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113B1 -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0113B1 KR101990113B1 KR1020180135188A KR20180135188A KR101990113B1 KR 101990113 B1 KR101990113 B1 KR 101990113B1 KR 1020180135188 A KR1020180135188 A KR 1020180135188A KR 20180135188 A KR20180135188 A KR 20180135188A KR 101990113 B1 KR101990113 B1 KR 1019901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strip
- plug
- hole
- drain pipe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안전 콘센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의 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케이싱과, 케이싱에 결합되며 내부에 배수유로가 마련된 배수하우징 및 적어도 하나의 홀과 배수유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배수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에 각각 구비된 배수통로는 서로 분리된 배수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성이 증가된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전자 기기나 장치는 전기코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코드에 형성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서 전기를 공급받는다.
그러나, 콘센트는 외부에서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각종 이물질이 쉽게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즉, 욕실 등과 같이 물기나 습기가 많은 장소에 설치한 콘센트나 공사장이나 야외에 임시로 설치한 옥외용 콘센트와 같은 경우 빗물이나 습기가 내부로 침투하여 누전 및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수로 콘센트에 물컵을 엎지르는 경우라던가, 어린이 등이 젓가락이나 철사 등과 같은 것을 콘센트에 삽입하여 누전 및 감전되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누전 및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러그의 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며 내부에 배수유로가 마련된 배수하우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과 상기 배수유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배수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을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에 각각 구비된 상기 배수통로는 서로 분리된 배수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안전 콘센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 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 외부에 배치되는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접촉부가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 외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 내면 사이에 상기 배수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는 전원선과 연결되는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는 제2 전극 스트립이 서로 단락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제2 전극 스트립은 상기 접촉부에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의 핀에 의하여 이동하는 구동부재와 연결된 접속단자부재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접속단자부재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부의 승강 시 상기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제2 전극 스트립을 접속시키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가 내장되는 U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U배관은 일측이 상기 배수관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배수관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U배관의 외면과 상기 배수관 내면 사이에는 상기 배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U배관의 일측 내에 배치된 스프링에 지지되어 상기 U배관에서 기밀을 유지한채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푸시로드와, 상기 U배관의 타측 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부재의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푸시로드와 연계되어 이동 가능한 제2 푸시로드와, 상기 제1 푸시로드와 상기 제2 푸시로드를 서로 연결하는 강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 위에 얹혀지는 실리콘 패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패킹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과 대응하는 수의 패킹 홀과, 상기 패킹 홀 주위에서 돌출된 원형턱과, 상기 패킹 홀을 구분하도록 상기 실리콘 패킹 상면에서 소정높이 돌출된 구획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수하우징에는 사용설명서, 주의사항 및 AS방침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부재는 제1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원통형 보스 내에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부의 하강 시 상기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제2 전극 스트립을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구동부재와 연계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배수관 내부에서 상기 제1 스프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력을 갖는 제2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진입되는 상기 플러그의 핀에 의해 하강하는 제1 자석과, 상기 배수관 외부에서 상기 제1 자석의 자력에 의해 함께 이동하며 상기 연결로드가 지지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두 개의 플러그 핀 삽입홀과 하나의 접지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 외면에는 간격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 외면과 상기 배수관 내면 사이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 주위에는 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에는 실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홈에는 상기 실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두 개의 플러그 핀 삽입홀과, 접지홀을 포함한 케이싱과,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핀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플러그의 핀과 전기적을 연결되며, 각각 서로 단락된 제1 전극 스트립과 제2 전극 스트립을 포함한 한 쌍의 전원단자와, 상기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제2 전극 스트립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스프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접속단자부재 및 상기 접속단자부재와 연계되며,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핀 삽입홀과 상기 접지홀 내부로 각각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의 핀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핀 삽입홀과 상기 접지홀 모두에 상기 플러그의 3개의 핀이 모두 진입될 때에만 상기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제2 전극 스트립을 통전시키도록 상기 접속단자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안전 콘센트의 케이싱에 형성된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각 극성별 배수통로를 통해 배수하우징으로 신속하게 배수됨에 따라 합전 및 감전 사고예방이 가능하여 콘센트의 안전성이 월등히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콘센트의 3개 홀 모두에 플러그의 핀이 진입될 때에만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핀이 진입 시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배수통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하우징 상부에 배치된 안전 콘센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단자부재의 연결부 지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단자부재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케이싱에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홀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개의 플러그의 핀이 3개의 홀에 삽입되는 콘센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핀 삽입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핀이 진입 시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배수통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하우징 상부에 배치된 안전 콘센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단자부재의 연결부 지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단자부재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케이싱에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홀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개의 플러그의 핀이 3개의 홀에 삽입되는 콘센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핀 삽입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핀이 진입 시 동작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배수통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안전 콘센트(10)는 가전제품의 플러그에 형성된 핀(11)(도 5참조)을 꽂을 수 있도록 플러그 핀 삽입홀(21)이 형성된 케이싱(20)과, 케이싱(2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며 플러그 핀 삽입홀(21)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배수유로(31)가 형성된 배수하우징(30)을 포함한다.
