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737B1 - 진공압력스위치 - Google Patents

진공압력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737B1
KR101076737B1 KR1020050037213A KR20050037213A KR101076737B1 KR 101076737 B1 KR101076737 B1 KR 101076737B1 KR 1020050037213 A KR1020050037213 A KR 1020050037213A KR 20050037213 A KR20050037213 A KR 20050037213A KR 101076737 B1 KR101076737 B1 KR 101076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round plate
pin
hous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971A (ko
Inventor
이선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전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전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전자기술
Priority to KR1020050037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73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H1/0203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02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the action of the contact pressure spring becoming active only after engagement of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8Actuators to avoid tilting or skewing of contact area or actu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개시된 진공압력스위치는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하측단부 내주면에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와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 개방형 원통형몸체를 포함하되 커버의 결합돌부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원통형몸체에는 그 중심부에 상하방향 돌기형 중앙핀삽입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중앙핀삽입결합부 주변에 하측 돌기형 사이드핀삽입결합부가 돌출 형성된 하우징;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하우징의 원통형몸체 내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 결합되고 타측이 차후에 기술되는 접지유닛의 접지판과 접촉되며, 통전이 가능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력스프링; 상기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지되 압력스프링의 타단에 위치되어 탄성 지지되고 통전이 가능한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을 내측에 위치시켜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압력스프링의 타측단부를 지지하며 다음에 기술되는 러버의 내측으로 중심부가 삽입 배치되는 접지판커버를 포함하는 접지유닛;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되 접지판커버 측과 접촉 배치되며, 커버의 결합홀 상에 위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연장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어지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향경사부를 포함하는 러버; 상기 하우징의 중앙핀삽입결합부에 삽입 및 지지 결합되고 핀헤드 부분이 접지판과 접촉 가능하도록 접지판 하측에 근접 배치시킨 중앙핀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드핀삽입결합부에 삽입 및 지지 결합되고 핀헤드 부분이 압력스프링과 접촉되게 배치된 사이드핀을 포함하는 접속핀;을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진공압력스위치에 의하면, 압력변화에 따른 접지판과 중앙핀 및 사이드핀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전기적 노이즈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진공압력스위치, 핀

