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322B1 - 감전방지 멀티탭 - Google Patents

감전방지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322B1
KR102079322B1 KR1020190159160A KR20190159160A KR102079322B1 KR 102079322 B1 KR102079322 B1 KR 102079322B1 KR 1020190159160 A KR1020190159160 A KR 1020190159160A KR 20190159160 A KR20190159160 A KR 20190159160A KR 102079322 B1 KR102079322 B1 KR 102079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ug
connection port
power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욱
정성훈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손진욱
정성훈
이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욱, 정성훈, 이경주 filed Critical 손진욱
Priority to KR1020190159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본체의 측면에 내측으로 결합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부재가 구비되되 이동부재에는 콘센트 홈의 삽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접속구가 구비되어 있어 플러그가 삽입될 때에는 삽입구와 접속구가 연통되도록 이동부재를 본체 내부로 결합시키고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을 때에는 이동부재가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삽입구와 접속구가 연통되지 않음에 따라 실제 전원이 접속되는 접속구가 삽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감전이나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는 감전방지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전방지 멀태팁은 상부면에 한 개 이상의 콘센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홈 내에는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코드가 연장 구비된 본체와, 상기 콘센트 홈이 위치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내부로 결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구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결합시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연통된 상기 삽입구 및 접속구 내에 플러그의 접촉자가 전기공급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감전방지 멀티탭{MULTI-TAP FOR PROTECTING CONTACT OF ELECTRICITY}
개시된 내용은 여러 개의 전원 플러그를 결합해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에어컨, 조명기구, 컴퓨터나 TV 등 다양한 전자제품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건물 벽면에 형성된 콘센트에 전자제품 전원코드의 플러그를 꽂아서 사용한다. 그런데 사용하는 전자제품 개수에 구비된 콘센트의 수량이 부족하거나, 또는 전자제품과 벽면의 콘센트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다수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고, 전원선이 연장 형성된 멀티탭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멀티탭은 전자제품 전원코드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먼지와 같은 등 다양한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접속불량이나 화재사고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음료수와 같인 수분이 유입될 수 있어 이로 인한 단전이나 전기 감전사고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영유아, 어린이들이 호기심으로 젓가락과 같은 이물질을 삽입공에 삽입하는 경우 접속단자가 파손될 수 있으며, 감전이나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59351호(2019.05.31)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53857호(2004.06.09)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33995호(2017.05.01)
따라서 개시된 내용은 콘센트 삽입구가 플러그가 삽입될 때에만 선택적으로 전기공급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감전방지 멀티탭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상부면에 한 개 이상의 콘센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홈 내에는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코드가 연장 구비된 본체와, 상기 콘센트 홈이 위치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내부로 결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구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결합시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연통된 상기 삽입구 및 접속구 내에 플러그의 접촉자가 전기공급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방지 멀티탭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감전방지 멀티탭에 의하면 본체의 측면에 내측으로 결합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부재가 구비되되 이동부재에는 콘센트 홈의 삽입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접속구가 구비되어 있어 플러그가 삽입될 때에는 삽입구와 접속구가 연통되도록 이동부재를 본체 내부로 결합시키고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을 때에는 이동부재가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삽입구와 접속구가 연통되지 않음에 따라 실제 전원이 접속되는 접속구가 삽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감전이나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전방지 멀티탭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전방지 멀티탭의 작동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전방지 멀티탭의 사용상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전방지 멀티탭의 다른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작동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전방지 멀티탭(1)의 구성부재들과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가 구비된다. 이 본체(1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사용 가능하게 구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면에는 한 개 이상이 콘센트 홈(11)이 형성된다. 콘센트 홈(11)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에 따라 전체 본체(10)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콘센트 홈(11) 내에는 전자제품 플러그(50)의 접촉자(51)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1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코드(13)가 연장 구비된다. 전술한 삽입구(12)는 실제 전원이 도통되지 않으며 따라서 플러그(50)가 삽입되지 않을때 외부로 노출된다 해도 감전이나 화재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원코드(13)는 사용환경에 따라 본체(10)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길이로 제조될 수 있으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콘센트 홈(11)이 위치된 전술한 본체(10)의 양 측면에는 이동부재(2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이동부재(20)는 그 위치에 따라 플러그(50)의 접촉자(51)가 전원공급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술한 이동부재(20)는 본체(10)의 내부로 결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는데 그 내측에는 전원코드(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구(21)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결합시 삽입구(12)와 연통된다. 그리고 연통된 삽입구(12) 및 접속구(21) 내에 플러그(50)의 접촉자(51)가 전기공급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양측의 이동부재(20) 사이에는 이동부재(20)가 외부로 탄성바이어스되게 하는 스프링(30)이 구비된다. 따라서 플러그(50)가 삽입될 때에는 삽입구(12)와 접속구(21)가 연통되도록 이동부재(20)를 내측으로 가압해 밀어넣어주고 이 상태에서 플러그(50)의 접촉자(51)를 삽입해 준다. 플러그(5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접촉자(51)에 의해 이동부재(20)는 항시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플러그(50)를 분리하면 스프링(30)에 의해서 이동부재(20)가 본체(10) 외부로 돌출되고 동시에 접속구(21) 또한 삽입구(12)와 분리되면서 실제 전원이 접속되는 접속구(21)는 삽입구(12)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제품 사용을 위해 플러그(50)가 삽입될 때에는 이동부재(20)를 본체(10) 내부로 결합시켜 삽입구(12)와 접속구(21)가 연통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50)의 접촉자(51)를 삽입구(12) 측으로 결합시키면 접촉자(51)의 선단 측이 접속구(21) 내로 삽입될 수 있어 전자제품이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플러그(50)를 분리하면 스프링(30)에 의해서 이동부재(20)가 본체(10) 외부로 돌출되고 접속구(21) 또한 삽입구(12)와 연통되지 않고 어긋난 상태로 분리된다. 따라서 실제 전원이 접속되는 접속구(21)가 삽입구(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감전이나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감전방지 멀티탭(1) 상에는 커버(40)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커버(40)는 전술한 본체(10)의 콘센트 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구(41)가 형성되고 그 외의 위치에는 다수 개의 안전돌기(42)가 돌출 형성되며 연질의 합성고무 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커버(40)는 개방구(41)가 형성되어 있어 플러그(50)가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다수 개의 안전돌기(42)에 의해 영유아나 어린이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전돌기(42)에 의해 영유아나 어린이가 플러그(50)를 임의로 분리할 수 없는 효과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커버(40)가 결합될 경우 감전방지 멀티탭(1)이 거북선이나 곤충 등으로 보일 수 있어 심미적인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감전방지 멀티탭(1)에 의하면 본체(10)의 측면에 내측으로 결합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부재(20)가 구비되되 이동부재(20)에는 콘센트 홈(11)의 삽입구(1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접속구(21)가 구비되어 있어 플러그(50)가 삽입될 때에는 삽입구(12)와 접속구(21)가 연통되도록 이동부재(20)를 본체(10) 내부로 결합시키고 플러그(50)가 삽입되지 않을 때에는 이동부재(20)가 본체(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삽입구(12)와 접속구(21)가 연통되지 않음에 따라 실제 전원이 접속되는 접속구(21)가 삽입구(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감전이나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감전방지 멀티탭
10 : 본체
11 : 콘센트 홈
12 : 삽입구
13 : 전원코드
20 : 이동부재
21 : 접속구
30 : 스프링
40 : 커버
41 : 개방구
42 : 안전돌기
50 : 플러그
51 : 접촉자