플러그 핀 삽입홀(21)은 케이싱(20)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패인 홈(22)의 내측에 형성된다. 플러그 핀 삽입홀(21)은 2핀 또는 3핀 방식에 따라 대응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싱(20)의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접지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접지홀(23)은 푸시버튼(78)이 돌출되는 홀로 이루어진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싱(20)의 상면에 형성된 홈(22)에는 실리콘 패킹(40)이 얹혀져 유입되는 유체가 플러그 핀 삽입홀(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리콘 패킹(40)은 케이싱(20) 상면에 형성된 홀(21,23)과 대응하는 수의 패킹 홀(41)을 가지고, 패킹 홀(41)의 주위에는 돌출된 원형턱(42)이 마련되어 유체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다.
실리콘 패킹(40)에 형성된 복수의 패킹 홀(41) 사이에는 복수의 패킹 홀(41)을 구분하도록 실리콘 패킹(40) 상면에서 소정높이 돌출된 구획벽(43)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패킹 홀(41) 주위에 유입된 유체가 다른 하나의 패킹 홀(41)로 흐르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실리콘 패킹(40)에 형성된 복수의 패킹 홀(41)에 플러그의 핀이 꽂아진 경우 플러그의 핀과 패킹 홀(41) 사이의 틈새는 패킹 홀(41) 내주를 따라 마련된 립(44)에 의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케이싱(20)의 측면에는 케이싱(20)의 상면에 형성된 홈(22)에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는 절개공(29)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공(29)은 케이싱(2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케이싱(20)의 양 측면에서 홈(22)의 내측면 까지 관통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케이싱(20)의 저면(24)에는 각각의 플러그 핀 삽입홀(21)에서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배수통로(13)(도7 참조)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배수관(25)이 보스 형태로 마련된다.
배수통로(13)는 플러그 핀 삽입홀(21)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수하우징(30) 내에 형성된 배수유로(31) 쪽으로 유도하는 통로이다.
배수하우징(30)에는 플러그 핀 삽입홀(21)을 통해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유로(31)가 형성된다.
배수유로(31)는 배수하우징(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플러그 핀 삽입홀(21), 접지홀(23)과 각각 연결된 배수통로(13)와 연통하도록 연결된다.
배수하우징(30)의 상부에는 상부 배수관(25)과 연결되기 위한 하부 배수관(32)이 마련된다.
홀(21,23)과 배수유로(31)는 각 홀(21,23)에 각각 연결된 배수관(25,32)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배수통로(13)를 통해 배수유로(31)와 연통된다.
따라서, 홀(21,23) 각각에 연결된 배수관(25,32) 내부의 배수통로(13)는 서로 분리된 배수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두 개의 플러그 핀 삽입홀(21)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원단자와 접촉하는 플러그의 핀(11)이 각각 삽입되고, 배수관(25,32)은 극성별로 독립된 배수통로(13)를 형성한다.