Description

진공압력스위치{Vacuum pressure switch}
도 1은 종래의 진공압력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스위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공압력스위치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진공압력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주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진공압력스위치 110... 커버
111... 결합홀 120... 러버
121... 돌출부 130... 접지유닛
131... 삽입돌출부 1310... 접지판커버
1320... 접지판 140.. 압력스프링
150... 접속핀 1510... 중앙핀
1520... 사이드핀 160... 하우징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특정 압력값의 검출 결과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진공압력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압력스위치는 조정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다이어프램(Diaphragm)이나 피스톤이 유체의 압력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변위량을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적신호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진공압력스위치로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진공압력스위치(10)는,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내에서 압력변화에 따라 이동하며 통전되는 이동판(12)과, 상기 이동판(12)을 지지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3) 및 상기 하우징(11)에 관통결합되고 전원과 직렬연결된 제1 및 제2고정핀(14, 15)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진공압력스위치(10)는 하우징(11)내에 압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판(12)이 승강 이동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이동판(12)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고정핀(14, 15)와 전기적으로 단락 및 통전을 하게 됨으로써 전기적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진공압력스위치(10)는 전기적인 신호를 받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판(12)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핀(14, 15)에 동시에 통전이 되어야 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공압력스위치(10)는 전기적으로 통전되기 위한 다수개의 접점이 동시에 접촉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판(12)이 경사지게 승강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에는 접촉이 불량하게 되어 통전이 어려워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전기적노이즈(Noise) 줄일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시킨 진공압력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압력스위치는,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하측단부 내주면에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와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 개방형 원통형몸체를 포함하되 커버의 결합돌부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원통형몸체에는 그 중심부에 상하방향 돌기형 중앙핀삽입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중앙핀삽입결합부 주변에 하측 돌기형 사이드핀삽입결합부가 돌출 형성된 하우징;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하우징의 원통형몸체 내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 결합되고 타측이 차후에 기술되는 접지유닛의 접지판과 접촉되며, 통전이 가능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력스프링; 상기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지되 압력스프링의 타단에 위치되어 탄성 지지되고 통전이 가능한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을 내측에 위치시켜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압력스프링의 타측단부를 지지하며 다음에 기술되는 러버의 내측으로 중심부가 삽입 배치되는 접지판커버를 포함하는 접지유닛;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되 접지판커버 측과 접촉 배치되며, 커버의 결합홀 상에 위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연장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어지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향경사부를 포함하는 러버; 상기 하우징의 중앙핀삽입결합부에 삽입 및 지지 결합되고 핀헤드 부분이 접지판과 접촉 가능하도록 접지판 하측에 근접 배치시킨 중앙핀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드핀삽입결합부에 삽입 및 지지 결합되고 핀헤드 부분이 압력스프링과 접촉되게 배치된 사이드핀을 포함하는 접속핀;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나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스위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공압력스위치의 조립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스위치(1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앙에 결합홀(111)이 형성된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홀(111)에 삽입되는 돌출부(121)를 구비한 러버(120) 및 상기 커버(110)와 결합하는 하우징(16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스위치(100)는, 상기 러버(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접지유닛(130)과, 일측이 상기 접지유닛(130)의 접지판(1320)과 접촉하며, 통전이 가능한 압력스프링(140) 및 상기 하우징(160)에 수직으로 관통결합된 접속핀(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지유닛(130)은, 상기 러버(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접지판커버(1310)와, 상기 접지판커버(1310)의 내측에 결합하고 통전이 가능한 접지판(1320)을 포함한다.
덧붙여, 상기 접속핀(150)은, 일단의 핀헤드 부분이 상기 접지판(1320)과 접촉이 가능하도록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160)에 대하여 수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중앙핀(1510)과, 일단의 핀헤드 부분이 상기 압력스프링(140)과 접촉하고 상기 하우징(160)에 대하여 수직으로 결합된 사이드핀(1520)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110)와 하우징(160)의 내부에는 러버(120)와, 접지판커버(1310)와 접지판(1320)을 포함하는 접지유닛(130)과, 상기 접지판(1320)과 접촉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력스프링(140) 및 접속핀(150)이 결합되어 수용 및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접지유닛(130)의 접지판(1320)은 통전이 가능한 것으로서 커버(110)와 하우징(160) 사이에 배치되어지되 압력스프링(140)의 타단에 위치되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지판커버(1310)는 접지판(1320)을 내측에 위치시켜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압력스프링(140)의 타측단부를 지지하며 러버(120)의 내측으로 중심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스위치(100)에 있어서, 상기 커버(110)가 하우징(16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호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커버(110)에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부(112)가 하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60)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결합돌부(112)에 대응하도록 요홈 구조의 결합홈(161a)이 형성된다.
즉, 하우징(160)의 몸체 일부를 내측에 위치시켜 감싸 보호하는 형태가 되도록 커버(110)를 하우징(160) 측에 삽입하여 결합할 시, 커버(110)의 결합돌부(112)가 하우징(160)의 결합홈(161a) 측에 삽입되어 매칭 결합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상호간에 쉽게 분리되지 않는 강한 결합관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60)은 압력스프링(140)을 안정적으로 설치 및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압력스프링(140)의 삽입배치공간을 형성한 상부 개방형의 원통형몸체(161)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몸체(161)에는 그 중심부에 상하방향 돌기형 중앙핀삽입결합부(162)가 돌출 형성되고 중앙핀삽입결합부(162) 주변에 하측 돌기형 사이드핀삽입결합부(16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핀삽입결합부(162)와 사이드핀삽입결합부(163)는 중앙핀(1510)과 사이드핀(1520)으로 구성되는 접촉핀(150)을 하우징(160) 상에 안정적으로 수직 설치 및 견고히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핀(1510)은 접지판(1320)과의 접촉성을 높일 수 있고 사이드핀(1520)은 압력스프링(140)과의 접촉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전기적 접촉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 러버(120)는 커버(110)의 결합홀(111) 상에 위치되는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에 연장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어지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향경사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커버(110)에는 상기 결합홀(111)에 대응하여 상기 러버(120)의 돌출부(121)가 삽입이 되며, 상기 접지판(1320)이 내측으로 삽입된 접지판거버(1310)는 삽입돌출부(131)가 상기 러버의 돌출부(121)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러버(120)의 내측 방향에 위치되고 러버(120)의 하향경사부(122)에 접지판커버(1310)의 외면 일부가 접촉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60)에는 중앙핀삽입결합부(162)에 중앙핀(1510)이 수직으로 삽입 결합되고 사이드핀삽입결합부(163)에 사이드핀(1520)이 수직으로 삽입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핀(1510)과 사이드핀(1520)은 통전이 가능한 재질로서, 일단이 원판형의 핀헤드를 구비한 봉형상이다.
이때, 초기 설치상태에는 상기 중앙핀(1510)은 접지판(1320)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핀(1520)은 압력스프링(140)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구성을 갖는 진공압력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압력이 떨어져 상기 러버(120)가 수축하게 되면, 돌출부(121)와 하향경사부(122)를 포함하는 러버(120)가 중심부와 외곽부에서 접지판커버(1310)를 균등하게 눌러 하측 방향으로 유도하게 되고, 이때 하강되는 접지판커버(1310)에 의해 접지판(1320)도 하측 방향으로 동시 유도된다.
이에 따라서 접지유닛(130)이 하강하게 되고 압력스프링(140)도 함께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접지판(1320)에 대하여 초기 이격되어 있던 중앙핀(1510)의 핀헤드에 상기 접지판(1320)이 접촉하게 되고, 본 발명에 따른 진공압력스위치(100)는 중앙핀(1510), 접지판(1320), 압력스프링(140), 사이드핀(1520)의 순서로 통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압력스위치(100)에 의하면, 종래의 제1 및 제2고정핀(14, 15)을 통해 통전되었던 구조와는 달리, 압력스프링(140)의 하단측에 사이드핀(1520)을 항상 접촉시키고 중앙의 중앙핀(1510)을 통해서만 상기 접지판(1320)이 접촉하도록 하여 통전시킴으로써 접지판(1320)이 기울어진 상태로 하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통전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접점이 다수 개인 것에 따른 접촉불량을 개선하여 진공압력스위치(100)의 전기적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전기적 노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160)의 구조 개선을 통해 압력스프링(140)과 접속핀(150)을 안정적으로 설치 및 지지되게 함과 더불어 러버(120)의 구조 개선을 통해 접지판(1320)의 안정적인 하강 동작을 유도하게 되므로 전기적 접촉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안정된 동작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압력스위치는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전기적노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전체 진공압력스위치의 크기를 줄였기 때문에, 제작비 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중앙에 결합홀(111)이 형성되고 하측단부 내주면에 결합돌부(112)가 돌출 형성된 커버(110);
    상기 커버(110)와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 개방형 원통형몸체(161)를 포함하되 커버(110)의 결합돌부(112)에 대응되는 결합홈(161a)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원통형몸체(161)에는 그 중심부에 상하방향 돌기형 중앙핀삽입결합부(162)가 돌출 형성되고 중앙핀삽입결합부(162) 주변에 하측 돌기형 사이드핀삽입결합부(163)가 돌출 형성된 하우징(160);
    상기 커버(110)와 결합되는 하우징(160)의 원통형몸체(161) 내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 결합되고 타측이 차후에 기술되는 접지유닛(130)의 접지판(1320)과 접촉되며, 통전이 가능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력스프링(140);
    상기 커버(110)와 하우징(160) 사이에 배치되어지되 압력스프링(140)의 타단에 위치되어 탄성 지지되고 통전이 가능한 접지판(1320)과, 상기 접지판(1320)을 내측에 위치시켜 커버하도록 결합되고 압력스프링(140)의 타측단부를 지지하며 다음에 기술되는 러버(120)의 내측으로 중심부가 삽입 배치되는 접지판커버(1310)를 포함하는 접지유닛(130);
    상기 커버(110)의 내측에 위치하되 접지판커버(1310) 측과 접촉 배치되며, 커버(110)의 결합홀(111) 상에 위치되는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에 연장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어지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하향경사부(122)를 포함하는 러버(120);
    상기 하우징(160)의 중앙핀삽입결합부(162)에 삽입 및 지지 결합되고 핀헤드 부분이 접지판(1320)과 접촉 가능하도록 접지판 하측에 근접 배치시킨 중앙핀(1510)과, 상기 하우징(160)의 사이드핀삽입결합부(163)에 삽입 및 지지 결합되고 핀헤드 부분이 압력스프링(140)과 접촉되게 배치된 사이드핀(1520)을 포함하는 접속핀(150);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압력스위치.
KR1020050037213A 2005-05-03 2005-05-03 진공압력스위치 KR101076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13A KR101076737B1 (ko) 2005-05-03 2005-05-03 진공압력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13A KR101076737B1 (ko) 2005-05-03 2005-05-03 진공압력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971A KR20060114971A (ko) 2006-11-08
KR101076737B1 true KR101076737B1 (ko) 2011-10-26

