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732B1 - 감전방지 멀티탭 - Google Patents

감전방지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732B1
KR102337732B1 KR1020210054389A KR20210054389A KR102337732B1 KR 102337732 B1 KR102337732 B1 KR 102337732B1 KR 1020210054389 A KR1020210054389 A KR 1020210054389A KR 20210054389 A KR20210054389 A KR 20210054389A KR 102337732 B1 KR102337732 B1 KR 102337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main body
moving member
spring
height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유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윗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윗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윗홈
Priority to KR102021005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감전방지 멀티탭에 있어서, 상부면에 한 개 이상의 콘센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홈 내에는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코드가 연장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콘센트 홈이 위치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내부로 결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구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결합시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연통된 상기 삽입구 및 접속구 내에 플러그의 접촉자가 전기공급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외부로 탄성바이어스되게 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감전방지 멀티탭은,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면 간에 이격된 공간에서 형성되되,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와 대향하며, 상기 본체 내부의 하면에서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부; 및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형성되는 배출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방지부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방지부의 폭방향의 길이는,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 내측으로 더이상 이동되지 못하도록,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때의,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간의 폭방향으로의 이격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방지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중공을 형성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을 포위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프링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형성하는 삽입홈에 삽입되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스프링과 상기 커버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방지 멀티탭 일 수 있다.