하부 배수관(32)은 상단이 직경이 확장된 확장관(32a)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 배수관(25)의 하단이 끼움 결합되고, 하단은 배수하우징(30)의 상단에 원통형 결합보스(33)에 끼움 결합된다.
상부 배수관(25)과 하부 배수관(32)이 서로 연결된 경우, 플러그 핀 삽입홀(21)과 배수유로(31)는 상,하부 배수관(25,32)을 통해 연통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부 배수관(25)과 하부 배수관(32)은 일체로 배수관을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상부 배수관(25)과 하부 배수관(32)의 연결부위에는 오링(26)이 설치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상부 배수관(25) 내측에는 플러그의 핀(11)이 삽입되는 접촉부(50)가 마련되고, 접촉부(50)에는 전원단자(52)의 제2 전극 스트립(52b)이 상부 배수관(25)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다.
접촉부(50)는 상하가 개방된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촉부(50)의 외면에는 상부 배수관(25)과 접촉부(50) 사이에서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간격리브(51)가 형성된다.
또한 접촉부(50)는 플러그의 핀(11)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간격리브(51)는 접촉부(50)의 외면에서 서로 대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접촉부(50)와 상부 배수관(25)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그 틈새를 통해 유체가 유동하는 배수통로(13)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전원단자(52)는 전원선과 연결되는 제1 전극 스트립(52a)과, 접촉부(50)와 연결되는 제2 전극 스트립(52b)이 서로 단락된 상태로 마련되고, 제1 전극 스트립(52a)과 제2 전극 스트립(52b)은 접속단자부재(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전원단자(52)는 양극 전원단자와 음극 전원단자가 마주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하고, 한 쌍의 전원단자(52)는 각각 접속단자부재(60)에 구비된 접속부(63)의 도전체(63a)에 의해 통전될 수 있다.
접속단자부재(60)는 플러그 핀 삽입홀(21)을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의 핀(11)과, 플러그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푸시버튼(78)에 의하여 각각 이동하는 구동부재(7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접속단자부재(60)는 구동부재(70)와 연결되는 연결부(61)와, 연결부(61)의 중앙에 연결되어 접속단자부재(60)의 안정적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62)와, 한 쌍의 전원단자(52) 하부를 향하도록 안내부(62)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한 쌍의 전원단자(52)의 제1 전극 스트립(52a)과 제2 전극 스트립(52b)의 이격된 부분 하부에 위치되어 상부로 이동 시 두 전극 스트립(52a,52b)을 접속시키는 접속부(63)를 포함한다.
연결부(61)는 평판 형태로 마련되어 구동부재(70)가 내장되는 복수의 U배관(80)의 상단에 위치되고, 안내부(62)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배수하우징(30)의 상부에 마련된 중공 원통형 보스(64)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위치된다.
접속부(63)는 안내부(62)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대응하는 전극 스트립(52a,52b)의 하부에 위치되는 삼각 형태의 부재로 마련된다.
접속부(63)의 상단에서 이웃하는 두 면에는 도전체(63a)가 구비되어, 도 5와 같이 접속부(63)가 상부로 이동하면 도전체(63a)는 서로 떨어진 두 전극 스트립(52a,52b)을 연결한다.
구동부재(70)는 U배관(80)의 내부에 배치되어, 플러그 핀 삽입홀(21)을 통해 진입되는 핀(11)에 의하여 가압되는 경우 이동한다.
U배관(80)은 일측이 하부 배수관(32)을 관통하여 하부 배수관(32)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하부 배수관(32)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하부 배수관(32) 내에 삽입된 U배관(80)의 외면과 하부 배수관(32)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플러그 핀 삽입홀(21)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배수통로(13)의 일부를 형성한다.