Claims (3)

  1. 상부면에 한 개 이상의 콘센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홈 내에는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코드가 연장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콘센트 홈이 위치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내부로 결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구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결합시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연통된 상기 삽입구 및 접속구 내에 플러그의 접촉자가 전기공급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방지 멀티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이동부재 사이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외부로 탄성바이어스되게 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방지 멀티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전방지 멀티탭 상에는, 상기 본체의 콘센트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그 외의 위치에는 다수 개의 안전돌기가 돌출 형성된 연질의 커버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방지 멀티탭.
KR1020190159160A 2019-12-03 2019-12-03 감전방지 멀티탭 KR102079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160A KR102079322B1 (ko) 2019-12-03 2019-12-03 감전방지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160A KR102079322B1 (ko) 2019-12-03 2019-12-03 감전방지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322B1 true KR102079322B1 (ko) 2020-02-19

Family

ID=6966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160A KR102079322B1 (ko) 2019-12-03 2019-12-03 감전방지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732B1 (ko) * 2021-04-27 2021-12-09 주식회사 스윗홈 감전방지 멀티탭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57Y1 (ko) 2004-03-09 2004-06-26 이익균 멀티탭 콘센트용 안전커버
KR100917871B1 (ko) * 2007-07-04 2009-09-16 신헌수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KR200464669Y1 (ko) * 2011-12-23 2013-01-14 김현욱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101733995B1 (ko) 2015-09-23 2017-05-10 김동휘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KR20190059351A (ko) 2017-11-23 2019-05-31 이정수 슬라이딩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57Y1 (ko) 2004-03-09 2004-06-26 이익균 멀티탭 콘센트용 안전커버
KR100917871B1 (ko) * 2007-07-04 2009-09-16 신헌수 안전콘센트 및 이를 포함한 멀티탭
KR200464669Y1 (ko) * 2011-12-23 2013-01-14 김현욱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101733995B1 (ko) 2015-09-23 2017-05-10 김동휘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KR20190059351A (ko) 2017-11-23 2019-05-31 이정수 슬라이딩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732B1 (ko) * 2021-04-27 2021-12-09 주식회사 스윗홈 감전방지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7089B1 (en) Gated electrical safety outlet
US20100216326A1 (en) Electrical safety receptacle with a cross-connection circuit
WO2007006554A8 (de) Explosionsgeschützter steckverbinder
NZ573155A (en) Electric Socket
CA2968873C (en) Electrical devices with longitudinal electrical conductor entries
KR102079322B1 (ko) 감전방지 멀티탭
KR101464120B1 (ko) 조립식 멀티탭
US8702447B2 (en)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KR20190059351A (ko) 슬라이딩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US8323047B2 (en) Cordset assembly
KR200464669Y1 (ko)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
KR101326882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200442907Y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20180003211U (ko)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용 연결단자
KR20220029187A (ko) 안전 덮개가 구비된 멀티탭
ITMI20030240U1 (it) Dispositivo di innesto tra frutto e impugnatura di connettore elettrico
KR101052607B1 (ko)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KR101578057B1 (ko) 케이블 커넥터용 방수캡
KR20160119352A (ko) 블럭형 멀티탭
KR102291275B1 (ko) 멀티탭
KR100814734B1 (ko) 콘센트보호 커버
KR20220052478A (ko) 플러그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콘센트
KR102337732B1 (ko) 감전방지 멀티탭
KR20160127898A (ko) 안전 콘센트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