Description

감전방지 멀티탭{Multiple-tap of preventing electric shock}
본 발명은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삽입구와 접속구가 이격되어 있어 감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에어컨, 조명기구, 컴퓨터나 TV 등 다양한 전자제품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건물 벽면에 형성된 콘센트에 전자제품 전원코드의 플러그를 꽂아서 사용한다.
그런데 사용하는 전자제품 개수에 구비된 콘센트의 수량이 부족하거나, 또는 전자제품과 벽면의 콘센트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다수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고, 전원선이 연장 형성된 멀티탭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멀티탭은 전자제품 전원코드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먼지와 같은 등 다양한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접속불량이나 화재사고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음료수와 같은 수분이 유입될 수 있어 이로 인한 단전이나 전기 감전사고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9322 B1호(2020. 02. 13.)에서는, 감전방지 멀티탭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2079322 B1호에 따르면, 콘센트를 사용할 경우, 외력에 의해 이동부재가 이동되어 삽입구와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연통되어야 하나, 외력의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삽입구와 접속구가 연통되기 어려워 콘센트를 사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외력에 의해 이동부재가 이동될 경우, 스프링의 비틀림 또는 스프링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삽입구와 접속구가 연통되는 위치에 이동방지부를 설치하여, 이동부재가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커버부를 더 구비하여 스프링의 이탈 및 비틀림을 방지하는 멀티탭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방지 멀티탭은, 상부면에 한 개 이상의 콘센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홈 내에는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코드가 연장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콘센트 홈이 위치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내부로 결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구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결합시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연통된 상기 삽입구 및 접속구 내에 플러그의 접촉자가 전기공급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외부로 탄성바이어스되게 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감전방지 멀티탭은,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면 간에 이격된 공간에서 형성되되,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와 대향하며, 상기 본체 내부의 하면에서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부; 및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형성되는 배출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방지부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방지부의 폭방향의 길이는,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 내측으로 더이상 이동되지 못하도록,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때의,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간의 폭방향으로의 이격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방지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중공을 형성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을 포위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프링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형성하는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삽입홈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커버부에 의해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전체가 포위되며, 상기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하여, 폭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의 하중을 전달 받는, 감전방지 멀티탭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의 삽입구와 이동부재에 형성되는 접속구가 연통되는 위치에 이동방지부를 설치하여, 이동부재가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커버부를 더 구비하여 스프링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프링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멀티탭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전방지 멀티탭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 2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감전방지 멀티탭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분 사시도 및 부분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감전방지 멀티탭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분 분해도.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감전방지 멀티탭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 단면도.
도 5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감전방지 멀티탭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방지 멀티탭은 상부면에 한 개 이상의 콘센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홈 내에는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코드가 연장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콘센트 홈이 위치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내부로 결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구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결합시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연통된 상기 삽입구 및 접속구 내에 플러그의 접촉자가 전기 공급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가 포함 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외부로 탄성바이어스되게하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전방지 멀티탭은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면 간에 이격된 공간에서 형성되되,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와 대향하며, 상기 본체 내부의 하면에서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부 및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방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슬라이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형성되는 배출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의 폭방향의 길이는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 내측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도록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토오디는 위치에 위치될 때의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간의 폭방향으로의 이격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방지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중공을 형성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을 포위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프링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형성하는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과 상기 커버부는,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전방지 멀티탭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감전방지 멀티탭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분 사시도 및 부분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감전방지 멀티탭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감전방지 멀티탭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감전방지 멀티탭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방지 멀티탭(1)의 구성부재들과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1에서 볼 수 있듯이, x방향은 감전방지 멀티탭(1)의 길이방향을 의미 할 수 있으며, y방향은 감전방지 멀티탭의 폭방향을 의미 할 수 있으며, z방향은 감전방지 멀티탭(1)의 높이방향을 의미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길이방향, 폭방향, 높이방향 이라 함)
도1을 참조하면 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사용 가능하게 구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길이방향으로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한 개 이상의 콘센트 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콘센트 홈(11)의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에 따라 전체 본체(10)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 홈(11) 내에는 전자제품 플러그(50)의 접촉자(51)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1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코드(13)가 연장 구비된다.
상기 삽입구(12)는 실제 전원이 도통되지 않으며 따라서, 플러그(50)가 삽입되지 않을 때 외부로 노출된다 해도 감전이나 화재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코드(13)는 사용환경에 따라 본체(10)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길이로 제조될 수 있으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a) 내지 (b)를 참조하면, 콘센트 홈(11)이 위치된 전술한 본체(10)의 양 측면에는 이동부재(2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재(20)는 그 위치에 따라 플러그(50)의 접촉자(51)가 전원공급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동부재(20)는 본체(10)의 내부로 결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는데 그 내측에는 전원코드(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구(21)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결합시 삽입구(12)와 연통된다.
그리고, 연통된 삽입구(12) 및 접속구(21) 내에 플러그(50)의 접촉자(51)가 전기공급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 사이에는 이동부재(20)가 외부로 탄성바이어스되게 하는 스프링(30)이 구비된다.
따라서, 플러그(50)가 삽입될 때에는 삽입구(12)와 접속구(21)가 연통되도록 이동부재(20)를 내측으로 가압해 밀어넣어주고, 이 상태에서 플러그(50)의 접촉자(51)를 삽입해 준다.
플러그(5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접촉자(51)에 의해 이동부재(20)는 항시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플러그(50)를 분리하면 스프링(30)에 의해서 이동부재(20)가 본체(10) 외부로 돌출되고 동시에 접속구(21) 또한 삽입구(12)와 분리되면 실제 전원이 접속되는 접속구(21)는 삽입구(12)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즉, 전자제품 사용을 위해 플러그(50)가 삽입될 때에는 이동부재(20)를 본체(10) 내부로 결합시켜 삽입구(12)와 접속구(21)가 연통되게 하며, 이 상태에서 플러그(50)의 접촉자(51)를 삽입구(12)측으로 결합시키면 접촉자(51)의 선단 측이 접속구(21) 내로 삽입될 수 있어 전자제품이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되며,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플러그(50)를 분리하면 스프링(30)에 의해서 이동부재(20)가 본체(10) 외부로 돌출되고 접속구(21) 또한 삽입구(12)와 연통되지 않고 어긋난 상태로 분리된다.