구동부재(70)는 U배관(80)의 일측 내에 배치된 제1 스프링(71)에 지지되어 하부 배수관(32)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 푸시로드(72)와, U배관(80)의 타측 내에 배치되어 접속단자부재(60)의 연결부(61)와 연결되는 제2 푸시로드(73)와, 제1 푸시로드(72)와 제2 푸시로드(73)를 연결하여 제1 푸시로드(72)의 이동 시 제2 푸시로드(73)를 이동시키는 강선(74)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푸시로드(72)의 이동에 따라 제2 푸시로드(73)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강선(74)을 도시하나, 제1 푸시로드(72)와 제2 푸시로드(73) 사이에 위치되는 U배관(80) 내에 물 또는 공기와 같은 유체와 같은 매질을 채워서 이를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푸시로드(72)는 U배관(80)의 일측에서 기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 몸체(72a)와, 제1 몸체(72a)의 상부로 연장되어 진입되는 핀(11)과 접촉 가능한 제1 로드(72b)를 포함한다.
제1 몸체(72a)의 외주에는 제1 몸체(72a)의 외면과 U배관(80)의 내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오링(72c)이 설치된다.
U배관(80)의 일측 상단에는 제1 마개부재(75)가 결합되어, U배관(8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한다.
제1 마개부재(75)에는 U배관(80)의 내면과 제1 마개부재(75)의 외면 사이, 제1 로드(72b)와 제1 마개부재(75)의 내면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오링(75a,75b)이 설치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제1 푸시로드(72)가 진입되는 핀(11)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제1 푸시로드(72)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 푸시로드(72)의 이동에 따라 강선(74)은 U배관(80)의 타측에 위치된 제2 푸시로드(73)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제1 푸시로드(72)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제1 스프링(71)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푸시로드(72)는 원 위치로 복귀된다.
제2 푸시로드(73)는 U배관(80)의 타측에서 기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몸체(73a)와, 제2 몸체(73a)의 상부로 연장되어 접속단자부재(60)와 연결되는 제2 로드(73b)를 포함한다.
제2 몸체(73a)의 외주에는 제2 몸체(73a)의 외면과 U배관(80)의 내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오링(73c)이 설치된다.
U배관(80)의 타측 상단에는 제2 마개부재(76)가 결합되어, U배관(8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한다.
제2 마개부재(76)에는 U배관(80)의 내면과 제2 마개부재(76)의 외면 사이, 제2 로드(73b)와 제2 마개부재(76)의 내면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오링(76a,76b)이 설치된다.
제1 푸시로드(72)의 이동에 따라 강선(74)이 U배관(80)의 타측에 위치된 제2 푸시로드(73)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면, 제2 푸시로드(73)의 이동과 함께 접속단자부재(6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접속단자부재(60)의 접속부(63)가 전극 스트립(52a,52b)에 접촉하여 통전시킨다.
한편, 접지홀(23)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은 플러그 핀 삽입홀(21)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과 동일하며, 제1 푸시로드(72)를 가압하기 위한 구성이 플러그의 핀(11) 대신 별도 구비된 푸시버튼(78)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원통형 보스(64) 내에는 안내부(62)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접속부(63)가 전극 스트립(52a,52b)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2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스프링은 제1 스프링(71)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1 푸시로드(7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내부(62)는 제1 스프링(71)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제1 푸시로드(72)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안내부(62)의 양측에 위치된 접속부(63)가 전극단자(52)와 이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7에서와 같이, 플러그 핀 삽입홀(21)에 유입된 유체는 상부 배수관(25)과 접촉부(5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와, 하부 배수관(32)과 U배관(8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이루어진 배수통로(13)를 따라 배수유로(31)에 떨어지고, 배수유로(31)에 떨어진 유체는 배수하우징(3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배수통로(13)는 케이싱(20)에 마련된 홀(21,23)에 각각 마련되어, 각 홀(21,23)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수유로(31)에 떨어지도록 구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배수하우징(30) 내에 형성되는 배수유로(31)는 케이싱(20)에 형성된 홀(21, 23)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유로(31)는 접지홀(23)에서 낙하되는 유체가 유입되도록 중앙에 위치되는 중앙 배수유로(31a)와, 플러그 핀 삽입홀(21)에서 떨어지는 유체가 유입되도록 중앙 배수유로(31)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좌,우측 배수유로(31b,31c)를 포함하고, 각 배수유로(31a,31b,31c)는 각각 케이싱(20)에 형성된 홀(21,23)로 연통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배수하우징(30)의 좌우 양단에는 콘센트의 사용 설명서, 주의사항, AS방침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수용공간(34)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접속단자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하우징 상부에 배치된 안전 콘센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단자부재의 연결부 지지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단자부재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접속단자부재(100)는 중공 원통형 보스(110) 내에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원통 형상의 안내부(101)와, 한 쌍의 전원단자(52) 상부를 향하도록 안내부(101)의 좌우 양측에서 연장되어 한 쌍의 전원단자(52)의 제1 전극 스트립(52a)과 제2 전극 스트립(52b)의 이격된 부분 상부에 위치되어 하부로 이동 시 두 전극 스트립(52a,52b)을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접속부(102)와, 한 쌍의 접속부(102) 사이에서 안내부(10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동부재와 연계되는 연결로드(103)를 포함한다.