Family

ID=3765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213A KR101076737B1 (ko) 2005-05-03 2005-05-03 진공압력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15B1 (ko) 2014-07-10 2016-10-21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진공압력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971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0961C (zh) 浮动连接器
EP1788669A2 (en)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KR20010095112A (ko) 동축 플러그 커넥터용 콘센트
US20080045059A1 (en) Detect switch provided with an electrical member
CN213340795U (zh) 一种母端子、公端子及连接器
KR101076737B1 (ko) 진공압력스위치
US10952466B2 (en) Battery assembly and electronic cigarette thereof
US7715179B2 (en) Power supply for a computer device
US20080139055A1 (en) Electric Plug Contact
KR20090014262A (ko) 감지식 수전
KR101187695B1 (ko) 저압용 진공압력 스위치
CN205031053U (zh) 聪明座及饮水机
CN217744224U (zh) 一种开关组件、充电座及清洁机器人工作站
CN209947751U (zh) 温控器触点开关的锁定装置
CN107770980B (zh) Igbt模块
CN212874329U (zh) 重合器的软连接结构及重合器
CA2979572A1 (en) Track head and track lamp
CN218730560U (zh) 喇叭按钮开关
JP5587886B2 (ja) 接点組立体を備える電気装置
KR102626056B1 (ko)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CN214672338U (zh) 一种防水按键式跷板开关
CN220475068U (zh) 插头转换器
US6091034A (en) Low cost fluid pressure responsive electric switch having increased longevity
CN215418691U (zh) 防水连接器及其讯号端子
CN218563726U (zh) 常开式机油压力报警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