따라서, 실제 전원이 접속되는 접속구(21)가 삽입구(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감전이나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한편, 감전방지 멀티탭(1)은,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면 간에 이격된 공간(S4)에서 형성되되,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와 대향하며, 상기 본체(10) 내부의 하면에서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4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이동부재(20)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부(4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4의 (a) 내지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본체(10) 내부의 하면 간에 이격된 공간(S4)에서 형성 될 수 있으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부(41)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부재(20)가 외력에 의해 본체(10) 내측으로 이동되어 본체(10)와 결합될 경우, 상기 이동부재(20)와 높이방향으로 대향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지지몸체부(41)는, 상기 이동부재(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40)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지지몸체부(41)상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돌출부(44)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44)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슬라이딩 홈(S3)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20)가 외력에 의해 본체(10) 내측으로 이동되어 본체(10)와 결합될 경우,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44)와 상기 슬라이딩 홈(S3)을 통하여 본체(10) 내측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몸체부(41)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44)와 상기 슬라이딩 홈(S3)을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이동부재(20)를 지지 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a) 내지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지지몸체부(41)상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방지부(42)를 더 구비하여,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외력에 의해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가 본체(10) 내측으로 이동 될 경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에서 형성되는 접속구(21)가 상기 삽입구(12)와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되면,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가 상기 본체(10) 내측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지지몸체부(41)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이동방지부(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외력에 의해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10) 내측으로 이동되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에서 형성되는 접속구(21)가 상기 삽입구(12)와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되면,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가 상기 본체(10) 내측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은, 상기 이동방지부(42)의 폭방향의 길이를 조절 함으로써 구현가능하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이동방지부(42)의 폭방향의 길이는,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20) 상에 형성된 접속구(21)가 상기 삽입구(12)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때의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간의 폭방향으로의 이격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방지부(42)에 의해 상기 양측의 이동부재(20)는, 본체(10) 내측으로의 위치이동이 제한 됨과 동시에, 위치이동이 제한되는 위치는 상기 접속구(21)와 상기 삽입구(12)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가 되는 것이다.
즉, 외력에 의해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가 본체(10)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접속구(21)가 상기 삽입구(12)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이동방지부(42)에 의해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는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42)는 육면체로 형성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방지부(42)가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의 본체(10) 내측으로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42)가 후술 될 커버부(4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삽입구(12)와 높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몸체부(41) 상에서 형성되는 배출홀(S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도2(a)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가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삽입구(12)와 상기 접속구(21)는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물이나 음료수 등이 상기 삽입구(12)에 유입될 경우, 상기 배출홀(S1)을 통해 물이나 음료수 등이 빠져나가게 하여 감전 사고를 막기 위함이며, 상기 배출홀(S1)의 직경은, 상기 삽입구(12)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당업자는, 본체(10) 내부의 하면에 흡수패드(미 도시)를 부착하거나, 본체(10) 내부의 하면에 상기 배출홀(S1)과 높이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홈(미 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물이나 음료수가 흡수패드(미 도시)에 흡수되게 하거나, 홈(미 도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40)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이동방지부(42)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중공(S2)을 형성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0)을 포위하는 커버부(43)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커버부(43)가 형성하는 상기 중공(S2)에 삽입 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43)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또한, 도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스프링(30)과 접촉하는 위치에 삽입홈(S5)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30)이 상기 삽입홈(S5)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S5)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30)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스프링(30)의 이탈이나 비틀림 등을 방지하기위해,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삽입홈(S5)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30)의 폭방향으로의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삽입홈(S5)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플러그(50)의 접촉자(51)가 상기 접속구(21)로부터 인출될 경우, 보다 견고하게 상기 이동부재(20)에 대해 탄성력을 인가 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S5)에 의해 상기 스프링(30)의 높이방향 및/또는 길이방향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스프링(30)의 이탈 또는 비틀림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커버부(43)가 형성하는 중공(S2)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43)에 포위됨으로써, 상기 스프링(30)의 이탈 또는 비틀림을 방지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스프링(30)은, 도 5(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삽입구(12)와 상기 접속구(21)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프링(30)이 상기 삽입홈(S5)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30)의 높이방향 및/또는 길이방향으로의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30)의 이탈 또는 비틀림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삽입구(12)와 상기 접속구(21)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 될 경우, 상기 중공(S2)에 삽입된 상기 스프링(30)은, 외력에 의해 폭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이며, 상기 커버부(43)는 폭방향으로 압축된 상기 스프링(30) 전체를 포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43)의 폭방향으로의 일측 및 타측은, 양측의 상기 삽입홈(S5)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43)에 의해 포위된, 스프링(30)의 일측 및 타측 또한, 상기 삽입홈(S5)에 삽입 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구(12)와 상기 접속구(21)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 될 경우,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커버부(43)에 의해 높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전체가 포위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홈(S5)에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스프링(30)의 이탈 또는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삽입구(12)와 상기 접속구(21)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 될 경우, 상기 스프링(30)이, 상기 커버부(43)에 의해 상기 스프링(30) 전체가 포위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홈(S5)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상기 스프링(30)의 탄성계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커버부(43)의 폭방향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구현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43)는, 상기 삽입구(12)와 상기 접속구(21)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 될 경우, 상기 이동부재(20)가 형성하는 상기 삽입홈(S5)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20)의 하중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부재(20)를 지지하며, 높이방향으로 치중된 하중을 전달받는 상기 지지몸체부(41)와 더하여, 상기 이동부재(20)의 하중을 상기 커버부(43)에 전달하여, 상기 이동부재(20)의 하중을 폭방향으로 분산 시킬 수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커버부(43)와 상기 지지몸체부(41)에 의해 보다 견고히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몸체부(41)의 파손 및 훼손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감전방지 멀티탭(1)에 의하면 본체(10)의 측면에 내측으로 결합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부재(20)가 구비되되, 이동부재(20)에는 콘센트 홈(11)의 삽입구(1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접속구(21)가 구비되어 있어 플러그(50)가 삽입될 때에는 삽입구(12)와 접속구(21)가 연통되도록 이동부재(20)를 본체(10) 내부로 결합시키고, 플러그(50)가 삽입되지 않을 때에는 이동부재(20)가 본체(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삽입구(12)와 접속구(21)가 연통되지 않음에 따라 실제 전원이 접속되는 접속구(21)가 삽입구(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감전이나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감전방지 멀티탭
10: 본체, S4: 본체 하면과 이동부재 간의 이격된 공간
11: 콘센트 홈
12: 삽입구
13: 전원코드
20: 이동부재, S3: 슬라이딩 홈, S5: 삽입홈
21: 접속구
30: 스프링
40: 지지부
41: 지지몸체부, S1: 배출홀
42: 이동방지부
43: 커버부, S2: 중공
44: 슬라이딩 돌출부
50: 플러그, 51: 접촉자