안내부(101)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104)에 의해 한 쌍의 접속부(102)가 전극 스트립(52a,52b)과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된다.
접속부(102)는 그 하부에 위치되는 전극 스트립(52a,52b)과 맞물리도록 역삼각 형태의 부재로 마련되어, 접속부(102)의 하단에서 이웃하는 두 면에는 도전체(102a)가 구비되어, 접속부(102)가 하부로 이동하면 도전체(102a)는 서로 떨어진 두 전극 스트립(52a,52b)을 연결한다.
배수관(120) 내부에는 진입되는 핀(11)이 접촉하는 접촉부(130)가 마련되고, 접촉부(130)의 외면에는 간격리브(131)가 마련되어, 접촉부(130)와 배수관(120) 사이에서 배수통로(133)를 형성한다.
접속단자부재(100)는 진입되는 핀(11)에 의해 이동하는 구동부재에 의해 하부로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재는 배수관(120)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자석(140)과, 배수관(120) 외부에 배치되는 제2 자석(150)을 포함한다.
배수관(120) 내부의 접촉부(130) 하부에는 제2 스프링(141)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제1 자석(140)이 배치되고, 배수관(120) 외부에는 제1 자석(140)과의 자력에 의해 제1 자석(14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제2 자석(150)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1 자석(140)과 제2 자석(150)은 자기력에 의해 서로 인력이 발생하는 부재를 의미한다.
제2 스프링(141)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 제1 자석(140)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제2 스프링(141)은 제1 스프링(104)보다 큰 탄성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스프링(104)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접속단자부재(1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을 제1 자석(140)에 제공하고, 제1 자석(14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제2 자석(150)에 의하여 접속단자부재(100)는 전극 스트립(52a,52b)과 이격된다.
플러그 핀 삽입홀(21) 내부로 핀(11)이 진입하면, 핀(11)에 의해 제1 자석(140)이 하부로 이동하고, 제1 자석(140)의 자력에 의하여 제2 자석(150)이 함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접속단자부재(100)의 연결부(103)는 3개의 배수관(120) 외면에 각각 설치된 제2 자석(120) 위에 지지되는 3개의 지지단부(103a,103b,103c)를 구비한다.
접속단자부재(100)는 3개의 지지단부(103a,103b,103c)가 제2 자석(120) 위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3개의 배수관(120) 각각에 설치된 제2 자석(150) 모두가 하부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속단자부재(100)가 하부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12와 같이 3개의 배수관(120) 각각에 설치된 제2 자석(150) 모두가 하부로 이동하면, 안내부(101)는 제1 스프링(104)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안내부(101)의 이동과 함께 접속부(102)는 하부로 이동하여 두 전극 스트립(52a,52b)과 접촉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구성은 플러그의 핀(11)이 2개로 구성된 경우 3개의 홀 중 하나가 플러그의 핀(11) 대신 접지홀(23)에서 돌출된 푸시버튼(78)에 의해 제1 자석(140)이 가압되는 구성이다.
