6)이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70)에 일렬로 직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커넥터(2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소켓(S) 중 일부의 접지 단자(10)를 연결하는 제 1 커넥터(20-1) 및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커넥터(20-1)와 연결되고, 다수의 소켓(S) 중 나머지 일부의 접지 단자(10)를 연결하는 제 2 커넥터(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 단자(50) 또한, 그라운드 커넥터(20)와 유사하게 2개 이상의 부품으로 별도로 형성되어 하우징(70) 내부에서 직렬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소켓(S) 각각의 접지 단자(10)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커넥터(20)를 짧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커넥터(20-1)와 제 2 커넥터(20-2)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그라운드 커넥터(20)를 프레스 가공 등으로 제작 시 소재의 로스(Loss)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콘센트(300)는, 다수의 전원 플러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소켓(S1), 제 2 소켓(S2), 제 3 소켓(S3), 제 4 소켓(S4), 제 5 소켓(S5) 및 제 6 소켓(S6)이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70)에 일렬로 직렬 배치되고, 제 1 소켓(S1), 제 2 소켓(S2), 제 3 소켓(S3), 제 4 소켓(S4), 제 5 소켓(S5) 및 제 6 소켓(S6)의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 스위치(81), 제 2 스위치(82), 제 3 스위치(83), 제 4 스위치(84), 제 5 스위치(85) 및 제 6 스위치(86)가 각 소켓(S)을 따라 일렬로 직렬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200, 300)는, 접지 단자(10)와 그라운드 커넥터(20)를 회전 결합만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적용하여, 접지 단자(10)를 포함하는 단자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된 단자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 발생 등을 방지하여 화재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면서, 멀리 콘센트(200, 300)의 조립을 간단하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접지 단자
11: 단자 몸체
11a: 걸림고리
11b: 걸림부
12: 접촉부
13: 회전 축부
20: 그라운드 커넥터
20-1: 제 1 커넥터
20-2: 제 2 커넥터
21: 커넥터 몸체
21a: 날개부
21b: 걸림 홀부
22: 삽입 홈부
23: 회전 홀부
S: 소켓
30: 하우징
40: 메인 스위치
50: 전원 공급 단자
60: 그라운드 연결 단자
61: 제 1 연결 단자
62: 제 2 연결 단자
100, 200, 300: 멀티 콘센트

Claims (9)

  1. 전원 플러그를 접지시킬 수 있도록 소켓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와 접촉되는 접지 단자;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그라운드 커넥터;를 포함하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는,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단자 몸체; 및
    상기 단자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플러그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상기 접지 단자의 상기 걸림고리가 삽입된 후 회전하여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날개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 및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날개부의 일측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 상기 걸림고리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의 상기 삽입 홈부를 통과하여 상기 날개부에 삽입된 후,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날개부에 상기 걸림고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와 회전 결합되고,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의 상기 날개부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몸체의 중간 부분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에 삽입된 후 상기 일정 각도 만큼 회전한 후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와의 접촉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삽입 홈부의 제 1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제 2 중심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 홀부가 형성되는,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와 안정적으로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걸림고리 사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상기 회전 축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의 중심부에 상기 커넥터 몸체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회전 홀부가 형성되는,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5. 삭제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기 소켓이 방사선상으로 등각 배치되는 돔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상기 소켓에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조절하는 메인 스위치;
    다수의 상기 소켓 각각과 상기 메인 스위치를 연결하는 전원 공급 단자;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소켓 각각의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 단자;
    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연결 단자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소켓 중 일부의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단자; 및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결 단자와 연결되고, 다수의 상기 소켓 중 나머지 일부의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단자;
    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
  8.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다수의 상기 소켓이 일렬로 직렬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상기 소켓에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조절하는 메인 스위치; 및
    다수의 상기 소켓 각각과 상기 메인 스위치를 연결하는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접지 단자가 직렬로 배치되어 각각 회전 결합되는, 멀티 콘센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커넥터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소켓 중 일부의 상기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 1 커넥터; 및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커넥터와 연결되고, 다수의 상기 소켓 중 나머지 일부의 상기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제 2 커넥터;
    를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
KR1020180059701A 2018-05-25 2018-05-25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 KR102048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01A KR102048559B1 (ko) 2018-05-25 2018-05-25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01A KR102048559B1 (ko) 2018-05-25 2018-05-25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559B1 true KR102048559B1 (ko) 2019-11-26

Family

ID=6873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701A KR102048559B1 (ko) 2018-05-25 2018-05-25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5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334A (ko) * 2002-12-30 2004-07-07 박종윤 멀티탭 콘센트
KR200428109Y1 (ko) * 2006-06-16 2006-10-09 주식회사 일신전기산업 220볼트 콘센트의 접지 단자 접속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334A (ko) * 2002-12-30 2004-07-07 박종윤 멀티탭 콘센트
KR200428109Y1 (ko) * 2006-06-16 2006-10-09 주식회사 일신전기산업 220볼트 콘센트의 접지 단자 접속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2440B2 (ja) 回転自在のプラグ型コネクタ
US10074940B2 (en) Variable angle EMI shielding assembly
US8079877B1 (en) Power adapter connecting in a surface to surface contact
JP4674210B2 (ja) 同軸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
CN108496281B (zh) 自闭式接触套筒
WO2018234043A1 (en) ELECTRICAL PLUG WITH A PROTECTIVE CONDUCTOR CONTACT AND PROTECTIVE CONDUCTOR CONNECTOR MEMBER FORMED ONLY WITH THE SAME TO GROUND EXTERIOR PARTS
KR20160030136A (ko) 삽입형 커넥터
JPH10507298A (ja) ユニバーサルコンタクトレセプタクル
CN113363776A (zh) 鲁棒的,适用于高频的电气端子
JPH09245905A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コネクタモジュールキット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パネルアセンブリー
JP3138156U (ja) Rf通信用マイクロ波コネクタのソケット
KR102627300B1 (ko) 전기 페룰, 전기 연결 장치 및 전기 커넥터
KR102048559B1 (ko) 멀티 콘센트의 접지 단자 결합 구조 및 멀티 콘센트
KR102232610B1 (ko) 멀티 콘센트
KR101263113B1 (ko) 안전 콘센트
KR101767117B1 (ko) 플러그형 커넥터
TWM518835U (zh) 電子連接器結構
KR101496574B1 (ko) 자동차 분야에서 고전압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장치
US6475035B1 (en) Multipolar plug-in connection
US1129644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dentical electrical connectors
US7819701B2 (en) Rotatable electrical plug connector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JPH06325817A (ja) 端子位置保証手段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20220302646A1 (en) Rotary device for plug connectors
US5749749A (en) Electric low-voltage connecting terminal, in particular for luminous signa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