Claims (1)

  1. 감전방지 멀티탭에 있어서,
    상부면에 한 개 이상의 콘센트 홈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 홈 내에는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코드가 연장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콘센트 홈이 위치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내부로 결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되 내측에는 상기 전원코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구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결합시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며 연통된 상기 삽입구 및 접속구 내에 플러그의 접촉자가 전기공급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외부로 탄성바이어스되게 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감전방지 멀티탭은,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본체 내부의 하면 간에 이격된 공간에서 형성되되,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와 대향하며, 상기 본체 내부의 하면에서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부; 및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몸체부 상에서 형성되는 배출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방지부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방지부의 폭방향의 길이는,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 내측으로 더이상 이동되지 못하도록,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때의,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 간의 폭방향으로의 이격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방지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중공을 형성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을 포위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프링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형성하는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삽입홈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양측의 상기 이동부재가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부재 상에 형성된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커버부에 의해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전체가 포위되며,
    상기 접속구가 상기 삽입구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하여,
    폭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의 하중을 전달 받는,
    감전방지 멀티탭.
KR1020210054389A 2021-04-27 2021-04-27 감전방지 멀티탭 KR10233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389A KR102337732B1 (ko) 2021-04-27 2021-04-27 감전방지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389A KR102337732B1 (ko) 2021-04-27 2021-04-27 감전방지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732B1 true KR102337732B1 (ko) 2021-12-09

Family

ID=7886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389A KR102337732B1 (ko) 2021-04-27 2021-04-27 감전방지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7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822Y1 (ko) * 1999-09-15 2000-03-15 이덕현 콘센트의 안전장치
KR101990113B1 (ko) * 2018-11-06 2019-06-18 이종호 안전 콘센트
KR102079322B1 (ko) * 2019-12-03 2020-02-19 손진욱 감전방지 멀티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822Y1 (ko) * 1999-09-15 2000-03-15 이덕현 콘센트의 안전장치
KR101990113B1 (ko) * 2018-11-06 2019-06-18 이종호 안전 콘센트
KR102079322B1 (ko) * 2019-12-03 2020-02-19 손진욱 감전방지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74636B2 (en) A universal power socket
US7884292B2 (en) Electrical safety receptacle with a cross-connection circuit
US20070134977A1 (en) Plug adaptor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n electronic instrument to a power source
ITMI20001359A1 (it) Presa multipla volante.
US20120100734A1 (en) Electrical socket
US20160043496A1 (en) Shielding Structure of Safety Socket
US7881034B2 (en) Surge protector with spatial variation
KR102337732B1 (ko) 감전방지 멀티탭
WO2008058476A1 (en) International socket
EP2133961B1 (en) A universal power socket
KR101871356B1 (ko) 다중 안전 장치를 갖는 멀티 탭
WO2017007420A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device
KR102079322B1 (ko) 감전방지 멀티탭
KR20210028527A (ko) 안전 콘센트
KR102530388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KR101658781B1 (ko) 조립식 멀티 탭
KR200183936Y1 (ko) 전기기구용 콘센트
CN217656177U (zh) 一种医疗实验室洁净工程用墙壁开关插座
CN210723439U (zh) 自紧式两脚插头
KR101564843B1 (ko) 콘센트
KR200313692Y1 (ko)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KR200243844Y1 (ko) 다중콘센트
KR200374897Y1 (ko) 각도조절 플러그인형 콘센트
KR20220029187A (ko) 안전 덮개가 구비된 멀티탭
KR200297076Y1 (ko) 안전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