한편, 안전 콘센트의 접속단자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는 센서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 3개의 배수관(120) 내부로 진입되는 핀(11)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3개의 배수관(120) 내부로 모두 진입된 경우에만 접속단자부재가 전원단자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구동장치는 전기코일에 전원이 인가될 때 생기는 자기장에 의하여 플런저가 이동하여 접속단자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재가 3개의 홀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핀 또는 2개의 홀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핀 및 푸시버튼에 의해 이동하는 자석을 이용하여 접속단자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나, 도 15에서와 같이 3개의 지지단부를 갖는 접속단자부재(10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는 배수관의 구조 없이 플러그의 핀(11)에 의하여 간섭되는 별도의 구조물(300)(예로서, 스프링(301)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이동 가능한 부재(302)), 즉 접속단자부재(100)의 3개의 지지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3개의 구조물(300)을 마련하여 플러그의 핀이 모두 삽입되어 3개의 구조물(300)이 접촉한 경우에만 제1 전극 스트립과 제2 전극 스트립을 통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3과 같이, 케이싱(20)에 구비된 홀은 나라별로 구비되는 플러그의 핀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개의 플러그의 핀이 삽입되는 3개의 홀(21)과 스위치(200)가 구비된 콘센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200)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을 온/오프 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스위치(200)의 하부구조에 자바라 형태의 하우징(210)을 통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에 접지핀을 포함한 3개의 핀이 구비된 경우에는 전술한 푸시버튼(78)의 구성은 생략되고, 플러그의 3개의 핀이 3개의 홀(21)에 삽입되는 구성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플러그 핀 삽입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플러그 핀 삽입홀(21)의 주위에는 환 형상으로 오목하게 패인 링홈(330)이 형성되고, 링홈(330)에는 내측에 마련된 스프링(331)에 지지되어 링홈(330)의 상하로 이동 가능한 원통형상의 실부재(332)가 마련된다.
원통형상의 실부재(332)는 하단이 스프링(331)에 지지되고, 하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턱(333)이 링홈(330) 내측에 마련된 걸림돌기(334)에 걸림에 의해 링홈(33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플러그의 핀(11)이 플러그 핀 삽입홀(21)에 삽입되는 경우 링홈(330)의 상부로 돌출된 실부재(332)의 상단이 플러그(335)에 형성된 실부재 수용홈(336)에 삽입됨에 따라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콘센트, 11: 핀,
13: 배수통로, 20: 케이싱,
21: 플러그 핀 삽입홀, 23: 접지홀,
25: 상부 배수관, 30: 배수하우징,
31: 배수유로, 32: 하부 배수관,
40: 실리콘 패킹, 50: 접촉부,
51: 간격리브, 52: 전원단자,
60: 접속단자부재, 61: 연결부,
62: 안내부, 63: 접속부,
70: 구동부재, 72: 제1 푸시로드,
73: 제2 푸시로드, 75: 제1 마개부재,
76: 제2 마개부재, 78: 푸시버튼,
80: U배관.
13: 배수통로, 20: 케이싱,
21: 플러그 핀 삽입홀, 23: 접지홀,
25: 상부 배수관, 30: 배수하우징,
31: 배수유로, 32: 하부 배수관,
40: 실리콘 패킹, 50: 접촉부,
51: 간격리브, 52: 전원단자,
60: 접속단자부재, 61: 연결부,
62: 안내부, 63: 접속부,
70: 구동부재, 72: 제1 푸시로드,
73: 제2 푸시로드, 75: 제1 마개부재,
76: 제2 마개부재, 78: 푸시버튼,
80: U배관.
Claims (17)
- 플러그의 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과 상기 케이싱의 외부를 독립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배수통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을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에 각각 구비된 상기 배수통로는 서로 분리된 배수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케이싱 내부와 상기 배수통로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획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 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 외부에 배치되는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접촉부가 마련되는 안전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되는 배수유로가 마련된 배수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 외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 내면 사이에 상기 배수통로를 형성하는 안전 콘센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전원선과 연결되는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는 제2 전극 스트립이 서로 단락된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제2 전극 스트립은 상기 접촉부에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의 핀에 의하여 이동하는 구동부재와 연결된 접속단자부재에 의해 접속되는 안전 콘센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접속단자부재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부의 승강 시 상기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제2 전극 스트립을 접속시키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가 내장되는 U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U배관은 일측이 상기 배수관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배수관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U배관의 외면과 상기 배수관 내면 사이에는 상기 배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U배관의 일측 내에 배치된 스프링에 지지되어 상기 U배관에서 기밀을 유지한채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푸시로드와, 상기 U배관의 타측 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부재의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푸시로드와 연계되어 이동 가능한 제2 푸시로드와, 상기 제1 푸시로드와 상기 제2 푸시로드를 서로 연결하는 강선을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 위에 얹혀지는 실리콘 패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패킹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과 대응하는 수의 패킹 홀과, 상기 패킹 홀 주위에서 돌출된 원형턱과, 상기 패킹 홀을 구분하도록 상기 실리콘 패킹 상면에서 소정높이 돌출된 구획벽을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하우징에는 사용설명서, 주의사항 및 AS방침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안전 콘센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부재는 제1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원통형 보스 내에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부의 하강 시 상기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제2 전극 스트립을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구동부재와 연계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배수관 내부에서 상기 제1 스프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력을 갖는 제2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진입되는 상기 플러그의 핀에 의해 하강하는 제1 자석과, 상기 배수관 외부에서 상기 제1 자석의 자력에 의해 함께 이동하며 상기 연결로드가 지지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두 개의 플러그 핀 삽입홀과 하나의 접지홀을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외면에는 간격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 외면과 상기 배수관 내면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안전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 주위에는 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에는 실부재가 마련되는 안전 콘센트.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홈에는 상기 실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이 마련되는 안전 콘센트. - 두 개의 플러그 핀 삽입홀과, 접지홀을 포함한 케이싱;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핀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플러그의 핀과 전기적을 연결되며, 각각 서로 단락된 제1 전극 스트립과 제2 전극 스트립을 포함한 한 쌍의 전원단자;
상기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제2 전극 스트립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스프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접속단자부재; 및
상기 접속단자부재와 연계되며,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핀 삽입홀과 상기 접지홀 내부로 각각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의 핀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핀 삽입홀과 상기 접지홀 모두에 상기 플러그의 3개의 핀이 모두 진입될 때에만 상기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제2 전극 스트립을 통전시키도록 상기 접속단자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이동 시 상기 제1 전극 스트립과 상기 제2 전극 스트립을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구동부재와 연계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력을 갖는 제2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진입되는 상기 플러그의 핀에 의해 하강하는 제1 자석과, 상기 제1 자석의 자력에 의해 함께 이동하며 상기 연결로드가 지지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력을 갖는 제2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진입되는 상기 플러그의 핀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접속단자부재와 연계되어 승강 이동 가능한 부재로 마련되는 안전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는 절개공이 형성되는 안전 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5188A KR101990113B1 (ko) | 2018-11-06 | 2018-11-06 | 안전 콘센트 |
CN201980073116.9A CN112997367A (zh) | 2018-11-06 | 2019-11-05 | 安全插座 |
JP2021512352A JP7148712B2 (ja) | 2018-11-06 | 2019-11-05 | 安全コンセント |
BR112021008730-3A BR112021008730A2 (pt) | 2018-11-06 | 2019-11-05 | tomada de segurança |
CA3108851A CA3108851A1 (en) | 2018-11-06 | 2019-11-05 | Safety outlet |
AU2019375618A AU2019375618A1 (en) | 2018-11-06 | 2019-11-05 | Safety outlet |
US16/674,228 US11223159B2 (en) | 2018-11-06 | 2019-11-05 | Safety outlet |
PCT/KR2019/014927 WO2020096327A1 (en) | 2018-11-06 | 2019-11-05 | Safety outlet |
EP19882754.5A EP3818598A4 (en) | 2018-11-06 | 2019-11-05 | SAFETY EXHAU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5188A KR101990113B1 (ko) | 2018-11-06 | 2018-11-06 | 안전 콘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0113B1 true KR101990113B1 (ko) | 2019-06-18 |
Family
ID=6710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5188A KR101990113B1 (ko) | 2018-11-06 | 2018-11-06 | 안전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011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96327A1 (en) * | 2018-11-06 | 2020-05-14 | Jong Ho Lee | Safety outlet |
KR102145963B1 (ko) * | 2019-10-18 | 2020-08-19 | 이종호 | 안전 콘센트 |
KR102337732B1 (ko) * | 2021-04-27 | 2021-12-09 | 주식회사 스윗홈 | 감전방지 멀티탭 |
KR102439702B1 (ko) * | 2021-11-19 | 2022-09-01 | 이종호 | 안전 콘센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3133A (ko) | 2005-07-01 | 2005-12-01 | 김경은 | 방수 안전 콘센트 |
KR20100013067A (ko) * | 2008-07-30 | 2010-02-09 | 최봉공 | 멀티 콘센트 |
-
2018
- 2018-11-06 KR KR1020180135188A patent/KR1019901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3133A (ko) | 2005-07-01 | 2005-12-01 | 김경은 | 방수 안전 콘센트 |
KR20100013067A (ko) * | 2008-07-30 | 2010-02-09 | 최봉공 | 멀티 콘센트 |
KR101062296B1 (ko) * | 2008-07-30 | 2011-09-14 | 대한민국 | 멀티 콘센트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96327A1 (en) * | 2018-11-06 | 2020-05-14 | Jong Ho Lee | Safety outlet |
US11223159B2 (en) | 2018-11-06 | 2022-01-11 | Jong Ho Lee | Safety outlet |
KR102145963B1 (ko) * | 2019-10-18 | 2020-08-19 | 이종호 | 안전 콘센트 |
KR102337732B1 (ko) * | 2021-04-27 | 2021-12-09 | 주식회사 스윗홈 | 감전방지 멀티탭 |
KR102439702B1 (ko) * | 2021-11-19 | 2022-09-01 | 이종호 | 안전 콘센트 |
WO2023090492A1 (ko) * | 2021-11-19 | 2023-05-25 | 이종호 | 안전 콘센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0113B1 (ko) | 안전 콘센트 | |
US11223159B2 (en) | Safety outlet | |
ES2835523T3 (es) | Enchufe seguro y uso del mismo | |
JP5492882B2 (ja) | アダプタ・プラグ | |
ES2657268T3 (es) | Interruptor de caja moldeada | |
CN103474826A (zh) | 防水防触电插座及其功能模块 | |
KR101062296B1 (ko) | 멀티 콘센트 | |
CN108800399B (zh) | 加湿器 | |
CN108899716B (zh) | 磁吸式防水插座 | |
WO2024174384A1 (zh) | 一种防触电的插座 | |
US6997739B2 (en) | Device including housing assembly with contact members extending therefrom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 |
KR102145963B1 (ko) | 안전 콘센트 | |
US5605478A (en) | Means for attaching a connector body to an electric device | |
CN108758927B (zh) | 加湿器 | |
CN210628618U (zh) | 一种耦合器及家用电器 | |
KR102626063B1 (ko) | 원통전원절체형 플러그안전분리 콘센트 | |
KR200475675Y1 (ko) | 수분의 차단 구조를 갖는 램프 버튼 스위치 | |
KR200191669Y1 (ko) | 정전시 복귀방지 기능과 수동 개폐조작기능을 갖춘 전자밸브 | |
KR101931260B1 (ko) | 수직형 멀티콘센트 | |
ATE408906T1 (de) | Explosionsgeschützte verbindungsvorrichtung | |
KR930000802Y1 (ko) | 콘센트 겸용 플러그 | |
KR20180057874A (ko) | 전기콘센트용 기밀패킹 및 이를 구비한 전기콘센트 | |
KR101076737B1 (ko) | 진공압력스위치 | |
KR200375786Y1 (ko) |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 |
KR200373504Y1 (ko) | 안전스위치가 구비된 콘센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